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중국어 관습적 연어 연구 : 명사를 중심으로

        전유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현대 중국어 관습적 연어 연구 - 명사를 중심으로 전유미 중어중문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이 논문은 말뭉치를 바탕으로 현대 중국어의 관습적 연어 구성을 명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단어와 단어의 결합이 비교적 자유로운 연어 구성보다 전형적이고 제약적인 연어 구성을 분석하여 한국인 학습자들이 중국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도록 명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관습적 연어 구성을 밝혔다. 『現代漢語實詞搭配詞典』에 수록된 명사를 중심으로 분석하되, 다품사 기능을 하는 兼類詞는 제외하였다. 관습적 연어 연구는 원어민 화자의 직관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존재론적 측면에서 명사를 의미 분류하고 관습적 연어 구성에 합당한 사태성 명사를 추출하였다. 사태성 명사를 新HSK 어휘표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제약적 연어는 사태성 명사와 결합하는 연어구성이다. 추출된 사태성 명사를 기반으로 중국어 말뭉치 語料庫在線(www.cncorpus.org)에서 용례를 추출하여 사태성 명사의 제약적인 연어를 동사의 출현빈도를 통해서 분류 작업하였다. 정리된 용례는 述賓關系, 定中關系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말뭉치에서 추출한 동사와『現代漢語實詞搭配詞典』의 단어 결합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동사를 정리하고 말뭉치에서 동사의 출현빈도를 상위 3개의 동사와 비교하였다.『現代漢語實詞搭配詞典』의 단어결합은 명사가 어떤 동사와 자주 결합하는지를 판단하기가 어렵지만 사태성 명사와 동사의 단어결합을 말뭉치의 동사 출현빈도와 비교하여 정리함으로써 자주 결합하는 동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현대 중국어 관습적 연어 구성을 통해서 자연스러운 중국어 사용능력을 갖추는데 학습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제1장 서론에서 제5장 결론까지 모두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논문의 목적 및 연구 대상에 대한 방법과 범위에 대해 언급하였고, 연어에 대한 기존 연구를 국내와 중국학계의 이론 연구와 말뭉치 연구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본 논문의 문제제기와 연구 의도를 밝혔다. 제2장은 연어의 개념과 일반적인 특성 및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어는 크게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로 구분된다. 먼저 기존 연어 연구의 개념을 정리하고 본 논문의 연어 범위에 속하는 어휘적 연어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어휘적 연어의 특성과 유형을 밝히고 어휘적 연어의 하위 개념인 전제적 연어와 관습적 연어의 개념과 유형을 설명하여 이론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제3장은 관습적 연어 구성의 대상을 추출하기 위해서 존재론적 측면에서 의미 영역으로 명사를 존재론적 의미와 문법론적 의미로 재분류하였다. 각각 실체 명사류와 양식 명사류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중국어 관습적 연어 구성의 분석 대상인 명사를 실체성 명사, 사태성 명사, 관계성 명사로 분류하였다.『現代漢語實詞搭配詞典』에 수록된 명사 1265개를 분석하여 명사를 존재론적 측면에서 분류하였다. 관습적 연어가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원어민 화자의 심층구조를 파악하는 것으로, 명사를 존재론적 측면에서 의미 분류를 하여 그 심층 구조에 접근하였다. 제4장은 제3장의 분석을 토대로 제약적 연어를 보이는 명사, 즉 사태성 명사 121개를 중심으로 중국어 말뭉치 語料庫在線에서 용례를 추출하여 사태성 명사가 요구하는 동사를 정리하는 것이다. ‘동사 + 사태성 명사’는 述賓關系와 定中關系로 관습적 연어의 특징을 밝히고『現代漢語實詞搭配詞典』의 단어결합과 말뭉치를 통해 추출된 단어결합을 비교하여 표로 분석 정리하였다. 제5장은 결론부분으로서 본 논문의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현대 중국어 관습적 연어에 대한 논의의 결론을 내렸다. 중심어: 관습적 연어, 사태성 명사, 존재론적 의미 분류, 말뭉치 ABSTRACT Study on the Chinese Habitual Collocations - focusing on nouns JEON, YU-MI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 Literatur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is paper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Chinese habitual collocations by analyzing it centered around Chinese nouns based on the corpus. This paper thus attempted to analyze the typical and restrictive collocations, rather than the collocation where words and words are relatively free in their combination. In line with this, this paper revealed the habitual collocations through an analysis on Chinese nouns, so that Korean learners can speak Chinese naturally. In other words, it tried to analyze the nouns listed in Modern Chinese Collocation dictionary(現代漢語實詞搭配詞典), but did not deal with the combination words functioning as a multi-part of speech in Chinese. The study of the habitual collocation is intended to illuminate native speakers’ intuitions. To that end, the nouns were semantically classified in ontological aspects and their nouns of events according to the habitual collocations were extracted. Then, the nouns of event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New HSK (新HSK) Basic Words of Chinese. Restricted collocation refers to the collocation configuration featuring the combination of the nouns of events. In this study, the restricted collocation of the nouns of events was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nouns by extracting the usages of these nouns of events from Chinese Corpus(www.cncorpus.org), based on the extracted situational nouns. The sorted usages were divided into a verb-object relation(述賓關系) and into a modifier-head relation(定中關系). In addition, the verbs, which commonly appear in the corpus as well as in the combination of words in Modern Chinese Collocation, were arranged in order. Subsequently, in the corpus.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verbs was compared with the top three verbs. For the combination of words in Modern Chinese Collocation dictionary,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at verbs the nouns are combined with. But in terms of the nouns of events and the verbs, it will be possible to confirm the verbs to be combined frequently by comparing and arranging the combination of words based on the occurrence of the verbs in the corpus.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foundation in order for Korean learners to be quipped with a natural ability to use Chinese though the customary collocation configuration of modern Chinese. This paper consists of a total of five chapters from the Introduction to the Conclusions.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 dealing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methods and scopes of the subject matters. This chapter thus reviewed the existing studies on the colloc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ies in Domestic and Chinese academics, and revealed the intention of this study along with raising the issues. Chapter 2 investigated the concept of collocation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he collection. Collocation is largely divided into lexical collocation and grammatical collocation. Foremost, the concept of the existing collocation study was organized and the concept of the lexical collocation involved in the collocation scope of this study was also summarized. This chapter presented a theoretical foundation by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he lexical collocation and those of the presuppositional collocation and habitual collocation as a sub-concept of the lexical collocation. Chapter 3 reclassified the nouns as an ontological meaning and a grammatical meaning in terms of an ontology-based semantic domain to extract the objects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habitual collocation. These nouns were classified into an substantive noun, noun of event, and a relative noun. Subsequently, 1265 nouns listed in Modern Chinese Collocation dictionary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 ontological aspects. With regard to the habitual collocation, nouns were semantically classified to approach the deep structure of the habitual collocation in ontological aspects. This may help foreign students identify the deep structure of native speakers. Chapter 4 attempted to extract the usages from Chinese Corpus centered around the nouns subject to restricted collocation, the 121 nouns of events. Then, the verbs required from the nouns of events were organized. For ‘verb + noun of events,’ this chapter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ual collocation through the verb-object relation and the modifier-head relation, and presented a table to compare and organize the combination of words and that of the words extracted from the corpus. Chapter 5 concluded this study by summarizing the whole content of the study and making conclusions on the discussion on the habitual collocation of modern Chinese. Key words: habitual collocation, nouns of events, ontology-based semantic classification, corpus 中文抄錄 现代汉语常规性搭配研究 - 以名词为中心 全釉美 中語中文學科 崇實大學敎 大學院 本论文以语料库为基础,研究了现代汉语名词的常规性搭配构成特征。词与词之间的自由结合相比,重点分析典型及制约性搭配构成,为学习汉语的韩国人提供自然的词语搭配构成方法。 本文以《现代汉语实词搭配词典》中收录的名词为中心进行了分析,其中排除具有多类词性的兼类词词语。常规性搭配研究主要阐述了源语言者的直观性搭配用法。为此,从存在理论方面,首先为名词词义分类,其后为常规性搭配构成选出恰当的事件名词。事件名词以新HSK词汇表为基准分类。制约的搭配是与事件名词相结合的搭配构成。以抽取出的事件名词为基准,从汉语语料库(www.cncorpus.org)中提取出实例,在事件名词的制约的搭配中,将作为动词出现的频率,进行实例划分,分别划分为述宾关系和定中关系。还将在词组选出的动词和《现代汉语实词搭配词典》中的词语相结合整理出相同动词后与在词组上出现频率排在前三位的动词做了比较。虽然较难判断《现代汉语实词搭配词典》单词结合中的名词与哪类动词经常结合,但是可以从事件名词和动词的单词结合与语料库的动词出现频率相比较整理,就可确认结合频率较高的动词。本论文通过现代汉语常规性搭配构成为学习汉语的韩国人提供具备更自然的使用汉语能力的基础。 本文从第一章绪论部分到第五章结论部分,总共分五个章节。 第一章,绪论部分,论述了本文的研究目的、研究对象及研究方法。对词语搭配的基本研究,是以韩国国内和中国学界的理论研究和语料库研究为基础,进行观察分析的,主要阐述了本论文的研究目的和研究意义。 第二章,阐述了词语搭配的概念、一般性特征、及其类型分类。词语搭配分为两大类,词汇搭配和语法搭配。首先,整理出基本词语搭配研究的概念及本文搭配范围内所属的词汇搭配的概念。阐述了词汇搭配的特征和类型,词汇搭配概念的前提性搭配和常规性搭配的概念及类型,制定出了基本的理论框架。 第三章,为了研究出常规性搭配的构成规律,从存在论角度对名词存在的意义和语法意义进行了再分类。将现代汉语常规性搭配方法进行分析,得出了名词分为实体名词,事件名词,关系性名词。分析得出了《现代汉语实词搭配词典》中收录的1265个名词,归属于存在论的理论范畴。常规性搭配是让学习汉语的外国人掌握源语说话人的语言深层构造,从名词存在论角度对名词进行意义划分,进一步了解汉语的深层结构。 第四章,是以第三章为基础,将整理出的制约性搭配名词,即121个事件性名词为例,在中国语料库中提取出实际用例,整理出了事件名词所需的动词。分析得出了动词+事件名词属于述宾关系和定中关系的常规性搭配特征,将《现代汉语实词搭配词典》中词与词之间的结合与语料库中得出的词语搭配进行比较,以表格的方式做出了分析整理。 第五章,为本论文结论部分,简要概括整体内容后,总结了现代汉语常规性搭配。 关键词:常规性搭配,事件名词,存在论意义分类,语料库

      • 중학교 3학년 수학 수준별 오류에 대한 연구

        전유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오류의 수준별 차이를 알아보고 그 유형을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수학의 오류에 대한 수준별 실태는 어떠한가? 2. 중학교 수학에서의 오류에서 나타난 오류의 유형은 수준별로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중학교의 중학교 3학년 수준별이동수업을 하고 있는 세 개 반을 대상으로 수, 증명에서의 논리, 대수, 집합, 기하, 확률에 대한 개념을 알아볼 수 있는 문제로 검사지를 만들어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학생들의 수준별(상·중·하반) 수, 증명에서의 논리, 대수, 집합, 기하, 확률에 대한 개념에 대한 오답률은 하반의 학생들이 전체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유형에서는 상반 학생들은 비교적 한 가지나 두세 가지로 체계화된 오류유형이 보인 반면 중반에서 하반으로 갈수록 그 유형은 다양해졌다. 성적이 낮을수록 증가한 오류 유형으로는 유리수, 무리수의 개념보다는 ‘유’와 ‘무’라는 글자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과 0을 자연수라고 생각한 오류, 음수에서 무한소수를 제외시키고 공집합을 집합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 동전의 앞면이 계속 나왔을 때 앞면이 나올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막연히 생각하는 것 등이었다. 반면 수준에 관계없이 골고루 나온 오류 유형으로는 π를 양수로 생각하지 않는 것과 0을 양수에 포함시키는 것, 무한소수와 무리수의 개념과 그 사례들을 찾는 것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는 것, 두 정수의 비로 나타낼 수 있는 수가 유리수라는 유리수의 개념을 제대로 알지 못한 것 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level-based difference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errors of mathematics, and analyze their error pattern.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level-based state on the error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2. How is the level-based pattern on the error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on three classes being in level-based clas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in Seoul through test sheets made from questions, which can inquire into number, the concept of logic in proof, algebra, set, geometry and probability.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gotten through this study. For the wrong answer rate on the concept of logic in proof, algebra, set, geometry and probability in level-based(top level, middle level, low level) number and proof of students, in general, students in low level were the highest. For the patterns, students in top level have showed the error patterns systematized into one, two or three, while the patterns have been diversified toward low level from middle level. The lower levels are, the increasing error patterns greatly influenced by ‘something’ and ‘nothing’ words than the concept of rational number and irrational number, thinks zero as natural number, don't think empty sets as sets, excluding infinite decimals from negative number, vaguely thinks that when the face of a coin continued to appear, it is more likely to appear. On the other hand, the error pattern, evenly shown regardless of level, included the error don't think π as positive number, includes zero in positive number, the discovery of the concept of an infinite decimal and irrational number and the cases is not properly connected, don't enough know the concept of rational number which can express as the ratio of two integers, is a rational number.

      • 마인드맵을 활용한 쓰기 학습이 초등영어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전유미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Effects of Using Mind Map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Jeon, Yoo Mi Major in English Education for Childre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mind maps on vocabulary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to improve the vocabulary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This issue is significant for two reasons. Firstly, there are many Korean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memorizing English vocabulary. Secondly, many researchers have found that mind maps are an effective diagram to generate, visualize and structure the ideas and words, which helps students to recall their existing experiences. For this research, 64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a private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sampled through a pre-test of their vocabulary understanding. There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English level, a high level experiment group, a low level experiment group, a high level control group, and low level control group.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taught by using mind maps for 8 weeks and the other control groups were given lectures based on their reading program. Then students were given a post vocabulary understanding test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ost evaluation of vocabulary understand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This result reveals that the use of mind maps is more effective than following normal reading instruction. Second, the high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er improvement compared to low experimental group. It proves the effects of mind maps are more effective with high level stud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sing mind maps in vocabulary instruction affect the vocabulary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positive way. There are a few educational implications to consider in this study. First, the student should be learning vocabulary in meaningful ways by using and experiencing authentic reading materials and activities through their English lessons and avoid memorizing vocabulary by repeti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lesson plans by engaging the activities systematically to build and practice the target vocabulary of each topic.

      • 만 4세 유아의 텃밭활동 체험에서 나타난 생명을 대하는 태도

        전유미 배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amine how the attitude of four-year-olds in a toddler education institution toward the life is manifested through the garden farming activities and analyze the meanings of such an experience in a qualitative manner. The study questions set in accordance with the study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attitude toward life among the four-year-olds who participated in garden-farming activities? The site of this study was an occupational child-care center of L company located in Daejeon of which the operation was commissioned to K compan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five four-year-old toddlers, who are going to the child-care center of the L company which is the employer of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nd two teachers of theirs. The study period was for a period of 20 weeks, from April 4, 2018 to September 4, 2018. During this period, the researcher gathered the data for this study through the conduct of participatory observations, the garden farming observation log, journals of the researchers and study participants, and the artworks of the toddlers. The data so gathered were then organized, segmented, and edited based on the step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interpreted by categorizing them into sentences, phrases, and word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the data produc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first, the toddlers showed an attitude of indifference toward life. During the earlier stage of the garden farming program, there were not showing a significant amount of interest in the lifeforms they could observe. Rather, they afraid of them and even hurt these life forms in some cases. Also, they showed more interested toward other accompanying activiti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ather than the garden farming activities. Second, they showed an increasing level of interest toward the lifeforms as the activity program progressed. Their interest in the garden farming activities increased due to the various preliminary, main, and follow-up activities such as reading ecology-themed picture books, keeping the gardening diaries, and cooking the harvests from the garden, which was a family-cooperation program. Third, the toddlers were observed play and have fun with the lifeforms they encountered during the garden farming activities. They also showed interactions with various forms of empathy with the lifeforms while removing the weeds in the garden farm, watering the garden, working the soil, giving fertilizers, or cooking at the daycare center. The more curious of the toddlers found the garden farm as an exciting playground for them, and it is believed that this space provided them with many different types of pleasure. Also, the continued garden farming resulted in intimacy toward the plants and insects, to which the toddlers showed attachment. The toddlers also played actively with them. Fourth, the toddlers began to understand that all animals and plants have life. As they sow, water, and observe sprouting as a part of their garden farming, the toddlers learned about the growth and changes of the plants. Also, they naturally experienced the existence of life and death, feeling the wonder of the life in the nature and understanding that the process of growth for animals and plants require the roles of the nature in addition to the care provided by the people. Lastly, the toddlers valued the lives and showed respect to them. They played with the insects they encountered as they participated in the garden farming practices and grew plants. In this process, they emphasized with the lifeforms and showed intimacy toward them, which were manifested in the artworks of the toddlers. The toddlers killed the insects without any remorse at the beginning of the gardening project, and the attitude of the toddlers toward such an act was also indifferent. However, they later turned out to worry and care about the difficulties or dangers upon the lifeform and tried to protect them, which were manifested in the conversations and facial expressions. The toddlers who experienced garden farming are sending and understanding that the nature and us are not separated but bound in an organic, symbiotic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garden farming activities of the four-year-olds enriched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the life and promoted an attitude which values the life and understands that the nature and the human beings are in an symbiotic relationship.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만 4세 유아의 생명을 대하는 태도가 텃밭 활동을 통해 어떻게 발현되는지 알아보고, 그 체험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텃밭활동에 참여한 만 4세 유아들의 생명을 대하는 태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현장은 대전에 위치한 L 직장 어린이집으로 K 위탁체가 위탁 운영하는 직장보육시설이다. 연구 참여자는 만 4세 유아 5명이다. 2018년 4월 4주부터 9월 4주까지 총 20주 동안 참여관찰, 연구자 및 연구 보조자 저널, 유아들의 활동 작품집, 관찰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수집한 후에는 기술, 분석, 해석의 단계에 따라 자료들을 구조화, 계열화, 편집하였고 분석한 연구결과를 문장, 구절, 단어로 범주화 한 후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성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생명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서먹해하였다. 텃밭 활동 초기에는 프로그램 중 살펴볼 수 있는 생명체들에 대해 크게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무서워하였으며, 해치는 모습도 보였다. 또한 텃밭 활동이 아닌 다른 부수적인 활동들과 주변 환경에 더 관심을 보였다. 둘째, 유아들은 텃밭 활동에 참여하고 탐구해가면서 생명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다양한 생태 그림책 관찰, 텃밭 일지 작성, 가정과의 연계 프로그램인 텃밭 수확물을 이용한 요리활동 등과 같은 사전, 본, 사후 활동 등을 통해 텃밭활동에 관심 가졌으며, 생명에 대한 자연스런 이해가 더해갔다. 셋째, 유아들은 텃밭활동 시 만나는 생명체와 친구가 되어 즐겁게 놀이하였다. 텃밭의 잡초를 뽑거나, 물을 줄 때, 흙을 고르거나 퇴비를 주고, 어린이집에서 요리활동을 할 때 생명체와 다양한 감정이입을 하며 상호작용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호기심 많은 유아들에게 텃밭은 또 하나의 즐거운 놀이터였으며, 다양한 즐거움을 주는 공간이었다. 또한 지속적인 텃밭 활동으로 인한 식물, 곤충과의 만남은 친밀함을 형성하게 하였고, 애착을 보이며 적극적으로 생명체와 놀이하였다. 넷째, 모든 동, 식물에는 생명이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텃밭활동을 하며 씨를 주고 물을 주며, 싹이 나는 과정을 직접 눈으로 본 유아들은 그 과정을 통해 식물의 성장과 변화에 대해 알게 되었다. 또한 생명이 있다는 것과 죽음이 있다는 것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경험하며, 자연에서의 생명의 신비로움을 느끼고, 모든 동, 식물의 성장 과정에는 사람의 보살핌 외에도 또 다른 자연의 역할이 반영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은 생명을 소중히 여기며 존중하는 태도를 나타냈다. 텃밭 활동을 하며 만난 벌레, 곤충과 놀이하기도 하고 식물을 키우는 과정에서 생명체와 점점 교감하고, 친밀감을 표현하는 모습들이 텃밭일지와 유아들의 활동 작품 속에서 보여 졌다. 텃밭을 가꾸던 초기 아무런 거리낌 없이 벌레를 죽이고, 그러한 모습들에도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던 유아들이 생명체들의 위기상황을 목격했을 때 염려하고 걱정하였다. 텃밭활동을 체험한 유아들은 자연과 우리가 별개가 아닌 유기적인 공생적 관계임을 느끼고 인식하는 것이다.

      • 쇼스타코비치 현악4중주 C단조 op.110에 관한 분석연구

        전유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reatise is an analytical research on Shostakovich's String Quartet No. 8. Shostakovich is a composer who employed new musical expression methods by embracing both Russian and neo-Classical elements. His music is characterized by chromatic scales based on tonality, chord centered on interval sets and emphasis of rhythm. Of his works, many pieces used the skill of counterpoint particularly and this feature was also found in his String Quartet No. 8. This piece composed of five movements in total flows without stopping throughout the entire movements. This piece develops with motifs of four figures including D-E-C-B based on intervals made in the initials of the composer himself. The first movement, made in fugue form, develops the motif through tonal answers using the form of question and answer, and has the structure of expanding and developing by means of interval relations between minor 2 and minor 3. It has rondo form building on this fugue. The second movement, based on toccata form, develops to four canons and elevates to atmosphere in which passionate exasperation is vomited as a result of piled pathetic emotion. The third movement in rondo form is made of the waltz atmosphere, while the fourth movement in free rondo form is made of strong chords as if a violent explosion. The fifth movement is developed by repeating the latter part of the first movement and in fugue form compressing the fourth movement. This work composed through counterpoint elements as such, maximizes the idea of counterpoint such as fugue, toccata and combines new sound elements, eventually making itself one of masterpieces of its kind.

      • 십자가의 상징성에 관한 도자디자인 연구 : 가톨릭 성물(聖物)제작을 중심으로

        전유미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양한 디자인과 뚜렷한 개성이 요구되는 현 시대에 각 디자인의 분야는 점점 다양해지고 있으며, 일반인들의 시야 역시 폭넓어지고 있다. 그 일반인들 중에 가톨릭 신자들이 성물을 소유할 때 더 큰 만족도로 따뜻한 신앙심을 주고 비신자들에게는 종교의 이로움에 대한 기본적인 행위, 언어 등으로 쉽게 이해되는 이미지를 표현하여 종교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생활의 작은 감동을 줄 수 있는 작업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다. 현재 신자들이 접할 수 있는 성물들은 성당 내에 있는 성물방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들로써, 주로 십자가상, 성모상, 묵주, 촛대, 종, 인형 등이 있다. 성당 내 성물방을 통한 현재의 판매경로만으로는 비신자들이 성물을 접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성물들은 성물 제작만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까닭에 대체로 반복된 형태의 물건들이 많다. 하지만 성물은 개인의 어떠한 물건보다도 소중하게 다루는 것이며, 이러한 의미를 고려했을 때 대량으로 제작되는 성물들은 형태나 색상의 측면에서 신앙적 심오함과 심미적 형태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성물이 심오한 성서 내용이나 깊은 신앙심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비신자들이 제품을 접하거나 소유하기 어려운 또 하나의 이유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성물에 대한 작업의 시작으로 현재 판매되어 지는 성물보다는 좀 더 포괄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여 신자들뿐만 아니라 비신자들 또한 공감할 수 있는 성물을 제작하였다. 도자기가 가지고 있는 따뜻한 재료의 느낌을 충분히 살려 성물 중에서도 한 공간에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되어 질수 있는 것 들을 고찰해 보았고 그로 인하여 조명, 촛대, 종 등을 연구 제작하였다. 조명은 십자가의 선을 더 뚜렷이 보이게 하기 위해 설치조명, 부분조명, 스탠드, 샹들리에로 빛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려 하였다. 조명에 이어 촛대와 종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십자가에 부드러움을 주기위해 전체적인 각진 면에서 표면에 곡선을 사용하여 각 제목에 어울리는 형태를 재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성물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신심 또는 따뜻한 마음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위의 연구제작을 통하여 도자제품이 성물제작에 더 넓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성물들이 신앙적 상징성이라는 기본적인 역할을 만족하며, 동시에 성물 제작의 새로운 표본으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 “나에게 예술이란 훨씬 많은 것들을 포함한다. 그것은 인간의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에 의해 생겨나는 아름다움이며 인간이 대지위에서 그 환경전체와 더불어 보내는 생활 속에서 얻는 감흥의 표현이다. 바꾸어 말하면 삶의 기쁨이 내가 말하는 예술이다.” - 윌리엄 모리스 Recently, by the field of design categorized in detail, a field of people's vision becomes wider. This graduation thesis is the study for catholic believers to feel holy faith by possessing the sacred product and for non-believers to experience certain impression by helping them understand the beneficial catholic dogma through the religious article At the present, the only place of purchasing the sacred products, such as a crucifix, an image of the Virgin Mary, a rosary, a candlestick and a bell, is some space in the church, It is difficult for non-believers to have a chance to come into touch with the pious products in that situation. Also, most holy things are produced by the company in large quantities. That means there is some limitation to meet the desire of religious profundity and aesthetical aspect. For solving the present problems I mentioned above, I manufactured ceramic materials into the sacred products not only to keep the religious meaning of catholic, but to evoke catholic believers and non-believers' sympathy. I produced lightings, candlesticks and bells as an interior decorator and tried to stress the ceramics' own touch for non-believers to touch it without denial. Concerning the lightings, I emphasized the line of a cross by applying the established lighting, partial lighting, a desk lamp and a chandelier. Regarding candlesticks and bells, I expressed the curved lines on the surface to make people feel comfortable.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to present the possibility that the ceramics can be a useful material. to make sacred articles. I hope that the products I explained in this thesis help modern people release some stress, such as depression, complication etc and be the innovative attempt in the field of holy products.

      • 도시기본계획에 나타난 도시회복력 수준에 관한 비교분석 : 인구 100만이상의 대도시권을 대상으로

        전유미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due to globalization and climate change, cities find difficulties to predict upcoming various hazards and stresses. And uncertainties about the nature and extent of risks are increased when it comes to cities where interaction exists among various elements including human, society, economy, and culture. Making cities resilient is important because getting rid of one hazard will not solve problem of future events. Cities require comprehensive urban planning strategies considered all of hazard mitigation, improvement of vulnerability and adaptability from change. Also, in case of limited prediction about the inherent crises and difficulties in plan for reaction, resilience strategy is more efficient than prevention strategy. The definition of urban resilience is required for making resilient city to comply with the new paradigm and value of urban planning in Korea. Depending on the region and the city, there are different level of capacities in absorption, resistance, and recovery. For intensive urban resilience, every city need long-term comprehensive plan to prepare for preemptive in era of complexity and uncertain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urban resilience applied in The Metropolitan Area Comprehensive Plan in Korea. Resilience measurements of capacity of resistance, adaptation, and recovery from external shocks and stresses will be applied to evaluate the level of urban resilience by each city.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urban resilience indicator for established urban planning in scale of city. This will be useful to contribute sustainable and resilient urban development. 최근 도시는 세계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도시에서 발생하는 재해나 경제위기 등 각종 위험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고, 도시를 구성하는 인문·사회·경제·문화 등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위험의 예측불가능성, 불확실성이 극대화되고 있다. 도시 회복력이 필요한 이유는 도시문제는 예방적 차원에서 단순히 하나의 위험요소를 제거하거나 방지한다고 극복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피해에 대한 완화(Mitigation), 취약성(Vulnerability)의 개선, 위기나 충격 이후의 변화에 대한 적응성(Adaptability)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종합적인 도시계획적 전략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가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위험이나 위기에 대한 예측이 제한되고, 그에 대한 대응방법을 찾기 어려운 경우 예방적인 전략(Prevention Strategy) 보다는 회복력 전략(Resilience Strategy)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가치에 부합하고 회복력 있는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도시회복력에 대한 개념 정립이 요구된다. 또한, 지역 및 도시에 따라 도시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 및 스트레스의 정도가 상이하고 적응 및 복구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각 도시는 복잡성과 불확실성의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적응하기 위해 도시별 회복력 강화를 위한 장기적인 종합계획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100만 명이상의 대도시권을 대상으로 도시기본계획에 나타난 도시회복력 수준에 관한 비교분석을 하는 것이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충격이나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는 도시 회복력 개념을 국내 도시에 적용하여 각 도시별 회복력 진단 및 분석을 하고 향후 우리나라에서 도시차원의 도시계획 수립함에 있어 반영되어야 할 회복력 관련 요소를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도시차원에서 수립되는 최상위계획인 도시기본계획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고 최근 회자되고 있는 도시회복력 관련 이론 및 연구, 적용사례를 조사하여 도시기본계획과 도시회복력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다. 둘째, 도시차원에서 지역특성을 반영한 회복력 있는 도시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각 부문별 도시회복력 진단지표를 구축하고 기 수립된 도시기본계획의 회복력 수준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도시기본계획 수립 시 회복력 있는 도시(Resilience City)를 조성하기 위해 지향해야 할 방향성 및 정책적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대도시의 2030년 도시기본계획은 지역별 여건이나 특징으로 인해 구체적 내용의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체적으로 도시 회복력관련 내용이 점차 계획에 반영되고 구체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대부분의 도시의 부문별 계획은 현황분석을 통한 계획목표 및 기본방향 수립, 관련 지표 설정 등 과거를 통한 미래를 예측하는 관점(반영성, 자원동원력)에서의 계획은 대체적으로 구체적으로 수립되어 있는 반면, 다양한 이해관계자(특히, 취약계층)를 고려한 계획이나 계획간 연계성이 다소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회복력 있는 도시계획 수립을 위해 도시 회복력의 구성요소인 포용성 및 통합성을 고려한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도시·군기본계획 수립지침을 개정하는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 도시의 2030년 도시기본계획이 도시 회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가능성 및 도시 회복력 증진을 위한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근거로 제시하고, 도시기본계획 뿐 아니라 도시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 등 다양한 규모 및 성격의 도시와 관련된 계획수립 시에 회복력 있는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고려되어야할 도시 회복력 지표를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또한, 도시계획에서 도시 회복력 증진을 위해 각 도시가 고려하고 반영해야 할 도시 회복력 지표는 무엇인지, 부문별 계획에서 구체적으로 수립되어야 할 계획내용은 무엇인지, 정책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등 도시 회복력과 관련된 후속 연구 및 도시계획과 도시 회복력을 전반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코워킹 스페이스의 공간활용에 대한 학습적 의미 탐색

        전유미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삶의 시작과 끝을 공간 안에서 보내는 공간적 존재인 인간에게 신뢰와 안정감을 주는 자신만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단순히 공간을 점유하는 것이 아닌 공간에 ‘거주(居住)’하는 인간은 공간 안에서 끊임없이 의미와 관계를 형성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고 이를 통해 학습한다. 이처럼 인간이 생활하는 공간은 시대의 흐름과 상황에 따라 새롭게 생겨나거나 변화한다. 최근 학교라는 특정 공간을 벗어난 교육공간의 확장과 인간의 삶 전체에 걸친 활동을 학습이라는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인간이 삶을 영위해 가는 일상 생활공간에서의 경험에 대한 교육학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함께 인간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주거와 업무 공간 중에서도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새로운 공간인 코워킹 스페이스에서의 인간 활동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15년에 비해 업체 수는 약 30%, 이용자 수는 약 30만 명이나 증가한 시대흐름에 맞춰 변화된 대표적인 공간이자 인간의 삶과 연관성이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코워킹 스페이스의 이용자들이 주어진 공간을 활용하는 유형과 과정을 통해 어떤 학습을 경험하고 그 경험은 어떤 학습적 의미를 지니는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시내 코워킹 스페이스 중 한 곳을 선정하고 참여관찰을 수행하였고, 이곳을 이용하는 이용자 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코워킹 스페이스의 이용자들은 ‘공간 만나기, 공간 배우기, 공간 길들이기’의 방법으로 공간을 활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용자들은 공간을 만나고 배우는 과정에서 주어진 공간이 어떻게, 어떤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학습한다. 이렇게 주어진 공간을 이용자들은 그대로 활용하기도 하지만, 공간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자신의 목적에 맞게 활용하기 위해 변형 혹은 재구성해 자신만의 공간으로 길들여 활용한다. 둘째, 공간활용 과정에서 이용자들은 자신의 무지(無知)를 자각하고 다른 이용자들과 정보나 지식, 기술 공유의 상호작용을 하며, 스스로를 돌아보는 사유(思惟)를 통해 학습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용자들은 새로운 공간, 사람, 분야에 대한 자신의 무지(無知)를 자각하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사유(思惟)를 통해 새로운 배움을 결심하고 다른 이용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서로의 정보나 지식, 기술을 공유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한다. 이러한 주어진 공간에 대한 이용자들의 다양한 활용과 공유의 상호작용, 그리고 스스로에 대한 사유(思惟)는 우리가 물리적으로 주어진 공간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공간뿐만 아니라 타인, 그리고 자신과의 상호작용이 발생되며, 이와 같은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을 경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시 말해 공간에 거주(居住)하는 공간적 존재인 인간은 물리적으로 주어진 공간을 자신만의 공간으로 길들이며, 이렇게 재창조된 공간에서의 경험을 통한 학습은 또 다른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해 자발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학교라는 교육공간을 넘어서 보다 다양한 인간의 생활공간에서의 물리적 공간을 길들여 자신만의 공간으로 재배치하는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