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베카 호른의 작업에 나타난 여성신체의 재현 : ‘여성적 글쓰기’를 통한 접근

        전유신(Jeon Yusin) 서양미술사학회 201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present the works of Rebecca Horn(1944- ) as both post-modernism art and feminist art. She not only practiced various art genres such as body-sculptures, performances, kinetic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but also tried to expand the field of art by introducing the elements like a movie, literature and alchemy. In this aspect, her works are post-modernism art. However, in spite of using various genres and materials, her works represent the woman’s body in common and communicate the other’s narrative. This is why her works are considered as feminist art. ‘Ecriture feminine’ is introduced as a methodology to support my opinion that Horn’s works represent the female body. In ecriture feminine, otherness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of female emancipation and as new possibility for women. If ecriture feminine is a try to form new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Horn’s works representing the female desire of form an intimacy with others are the visual text of ecriture feminine. In her installation works after the mid 1980s, a feminine space is important because it comprises the others’ narratives. In her works, a space is the interior of the female body, where one can hear both the other woman and the historical other’s narratives. The concept of the other is the theme with that post-modernism and feminism deal in common. Horn’s works are post-modernism art in that they expand the field of art and communicate the other’s narrative. On the other hand, they are feminist art in that they represent the other woman by transforming the elements considered as a male field into feminine words. One can find this thesis unique and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on Horn in that it attempts to analyze Horn’s works from a new approach that her works are post-modernism art and feminist art. And through ecriture feminine, to assert that Horn’s works are interrelated is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thesis.

      • KCI등재

        1950년대의 파리 진출 작가들과 한국현대미술의 국제화

        전유신(Yusin Jeon) 현대미술사학회 2016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9

        본 논문은 1950년대 프랑스로 건너간 한국 예술인들이 파리에서 어떠한 미술의 양식들에 관심을 기울였고, 파리 미술계와 교류 관계를 형성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1950년대 파리 화단에 진출한 국내의 예술인들은 일제강점기 일본을 통하여 수입되었던 프랑스 미술에 대하여 동경을 가졌던 세대이다. 따라서 파리로의 진출은 이들에게 일본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경험하였던 서구미술에 대한 오역의 한계를 깨닫는 기회가 되었고, 이로부터 탈피해서 각자의 새로운 화풍을 모색하는 출발점이 되었다. 특히 이들이 파리에서 주목했던 미술의 경향은 입체주의와 바젠느 그룹의 미술이었다. 그러나 정작 프랑스로 건너갔던 예술가들이 귀국하였을 때 한국 화단에는 이들이 프랑스로 건너가기 이전과는 달리 앵포르멜 세대가 주축을 이루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입체주의나 바젠느 그룹과 같이 당시 한국 화단의 경향에 비추어 보아 복고적인 경향의 미술을 수용하고 귀국한 이들이 양식적인 측면에서 한국 화단에서 주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란 쉽지 않았다. 그러므로 1950년대의 파리에 진출한 한국 예술가들에 관한 본 연구는 한국현대미술의 형성 및 국제화 과정에서 프랑스 현대미술계와 한국 미술계의 인적 교류가 얼마나 복합적이고 미묘한 결과를 나았는지에 대하여 되짚어 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Korean artists moved to Paris in the 1950s are the representative cases to show the process that Korean modern art was internationalized by accepting Western art style directly going beyond the Japanese art. Korean Modernists were attracted to Parisian art movements and art groups such as Cubism and Bazaine group. At the same time, they began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the Western art introduced through Japan to Korea and exert their efforts to avoid them. Most of them came back to Korea around the year of 1960 and took the leading roles in the dissemin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modern art. From the early 1960s, Korea began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of Biennale de Paris to step up the efforts of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modern art.

      • KCI등재

        박서보의 1960년대 작업 연구

        전유신(Yusin Jeon) 현대미술사학회 2017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2

        본 논문은 박서보가 1961년에 1년 가까이 프랑스에 체류하면서 앵포르멜 미술뿐 아니라 누보 레알리즘과 같은 앵포르멜 이후의 미술을 접하게 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이 시기의 경험이 그의 1960년대의 작업 전반에 반영되었음을 논의한다. 본 논문에서 특히 주목하였던 것은 박서보가 프랑스에서 앵포르멜 미술보다 누보 레알리즘과 이브 클랭의 작업에 경도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클랭의 영향은 박서보의 귀국 직후의 작업인 〈원형질〉 연작은 물론이고 1960년대 말에 제작된 〈허상〉과 〈유전질〉연작에까지 지속적으로 반영되었다. 그러나 박서보는 귀국 직후부터 프 랑스 미술계를 비판적으로 언급하면서 자신이 그곳에 체류하는 동안 프랑스 현대미술의 영향을 거의 수용하지 않았음을 강조하였다. 특히 그는 〈원형질〉 연작과 관련해서는 이 작업과 누보 레알리즘 혹은 클랭의 관계를 강조하는 대신, 이를 앵포르멜 미술로 소개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박서보가 귀국 후의 작업에 있어 프랑스 체류 시기의 영향을 강조하지 않았던 배경을 당대의 국내외 미술계의 정황과 연계해 분석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박서보의 1960년대의 작업은 그의 프랑스 체류 시기의 경험과 당대 프랑스 미술계와의 관계라는 보다 국제적인 맥락에서 재조명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미술사적으로 재평가되어야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through which Park Seo-bo came into contact with not only Art Informel but also post-Informel genres such as Nouveau Réalisme during his almost one year in Paris in 1961 and argues that Park’s experiences during this time are reflected throughout his artworks of the 1960s. In addi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while in France, Park Seo-bo was far more inclined toward Nouveau Réalisme and the works of Yves Klein than Art Informel. Klein’s influence, in particular, is reflected consistently in the artworks Park created after returning to Korea, as can be seen not only in his Primordialis series, which he created immediately after returning to his home country, but also the Illusion series and Hereditarius series, both of which he produced in the late 1960s. However, immediately following his return to Korea, Park Seo-bo made critical statements about the French art world and emphasized that he had only been minimally influenced by the post-war French art with which he came into contact while living in Paris. Regarding his Primordialis series, instead of revealing its connection to Nouveau Réalisme and Yves Klein, Park introduced it to Korean audiences as an example of Art Informel. This paper seeks the reason for Park’s denial of French influence in his art after returning to Korea in the circumstances of the Korean and international art world at the time. By analyzing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argues that Park Seo-bo’s artworks of the 1960s must be re-analyzed in a broader international context that includes Park’s experiences in Paris and his relationship with the French art world and ultimately reevaluated in terms of their place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