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죽음 현저성이 성적소구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준우(Park Jun woo),김희영(Kim Hee young),이선민(Lee Seon Min),전승우(Chun Seung woo)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죽음 현저성(mortality salience)이 성적소구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비자의 성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적소구 광고에 대해 여성보다 남성이 더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공포관리이론(Terror management theory)을 이론적 틀로 사용하여 높아진 죽음 현저성이 성적소구 광고에 대한 남성들의 반응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여성들에게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를 검증하고자 죽음 현저성(높음 vs. 낮음), 참여자 성별(남성 vs. 여성), 광고표현(성적소구 vs. 비(非)성적소구)의 3가지 변수를 사용하여 참가자간 설계(between-subject design)로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남성들은 죽음 현저성이 낮은 상황보다 높은 상황에서 성적소구 광고에 더 부정적인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여성들에게는 죽음 현저성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非)성적소구 광고의 경우, 죽음 현저성 차이에 따른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의 차이가 남녀 모두에게서 나타나지 않았다. The advertising literature has continuously found that sexual appeal in advertising is more effective for males. Meanwhile, Terror Management Theory(TMT) reported that misogyny appears more prominently for males when mortality is sal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bine or integrate these contradicting results while examine how the gender difference moderates the effect of sexual appeal in advertising under the condition of mortality salience. We expected that sexual appeal in advertising has a negative effect on males but not on females under the death salience condition based on TMT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employed 2(mortality salience: high, low) x 2(gender: male, female) x 2(advertising: sexual appeal, neutral) between-subject design. A total of 193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males' attitudes toward the ad as well as the target brand decreased when they were exposed to the sexual appeal advertising under the death salience condition. The females' attitudes toward the ad and the product br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nder the death salience condition. Our results provide an answer to the question arising from the contradicting gender effects found in sexual appeal advertising and mortality salience literature. The empirical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when marketers make use of sexual appeal advertising in the media context and consumer segmentation.

      • KCI등재

        제품범주정보 현저성이 브랜드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귀곤(Gwi Gon Kim),전승우(Seung Woo Chun),차태훈(Tai Hoon Cha) 한국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브랜드확장평가에 있어서 동양인이 서양인보다 브랜드확장의 적합성을 높게 판단하고 호의적으로 평가한다는 최근 Monga and John(2007)의 연구결과와 브랜드확장 평가과정에서 제품범주정보의 브랜드혜택연상에 대한 간섭효과를 제시한 Meyvis and Janiszewski(2004)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그 기저에 흐르는 동서양간의 심리적 메커니즘의 차이를 접근성-진단성(accessibility-diagnosticity)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즉 본 연구는 동서양간의 제품범주정보의 현저성과 그로 인한 브랜드혜택연상에 대한 간섭효과의 차이, 그리고 브랜드혜택연상에 대한 접근성과 진단성의 차이에 따라 동서양간의 확장브랜드로서의 모브랜드(narrow brand vs. broad brand)에 대한 선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동양인과 서양인을 대상으로 5번에 걸친 사전조사과정을 거쳐 실험대상 제품, 가상의 브랜드, 추구하고자하는 브랜드혜택연상 등을 결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본 조사에서는 내구성 있는 2개의 포트폴리오 브랜드(narrow brand: TV, DVD player, 오디오, broad brand: TV, 냉장고, 세탁기)를 대상으로 내구성 있는 캠코더로의 브랜드확장상황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품범주정보의 노출 횟수, 제품범주제공과 확장평가 및 확장브랜드선택 사이의 시간 차이를 조절하여 제품범주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조절하였다. 본 연구에는 총 488명(한국 243명, 미국 245명)이 참여하였으나, 부적절한 응답과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414부(한국 212부, 미국 20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동양인들이 서양인들에 비하여 폭이 넓은 브랜드의 선택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제품범주정보 및 브랜드혜택연상의 회상정도에 대한 추가분석을 통하여 동양인들의 폭이 넓은 브랜드 선택경향에 대한 가설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노출횟수의 증가, 시차단축을 통한 실험에서는 동서양 모두 폭이 좁은 브랜드의 선택비율이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동양인에게서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높게 증가하여 동서양간의 차이가 사라지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A-D 관점에서 제품범주정보의 브랜드혜택연상에 대한 간섭효과 및 노출횟수의 증가 전, 시차단축 전의 동양인의 폭이 넓은 브랜드에 대한 선택경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해 준다. 본 연구는 더 많은 연구와 실증을 필요로 하겠지만 동서양간의 브랜드확장평가의 차이를 브랜드확장평가의 심리적 메커니즘 측면에서 살펴봤다는 그 자체로서도 이론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뿐만 아니라 마케팅 실무적 측면에서도 기존의 확장결과를 고려한 마케팅전략, 더 나아가 글로벌 환경에서의 다양한 마케팅전략의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East-Wes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view of accessibility-diagnosticity based on the results of two recent researches; One is conducted by Monga & John(2007) that Easterners(vs. Westerners) perceive the brand extension fit highly and evaluate the brand extension favorably. The other is conducted by Meyvis and Janiszewski(2004) that the interference effect on brand benefit association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can exist in the process of brand extension evaluation. Namely,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East-West choices of parent brand(narrow brand vs. broad brand) could vary according to 1) the East-West differences in the salience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2) the differences in the interference effect on brand benefit association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3) the differences in the accessibility and diagnosticity of brand benefit association. We expect that Easterners choose the broad brand more than Westerners. And there will be no choice differences between them on extension brand in case of high salience on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For this empirical analysis, we decided the test target products, fictitious brand, pursuing brand benefit association by targeting Easterners and Westerners through 5-time pretests. Based on the two portfolio brands with durability(narrow brand: TV, DVD player, audio, broad brand: TV,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we presented a brand extension situation to the camcorder with durability. Furthermore, we modulated an accessibility of the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by controlling the exposed numbers to the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and the time differences between the phase of product category offer and extension evaluation/extension product choices. Namely, the survey was run by the respective three groups (Firstly, offering information one time and evaluating after 50 minutes; secondly, offering information one time and evaluating after 5 minutes; lastly, offering information three times and evaluating after 50 minutes) through shortening time interval between beginning of information offering and extension evaluation as well as increasing the exposed numbers to information to manipulate a salience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s. Although total 488 people(243 Koreans and 245 American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 just utilized reliable responses from 414 respondents(212 Koreans and 202 Americans) except inappropriate and in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a preference for broad brand is higher in the East than in the West, it i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Accordingly, We indirectly affirmed the hypothesis on the preference of East for the broad brand through an additional analysis on a degree of recall for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and a brand benefit association. Furthermore, we found out that both East and West have a high preference ratio of narrow brand by increasing the exposed numbers to the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and shorten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information offer and extension evaluation. In addition, by relatively raising the preference ratio toward the Ea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st-West came to be diluted. This result indirectly showed a preference tendency of the East for the broad brand from an A-D perspective before the interference effect on brand benefit association, increasing the exposed numbers and shortening the time interval. This research got access to the more realistic and consumer-focused strategies than the existing researches. Firstly, we approached to the brand extension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A-D. This was very practical model, providing it is natural that there was a time interval between the time of information offering and the time of purchasing(that of brand extension evaluation). Secondly, parent brand was chosen in the process of choosing extension products. Now that consumers generally tend to decide pro

      • KCI등재

        소비자문화변용 과정에서 소유물이 가지는 문화변용동인으로서의 역할 :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

        김희영(Kim Hee young),전승우(Chun Seung woo)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으로 이주한 북한이탈주민들의 소비자문화변용(consumer acculturation) 과정과 그 과정에서 소유물(possessions)이 가지는 문화변용동인(acculturation agents)으로서의 역할에 대하여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소비자문화변용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민속지학적(ethnographic) 방법을 통하여 총 11명의 북한이탈주민들을 심층면담하였다. 먼저 정보제공자들이 한국으로 이주하기까지의 이주과정과 그들이 겪은 이주 전후의 소비 경험, 그리고 북한에서 가져온 물건과 한국으로 이주하여 새로이 구매한 물건들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다. 그리고 Berry(1974, 1980)의 문화변용 모델에 기반을 두어, 정보제공자들의 문화변용 결과를 동화(assimilation), 통합(integration), 분리(segregation), 주변화(marginalization)로 구분하였고, 그들의 소유물이 문화변용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제공자들의 소비 및 소유물이 소비자문화변용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우리의 정보제공자 가운데 모국의 문화적 가치와 특징을 유지하려고 하는 두 개의 문화변용 형태인 통합과 분리의 결과를 보이는 정보제공자들은 거의 없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모국의 물건을 소유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데, 이러한 상황은 모국과의 심리적 끈을 유지하지 못하게 하고 더 나아가 모국의 정체성을 유지하게 하는데 장애로 작용하게 된다. 한국으로 이주 후 적극적인 소비를 하여 다소 여러 가지의 이주국 제품을 소유하고 이 물건들을 좋아하는 물건으로 선택했던 정보제공자들은 주로 동화의 문화변용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소유물이 없었던 정보제공자는 주변화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문화변용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과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착과 관련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sumer accultur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immigrants to South Korea and the role of possession as acculturation agent in the consumer acculturation process. Ethnography was employed for this research. We interviewed and observed eleven North Korean immigrants and then acquired data on their consumption patterns and lifestyles. And we analyzed this data, describing their consumer acculturation process in detail; we described their immigrant experiences from living their home country (North Korea) to arriving in the host country (South Korea), their consumption experiences in the third countries, and the first consumption experiences in South Korea. Then, we explained what possessions they have. Lastly, informants' acculturation outcomes was presented based on Berry's acculturation model, and the roles of their possessions in their acculturation outcomes was elucidated. Few of our informants showed integration and segregation outcomes, which are two types of acculturation outcomes that wish to maintain home cultural identity. Immigrants like North Korean who could not bring objects relevant to their origin county could not maintain their ties to their culture and families, which hindered to preserve their origin cultural identity. The informants who have acquired many possessions tended to show assimilation to South Korean consumer culture. On the other hand, informants who have little possessions showed the marginalization outcome. In sum, the results suggest that a possession plays an important role of acculturation agent, along with other agents including family, friends, media, institutions of culture of home country and those of culture of receiving country, in the consumer acculturation process. Based up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several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소매상황에서 지각된 통제가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차태훈(Tai Hoon Cha),이상현(Sang Hyun Lee),전승우(Seung Woo Chun) 한국마케팅학회 2008 마케팅연구 Vol.2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소매상황에서 고객이 느끼는 지각된 통제(perceived control)가 그 고객의 소매점에서의 소매행위와 관련된 여러 가지 반응들(감정적 반응, 재방문의도, 구전의도,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주제는 소비자/소매연구에서 활발히 연구되었으나, 대부분 서양인의 시각에서 서양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고객들의 지각된 통제의 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고통제), 고객들이 느끼는 긍정적 반응의 크기가 커지고, 통제수준이 낮으면 낮을수록(저통제), 고객들의 반응은 부정적이 된다고 알려졌다. 이 연구에서는 동양인들의 통제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소매점에서 한국인들은 고통제 상황보다 저통제 상황에서 더 긍정적인 반응들을 보일 것이라는, 기존의 마케팅 연구결과들과는 상반된 가설들을 수립하고 실증하였다. 이 실험은 두 가지 다른 형태들로 이루어 졌는데, 하나는 MP3 매장에서 점원의 고객응대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도를 다르게 하여 인지적 통제수준을 조작하는 방식이었고, 다른 하나는 중식당에서 선택메뉴를 일품요리와 세트메뉴로 구분하여 의사결정 통제수준을 조작하는 방식이었다. 이 두 실험 결과, 모두 예상과 같이, 한국인들은 저통제 상황에서 고통제 상황보다 감정적 반응, 재방문의도, 구전의도, 자신감에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erceived control 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re-patronage intention,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 and confidence level. This issue has been investigated extensively in consumer research.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has been done by using only Westerners as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have been interpreted based on the Westerner`s point of view. The studies have continuously acknowledged that consumers who feel higher perceived control in a retail setting show more positive responses than do those who feel lower perceived control. Being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on this issue, we employed Koreans as our research subject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perceived control for Easterners, this study proposes that Koreans who feel lower perceived control will show more positive responses than do those who feel higher perceived control in a retail environment. In this study, along with the previous research, we define control as "an individual`s beliefs, at a given point in time, in his or her ability to effect a change, in a desired direction, on the environment" (Greenberger et al. 1989, p. 31).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the concept to a retail environment by using Averill(1973)`s conceptualization of control that is able to be operationalized in three different dimensions: behavioral control, cognitive control, and decisional control. Then, this study conceptualizes high and low control in a retail setting.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primary and secondary control, the study explains the high control as the situation in which an individual perceives that he or she acts as an agent explicitly to produce desired outcomes in a retail setting. This concept is similar to that of primary direct personal control. In this condition, an individual attempts to change the world so that it fits the self`s needs. Instead, the low control refers to an individual`s perceived belief that he or she does not act as an agent explicitly to produce desired outcomes in a retail setting. This concept is consistent with those of secondary, indirect, collective control. In this condition, an individual attempts to align oneself with existing realities leaving them changed but exerting control over their personal psychological impact. In the other cases, he or she tries to let other(s) to produce desired outcomes or to control the environment as a member of a group or collective, which serve as an agent of control. The previous research on this issue has evidenced that Westerners who put an emphasis on autonomy prefer high control over low control. Instead, Easterners prefer low control to high control because they value maintenance of harmony with others more than autonomy. Based on this previous research`s results, we propose several hypotheses that Koreans who feel lower perceived control will show more positive responses than do those who feel higher perceived control. Then,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es using two different experiments. The first experiment employed two purchase scenarios in a MP3 retail store and manipulated the level of perceived cognitive control by using the two different types of a salesperson`s interactions with a customer in the store. The second experiment, for manipulating the perceived decision-making control level, used two chinese restaurant scenarios that contain two different types of assortments which are item-by-item and set menus. For both of the experiments, we employed Korean college students as research subjects. For experiment 1, the ANOVA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earch subjects showed the higher level of emotional response, re-patronage intention,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 and confidence in the high control condition than in the low control condition.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s before the experiment. In addition, the results are the exactly opposite direction of those of Sode

      • KCI등재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폐기연기에 대한 정성적 연구: 예상된 후회(anticipated regret)를 중심으로

        배윤경 ( Yun Kyoung Bae ),차태훈 ( Tai Hoon Cha ),전승우 ( Seung Woo Chun ) 한국소비자학회 2010 소비자학연구 Vol.21 No.4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은 실생활 속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이렇듯 소비자들이 사용하지 않는 제품을 보유함에 따라 발생되는 금전적, 비금전적(예를 들어 제품 보관, 이동에 따른 시간과 노력)비용에도 불구하고 모든 폐기행동(버리기, 팔기, 기부하기, 아는 사람에게 주기, 바꾸기)을 거부하는 것은 우리에게 의문을 남긴다.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선행연구에서 찾아 볼 수 있지만, 그 설명들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폐기연기(disposal delay)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소비자들이 사용하지 않는 제품을 왜 폐기하지 않고 보유하는 것일까`라는 의문에 대한 포괄적인 해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심층면접(phenomenological interview)을 실시하여 소비자들이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폐기를 미루는 행동이 어떤 심리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인지를 알아보았다. 현상학적 심층면접을 통한 중요한 발견은 소비자들이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폐기를 미루는 행동에는 예상된 후회(anticipated regret)라는 감정이 개입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소비자들은 사용하지 않는 제품을 지금 폐기하면 나중에 제품을 폐기한 것을 후회할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에 그 예상된 후회를 피하기 위해 폐기를 연기한다. 또한 이러한 예상된 후회는 현재 사용하지는 않지만 미래에 사용할 것이라고 기대되는 가치, 그 제품이 자신의 과거(Personal history)를 상기시키거나, 자아개념(self concept)을 나타내주거나, 특정 사람과의 결연(affiliation)을 의미하는 것과 같은 상징적 가치, 그리고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단지 행동을 하고 싶어 하지 않는 관성(inertia)에 의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비추어 볼 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첫째, 소비자가 사용하지 않는 제품을 폐기하지 않고 보유하는 행동을 다룬 기존의 연구는 극히 드물며 제품의 보유행동에 대한 기존 이론들로도 설명되지 않는 부분들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소비자로 하여금 사용하지 않는 제품을 보유하게 하는 요인들을 밝혀내고 폐기를 연기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보여준 본 연구는 소비자 행동 분야의 연구범위를 확장시키는 데 기여를 한다. 둘째, 개인과 제품과의 관계형성이 제품을 지속적으로 보유하게 한다는 선행 연구들은 관계형성과 관련한 요인들이 제품의 폐기연기에 직접적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폐기를 미루는 소비자 행동에는 예상된 후회라는 감정이 개입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보유행동에 대한 설명력을 한층 높였다고 할 수 있겠다. It is easy to find cases that the consumers keep purchased products no longer used. The consumer`s behavior of being reluctant to choose the disposition options (throwing away, selling, donating, giving to the acquaintances, exchanging) raises us question, why do people continue to have unused products despite of the opportunity cost. Although the answers to this question can be found in the previous researches, those explanations are quite limited. This study aims at finding a comprehensive answer to the question by exploring the rationales behind the "disposal delay" of unused products. Findings are based on the depth interviews to discover the psychological reasons for why consumers delay their disposal of products they do not use.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possessions explain that the relationship formed between people and specific possessions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ir decision to delay the disposal of those possessions (Belk 1988, 1989; Dittmar 1989: Grayson and Shulman 2000: Kleine, Kleine and Allen 1995: Price, Arnould and Curasi 2000: Schifferstein and Pelgrim 2003). However, depth interviews indicate that anticipated regret has an effect on the consumer`s disposal decision of unused products. When consumers consider throwing away products that they are not using, the consumer are concerned about the possible situations in which they will regret throwing products away. To avoid the anticipated regret, consumers decided not to dispose the unused products, and the anticipated regret coming from disposing of unused products arise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products. In the cases where the products are judged to remind the owners of happy times or important events in the past, to preserve their "self-image," or to represent an affiliation with someone important to the owners, the products have symbolic meanings to their owners even though the products no longer function properly. If the owner disposes a product with which he or she has created a relationship, the symbolic value is disappeared and the anticipate regret from throwing that product away is expected. In addition, the depth interviews showed other factors that influenced the anticipated regret toward disposition behaviors regarding unused products, The first factor is the expected value of using the product in the future despite not being used now. Since the product has potential to be used "someday", there will be anticipated regret of throwing the product away. Second, inertia influences the anticipated regret toward disposition behaviors. Even when the owner doesn`t have any particular value on the unused product, he or she doesn`t feel like discarding the product due to the disposing cost including money and effort. To summarize, consumers delay disposal of unused products in order to reduce the anticipated regret that arises from the expected value of using the product in the future, from the symbolic value of a relationship with the product, or from the inertia that prevents the disposal of products that have no particular value. The outcomes of this study offer sev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quite few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onsumers` behavior of dispose of unused products and the previous theories on the ways consumers acquire and possess have limitation on explaining the reasons.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an expansion of the research scope of consumer behavior by discovering the factors the customers keep unused products and by examin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 behind delaying disposal, Second,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the continuous possession of products is due to the forma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ir possessions and that factor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directly influence on the delayed disposal. However, this study discovered that anticipated regre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onsumer behavior to delay disposal of unused products. Third, most studies on regret have emphasized the customer`s experienced regret of using products after purchase and the anticipated regret before purchase. The studies on regret have focused on investigating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after purchase and exploring the consumer`s decision process of selecting and acquiring before purchase.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hat this study applies the concept of regret to the process in disposing of unused products.

      • KCI등재

        이주민의 문화자본과 소비자 문화변용: 한국으로 이주한 북아프리카인 사례

        엘파트히지넵 ( Elfathi Zineb ),제두아니아미나 ( Djedouan Amina ),지주형 ( Joo-hyoung Ji ),전승우 ( Seung-woo Chu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論叢 Vol.59 No.-

        본 연구는 이주민의 문화자본이 이들의 소비자 문화변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 문제로 제시한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학업, 비즈니스, 노동을 목적으로 모로코와 알제리에서 한국으로 이주해 온 15명을 대상으로 2021년 1월에서 3월에 걸쳐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 면접자의 이력과 면접내용을 바탕으로 이들을 높은 문화자본 집단(9명)과 낮은 문화자본 집단(6명)으로 구분한 후, 한국에서 소비를 통한 소비자 정체성 구축과 관련하여, 이 두 집단 사이에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높은 문화자본을 가진 이주민은 한국에서 다양한 소비를 통해 한국, 모국, 글로벌 정체성이 섞인 혼종 정체성(hybrid identity)을 추구하며, 어려움이 존재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적절한 소비 선택으로 그 상황이 요구하는 정체성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낮은 문화자본 이주민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하여 소비를 통해 다양한 정체성을 시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는 이들의 정체성을 혼종 정체성과 대비하여 모노 정체성(mono identity)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높은 문화자본 이주민들은 한국에서 글로벌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지만, 낮은 문화자본이주민들은 소비를 통해 모국의 자민족 정체성을 여전히 유지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위스튀너와 홀트(Üstüner & Holt, 2007)가 밝힌 사회경제적 조건이 이민자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잘 반영하지만, 이 과정에서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의 역할이 다를 수 있다는 가능성 또한 보여준다. This study presents as a research problem how cultural capital of migrants affects their consumer culture transformation. To solve this research problem,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rom January to March 2021 for 15 people who had moved from Morocco and Algeria to Korea for academic, business, and labor purposes. Based on the interviewers’ profiles and interview contents, we classified them into a high cultural capital group (9 people) and a low cultural capital group (6 people), and then analyzed the contents to find out wha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se two groups in relation to establishing consumer identity through consumption in Ko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igrants with high cultural capital pursued hybrid identity mixed with Korean, original, and global identity through various consumption activities in Korea, and performed consumer identities by choosing appropriate consumption activities that are suitable for the situ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low cultural capital migrants could not attempt various identities through consumption due to a lack of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this study named their identities as mono-identity that can be contrasted with hybrid identities. In addition, whereas high cultural capital migrants actively pursued global identity in Korea, low cultural capital migrants are not only maintaining but rather strengthening their home country's national identity through consumption. These results well reflect that, as Üststüner and Holt (2007) revealed, socioeconomic condi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immigrant identity, but also show the possibility that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roles may differ in this proc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