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도(力道)선수에서 견관절 질환

        전인호,경희수,Jeon, In-Ho,Kyung, Hee-Soo 대한견주관절학회 2002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5 No.2

        Purpose: Weight lifting is a good training to control body weight, to correct body shape and to relieve stress. How-ever if the training is continued by inadequate training method and technique, the risks of the shoulder injuries are relatively high. Main Subject: The rotator cuff injury is the most common disorder to wright lifters and often results from the train- ing program of upright row, military press and pectoral deck. The chances of subacromial impingement in these postures are high because the shoulder rotates under the acromion at 90 abduction state. Shoulder instability in weight lifters can develop due to various causes. aepeated microtrauma and excessive abduction and external rotation may result in laxity of the anterior capsular structure, ligament and muscles. Behind the neck and bench press are high risk training postures. Other than those injuries, idiopathic osteolysis of distal clavicle, acromioclavicular separation, pectoralis major muscle rupture, and triceps muscle rupture nay develop. Conclusion: The best treatment option of the shoulder injury to weight lifters is to eliminate the possible risk elements for the weight lifters in training program and to provide proper and prompt treatment as soon as possible.

      • 근위부 대퇴직근의 자연 파열 - 증례보고 -

        전인호,경희수,이상원,김풍택,Jeon, In-Ho,Kyung, Hee-Soo,Lee, Sang-Won,Kim, Poong-Taek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5 No.1

        Rupture of the rectus femoris at the musculotendinous junction is very rare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especially which is caused by chronic repetitive stimulation. A 21 year old soldier complained of progressing right thigh pain and mass for 8 weeks after military training. MRI of the right thigh showed inhomogenous mass lesion suspecting soft tissue tumor. However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showed torn retracted rectus femoris tendon at musculotendinous junction. One year after primary repair of ruptured tendon, the patient is free from symptoms and returned to full previous activities. Knowledge of this sonographic and MRI finding will help the surgeon to diagnose and treat this rare injury.

      • 연계적 공학해석 교육을 위한 워크플로우 기반 도구 개발 및 활용 시나리오 제안

        신정훈(Jung Hun Shin),김한기(Han Gi Kim),채희승(Hui Seung Chae),전인호(In Ho Jeon),이종숙(Jongsuk Ruth Lee) 대한기계학회 201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8 No.6

        공학현장에서 소프트웨어의 활용성 및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따라서 공학설계 단계에서 해석 소프트웨어의 활용 및 이해는 공학도의 핵심역량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해석영역 혹은 해석분야를 가진 현장의 복합적 시스템 대상 공학교육을 위한 새로운 전산 환경을 개발하고 활용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KISTI에서는 개별 해석 연구자들이 개발한 in-house 소프트웨어들을 탑재할 수 있는 계산 플랫폼의 하위모듈로서 워크플로우 실행환경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유동, 구조, 최적설계 등의 다양한 단위 소프트웨어들을 서로 연계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계해석 실행환경을 공학해석 및 공학설계 융합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활용 시나리오를 제시하였고, 이를 적절히 적용하면 실제 현장에서의 공학해석 과정에 대한 큰 그림에 대한 이해 속에서 공학도 각자의 해석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importance of software in the engineering field is increasing day by day, so the utiliz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simulation software in the engineering design stage has become the core competence of the engineer. This study presents a new software education method for multiple systems in the field of mechanical engineering using a workflow execution environment as a sub-module of a computational platform (called EDISON platform) that can incorporate in-house software tools-developed by many simulation tool developers. It can execute not only individual software tools such as fluid flow, structure, optimal design, but also conduct connective executions of multiple software tools. Based on this simulation environment, a methodology was proposed that can be applied to convergence types of engineering educations. By properly using this methodology, it is expected that beginning engineers could encourage their specialties understanding the big pictures of the analysis processes.

      • KCI등재

        수학활동에서의 초등 수학영재학생들의 손 조작 능력

        전인호 ( In Ho Je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1

        최근 한국에서 수학교육은 매우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런 변화의 과정 속에서도 수학교육이 줄 곳 추구하는 것은 ‘어떻게 하면 수학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이고, 학생들의 수학적 역량을 효과적으로 개발해 낼 수 있을까’로 요약 할 수 있겠다. 이에 대한 방법론으로서 여러 의견이 있겠지만 그 중에 중요한 한 가지는 수학 수업이 재미있고 다양한 수학활동들을 더욱 많이 포함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수학수업에서는 수학활동이 늘어나고 그중요성이 점점 커질 것임은 자명하므로 더욱 많은 수학활동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수학활동과 관련해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주어진 시간 이내에 수학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손 조작 능력에만 관심을 두고 인천소재 J 초등학교 일반 학급의 성취도가 우수한 학생 9명과 그 학교영재학급 소속 학생 10명 그리고 서울소재 S대학부설 과학영재원 학생 9명들 사이에 유의한 손 조작 능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검사도구로는 전인호(2015)의 논문에서 개발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검사자료는 엑셀 2013으로 계산통계처리나 사안에 따라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 처리하였다. 일반학급 4학년 학생들과 초등학교 영재학급 4학년 학생들 간에는 수학활동의 3가지 범주에서의 손 조작 능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컴퍼스를 사용하는 활동 범주에서는 손 조작 능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일반학급 4학년 학생들과 초등학교 영재학급 4학년 학생들 간에는 손 조작능력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두 그룹이 대학부설영재원 학생들 그룹과는 모두 컴퍼스를 사용하는 활동 범주에서 손 조작 능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 mathematical education in Korea is changing very rapidly. The pursuit of such changes in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How can a better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mathematics, can be effectively developed the mathematical competence of students.” There are many opinions on this as a methodology. But one thing is important is that mathematics lessons is much more fun and should include a variety of math activities. Therefore, I think math activities in the future of mathematics lessons are increasing and their importances will grow increasing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gular class 9 students from Incheon J elementary school and the gifted class 10 students from Incheon J elementary school, and between the gifted class 10 students from Incheon J elementary school and mathematically gifted 9 students from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We used a test paper developed by Jeon In Ho(2015) and test data were processed by t-test or ANOVA according to statistical matters or in Excel 2013. As results, for the three categories in mathematics activities, there is no differences between the regular class group and the gifted class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category to use a compass, there is a difference of hand manipulation abilities. Specifically, there is no differences between the regular class group and the gifted class group but these two groups make differences in hand manipulation ability with the gifted group from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 KCI등재

        초등수학교육에서의 공간능력에 관하여

        전인호 ( Jeon In H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오랜 기간의 연구를 통하여 어린이의 공간능력(spatial ability)이 창의력과 혁신능력에 크게 관여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학생들이 갖추어야하는 미래능력의 하나로 공간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그럼 초등수학교육에서도 공간능력의 신장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필요하면서도 흥미로운 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하여 초등수학교육에서 공간능력과 관련한 쟁점들을 알아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해보았다. 결론적으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알게 된 것은 공간능력과 관련하여 초등수학교육에서의 근본적인 문제는 교육과정에 공간능력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주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며, 이는 우리 초등수학교육과정의 NCTM(1989)의 영향으로 인하여 애초에 공간능력의 개념을 NCTM의 “자기주위의 상황과 그 물체에 대한 직감(intuitive feeling)”으로 정의되는 공간감각(spatial sense)으로 가져오게 됨으로서 생긴 혼란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우리 초등수학교육에서의 공간감각의 개념을 일반적으로 널리 통용되던 공간능력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아직 공간능력의 정의도 학술적으로 연구자들의 합의에 이르지 못한 상태지만 공간능력의 정의를 McGee(1979)의 공간능력의 정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보완한 것으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공간능력은 공간과 관련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총체적인 능력으로 공각시각화와 공간방향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공간시각화는 심상(mental imagery)을 형성하고 변형할 수 있는 능력이며, 공간방향은 심상의 패턴 내의 요소 배치에서 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임의의 방향으로 변화된 시점에서도 심상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이다.”로 공간능력을 정의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김수미(2003)의 공간능력에 관한 첫 번째 제안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답을 주려는 시도의 하나이다. Long-term studies have confirmed that children's spatial ability is highly involved in creativity and innovation ability. This implies that the importance of spatial capability should be emphasized as one of the future capabilities that students must hav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n, it is very necessary and interesting to examine whether the expansion of spatial ability and its importance are emphasized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through prior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problems related to spatial ability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and suggested a solution to them. In conclusion, what we learn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s that the fundamental problem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relation to spatial ability is that the curriculum does not give a clear definition of spatial ability, which is the NCTM (1989) of our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t is believed that this is due to the confusion caused by bringing the concept of spatial ability to the spatial sense defined as the ' intuitive feeling' of NCTM.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it was proposed to use the concept of spatial sense in our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as a generally widely used spatial ability. Though the definition of spatial ability has not yet reached the consensus of researchers academically, it was proposed to complement McGee's (1979) definition of spatial ability by critical analysis. In other words, “Spatial ability is the total ability to perform spatial tasks, and it is composed of spatial visualization and spatial orientation, where spatial visualization is the ability to form and transform mental imagery, and spatial orientation is the ability to determine the relative directions between elements in the arrangement of elements in the pattern of and to visualize when the image is changed in an arbitrary direction.” This may be one of the attempts to give partial answers to Kim Soo-mi's (2003) suggestions on spatial abilities.

      • KCI등재후보

        초등수학활동에서의 손 조작 능력에 관한 소고

        전인호 ( In Ho Je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4

        수학수업에서의 수학활동은 최근에 개정된 수학 교육과정들에서 모두 매우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그 주된 이유는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에 비해서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나 성향이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런 결과로 인하여 학년이 올라 갈수록 점점 수학을 어려워하고 기피하게 된다고 판단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재미있고 실생활과 연관된 유익한 수학활동들을 수업에서 많이 다뤄보려고 하기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수학수업 중에 관련된 수학활동들을 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적이나 환경적 문제보다는 학생들이 활동을 수행하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육체적인 면에 주목하고자한다. 즉, 수학활동에서의 학생들의 인지능력을 배제한 순수한 손 조작 능력을 알아보고자한다. 이를위해 학생들에 대한 손 조작 능력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있는 검사지를 개발하고 이를 인천소재 J 초등학교 3학년 1개 반과 4학년 1개 반에 적용하여 그 손 조작 능력을 조사해서 분석하여 보았다. 그결과 전체적으로 3학년은 약 73%, 4학년은 약 66% 학생들만이 수학활동을 주어진 시간 이내에 끝마칠 수 있는 손 조작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성취도는 학생들의 여러 가지 수학학습활동 및 수학적 태도 등과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단순한 손 조작 능력과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하여 교육 현장에서 원활한 수학활동을 위해서는 약 30% 정도의 학생들은 손 조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note is to evaluate the ability of pure hand manipulation in math-activities. To investigate hand manipul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tudents, we developed a test and apply it to two classes (one class of Grade 3 and one class of Grade 4) in J elementary school of Incheon City. As a result,we could find out that third grade students of approximately 73% and fourth grade students of approximately 66% have the ability of hand manipulation to be able to finish math-activities within a given time. Therefore, properly to finish math-activities, it is required a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hand operation capability of the students of approximately 30%. Also we could find out that, as unlike the fact that mathematical achievement have a close relation with various math-activities and mathematical attitudes of students, it is almost no correlation with hand manipulation ability in math-activities. This study has many limitations. Overall, it is possible to point out the subjectivity of judging the result of the failure of one hand and the ability to manipulate the contents of the test strip and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 results for the recommended time , which is biased sampling are a small number of subjects.Nevertheless, in the situation in the preceding study nonexistent, one expects that this paper would be the cornerstone of future research toward perfection, which overcomes the above mentioned limitations

      • 경골 근위부 종양에서 인공 삽입물 사용시 슬개골 전적출술이 관절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박일형,김재도,인주철,전인호,Park, Il-Hyung,Kim, Jae-Do,Ihn, Joo-Chul,Chun, In-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199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range motion, especially extension deficit between the group of total patellectomy and that of intact patella, after reconstruction of the patellar tendon in the prosthetic replacement of a proximal tibia. Between 1990 and 1994, 15 patients who had a primary malignancy on proximal tibia were operated on. All patients were evaluated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Two patients were excluded because one had a deep infection treated with arthrodesis of the knee and the other was a composite allograft. The mean follow-up of the 13 patients was 27 months(15-47), including 10 osteosarcomas, 1 chondrosarcoma, 1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and 1 malignant giant cell tumor. Eleven patients had a resection of the proximal tibia and 2 had an extracapsular total knee resection with distal femur. Reconstruction of the defect was done in 8 cases with a custom-made Link Endo-Model Total Rotation Knee Joint Prosthesis, and in 5 with How Medica Modular Resection System (HMRS). We used two methods to reconstruct the ligamentum patellae. Fixation of the patellar tendon to the prosthesis only with suturing and/or stapling(group SS) was done in 7. Transposition of gastrocnemius muscle to enhance fixation and to cover the prosthesis(group TG) was done in 6. Regardless of fixation methods, total patellectomy was done in 5 either to lengthen the patellar tendon or to make primary skin closure easier or for both. In 8 cases, patella was left intact or resurfaced with polyethylene prosthesis. Active extension was measured while the patient was in a sitting position. There i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extension deficit (Wilcoxon rank test, p=0.8800) between patellectomy group and intact patella group, and between group of fixation only with suturing and that of gastrocnemius transposition. Two cases of extension deficit over 30 degree were seen in group SS and in the group of intact patella. Conclusively, total patellectomy could be an option without increasing the risk of extension deficit when primary skin closure is difficult or patellar tendon is a little bit short to be fixed. There is no rating in the Enneking system of functional evaluation that this finding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De Moor의 공간추론 개념의 확장과 초등수학교과서의 공간추론 내용의 분석 -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이정민 ( Lee¸ Jungmin ),김봉준 ( Kim¸ Bongjun ),전인호 ( Jeon¸ In H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De Moor의 공간추론에 대한 개념의 확장을 모색하며, 그 관점으로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영역에서 공간추론에 관한 발문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초등수학교육에서 공간추론에 관한 국내 여러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사용된 De Moor의 공간추론 개념을 분석하여 그 내용들을 범주화하고 구조화를 모색하였다. 그 결과 De Moor의 공간추론의 개념은 시각화와 추론으로 구성되는 수학적 사고과정으로 볼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그 개념의 구조를 공간능력과 추론으로 확장하였다. 그리고 공간추론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새롭게 제안하였다: 공간추론은 일상생활이나 학습활동에서 공간능력을 사용하여 추론을 수행하는 수학적 사고과정이다. 이 공간추론의 정의는 공간추론은 수학적 사고 과정이며 인간의 인지능력의 매우 중요한 부분인 공간능력과 수학적 추론(넓은 의미로)으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공간능력은 기존의 알려진 정의(전인호, 2021)에 따라 공간시각화와 공간방향으로, 추론은 일반적으로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안을 하였고, 여기서 공간능력과 추론의 하위 구성요소들의 수준을 조정하면 대상 학년 수준에 적용가능한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를 구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De Moor의 확장된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적 관점으로 초등수학 수준에 적용 가능한 공간추론 분석 기준을 세워 현행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의 발문에서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적 경향성을 양적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적인 면에서 구조의 구성 일부분에 편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공간추론을 구성하는 공간능력과 추론의 일부 하부 요소에서 학년과 단원에 따라 심한 편중성을 보였는데, 특히 공간능력의 경우는 학년별로 혹은 단원별로 일부 하위 구성요소에, 추론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국소)연역적 추론에 편중되었다. 따라서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공간추론 신장을 위하여 학년과 단원에 따라 공간추론 내용을 구조적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선 다양한 공간능력과 추론을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적 방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De Moor’s spatial reasoning was sought, and from that point of view, the contents of spatial reasoning were investigated in the figure area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first part, we analyzed De Moor’s spatial reasoning concept, which was us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everal domestic previous studies on spatial reason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to categorize and structure its contents. As a result, De Moor’s concept of spatial reasoning could be viewed as a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composed of visualization and reasoning, and based on this, the structure of the concept was extended to spatial ability and reasoning. And the definition of spatial reasoning is newly proposed as follows: Spatial reasoning is a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that uses spatial ability in daily life or learning activities to perform reasoning. This definition of spatial reasoning means that spatial reasoning is a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and consists of spatial ability and mathematical reasoning (in a broad sense), which are very important parts of human cognitive ability. Here, spatial ability is proposed to be spatial visualization and spatial orientation based on existing known definitions (Jeon, 2021; McGee, 1979), and reasoning is generally composed of deductive reasoning and inductive reasoning. And it was shown that the structure of spatial reasoning concept applicable to the target grade level can be constructed by adjusting the level of subcomponents of spatial ability and reasoning. In the second part, as a result, in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spatial reasoning concept, there was a tendency to be biased towards a part of the structure. Spatial ability constituting spatial reasoning and some sub-elements of reasoning showed severe bias according to grades and uni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patial ability, some factors were biased by grade level or unit, and in the case of reasoning, overall (local) deductive reasoning was biased. Therefore, the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spatial reasoning contents are not structurally biased according to grades and unit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spatial reasoning. suggested.

      • KCI등재

        근위 상완골 골절 치료 중 경험한 LCP 금속판의 고정 실패

        민우기 ( Woo Kie Min ),신상진 ( Sang Jin Sin ),전인호 ( In Ho Jeon ),차기봉 ( Ki Bong Cha ),오창욱 ( Chang Wuk Oh ),김풍택 ( Poong Taek Kim ),천상호 ( Sang Ho Cheon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근위 상완골 골절에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 후 발생한 치료 실패를 경험하고 그 원인인자에 대해 분석,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0월부터 2005년 7월까지 6명의 환자 6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4.6세(범위: 38~70)였다. 손상의 원인으로는 교통사고가 4예, 실족이 1예, 낙상이 1예였고 Neer 분류상 이분 골절이 4예, 3분 골절과 4분 골절이 각 1예였으며 전예에서 관혈적 정복술 및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6예 중 금속판과 나사못이 철퇴되면서 골절 정복이 소설된 경우가 5예, 금속판 부전이 1예였다. 전예에서 술 전 내측 피질골의 분쇄상 및 골 결손을 보였으며 수술시 골이식 및 대결절에 긴장대 강선은 시행하지 않았다. 술 후 3예에서 해부학적 정복을 얻었으나 3예에서는 골절부의 전위 및 각형성을 보이는 비해부학적 정복을 얻었다. 결론: 근위 상완골 골절의 관혈적 정복술 및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 시 내측 골 지지의 회복 및 해부학적 정복의 실패, 골두의 짧은 나사못 고정, 대결절 골절의 불충분한 고정 등이 위험 인자로 생각되었으며 이러한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서 잠김 압박 금속판의 근위 상완골 골절 고정시 충분한 술 전 준비와 추가적인 고정과 골 이식술 등을 고려해야 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ausative factors in the catastrophic failure of LCP in the proximal humer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Six patients (6 cases)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2003 and July 2005. The mean age was 55.6 years (range: 38~70). The cause of injury was road traffic accident in four, fall down in one and slip down in one. According to the Neer classification, four were 2 part fractures, each one in 3 part fracture and 4 part fracture. Results: Fixation failure occurred due to back-out of the plate and screw in five and plate breakage in one. Analysis of the preoperative radiographs revealed medial cortical defect in all and no bone graft and tension band wiring in the greater tuberosity fragment were carried out. Postoperative radiographs showed the anatomical reduction in three and non-anatomical in three. Conclusion: Non-anatomical reduction, insufficient medial bony buttress, inadequate screw length to the head and the neglect for the greater tuberosity fragment were the contributing factors to the failure of LCP. Knowledge of these factors will enable the surgeon to avoid failure of the LCP. Augmentation fixation and bone graft procedures with careful preoperative planning are necessary for successful fixation of LC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