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식물 소멸기에서 발생하는 응축폐수의 Polyethylene 침지형 중공사막을 이용한 처리 특성

        유재상,전태봉,김진호,정건용 한국막학회 2010 멤브레인 Vol.20 No.2

        연구는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소멸기에서 미생물에 의해 발효하여 유기물을 감량화하고, 음식물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냉각기에서 기체와 수분으로 분리하여 기체는 반응기로 다시 보내고 수분은 응축하여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이 장착된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주)바이오하이테크에서 제작한 음식물 소멸기와 수처리 장치에 침지식 MF 중공사 모듈을 설치하여 90일간 H연구소 직원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 투입하여 처리하였다. 음식물 소멸기 초기 Seeding를 위하여 수분조절제로 미강, 왕겨, 톱밥을 305 kg 투입하였고 음식물은 운전기간동안 1,648 kg투입하였고 응축폐수는 1,600 L 발생되었다. 음식물 소멸기 운전 종료 후 배출된 발효 부산물은 386 kg으로 감량율은 약 80%로 조사되었다.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 모듈을 응축폐수의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유기물 처리한 결과 제거율은 각각 BOD 99.9%, COD 97.5%, SS 98.6%, T-N 54.6%, T-P 34.7%였으며, 총대장균은 100%가 제거되었다. This study is conducted about the system that reduces organism after fermenting food waste from a food waste disposal equipment, divides gas made when food waste is fermented into gas and water, and then sends gas to a reactor again, condenses water, and apply it to the MBR system with submerged MF hollow fiber membranes. A submerged MF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was installed to a food waste disposal equipment and a water treatment system made by Bio Hitech Co,. Ltd. to process food waste generated from a staff cafeteria in a H institute for 90 days. For initial seeding of a food waste disposal equipment, 305 kg of rice bran, chaff, and sawdust as well as 1,648 kg of food were input during the operation, and 1,600 L of condensed wastewater occurred. Fermented by-product after finishing running a food waste disposal equipment was 386 kg and its reduction was shown to be 80%. The organism was processed by applying submerged MF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o the MBR system of condensed wastewater, and the result shows reduction rates were BOD 99.9%, COD 97.5%, SS 98.6%, T-N 54.6% and T-P 34.7% and the total colon bacillus was perfectly eliminated.

      • KCI등재

        10주 트레드밀 운동이 비만 쥐 혈관 내피세포의 오토파지 조절장애 개선에 미치는 효과

        김지석,전태봉,백경완,유준일,안상현,문효열 한국운동생리학회 2019 운동과학 Vol.28 No.3

        i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the pathogenesis of atheroscler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regular aerobic exercise can improve obesity-induced dysregulation of autophagy in mice arterial endothelial cells. METHODS: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were subjected to the treadmill running for 10 weeks (15 m/min, 1 hour/day, 6 days/ week). Endothelial cells were isolated from aorta by perfusing with QIAzol reagent.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s of autophagyrelated genes were investigated by qRT-PCR and western-blot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one-way ANOVA. RESULTS: Autophagy-related gene expressions in both levels of mRNA and protei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arterial vessels of obese mice. However, these phenomena have been partly reversed by the regular treatment of treadmill exercise for 10 weeks. Furthermore, eNOS downregulation induced by the obesity was also improved by the regular aerobic exercise, representing enhanced endothelial function. CONCLUSIONS: The current study has shown that the obesity-induced autophagy dysregulation and vascular dysfunction can be partly improved by the regular aerobic exercise in mice vascular endothelial cells.

      • KCI등재

        Effects of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and Strength According to the Frailty Level of Female Elderly with Hypertension

        백경완,이민철,전태봉,유준일,박진성,문효열,김지석 한국운동생리학회 2020 운동과학 Vol.2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and strength according to their frailty level of the hypertensive female elderly aged over 65. METHODS: Female elderly subjects (>65 year) with hypertension (n=90)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level of frailty (Fr_), and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 (Ctrl) and exercise group (Ex). Hypertensive female elderly in exercise groups were subjected to 8-week combined exercise of aerobic (stretching and walking) and resistance (elastic band and weight training) exercise twice per week (50 minutes×2 times×8 weeks). Body composition, functional fitness and skeletal muscle strength were evaluated as main variables (Ctrl, n=27; Ex, n=23; Fr_Ctrl, n=17; Fr_Ex, n=23). RESULTS: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level (include hemoglobin A1c) and blood lipid profile did not interact with the exercise intervention and frailty level. Records of 30-second chair stretch test, two-minute walk test and arm curl increased after exercise intervention regardless of frailty level. The strength of quadriceps femoris increased after exercise intervention regardless of the level of frailty. However, the strength of biceps femoris (p<.001), biceps brachii (p<.05) and triceps brachii (p<.00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r_Ex compared to pre-intervention of exercise. CONCLUSIONS: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frailty in hypertensive female elderly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muscle strength improvement by exercise interv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newly discovered that the improvement of 30-s chair stretch test record in the hypertensive elderly women appeared faster than the improvement of the rapid-gait test record independently of the level of frailty.

      • KCI등재

        대사증후군 중년 남성들의 최대 근력, 건강 체력 및 유산소성 능력의 변화

        김지석,김인규,성창수,전태봉,김태일,권선옥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대사증후군 유병에 따른 최대 근력, 건강 체력 및 유산소성 능력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건강한 일반인과 비교하여 대사증후군 질환자에게서 상대적으로 나타나는 체력의 변화를 이해하고, 대사증후군 질환자의 운동처방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특정한 약물처치를 받지 않는 질병이 없는 중년 남성 13명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에 근거하여, 허리둘레, 혈압, 공복 시 혈당,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 등 5개 요소 중 3가지 항목 이상이 판정기준에 초과 또는 미달하였을 때 대사증후군 질환자로 분류하였으며, 일반인 통제집단 7명(평균연령 46.29±5.10세)과 대사증후군 질환 집단 6명(평균연령 48.80±3.38세)의 최대 근력, 건강 체력, 유산소성 능력, 혈액 변인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대사증후군 집단 (Metabolic Syndrome, MS)의 공복 시 혈당, 중성지방 수치는 일반인 집단(Non-Metabolic Syndrome, NMS)에 비해 유의한 증가 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다. 대사증후군 판정 지표인 허리둘레 및 복부비만율 역시 MS 집단이 NMS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인체조성 검사 결과, 체질량지수와 근육량, 골격근량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체지방율에 서는 MS 집단의 유의한 증가를 발견할 수 있었다. MicroFet을 이용한 상.하지 최대 근력 측정 결과, 좌측 및 우측 상완이두근, 상완삼두 근, 대퇴사두근, 대퇴이두근, 대둔근, 중둔근, 대퇴내전근, 비복근, 전경골근의 근파워 수치에서 두 집단 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강 체력의 측정 결과, 상지근력 측정지표인 좌.우 악력과 근지구력 측정 지표인 윗몸 일으키기, 민첩성과 순발력의 측정 지표인 사이드 스텝과 서전트 점프, 유연성 측정 지표인 좌전굴 측정 결과, 집단 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탈진 시까지 수행된 최대산소섭취 량 측정 결과 MS 집단의 유산소 능력이 NMS 집단에 비해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사증후군 유병이 근육량 변화를 통한 최대근력 및 체력의 변화보다는 체지방율 변화를 통한 유산소 능력을 더욱 민감하게 저하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며, 대사증 후군 질환자의 운동처방에 있어서는 유산소 능력의 개선을 위한 처치가 우선되어야 함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maximal muscular strength, physical fitness and aerobic capacity in the middle-aged male metabolic syndrome patients compared to the non-metabolic syndrome control. By analyzing metabolic syndrome diagnosis criteria, 6 male subjects were engaged in metabolic syndrome (MS, age 48.80±3.38 yrs) patients group and 7 male subjects were engaged in non-metabolic syndrome (NMS, age 46.29±5.10 yrs) control group. On determining blood variables, the fasting levels of glucose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S group compared to NMS, while the HDL-C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MS. Waist circumference, waist-hip-ratio and % body fa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body weight, BMI, muscle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in between groups. Maximal muscular strengths of upper and lower limbs measured by MicroFet, such as right and left quadriceps femoris, biceps femoris, gluteus maximus, gluteus medialis, femoral adductor, gastrocnemius, tibialis anterior, biceps brachii and tricept brachi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etween groups. Levels of physical fitness, such as grip strength, sit up, side step, seargent jump and trunk flexion, were also not different in between groups. However, the aerobic capacity determined by VO2max was dramatically decreased in MS group. The current study has shown that the aerobic capacity is more sensitive to the metabolic syndrome compared to the muscular strength.

      • KCI등재후보

        운동 빈도에 따른 12주간 저항성 운동이 20대 성인 남성의 최대근력 및 인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김철우,지진구,곽이섭,전태봉,김지석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2-week resistance training with different exercise frequency in consistent intensity on muscular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in untrained young adults. Forty three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age: 21.7±2.5)without any chronic disease were recruited with their agreement for the participation. 8 out of 43 participants were engaged in comprehensive resistance training 3 times a week (3/wk) for 12 weeks, while 18 participants have performed it 1 time a week (1/wk) in the same exercise protocol(150 min/day, 60% 1RM). The other 17 participants were engaged as the control (CON). As compared to pre-training, post-training 1RMs in bench press, sit-up, lateral pull down, and shoulder pres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3/wk and 1/wk groups without any statistical difference in between groups, while there was no change before and after 12 weeks of training in CON. Enhancement of muscle mass and the attenuation of fat mass including abdominal fat were observed in both 3/wk and 1/wk groups with no statistical change in body weight and BMI. Findings in this study provide an evidence that the strategy for lesser exercise frequency could be applied as positive reinforcement for the untrained young adult beginners of exercise. 본 연구는 동일한 강도 및 절차로 구성된 서로 다른 빈도의 12주간 저항성 운동이 20대 성인 남성의 최대근력 변화와 인체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상호 비교·분석하여, 바쁜 현대인들이 실질적이고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운동 빈도를 찾아,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규칙적 운동 경력 및 병리학적 질환이 없는 43명의 남자 대학생(평균연령: 21.7±2.5)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 8명은 주 3회 운동군, 18명은 주 1회 운동군, 17명은 대조군으로 그룹 분류하였다. 주 3회 운동군과 주 1회 운동군의 운동강도 및 운동절차(150분/일, 60% 1RM)는 동일하였으며, 운동빈도만 주 1회 또는 주 3회로 구분하였다. 운동 전에 비해 12주간의 운동훈련 후 대흉근, 광배근, 삼각근의 최대근력을 대변하는 벤치프레스, 랫풀다운, 숄더프레스의 1RM 및 복근의 근지구력을 대변하는 윗몸일으키기 최대반복횟수는 주 3회 운동군과 주 1회 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두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주 1회 및 주 3회 운동그룹 모두 체지방량, 체지방율, 복부지방율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근육량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두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과 BMI에서는 두 운동군 모두 어떠한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대조군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12주 전·후에 어떠한 통계적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저항성 운동 훈련을 위한 전통적인 권장 운동빈도인 주 3회 운동보다 낮은 주 1회 운동 빈도로도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운동 훈련을 유지할 경우, 근육량 및 근력 향상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바쁜 현대인에게 근력 유지 및 향상을 위한 최소한의 운동빈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