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은둔 청년의 사회신뢰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전예빈,송도훈,박선희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4 대한보건연구 Vol.50 No.1

        -Purpose:The recent increase in youth seclusion is not an individual problem. It is a social problem that affects the entire society.  In this context, the level of trust in society experienced by secluded young adults should be of interest to their mental health.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trust on depression among secluded young adults and to suggest ways to recover mental health among secluded young adults. -Methods:This study utilised data from the 2022 Youth Life Survey conducted by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 categorised 257 secluded young adult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seclusion defined by the Cabinet Office of Japan and used their responses for analysis. We used STATA 18.0 to analyse the effects of social trust on depression among secluded young adults. -Results: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trust in society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depression among secluded young adults. In addition, longer periods of seclusion, lower gross household income, and living in non-metropolitan area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Conclusion: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restoring trust in society through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solation and depression experienced by secluded young adults.

      • KCI등재

        온오프라인 인권존중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에 의해 조절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

        전예빈,김순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한국청소년연구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온오프라인 인권존중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성별에 의해 조절된 인권의식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2019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의 4,98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하여 온오프라인의 인권존중경험과 학교적응간의 관계에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PROCESS macro Model 7을 활용하여 온오프라인의 인권존중경험이 성별에 의해 조절된 인권의식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온오프라인 인권존중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오프라인 인권존중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인권의식이 부분매개하고 있었으며, 인권의식의 증진을 통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온오프라인 인권존중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성별에 의해 조절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권의식 수준은 여자청소년이 높으나 남자청소년이 효과 크기는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권존중환경과 인권의식 발달을 위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인권보장을 위해 청소년이 실제 삶에서 인권을 존중받는 경험이 중요하며, 그 과정에서 인권의식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이라는 긍정적 발달산물이 형성되는 과정을 확인하고, 성별에 따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tential effects of experiences of positive and negative respect for human rights online and offline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human rights awareness according to gender. Data from 4,988 participants in ‘Th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hildren’s and Youth’s Rights 2019’ perform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on/offline experience of respecting human rights have direc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ights awarenes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respecting human rights and school adjustment. Third, gender also plays a role i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between experience of respecting human rights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 number of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healthy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awareness among adolescents are suggested.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가 조직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직위별 집단 간 비교 분석

        전예빈,장아영,신은주,박신애,김순규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4 사회과학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가 조직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를 개인, 관계, 환경 측면으로 구분하여 설계하고, 직위에 따른 임파워먼트가 조직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무직급과 관리직급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를 전국의 사회복지기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2023년 1월부터 2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 22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임파워먼트와 조직응집력 모두 관리직급이 실무직급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개인, 관계, 환경 임파워먼트가 조직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무직급은 개인 임파워먼트와 관계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응집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관리직급은 관계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응집력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직위에 따라 사회복지사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For this study,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was categorized as individual, relational, or environmental, and th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hesion of empowerment based on positio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subjects into practical and managerial positions. The participants were social workers from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January 1-27, 2023. A total of 224 responses from those who provided information honestly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s of individual, relational, and environment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hesion were higher in managerial positions than in practical position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cularly i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empowerment. For practical positions, higher levels of individual and relational empowerment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organizational cohesion. For managerial positions, higher levels of relational empowerment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organizational cohesion. In conclusion,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hesion according to social workers’ positions, strategies are explored to enhance th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hesion of employee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 KCI등재

        세월호 참사 연구동향과 문헌고찰

        전예빈,이수비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4 Crisisonomy Vol.20 No.7

        The Sewol ferry sinking near Jindo, Jeollanam-do, on April 16, 2014, resulted in 304 fatalities out of 476 passengers, profoundly affecting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s 360 research papers spanning 10 years (2014-2023) to guide disaster research in the post-Sewol era. Research initially flourished but declined after three years, with most studies being qualitative or review-based, particularly in the social sciences. The topics covered were diverse, including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mental health impacts, humanistic interpretations, legal aspects, theological perspectives, media, politics, and individual experiences. The study recommends continuous, systematic research on large-scale disasters like Sewol, advocating for budgetary support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t aims to direct post-Sewol disaster research towards enhancing disaster safety systems and response mechanisms in the future.

      • KCI등재

        사회복지종사자 일과 삶 균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비교

        전예빈,김현정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3 사회과학연구 Vol.49 No.1

        The changes into low-birth rate and aging in modern society, were led to the increase of national needs for social service. And the government’s policy of expanding the community integrated care brought about the expansion of social welfare. However, the poor treatment of social workers who perform the service causes for concerns about their mental health. Meanwhile, the working environment of social workers is known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ale of region, so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differences according to regional scale in researches targeting social workers. Thu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on well-being that represents mental health of social workers in the aspect of that the quality of worker is the quality of service, and also to examine differences according to regional scale.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targeting social workers by using the 6th Working Conditions Surve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life balance had positive effects on well-being. Second, according to regional scal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well-being. In small & medium-sized cities, the work-life balance showed greater effects on well-being.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aimed to make suggestions by considering regional differences and work-life balance for the improvement of well-being of social workers. 현대사회 국민들의 사회서비스 욕구 증가와 지역사회 통합돌봄 확대로 서비스 수행인력인 사회복지종사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사자의 질이 곧 서비스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사회복지종사자의 정신건강을 대표하는 안녕감과 최근 주목받는 근로환경으로 일과삶균형의 영향력을 검증하고, 지역규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특성을 고려하여 대도시와 중소도시 단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근로환경조사(6차)를 활용하여 사회복지종사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과삶균형이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일과삶균형과 안녕감의 사이에서 지역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중소도시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종사자의 경우 일과삶의균형이 안녕감에 미치는 정적(+) 효과가 대도시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종사자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복지 종사자의 안녕감을 개선하기 위해 일과삶균형과 지역적 차이를 고려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이중문화수용태도와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위축의 매개효과

        전예빈,정수경,김순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24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문화수용태도와 그 관계에서 사회적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1기 9차 자료(2019)의 고등학교 3학년 1,121명을 PROCESS macro for SPSS(V.3.5.2) 및 STATA 17.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군집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문화수용태도에 따른 유형은‘한국문화친밀형’,‘외국문화친밀형’,‘이중문화친밀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군집유형에 따른 학교적응과 사회적위축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이중문화친밀형이 다른 두 유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사회적위축이 낮고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든 집단에서 이중문화수용태도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위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위축의 매개효과는 이중문화친밀형과 한국문화친밀형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청소년이 한국과 외국문화 중 어느 한쪽만이 아닌 두 영역 모두에서 수용적이고 친밀한 태도가 형성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해 한국문화와 외국문화 특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이중문화수용태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사회적위축을 낮추고,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withdrawal levels of multicultural youth in groups based on their acculturation attitudes. Secondary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in 2019 were us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CESS macro for SPSS and STATA 17.0. A total of 1,121 students in the 12th grad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of group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ree types of group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ir attitudes towards cultural acceptance: a "Korean-culture-friendly group", a "Foreign-culture-friendly group", and a "Bicultural group". Second, when comparing average levels of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withdrawal of the three groups, the Bicultur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levels of social withdrawal but higher levels of school adaptation than the other two group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was confirmed in Bicultural and Korean-culture-friendly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orean government, communities, and schools should make sustained efforts to foster attitudes of cultural accommodation among young people with respect to both Korean and Foreign cultures in order to counteract social withdrawal and improve school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