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 시기에 경험한 민주적 학교문화가 초기 성인기의 비제도적 정치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시민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자배,김찬미,유혜영 한국교육개발원 2024 한국교육 Vol.51 No.1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verify the impact of democratic school culture experienced during high school years on civic consciousness and non-institutionalized political participation behavior in early adulthood.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Based on the dataset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Education 2013 (6th-9th year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ivic consciou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school culture and non-institutionalized political participation behavior. To figure out answer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Findings/Results: First, adolescents who experienced more a democratic school culture showed higher civic consciousness in early adulthood. Second, civic consciousness in early adulthood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school culture and non-institutionalized political participation behavior. Value: Based on the findings of above, this study suggests to strengthen civic education based on civic consciousness.

      • KCI등재

        다문화가정 부모의 문화적응 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전자배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8 다문화교육연구 Vol.11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e acculturation attitude of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self-esteem of their children. In this article, the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2015,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as used and a total of 49,310 adolescents whose ages ranging from 9 to 18 were selected from the data. To analyze more exact relationship, the research was undertaken by matching data of parents(Korean and immigrant spouses) and their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parents composed of Korean father and multicultural mother tend to show assimilative acculturation attitude on Korean culture. Second, parental acculturation attitude significantly affects self-esteem of the children. Specifically,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was likely to be low when their parents had assimilative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not equally accepting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unwilling to open their family background to other people. Third, in terms of interaction effects, the type of multicultural fami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culturation attitude and self-esteem of their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cultural parents’ policies should be extend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line with welfare support service and attribution change program for their adolescents. 건강한 성격 형성 및 사회생활의 토대가 되는 자아존중감은 비다문화가정 출신 청소년들과 비교해볼 때 다문화가정 출신 청소년들이 대체로 낮은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변인으로 다문화가정 부모의 문화적응 태도에 주목하였다.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두 사람이 형성한 다문화가정은 필연적으로 문화적응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한 부모가 자신의 출신문화를 숨기거나 한국문화에 더욱 동화되는 문화적응태도를 보일 경우, 자녀는 부모의 태도를 내면화하며 다문화적 정체성을 가진 자신의 가치를 낮게 평가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여성가족부의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9세-18세의 다문화청소년 49,310명과 해당 자녀의 부모 데이터를 대응시켜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제변인으로는 성별, 나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부모의 교육수준, 월평균 가계소득), 부모 자녀관계, 학업효능감을 설정하고, 부모의 문화적응 태도가 그들의 자녀인 다문화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가정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부모의 문화적응태도는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가 혼인한 다문화가정(외국출신 어머니 가정)에서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로 구성된 다문화가정(외국출신 아버지 가정)보다 한국문화에 순응하는 동화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가 동화주의적인 문화적응태도를 가질수록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가족유형에 따라 부모의 문화적응태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이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외국출신 아버지 가정의 부모가 통합적인 문화적응태도를 나타낼 때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이들의 사회화 대행자인 부모가 보다 통합적인 문화적응태도를 가져야함을 입증한다. 다문화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은 그들이 사회적인 편견에 영향 받거나 자신의 가치를 저하시키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는 한국 사회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실천적으로는 다문화가정 부모정책이 사회적 약자로서의 복지서비스 지원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교육 영역까지 확장되고, 다문화청소년들의 인식전환을 위한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사회과 환경교육 연구 동향 분석

        전자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4 교과교육학연구 Vol.28 No.6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within social studies and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data were collected, and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based on time period, purpose, methods, school levels, and ecological perspectives. The analysis yield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research on environment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began in the 1970s, with the most publications appearing in 2010s. Second, more than half of the research focused on developing teaching-learning methods within social studies. Third, theoretical studie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urth, in terms of school levels, research focusing on elementary education had the highest proportion. Fifth, after 2010, there was an increase in studies emphasizing ecological perspectives. As the first attempt to examine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in social studies, the study suggests future directions such as the leading role of social studi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conducting status surveys, diversifying research methods, and paying additional attention to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역량 함양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전자배,이수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7 시민교육연구 Vol.49 No.4

        본 연구는 역량을 강조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한계점을 검토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역량을 중심으로 개발된 호주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의 설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의 구현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에 따라,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교과역량을 선정하고 교육과정의 성격·목표에서 이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역량의 총체성을 반영한 내용체계표와 실생활과의 연계성, 학습량 적정화 등을 통해 사회과 수업에서의 역량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추상적인 서술로 인한 수업구현의 어려움, 성취기준 진술형태 등에서 한계가 나타났다. 한편 호주의 사회과 교육과정은 역량의 총체성을 반영하여 문서를 구조화하고, 시각적 장치를 활용하며, 탐구의 과정 및 수준을 반영한 기능을 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교육과정 상에서 역량을 구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검토를 토대로 본 연구는 역량 함양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설계 방향으로 ‘지식과 기능을 분리한 내용기준 체제, 아이콘을 활용한 역량 제시, 탐구과정을 반영한 기능 제시’를 제안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안을 ‘사회문제 탐구’ 교과에 적용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설계 방향은 추후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며, 교실 현장에서는 학생들이 절차적 지식과 함께 역량을 함양하고, 교사들에게는 사회과 역량을 수업에서 구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안내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2015 revision of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o provide a direction for th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design. To accomplish these goals, the study examined the Australian HASS curriculum. To realize a competency based approach, the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indicated subject-specific competency, content organization reflecting holistic nature of competency, connectedness to present, and relevance of content. Despite considerable progress, work is still required to develop more competent reflected content standards and refined organization of skills in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ustralian HASS curriculum, the study proposed the inquiry-process curriculum design reflecting a sequence of multiple skills. This curriculum design described here could serve as the basis to foster competency for students and to provide guidelines of competency based instruction for teachers. This study, thus, would be of help to develop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future.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환경 개념의 유형 분석

        전자배,박윤경 한국초등교육학회 2025 초등교육연구 Vol.38 No.1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oncept of the environment is address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explores future direc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his study established criteria for analyzing environmental concepts and compared the 2015 and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a. First, The curriculum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econd, sustainability is emphasized in the curriculum's goals and objectives. Third, this study finds three changes in achievement standards: The curriculum gave attention to the human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environment. There was an increasing emphasis on system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In social studies,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is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related contents in term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practic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social studies content on environmental issues, particularly linking resource management and social institutional perspectives.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환경 개념의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사회과 환경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환경 개념을 ‘자연환경, 인문환경, 제도환경, 지역환경, 지구환경, 시스템’(환경 일반 영역), ‘환경문제, 자원관리, 사회참여’(환경문제와 해결 영역)의 9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2015 개정 및 2022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교육과정 설계의 개요’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전환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성격’과 ‘목표’에서 지속가능성을 강조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성취기준’에서 인문환경, 제도환경 및 시스템 사고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으며,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과의 관심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참여와 실천의 측면에서 환경문제와 해결 영역에 관련된 내용을 보강할 필요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자원관리 및 사회제도와 연계한 사회과 환경 관련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집단적 맥락에서 바라본 따돌림 양상 및 개선방안

        전자배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9 시민교육연구 Vol.51 No.1

        School bullying which brings about severe consequences has been on the rise.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influence, this study supposes that peer group norms influence patterns of school bullying, with pluralistic ignorance worsening the bullying situation. This study proposes using the social norms approach in an attempt to eliminate pluralistic ignorance and to prevent school bullying, and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the approach. First, considering adolescents as members of peer groups,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from previous studies by taking into account bystanders and group dynamics to prevent bullying. Second, this study leads students to correct their misperceived group norms and not to remain in the spiral of silence by social norms approach which presenting actual group norms. Third,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different effects of the social norms approach depending on a student’s participant role in the bullying situation. Drawing on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is approach could be more effective for students whose attitudes and behaviors are inconsistent, and seldom effective for students who have permissive attitudes toward bullying. It is worth emphasizing that anti-bullying education must be imbued with the civic values such as human rights and recognition and respect for others. By establishing positive group norms, adolescents will grow into responsible citizens, thus allowing our society to be more mature. 본 연구는 사회심리학과 사회과교육의 통섭적 접근을 통해 집단따돌림 상황에서 작동하는 또래집단규범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다수의 무지로 인해 집단따돌림 현상이 심화되는지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학급 내 집단따돌림 상황에서 강화자·방관자로 행동하는 절반 이상의 학생들은 학급 내 따돌림 상황에 대해 낮은 수준의 허용적 태도(높은 수준의 부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이 학생들은 학급 내 따돌림에 찬성하는 규범이 존재한다고 인지하여, 본래 따돌림에 찬성하지 않으면서도 따돌림을 지속시키는 방향으로 행동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수의 무지가 존재하는 경우(학생들이 실제보다 학급 내 따돌림에 허용적인 집단규범이 존재한다고 과대평가하는 경우), 집단따돌림을 보다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학생들은 행동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집단규범에 대한 학생들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자, 학생들에게 사회규범 접근법을 처치하였다. 사회규범 접근법은 학생들에게 학급 내 존재하는 다수의 무지를 알려주어 학생들이 본래 자신의 태도대로 행동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 처치 결과, 따돌림 강화·방관 행동의사는 강화자 집단 학생들에게서 유의하게 감소하고, 따돌림 방어 행동의사는 방관자 집단 학생들에게서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집단 내에서 주변을 의식하며 행동하는 청소년의 모습이 학급 내 따돌림을 지속·심화시키는 하나의 원인으로 작동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집단규범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바로잡는 사회규범 접근법이 집단따돌림의 지속·심화를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학급 내 건강한 집단규범이 정착되고 조화로운 학급 공동체로의 발전을 위해 본 연구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동아리활동이 협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유능감의 매개를 중심으로

        전자배(Chun, Jaba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참여 양상 및 동아리활동과 협업능력 간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학교 1학년 학생 2,52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군집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자를 유형화한 결과, 4개 집단(교내․외 동아리 참여군, 교내 동아리 참여군, 교외 동아리 참여군, 참여저조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중 참여저조군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교내·외동아리활동의 참여에 있어서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셋째, 자아유능감, 협업능력 점수는 교내·외 동아리 참여군이 가장 높았으며, 교외 동아리 참여군, 교내 동아리 참여군, 참여저조군의 순으로 감소했다. 또한, 자아유능감, 협업능력의 점수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동아리활동이 자아유능감을 매개하여 협업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기할만한 점은 교외 동아리활동만이 자아유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했으며, 교내 동아리활동은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참여 증진을 위한 원인 탐색, 동아리활동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교외 동아리활동 참여만이 청소년의 자아유능감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교내 동아리활동과 지역사회, 청소년단체와의 연계 및 개별적 책무성을 고려한 동아리활동의 설계를 본 연구의 실천적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정책적 기조는 유지하되,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참여를 장려하는 정교한 정책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articipation in adolescents’ club activitie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ub activities and collaborative abilities. The dataset of the 1st year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was used and 2,526 adolescents were selected. First, adolescents can be classified into four-groups (in/out school clubbers, in-school clubbers, out-school clubbers, and low participators); low participators made up the highest percentage.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economic status of families across club activities were detected. Third, in/out school clubbers show the highest score in terms of self-competence and collaborative abilities, followed by out-school clubbers, in-school clubbers, and low participators.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etence was identified. Interestingly, self-competence mediated the effect of out-school club activities on collaborative abilities, not in-school club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connection club activities within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youth groups and highlighting the individual accountability of each club member were suggested.

      • KCI등재

        온라인 뉴스 댓글이 사회문제에 대한 청소년의 의견 형성에 미치는 영향

        전자배 ( Chun¸ Jaba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4

        With the advent of online news media, reading news comments has become an ordinary experience for news users. Adopting the theory of social influence and attribution theory,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on whether news comments affect adolescents when establishing their own opinions about social problems. First, adolescents are likely to perceive public opinions about social problems following the news comments which were displayed under the article. They use news comments as a heuristic to infer public opinion. Second, perceived public opinion influences one’s opinion about the cause of the social problems in the case of external attribution conditions. Third, perceived public opinion affects adolescents when deciding their own opinion; this leads them to support the solutions which are in line with the perceived public opin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news literacy education focusing on critical reading of news comments. Also, by dealing with online news comments in class, social studies tried to help adolescents be better informed citizens and to enlarge their perspectives toward social problems.

      • KCI등재

        사회과에서의 뉴스 리터러시 수업의 방향 모색 : 댓글을 중심으로

        전자배 ( Chun¸ Jaba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1

        As the online news media environment has brought new opportunities to react to news information, people can shift their role from news recipients to news users; posting news comments marks this change. Although news comments spaces function as public spheres, social problems related to news comments have been on the rise: problems with online malicious news comments, news comment manipulation, and so on. Us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social psychology and social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blems with news comments and suggests news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news comments.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an instructional model using the Inquiry Design Model (IDM), an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based on the C3 framework developed by the NCSS. Through this effort in social studies, adolescents will grow into informed online news users, thus allowing our society to maintain a more mature online public sphere.

      • KCI등재

        사회이슈에 대한 온라인 공간 속 청소년의 의견표명 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전자배(Chun, Jaba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온라인 공간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이슈에 대한 청소년들의 의견표명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년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 비교 연구 Ⅴ」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학생 1,26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은 사회이슈에 대하여 온라인 공간에서 소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행동경향은 오프라인 공간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이슈에 대해 지식이 많을수록, 친구와 사회이슈에 관한 대화 빈도가 높을수록, 교실 속에서 다양한 의견이 교환된다고 인지하는 청소년일수록 온라인 공간 속에서 사회이슈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셋째, 교외 단체활동에 참여해 본 경험이 있는 청소년일수록 사회이슈에 대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이슈에 대한 의사소통에 청소년들의 더욱 적극적인 참여가 요청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사회이슈에 대한 청소년들의 이해와 참여를 돕는 실제적인 교육적 방안이 실행되고, 다양한 의견이 존중되는 안전한 공론장의 형성이 필요하다. 또한, 교외 단체활동 참여가 민주시민으로의 성장에 이바지하는 유의미한 통로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지역사회 및 시민사회단체에의 청소년 참여를 장려해야 할 것이다. 시민들의 생각과 목소리는 민주사회의 발전에 원동력이 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 속에서 청소년들의 목소리도 함께 오고가며 더 나은 방향을 찾아가는 민주사회로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opinion expression behaviors about social issues. In this article, the 2018 Survey on Youth Competencies Index,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and a total of 1,266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are less likely to express their opinion about social issues. Second, adolescents are likely to express their opinion when they perceive that they have more knowledge about social issues, talk frequently with parents and friends about social issues, and think the classroom climate for discussing social issues to be an open one. Third, social organization activities significantly affect adolescent opinion expression behaviors about social issu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rmation of safe public spheres and practical education regarding social issues are suggested. In addition, it is worth emphasizing that youth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y and civil society groups is something that should be encoura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