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연구: C대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전호재 ( Jeon Ho Ja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0 인성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대학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C대학에서 운영된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대상은 2018, 2019학년도에 C대학의 전공 및 학과와 본부 부속 기관에서 실시한 모든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별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 만족도, 효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C대학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자를 대상으로 운영 상 온라인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 만족도와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C대학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은 운영 주체, 운영 형식, 전공 연계 및 운영 시기별로 다양한 운영을 하고 있었다. 또한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효과도 일부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자들의 관심사항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여 논의 및 결론을 제언하였다. 첫째, 인성교육의 내재적 목적에 주목하여 대학 구성원 간의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공유되어야 한다. 둘째,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은 목적, 내용, 대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운영 형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의 요구를 고려한 학생 중심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state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was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all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in C university in 2018 and 2019. All data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n the operational status,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all programs. Besides, an onlin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er and operator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in C university were conducted in various ways by institutions, method, connection with major, and periods. Also,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lso, when opera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the issues of developers and operators were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scussion, conclusion, and suggestion were presented. First, the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among university members should be shar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trinsic purpose. Second, a proper program for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content, and student.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udent-centered character program.

      • KCI등재

        숙의에 비추어 본 내러티브의 의사소통 속성 탐구

        전호재(Ho-Jae, Jeon)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내러티브가 오늘날 여러 학문에서 주요한 개념으로 부상하고 있으나 내러티브의 의사소통 속성은 크게 부각되지 못하였다. 교육이 교사와 학생 간에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에 기반한 활동이라는 점에서 내러티브의 의사소통 속성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주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의 속성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의 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Schwab의 숙의 개념을 통해 개념 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내러티브와 숙의의 개념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이후 내러티브와 Practical, 내러티브와 숙의의 개념을 비교 분석하여 개념의 유사성을 통해 내러티브가 가진 의사소통의 속성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적 내러티브와 외적 내러티브의 의사소통을 통해 내러티브가 숙의를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을 설명하는 유용한 개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narrative has emerged as a major concept in many studies today, but the communication attribute of the Narrative has not been studied much. Especially, the communication attribute of narratives is an important topic to be addressed in that education is an activity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ommunication attribute of narratives. To do this, concept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chwab s concept of deliberation, widely known as the method of communi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narratives and deliberation was reviewed. And narratives-Practical and narratives-deliber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munication attribute of narratives was explored through the similarity of concepts. In this study, by the character, function, and interaction of internal narratives and external narratives, it was confirmed that narratives can be used as useful concepts to explain deliberation-based on communication.

      • KCI등재

        Schwab의 이론에 대한 재해석: Hlebowitsh의 해석을 중심으로

        전호재 ( Ho-jae Je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4

        2005년 Schwab의 이론을 중심으로 세 명의 학자, 즉 Hlebowitsh, Westbury, Wright 간의 담론이 이루어졌다. Hlebowitsh은 교육과정 역사의 중요한 학자들인 Bobbitt, Tyler, Schwab의 이론이 연결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에 Westbury는 Hlebowitsh가 Schwab의 이론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잘못된 이해하고 있음을 비판한다. 그리고 Wright는 Hlebowitsh의 목적이 Schwab의 이론에서 발전한 재개념주의를 약화시키고 Tyler 중심의 전통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설명한다. 이에 다시 Hlebowitsh는 Westbury, Wright의 글에 답을 한다. Hlebowitsh에 의해 시작된 이 담론은 Schwab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담론 속에서 Hlebowitsh가 제시한 새로운 해석이 나타났으며, Schwab의 이론에 대한 기존 접근법과의 차이가 명확해 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세 학자의 담론을 분석하여 Hlebowitsh가 제시한 새로운 접근법의 등장 배경과 그 가치 및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이 접근법은 Schwab의 이론에 대한 이해를 높여준다. 둘째, 이 해석은 Schwab의 이론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해 준다. In 2005, a discourse between three scholars Hlebowitsh, Westbury, and Wright was based on Schwab's theory. Hlebowitsh argued that theories of Bobbitt, Tyler, and Schwab, important scholars in curriculum history, could be linked. Westbury criticizes Hlebowitsh for mis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Schwab's theory. And Wright explains that Hlebowitsh's purpose is to weaken the reconceptualism that had originated in Schwab's theory and to strengthen Tyler‘s traditionalism. Again, Hlebowitsh replies to Westbury and Wright with additional explanation. This discourse, initiated by Hlebowitsh, suggests a reinterpretation to Schwab's theory. In the discourse, a reinterpretation proposed by Hlebowitsh emerged, and the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interpretation became clear. In this study, the discourses of three scholar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background, value and possibility of the reinterpretation promoted by Hlebowitsh. First, this approach improves our understanding of Schwab's theory. Second, this interpretation provides an idea of how to solve the weaknesses in Schwab's theory.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방식 탐구 : 내러티브 접근

        전호재(Ho-Jae Jeon),김수영(Su-Yeong Kim)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적 접근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방식을 탐구하고자 한다. 학교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지만 제대로 된 교육과정 운영이 미흡한 시점이다. 민주시민교육은 현재 다양한 개념이 공존하고 있으며 접근방법의 혼란 또한 존재한다. 교육과정의 연계성과 함께 민주적 생활과 경험이 실종된 민주시민교육에서 새로운 대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다양한 개념과 접근 방법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연계성, 민주시민교육에서 내러티브 접근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밝혔다. 그리고 내러티브를 인식론, 방법, 경험의 생성 도구의 측면에서 민주시민교육과 연계되는 사례를 초점으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민주시민교육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해 내러티브 접근을 새로운 탐구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었다. 그리고 민주적 생활과 경험이 실종된 민주시민교육에서 내러티브를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새로운 탐구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new wa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a narrative approach. The necess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is being discuss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various concepts and confusion of approach. It explores new alternative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ere curriculum articulation, democratic life, and experience are miss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analysis and previous research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 through analyzing various concepts and approaches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new alternatives were revealed through the linkage of curriculum and narrative approach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addition, narratives were approached in terms of recognition, method, and tool of creation of experience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narrative approach can be used as a new inquiry method for effective settle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exploring narratives in a new approach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ere democratic life and experience are missing.

      • KCI등재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 이론의 한계와 내러티브의 대안적 가능성 탐구

        전호재(Ho-jae Jeon),강현석(Hyeon-suk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실제적 교육과정은 대체로 교육과정 연구가 이론적 측면에만 편중되어 있다는 한계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슈왑의 실제성은 이론에 편중된 한계를 극복하고 교육과정 문제가 인식되고 해결되는 실천 현장의 맥락에서 교육과정 실제성을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는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의 한계를 탐색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은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줄이고, 현장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설명하려고 노력하였으나 본 연구 결과 실제적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에 있어 몇 가지 한계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현장의 교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과정 개발모형 제시에 소극적인 점 둘째, 교육과정의 공통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점 셋째, 이론과 실제를 구분하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다소간의 문제가 존 재한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 ‘내러티브’ 관점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는 인간 경험의 본질을 나타내주며, 인간의 경험을 해석하고 인간의 의사소통을 이해할 수 있다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내러티 브의 성격은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 이론들이 실제성에 더 가까운 실체를 구성할 수 있는 대안적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 고등교육 내 인성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전호재 ( Jeon Ho-ja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7 인성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 내 이루어지고 있는 인성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고등교육 내 인성교육의 개선방안을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위상을 살펴보았다. 인성교육은 초·중등교육의 연계성 및 고등교육의 특수성에 관련되어 고등교육에서 내재적 측면과 외재적 측면의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 이어 고등교육 내 인성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고등교육 내 인성교육은 크게 다섯가지 부분에서 문제점을 식별하였다. 그리고 그 문제점에 따라 본 연구에는 크게 목표적, 내용적, 운영적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had intrinsic value and external value in higher education related to the continu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the specificity of higher education. Then, problems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were derived.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has identified five problems. Based on the problem,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 plan in terms of purpose, contents, and oper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백워드 설계 경험의 내러티브에 관한 사례 연구

        이윤복(Yun-Bok Lee),전호재(Ho-Jae Jeon)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학교 교육과정의 전문가로서 교사들은 수업시간에 학생들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노력을 한다. 그래서 학생들의 완전한 이해를 추구하는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한 방식인 백워드 설계는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직 교사들의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과정에 대한 분석과 그 경험 내러티브를 이해함으로써, 현직 교사들의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탐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8주 동안 백워드 설계에 관한 연수를 실시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여 교육과정의 전문가들과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교사 5명과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식 중에서 백워드 설계를 통해서 여러 교과의 교육과정을 구성, 그 경험들을 이야기하도록 하였으며, 둘째, 그 과정에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현직 교사들의 백워드 설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기술하고 유목화를 통해 의미를 구성해내면 앞으로의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이를 통해 현직 교사들에게 백워드 설계 과정의 절차를 명확히 제시할 수 있었으며, 각 단계별로 발생하는 설계상의 오류도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현직 교사들의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experts in the curriculum, teachers seek a full understanding of students learning in class. Backward design, a method of understanding-oriented curriculum design that seeks full understanding of students, has recently received a lot of atten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design of backward curriculum of current teachers. Describing teachers backward design experiences will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design. So, for eight weeks, we conducted training on backward desig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 the process, we collected various cases and analyzed them in-depth with experts in the curriculum. Through this, the current teacher s backward design procedure is clearly presen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way to improve the ability of current teachers to design a backward curriculum.

      • KCI등재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근거한 교과서 내용 분석

        이윤복 ( Lee Yun-bok ),전호재 ( Jeon Ho-ja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4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학교 안과 밖의 대형 재난으로 인하여 교육과정에 안전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교과서에서 안전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고찰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교과서에서 안전교육과 관련된 내용 요소는 무엇이며, 어느 교과에서 어떠한 수준으로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과서 분석의 틀은 ‘학교 안전교육의 7대 표준안’에 의하여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 및 신변안전, 약물과 사이버 중독, 재난안전, 직업안전, 응급처치의 안전교육 요소들이었으며, 이 내용 요소들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이 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안전교육과 관련된 내용 요소들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지 않았고, 다소 단편적이고 파편적으로 제시되었음을 밝혔다. 그래서 학교교육과정을 통하여 안전교육이 지속적이며, 체계적으로 실시되어서 우리 학생들이 학교생활과 일상생활 속에서 안전의식을 높이고 습관화할 수 있는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onsider how to deal with safety education-related content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grade 3-6. Recently, the school curriculum in Korea actively reflects content related to safety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what content elements are related to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what level they are dealing with.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was ‘The Seven Standards of School Safety Education’. The standard consists of life safety, traffic safety, violence and personal safety, drug and cyber addiction, disaster safety, occupational safety and first aid. We analyzed how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were reflected in the 3rd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Seven Schools of School Safety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afety education content analysis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is study, it is emphasized that safet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of the 3rd and 6th graders. Also, we wanted to make suggestions for our students to increase their safety awareness and make them habitual in school and everyday life.

      • KCI등재

        중학교 교육과정의 개선 과제와 방안 탐색 : 학생 삶의 내러티브적 접근

        유제순(Je-Soon Yoo),전호재(Ho-Jae Jeon),김동원(Dong-Won Kim)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교육과정의 개선 과제와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교육과정 차원에서 현행 중학교 교육의 방향, 자유학기(학년)제, 중학교 교육의 개선측면에서의 선행연구 등을 분석하였고,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교육은 성공적인 학교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자유학기제 등에서 여러 긍정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긴 해도, 중학교 교육은 교육의 정체성과 위상을 확고히 하는 것과 더불어 질적 개선의 필요성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교육의 위상을 재정립할 필요성과 더불어 개선의 지향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본적인 교과 탐구 능력의 개발, 소질과 적성을 고려한 진로탐색 촉진, 주체성 및 문화이해 능력 발달 지원, 공동체 시민 역량 함양 교육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improvement tasks and plans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o do this, the current middle school curriculum was analyzed in various approaches. In terms of the current direction of middle school education, the free semester(grade), and improvement and innovation of middle school educ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n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Middle school education strives to realize a successful school education. In particular, the recent free semester has undergone many positive changes. However, in the course of this change, middle school education has emerged the need for definitizing the identity and improving its quality.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field expert’s opinions, the identity and status of middle school education were re-established and the direction of innovation was suggested. In addition, a specific reform plan for middle school education was proposed as follows: First, develop basic subjects inquiry competence. Second, promotes career exploration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talent and aptitude. Third, supports the development of subjectivity and cultural understanding competence. Fourth, enhance community citizenship.

      • KCI등재

        교육과정 우수학교 정책의 성과와 발전 과제

        강현석 ( Hyeon Suk Kang ),전호재 ( Ho Jae Jeon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2003년부터 시행된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정책의 성과와 발전 과제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에 선정된 학교의 사례를 분석하고, 선정된 학교의 교장과 담당 부장 교사에 대한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한 후에 정책의 방향에 근거한 분석 기준을 마련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책에 대한 교장의 반응은 정책 전반에 긍정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고, 교사들의 반응은 다소간 엇갈리지만 긍정적인 변화 속에서 장기적인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학교장은 교육 과정 차별화와 특성화로 자율적이고 전문적인 학교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인식과 기대를 보여주고 있는 반면에, 부장 교사들은 정책 추진 절차상 보고서 작성의 형식성을 개선하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과 보다 장기적이고 전문적인 정책 의제를 발굴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몇 가지 개선 방향과 정책상의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들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장차 교육과정 정책의 본질과 그 성격을 분명히 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This study is to search outcome analysis and tasks of the curriculum policy related 100 excellent schools since 2003. Curriculum policy is important to improve student`s achievement and overall growth in educational process. Every country effort to manage educational enterprise and political risk. In line of these educational policy, every country try to implement high quality idea and actions. We can see major factors affecting national curriculum and schooling. Curriculum discretion is important mechanism in handling national curriculum and school curriculum. Autonomous curriculum management is encouraged within national and local control of educational policy. Since 2003 Ministry of Education select and support 100 excellent school related to curriculum management. With this curriculum policy school solve the curriculum problem. We haven`t got any further information about merits and demerits of curriculum policy at present. Now we should analyze the outcome of this curriculum policy and suggest better actions for enduring articulation with educational idea. In this paper we found any problems in managing this policy and propose various policy-making proced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