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남지역 출토 금제 귀걸이의 성분 조성에 따른 유형 분류와 금속 재료 특성

        전익환,강정무,이재성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2 No.1

        In this paper, 23 Silla gold earrings from the sixth and seventhand centuries, excavated from the Yeongnam reg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silver content of the gold plate,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classifications included type I(20-50wt%), type II(10-20wt%) and type Ⅲ (less than 10wt%). In the analysis process, the composition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were identified on the surface of the gold plate. In the case of type Ⅰ and Ⅱ earrings, it was observed that the fine holes were concentrated in a relatively higher part of the gold content. The causes of the difference in the surface composition of the gold plate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1) surface treatment, 2) thermal diffusivi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3) differences in composition of alluvial gold, and 4) the refining method of gold. It is possible that depletion gilding was attempted to increase the gold content while intentionally removing the other metals from the surface of the gold alloy in the portion where the gold deposit is relatively concentrated on the surface of the gold plating. The highest copper content was detected in the earring with the highest gold content of the analyzed earrings, and it was assumed that thermal diffusion had occurred between the gold plate and the metal ro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rather than intentional addition. Copper was detected only in the thin ring earring type, and copper was not detected in the thick ring earring type or pendant type. It also proves that this earring has a high degree of tightness at higher temperatures, as there was an invisible edge finish on other earrings and horizontal wrinkles on the gold plate surface. In terms of the material of the gold plate, we examined whether the silver content of the gold plate was natural gold or added by alloy through analyzing the alluvial gold collected in the reg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 average about 13wt% of silver is included. This suggests that type Ⅱ is natural gold, type Ⅲ is refined gold, and type Ⅰ seems to have been alloyed with natural gold. Here, we investigated the refining method introduced in the ancient literature, both at home and abroad, about the possibility of alloying silver after the refining process of type Ⅲ earrings and then making pure gold. It was found that from ancient refining methods, silver which had been present in the natural gold was removed by reacting and combining with silver chloride or silver sulfide, and long-term efforts and techniques were required to obtain pure gold through this method.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ng a small amount of silver in order to increase strength after making pure gold through a refining process is low. 영남지역에서 출토된 6∼7세기 신라 금제 귀걸이 23점에 대한 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금판에 포함된 은(Ag) 함량을 기준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Ⅰ 유형(20∼50wt%), Ⅱ 유형(10∼20wt%), Ⅲ 유형(10wt% 이하)으로 구분하였는데, Ⅰ·Ⅱ 유형의 귀걸이 금판은 금(Au)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에서 미세한 기공이 집중적으로 분포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금판 표면의 성분 차이 발생 원인을 네 가지로 구분하여 1) 표면 처리, 2) 제작 과정에서 열 확산, 3) 사금의 성분 차이, 4) 금의 정련 방법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금판 표면의 금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에서는 미세한 기공이 집중적으로 관찰되며, 이와 관련하여 금 합금 표면에 의도적으로 금을 제외한 금속 성분을 제거하면서 금 함량을 높이는 고갈 도금(depletion gilding)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의도적인 표면 처리와 더불어 제작 과정에서 금판과 금속 봉 사이에 열 확산이 일어나 금판의 구리 함량이 높아진 사례를 세환이식의 분석 결과로 확인되었다. 금판의 재료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금판에 포함된 은(Ag)이 자연금에 포함된 것인지, 합금에 의해 추가된 것인지를 국내에서 채취된 사금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13wt% 정도의 은이 포함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Ⅱ 유형은 자연금의 범주에 포함되고, Ⅲ 유형은 정련 과정을 거친 금, Ⅰ 유형은 자연금에 은이 합금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서 Ⅲ 유형의 경우 정련 과정을 거쳐 순수한 금을 만든 뒤 은을 합금했을 가능성에 대해 국내외 고대 문헌에 소개된 금 정련 방법을 조사하였다. 고대 정련 방법은 자연금에 포함된 은이 염화물 또는 황화물과 반응하여 결합됨으로써 제거되는 방법이었는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순수한 금을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의 노력과 기술이 요구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정련 과정을 통해 순금을 만든 후에 강도를 높이기 위해 소량의 은을 첨가했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 KCI등재

        도금 유물에서 확인되는 확산 현상에 관한 연구

        전익환,이재성,박장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0 보존과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삼국, 고려, 조선시대의 금동유물 각 한 점과 제작시기를 알 수 없는 금동유물 한 점 그리고 고려의 금은유물 한 점을 선택하여 도금층과 바탕금속 간에 일어나는 금속원소의 확산현상을 살펴보았다 . 그 결과 대부분의 유물에서 확산에 관한 직간접적인 증거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조선시대의 금동장식에 대한 분석결과로부터는 이러한 확산현상이 도금공정에 의도적으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확산이 일어난 금동유물의 도금층에서는 표면에서 내부로 갈수록 점차 금함량이 감소하면서 구리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이로 말미암아 도금층과 바탕금속 간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점진적 조성변화는 열에 의한 확산에 기인하는 것으로, 도금층 전체에 산소함량이 매우 낮은 점으로 보아 이것이 매장도중 부식에 의하여 초래되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확산정도에 따라 금동유물의 표면색조에는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확산에 의한 색조변화는 표면의 미소형태나 화학조성 면에서 부식에 의한 것과 분명하게 구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금은유물에서는 금은의 확산과 더불어 도금층의 수은도 바탕금속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한반도 출토 청동거울의 표면처리 기법에 관한 연구

        전익환,박장식,이재성,백지혜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8 보존과학회지 Vol.22 No.-

        본 연구는 한반도에서 출토된 총 24점의 청동거울을 대상으로 합금의 화학조성과 경면처리법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에너지분산형분석기로 분석한 내용이다. 고려 고분군에서 출토된 2점의 유물을 제외하면 이들에 관 련된 출토지나 제작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청동거울의 경면처리법으로는 주석함량이 높을 경우 합금자체가 은백색 을 띠는 점을 이용하여 연마만으로 마무리하는 방법과, 주석과 수은을 이용하는 주석칠도금법이나 주석아말감도금법, 그리고 수은도금으로 피막처리를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일부 거울에서는 경면뿐 아니라 문양면에도 피막처리가 수행된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일부에서는 경면과 문양면에 서로 다른 처리가 적용된 예가 관찰되었다. 적용된 피막처 리법을 추정함에 중요한 단서가 되는 수은의 존재는 거울의 표면에서는 물론 단면에서도 황화물 형태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도금층이 결실된 경우에도 표면처리 여부는 물론 그에 적용된 방법에 관한 추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앞으로 청 동거울의 경면처리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될 경우 기술의 시대별 또는 지역별 특성이 밝혀지게 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 로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청동거울의 제작시기나 제작지에 대한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Microstructure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24 bronze mirrors recovered from the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quipped with the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in an effort to characterize the treatments applied on their surface. Their provenance and chronology are mostly unspecified except for two objects from a Koryo burial site. In antiquity the surface of bronze mirrors was frequently finished by mere polishing when their tin content was high enough to guarantee the required reflectivity. In many cases, however, their surface was given a special treatment. The most typical treatment was to coat the surface with tin in two different processes referred to as wipe-tinning and amalgam-tinning. In wipe-tinning only tin was used, but in amalgamtinning tin and mercury were used together. The surface was often coated with mercury in a process known as mercury- polishing. The present mirrors showed that all these techniques were in fact practiced, not only on the reflective surface but, in some cases, on the decorative surface. The detection of mercury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assessment of a specific technique applied in each mirror. Mercury often remained in the substrate in the form of sulfide and thereby allowed the method of surface treatment to be estimated even when the coated layer was completely lost. The future study is expected to uncover the regional and temporal variation of the surface treatments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bronze mirrors with respect to provenance and chronology.

      • KCI등재

        고려 말 청동용기에 적용된 제작기술의 다양성 연구 : 고양 더부골 고분군 출토 청동용기를 중심으로

        전익환,이재성,박장식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6 No.1

        본고에서는 더부골 고분군 출토 청동용기 27점에 대한 미세조직과 성분분석을 통해 고려 말 민간에 서 사용된 청동용기의 제작방법과 기술체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 청동용기는 합금조성과 제작공정을 고려하여 네 가지 형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1) 구리-주석(22% 정도) 합금을 이용한 주조 → 고온단조 → 담금질, 2) 구리-주석(10% 이하)-납 합금을 이용한 주조 → 서냉, 3) 구리-주석(10~20%)- 납 합금을 이용한 주조 → 담금질, 4) 구리-주석(10~20%)-납 합금을 이용한 주조 → 고온단조 → 담금질 이 있다. 청동용기의 제작방법과 기술체계의 연구에 있어서 합금조성과 제작공정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이 본고에서 확인되었다. 합금조성에 있어서 납의 첨가는 담금질 처리온도, 불순개재물의 차이, 청동 용기의 표면색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담금질 처리는 납을 첨가한 경우 586~520℃에서 실 시되었고, 납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799~586℃에서 수행되었다. 미세조직 내에 존재하는 불순개재물 에서도 합금재료로서 납의 첨가 유무에 따라 셀레늄의 존재 유무가 나타났는데 이는 구리-주석(22% 정 도) 합금의 경우 구리제련과정에서 이미 납이 포함되지 않은 구리광석을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청동용기가 매장환경하에서 부식될 때 합금재료로서 납의 첨가 여부로 인해 표면색 차이가 나타나 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합금 조성에 따른 표면 색상분석에서 납이 첨가되면 청동용기의 표면색이 연녹 색 또는 암녹색을 띠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암갈색 또는 검은색을 띠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작공정에 있어서는 담금질 처리 유무에 따라 청동용기의 두께 차이가 나타났는데 주조 후 서냉시 켜 만든 용기의 두께는 1mm 이상이었지만 담금질 과정이 포함된 용기의 두께는 대부분 1mm 이하였 다. 제작공정은 사회적 분위기도 반영하는데, 고려 말 동과 숙련된 장인이 부족했지만 청동용기의 수요 가 증가하면서 비싼 주석 대신 납을 사용하고, 고온에서 형태 가공을 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고려시대 장인들이 여러 가지 합금비율에 따른 다양한 제작기법을 사용한 기술혁신 으로 부족한 원료상황을 극복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근 들어 많은 양의 청동용기들이 발굴·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적절한 분석방법을 통해 관련 기술 특성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술체계가 확립될 수밖에 없었던 사회적 배경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Twenty-seven bronze bowls excavated from the Goryo burial complex at Deobu-gol were examined for their microstructure and chemical composition to characterize the bronze technology practiced by commoners at the time. Results showed that the objects examined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1) objects forged out of Cu-near 22%Sn alloys and then quenched; 2) objects cast from Cu-below 10% Sn alloys containing lead; 3) objects cast from Cu- 10%~20% Sn alloys containing lead and then quenched; 4) objects forged out of Cu-10~20% Sn alloys containing lead and then quenche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abrication technique as determined by alloy compositions plays an important role in bronze technology. The use of lead was clearly associated with the selection of quenching temperatures, the character of inclusions and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bronze surfaces. It was found that the objects containing lead were quenched at temperatures of 520°~586°C while those without lead were quenched at the range of 586°~799°C. The presence of selenium in impurity inclusions was detected only in alloys containing lead, suggesting that the raw materials, Cu and Sn, used in making the lead-free alloys for the first group were carefully selected from those smelted using ores without lead contamination. Furthermore, the addition of lead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of bronze alloys when they are subjected to corrosion during interment. In leaded alloys, corrosion turns the surface light green or dark green while in unleaded alloys, corrosion turns the surface dark brown or black. It was found that in fabrication, the wall thickness of the bronze bowls vari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quenching; most of the quenched objects have walls 1mm thick or below while those without quenching have walls 1mm thick or above. Fabrication techniques in bronze making usually reflect social environments of a community. It is likely that in the late Goryo period, experiencing lack of skilled bronze workers, the increased demand for bronze was met in two ways; by the use of chief lead instead of expensive tin and by the use of casting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Goryo bronze workers tried to overcome such a resource-limited environment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s as apparent in the use of varying fabrication techniques for different alloys. Recently, numerous bronze objects are excavated and available for investigation. This study shows that with the use of proper analytical techniques they can serve as a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associated technology as well as the social environment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such technology.

      • 용인 동백동 백현유적 분묘 출토 청동유물의 제작기술 고찰

        이재성, 전익환 공주대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12 문화재과학기술 Vol.12 No.1/2

        용인 동백동 백현유적 분묘에서는 고려에서 조선 초에 해당하는 청동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시기는 기술사 적으로 고대와 현대를 잇는 매우 중요한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타 시대에 비하여 자연과학적 방법론에 입각 한 고고학적 연구의 대상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분묘(토광묘)에서 출토된 청동유물의 미세조직 분석을 통해 고려와 조선 초에 사용되던 청동기 제작기술 체계의 일단을 밝히고, 이에 따른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 을 제기하였다. 그 결과 청동유물에서는 제작방법상 다른 종류인 주조와 단조 기술이 모두 확인되었다. 단조에 의한 청동기는 주석함량 22% 내외의 구리합금을 기본소재로 사용하였으며, 열간가공에 의한 형태제작 이후에는 담금질 하였다. 한편 주조에 의한 청동기는 구리와 주석 외에 납을 첨가하여 제작하였으며, 주조 후에는 두드림·담금질 등 추가의 열처리를 적용하지 않았다. 주조 청동기에는 납이 포함된 반면 단조 청동기에는 납이 미포함되었다는 사실은 가공·열처리 등 추가의 제작공정을 염두에 두고 합금의 설계와 제작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분석된 모든 청동유 물의 미세조직 내에 황화물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제련용 구리광석으로 휘동광, 황동광 등 황이 포함된 광석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경주 황남동 출토 철부의 보존처리 및 과학적분석

        문선영,전익환,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2003 박물관보존과학 Vol.4 No.-

        경주 황남동의 통일신라시대 생활유적에서 출토된 철솥을 유리공방에서 사용된 도가니로 추정하고 있어, 이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철솥의 용도를 밝혀보기로 하였다. 우선 보존처리를 실시해 철솥의 원형을 찾아주고, 철솥 표면에 발생한 부식물 5점에 대해 SEM-EDS 분석 및 XRD 분석을 수행하였다. 철솥의 외형에 있어 도가니로 추정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했던 주구부분의 편이 보존처리 과정에서 발견되어 구연부는 완전한 상태로 복원되었다. 금속시편의 조직을 관찰한 결과 열처리없이 서서히 냉각시킨 주조철제로 밝혀졌다. 부식물의 성분원소는 R과 O를 주성분으로 한 P, Si, Ca, S 등으로서, 주요 구성 화합물은 quartz, vivianite, goethite, akaganeite, lepidocrocite, hematite 등이었다. 이와 같은 구성 성분들은 유리의 제조원료로서 이들이 철솥 외부표면의 부식물층에서 용융상태가 아닌 원료로 확인되었다는 것은 철솥이 출토된 유적이 유리제조와 관련된 공방지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증거가 될 수는 있으나, 철솥이 유리 용융 도가니로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될 수는 없다. 또한 철솥 출토 당시 우물지 안에 퇴적되어 있던 유기물 부식토와 사질점토 등을 고려해 보면 이들이 철솥의 부식물 형성인자로 작용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철솥은 전형적인 주조철제로 도가니로 사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As the kettle excavated from a site in Hwangnam-dong, Gyeongju was presumed to have been used as a melting crucible in a glass production workplace, we decided to prove its usage by scientific analysis. First, we performed conservation treatment to find the original status of the kettle, and then SEM-EDS and XRD analysis of the five corrosions created on the surface of the kettle. The fragment of the spout, which played a crucial role for the kettle to be considered as a melting crucible, was discovered during the conservation treatment. So the mouth rim of the kettle was restored to perfection. When we observed the microstructure of the metal sample, it was proved to be cast iron gradually cooled without heat treatment. In the corrosion products, the main components were Fe and O and other components such as P, Si, Ca, and S were found. The main compounds were quartz, vivianite, goetheite, akaganite, lepidocrocite, hematite, etc. Although these components were used as raw materials for making glass, these were found not in the melting status but mere raw materials. This can be an evidence to show these site where the kettle was excavated had been a glass production workplace. However, it is not sure that the kettle was used as a melting crucible. Moreover, if we consider the organic mold and sand clay accumulated in the well site when the kettle was excavated at first, we can see this as a formative factor of the corrosions of the kettl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kettle is a typical cast iron and was not used as a melting crucible of glass.

      • KCI등재

        전통기술로 제작된 방짜유기의 열간 단조 과정별 미세조직 변화

        이재성,전익환,박장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8 보존과학회지 Vol.34 No.6

        Currently, the fabrication of a high-tin bronze spoon by traditional manufacturing techniques involves 10 steps in the bronze ware workshop. Hot forging has a major influence on manufacturing and involves two to three steps. The dendritic α-phase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high-tin bronze spoon is refined and finely dispersed through hot forging. In addition, twinning is observed in the α-phase of the hammered part, and the α-phase microstructure gradually transform from a polygon to a circular shape due to hammering. In this process, the adjacent α-phases overlap with each other and remain combined after quenching. The microstructure with the overlapping is also observed in bronze artifacts, and this shows the correlation with technical syste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hot forging of Cu-22%Sn alloys show that the decrease in in the amount of the dendritic microstructure, which forms during casting, i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processing steps and that the refined grain obtained by hammering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i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From the hammering marks, which are observed on both the bronze artifact excavated from archaeological sites and on the high-tin bronze spoon produced in the traditional workshop, it is presumed that the knowledge regarding the unrecorded manufacturing system of bronze ware in ancient times has been passed down in a traditional way up to the system used currently. 현재 유기공방에서는 전통기술로 하나의 방짜유기 숟가락을 만들기 위해 10단계의 작업 공정을 거쳤으며, 형태 제작에 큰 영향을 주는 열간 단조는 3~4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열간 단조를 통해 방짜유기 숟가락의 미세조직은 수지형상의 α상이 미세화되고 잘게 분산되었으며, 두드림이 가해진 부분의 α상에는 쌍정이 생성되었다. 또한 α상은 가해지는 망치질에 따라 점점 다각형에서 원형으로 변형되었다. 이 과정에서 서로 근접한 α상은 합쳐지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담금질 후에도 합쳐진 상태로 존재하였다. 이처럼 여러 개의 α상이 합쳐진 미세조직은 방짜조성의 청동유물에서도 관찰되는 것으로 기술체계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방짜조성의 Cu-22%Sn 합금을 대상으로 실시한 열간 단조 실험결과, 주조 당시 형성된 수지상의 감소율은 가공횟수에 따라 비례했으며, 두드림 작업에 의한 결정립의 미세화는 재질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를 준 것으로 판단된다. 고대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유물과 전통 유기공방에서 만든 방짜유기에서 동일하게 관찰되는 메자국은 문헌으로 남아 있지 않은 고대의 방짜유기 기술체계가 오늘날의 방짜유기 전통기술로 전승되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담금질 조건에 따른 방짜유기의 미세조직 변화 연구

        이재성,전익환,박장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1 보존과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청동유물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미세조직의 출현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현재 전통방식으로 방짜유기를 제작하는 한국민속촌 유기공방에서 실행되고 있는 제작방법과 담금질 조건을 조사하였으며, 여기에서 제작된 방짜유기의 미세조직과 조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공방에서와 유사한 조건으로 재현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자료로 사용하였다. 전통 유기공방에서 수행하는 담금질 조건을 자세히 기술함과 동시에 작업 조건에서 나타나는 변동성을 미세조직의 관찰 결과와 함께 제시하였다. 유기공방의 화덕 온도는 750~850℃로 측정되었으며 다음 단계의 작업을 위하여 화덕에서 막 꺼낸 청동소재의 표면온도는 대략 600~685℃로 측정되었다. 이 같은 큰 폭의 온도 편차는 담금질 과정을 거쳐 생산된 방짜유기에 다양한 미세조직을 초래하였다. 특히 외부기온에 따른 온도편차가 큰 겨울과 비교적 영향이 적은 봄에 각각 제작된 방짜유기의 미세조직을 분석한 결과 α상을 중심으로 그 배경에서 마르텐사이트(β)상, γ상, α+δ 공석조직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다양한 조직이 관찰되었다. 특히 실험실에서 재현한 시험편에서도 짧은 시간동안 가열할 경우 α+γ상 또는 α+(β)+γ상 등 다양한 미세조직이 형성되었다. 이처럼 미세조직에서 관찰되는 다양성은 유물에서도 확인되는 것으로 실제 유기공방에서 담금질시 적용하는 열처리 조건이 온도측정으로부터 예측되는 작업조건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Thermal conditions in practice at the traditional bronze workshop of the Korean Folk Village in Yongin were examined along with the microstructures of some high tin bronze objects made there. Laboratory experiments approximating the conditions of the workshop were also carried out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workshop furnace was measured to range from 750°C to 850°C while the surface temperature of an object, upon its removal from the furnace for additional thermo-mechanical treatments, was generally in the range of 600°C to 685°C. This variation in working temperatures was reflected in varying microstructures developed upon quenching. The products of the Folk Village were found to consist of microstructures where the α grains of the Cu-Sn system were distributed in the background of different phases including the β -martensite phase, retained γ phase, α+δ eutectoid or their mixtures. This variability, which is also identified in objects made in ancient times as well as in our laboratory experiments, suggests that the actual thermal conditions given during the quenching treatments are much more complicated than is inferred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s. This paper will present detailed accounts of the thermo- mechanical treatments as observed in the high tin bronze workshop of the Korean Folk Village and discuss the evolution of varying microstructures in terms of the substantial variability involv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traditional forged high tin bronze technology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