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트레스와 역기능적 분노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분노반추의 매개 역할

        전현숙,손정락 한국임상심리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1 No.4

        본 연구는 스트레스, 마음챙김 및 분노반추가 대학생의 역기능적 분노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기제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마음챙김과 분노반추가 스트레스와 역기능적 분노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한다고 가정하고 두 가지 이중 매개 모형, 즉 부분 이중 매개모형과 완전 이중 매개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424명의 대학생들로, 이들에게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마음챙김 척도, 한국판 분노반추 척도 및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분 이중 매개모형이 수집된 자료에 가장 잘 부합하였다. 즉, 스트레스와 역기능적 분노간의 관계를 마음챙김과 분노반추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또한 스트레스는 역기능적 분노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역기능적 분노표현 및 비합리적 신념과 마음챙김의 관계

        전현숙,손정락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2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anger-in, anger-out), irrational beliefs and mindfulness to examine whether mindfulness uniquely contributed to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fter controlling for irrational belief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sub-factors of mindfulness to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We asked 382 college students to complete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Mindfulness Scale(Park, 2005),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STAXI-K) and Irrational Belief Test(Jones, 196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indfulnes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d between mindfulness and irrational belief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indfulness uniquely contributed to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fter controlling for irrational beliefs.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de-centered attention exhibit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ntribution to anger-in, and that de-centered attention, concentration, present awareness exhibited a significantly contribution to anger-out.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마음챙김, 역기능적 분노표현(분노억제, 분노표출), 비합리적 신념의 관계를 살펴보고, 비합리적 신념의 영향을 통제하더라도 마음챙김이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상에 독자적으로 기여하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상에 대한 마음챙김 하위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382명의 대학생들로, 이들에게 마음챙김 척도(박성현, 2006),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KI-K), 비합리적 신념 척도(Jones, 1969)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마음챙김은 분노억제, 분노표출 및 비합리적 신념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 결과, 마음챙김은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상과 관련성이 높은 비합리적 신념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상에 고유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동시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마음챙김 4가지 하위요인 중 탈중심적 주의가 분노억제에 부적으로 유의하게 기여하였고, 탈중심적 주의, 주의집중 및 현재자각 차원이 분노표출에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의의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태블릿 PC를 이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현숙,박혜숙 한국행동분석학회 2022 행동분석․지원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strategies using tablet pc on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nrolled in special classes at general schools, and the target behavior was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defined as attention-concentration and task performance behavior. As an independent variable, a self-management strategy which included self-monitoring, self-evaluation, and selecting reinforcers was applied using a tablet PC and a smart watch.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used for the research desig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was measured using a whole interval recording and accuracy of task performance, event recording.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during literacy classes and generalization of the behavior change was tested during math class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cidence of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and accuracy of the task performance increased. The intervention effect was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terminated and generalized. 이 연구에서는 태블릿 PC를 이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초등학생 3명으로, 목표 행동은 주의집중과 과제 수행 행동 두 가지 유형으로 정의된 수업 참여 행동이었다. 독립변인은 태블릿 PC와 스마트 워치를 이용한 자기점검과 자기평가 및 스스로 강화제를 선택하는 것이 포함된 자기관리전략 패키지의 적용이었다. 수업 참여 행동은 전체간격기록법으로 측정하였고 과제 수행 정확도는 정반응률로 측정하였으며 중재는 국어 시간에 일반화 조건은 수학 시간에 실시되었다. 연구 설계로는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연구는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태블릿 PC를 이용한 자기관리전략의 적용을 통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 발생률 및 과제 수행 정확률이 중재와 일반화 상황에서 증가하였으며 중재 효과는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다.

      • KCI등재

        수술실 간호사의 계수지침 이행정도와 계수오차 경험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전현숙,최창선,김은경,김성란,한명애,남주희,한은영,김지연,김희진,최예정,이인영,권정미,이선희,정현숙,권경주 병원간호사회 2001 임상간호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of all, to identify count errors and the nurses compliance of count methods. Secondly, this study is to identify causes of count error which they perceive. The subjects of this study performed 139 operating room nurses working in five hospitals which have 300 beds each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0 to June 30, 2001.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count error experience, count method compliance and factor-perception extent related to count error. SPSS 10.0 Program was used in data analysis,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experience level of count error.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for compliance of count method and factor-perception extent related to count error.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study, "None" is the most experience of count errors, and if any, "temporary loss" is the most frequent experience. Gauze (33.1%), instrument(36.0%) and needles(29.5%) follow consequently. In case of permanent loss, the order is needle(29.5%), gauze(5.8%), and instrument(5.0%). In case of reoperation after permanent loss, gauze(3.6%) is the highest one and then instrument(0.7%) follows. No reoperation performed for needle. 2) Gauze count and count record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counting subject. 3) The highest perceived factor related to count error is the factor of operation itself(3.26±0.70),and environmental(2.80±0.77) and human(2.76±0.77) factor follow in descending order. Consequently, out of gauze, needle and instrument, gauze was the highest loss, temporarily or permanently. Though gauze count compliance was the highest and detected by X-ray, gauze count error is also the highest. In addition, the highest perceived factor related to count error is the factor of operation itself.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 as follows. 1) The development and continuous complement of standard count job are prerequisite for preventing count error and improving operation team's understanding on count error. 2) The education program of count job for all nurses of operating room and evaluation system for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count job are necessary. 3) The continuous research for count job and count error is necessary. 4) The research on reliable instrument development for count error experience and count method compliance is also necessary.

      • KCI등재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가 역기능적 분노에 미치는 효과

        전현숙,손정락 한국건강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가 대학생의 역기능적 분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참여자는 프로그램에 대한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대학생 24명을 MBCT집단, 대기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할당하였다.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는 매주 1회 2시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전반부(1-4회)에는 마음챙김을 수행하고 분노와 관련된 심리적 현상을 자각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후반부(5-8회기)에는 마음챙김을 통해 분노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집단에 참여하여 사후검사를 받은 대학생은 9명이었고, 대기통제집단은 10명이었다. 연구 결과,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분노억제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분노표출과 특성분노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분노반추는 마음챙김과 분노표출, 마음챙김과 분노억제, 마음챙김과 특성분노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on dysfunctional anger and also to investigate the repeated measure mediated effects of anger rumination on dysfunctional anger. Half of the twenty four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group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whereas the other half were assigned to the waiting control group. Both of these groups participated in a voluntary program.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iss composed of eight sessions administered every week, lasting two hours per session. The first part of the program(1-4 sessions) is focused on the fact that subjects have a mindfulness meditation and are aware of the psychological symptoms associated with anger. The latter of the program (5-8 sessions) is focused on improving the ability to control anger through mindfulness. The number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completed the assessment at termination was 9 in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and 10 in the waiting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eatm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a lower score level of anger-out and trait ang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changes have occurred regarding the level of anger-in.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nger rumin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dysfunctional anger.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의 임상수행경험, 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

        전현숙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의 임상수행 경험과 자신감, 임상수행능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심기본간호술의 임상수행경험, 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학년이며, 임상수행능력과 핵심기본간호술 수행경험 그리고 수행자신감은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임상수행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으로 31.2%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xperiences of core basic nursing skills(CBNS), self-confid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in 208 nursing students attending nursing department and understand which factor, either experiences of CBNS or self-confid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has an impact on clinical competence. Ou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s of CBNS, self-confid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The factor that had the biggest impact on clinical competence was self-confid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both factors was 31.2%,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se findings, nursing educate need to develop a curriculum to increase self-confid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in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