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단쇄 과불화화합물 처리용 비대칭 축전식 탈염 기술의 탈염 속도 특성 조사
전성범,민태진,임성일,이정규,윤진한,류경하,윤홍식 대한환경공학회 202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6 No.8
목적:본 연구는 비대칭 막 축전식 탈염 장치(ACDI)를 도입하고, 평가하여 수용액에서 단쇄 과불화화합물 (PFAS), 특히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PFBS)의 제거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기존 막 축전식 탈염 장치(MCDI) 시스템에서 음이온 교환막을 제거한 ACDI를 사용하였다. 전압 (0.5-1.2 V), 초기 농도 (50-500 mg/L), 그리고 유속 (1-5 ml/min)과 같은 주요 운전 변수들이 PFBS 제거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했다. 또한 경쟁이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염화 이온의 존재 시의 PFBS 제거 성능도 역시 조사되었다. 결과 및 토의:ACDI 시스템은 최대 탈염 속도 0.032 mg/g/s 로, CDI에서의 0.012 mg/g/s, MCDI에서의 0.01 mg/g/s 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전압을 0.5 V에서 1.2 V로 증가시킴에 따라 탈염 속도가 향상되었으며, 1.2 V에서 가장 높은 속도를 보였다. 더 높은 PFBS 초기 농도 또한 탈염 속도를 향상시켰으며, 50 mg/L에서 500 mg/L로 증가시켰을 때, 0.0009 mg/g/s 에서 0.032 mg/g/s로 증가했다. 최적의 유속은 이온 접촉 시간과 처리량을 균형 있게 유지하여 2 ml/min에서 가장 높은 탈염 속도를 나타냈다. 경쟁 이온인 염화물이 첨가되었을 때는 탈염 속도가 감소하여 PFBS 제거 효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전반적으로 ACDI 시스템은 PFBS 제거에 대해 뛰어난 탈염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단쇄 PFAS로 오염된 물을 처리하는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기술로서의 잠재성이 강조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 폐수에서 경쟁 이온이 제기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ACDI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symmetric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ACDI) in removing short-chain perfluoroalkyl substances (PFAS), specifically perfluorobutane sulfonic acid (PFBS), from aqueous solutions. This study offers important insights for the advancement of CDI technology in the sustainable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PFAS. Methods:ACDI was employed by removing the anion exchange membrane from conventional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The effect of key operational parameters such as voltage (0.5~1.2V), initial concentration (50~500mg/L), and flow rate (1~5ml/min) on PFBS removal efficiency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Additionally, PFBS removal performance in the presence of chloride ions was also investigated to determine competing ion effects. Results and Discussion:The ACDI system significantly outperformed both CDI and MCDI, achieving a maximum deionization rate of 0.032mg/g/s, compared to 0.012mg/g/s for CDI and 0.01 mg/g/s for MCDI. Increasing the applied voltage from 0.5V to 1.2V enhanced the deionization rate, with the highest rate observed at 1.2 V. Higher initial PFBS concentrations also improved the deionization rate, increasing from 0.0009 mg/g/s at 50 mg/L to 0.032 mg/g/s at 500 mg/L. The optimal flow rate was found to be 2 ml/min, balancing ion contact time and throughput, resulting in the highest deionization rate. The presence of competing ions, such as chloride, reduced PFBS removal efficiency, as shown by the decrease in deionization rate when NaCl was added to the feed solution. Conclusion:Overall, the ACDI system demonstrated superior deionization capacity and energy efficiency for PFBS removal, highlighting its potential as a sustainable and efficient technology for treating water contaminated with short-chain PFAS. Future research should address the challenges posed by competing ions in real-world wastewater to further optimize the ACDI system’s performance.
‘속도위반’ 부부의 여가제약 인지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전성범,이철원,김민정 여가문화학회 2014 여가학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useful references for leisure studies among married couples as a whole by analyzing the Leisure Constraints Perception of ‘unplanned pregnant’ married couples through grounded theory. The total of 6 legally married couples from Seoul and Gyeong-gi area, who were pregnant before the marriage and currently raising infa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selective coding’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 Corbin(1990, 1998). The result was formed with a total of 116 concepts, 18 sub-categories, and 9 upper-categorie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the relationship among six paradigm axes, which are causal conditions, context, phenomenon,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nd consequences were defined. Lastly, the study proposed the core category of ‘giving up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y’ by telling the overall story about how the six paradigms interact each other. The resul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leisure constraints’ perception of ‘unplanned pregnant’ married couple is more fundamental and stronger compared to the perception of those couples who planned or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혼전임신으로 결혼을 하게 된 ‘속도위반 부부’의 여가제약 인지가 어떠한 속성과 정도를 가지는지, 또한 그 과정과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전체적인 부부 여가 연구에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들은 현재 법적으로 부부관계이면서 영유아 자녀의 육아를 진행 중인 혼전임신 부부 중, 연구 면담 내용에 호의적인 자세를 가진 서울, 경기 지역 6명이었다. 수집된 면담 자료는 Strauss & Corbin(1990, 1998)의 ‘근거이론’분석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그리고 ‘선택코딩’의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그에 따른 결과로 총 116개의 개념어, 18개의 하위범주와 9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범주화 결과에 따라 인과적 조건, 상황적 맥락, 중심현상, 중재적 요소, 상호작용전략, 그리고 결과의 6가지 패러다임 간 관계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패러다임 요소들의 흐름을 이야기 전개를 통해 풀어내어 속도위반부부들의‘여가활동 참여 포기’라는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속도위반 부부들이 여가참여에서 제약을 더욱 강하게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배드민턴 참여자의 운동중독 요인이 자기결정이론의 무동기 상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성범,최진훈,이동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22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xercise addiction factors on amotivation state from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Data collected from badminton participants as a leisure-time sport were used.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criteria where one has to have participated in badminton within the last 6 months. A total of 351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flict and tolerance 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motivation. Second, attachment fact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motivation. Third, withdrawal symptom and obsession factor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motivation, which maybe indicating that interpersonal conflicts or factors have more effect on withdrawal motivation than internal problems.
스포츠 참여 동기 유형에 따른 스포츠 참여 수준의 변화 검증: 2021 국민생활체육조사를 바탕으로
전성범 한국체육학회 2023 한국체육학회지 Vol.62 No.1
본 연구는 스포츠 참여 동기 유형에 따른 스포츠 참여 수준의 변화를 검증하고 그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2021 국민생활체육조사의 표본으로부터 20대 이상 성인을 추출하여 생활체육 참여 동기 유형과 지난 1년가 생활체육 참여 수준 변화 관련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하여 빈도분석과 카이제곱 검정을 거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포츠 참여수준이 기존보다 감소할 확률은 성취/유능감 동기가 시간배분 동기의 1.205배 그리고 사회적 관계 동기가 시간배분 동기의 1.06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건강과 재미 동기는 각각 0.925배와 0.985배 스포츠 참여수준을 기존보다 감소시킬 확률이 시간배분 동기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참여수준이 기존보다 증가할 확률의 경우, 성취/유능감 동기가 시간배분 동기의 1.066배 그리고 건강 동기가 시간배분 동기의 1.13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관계 동기는 시간분배 동기보다 스포츠 참여수준을 증가시킬 확률이 0.565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미 동기는 시간분배 동기보다 스포츠 참여수준을 증가시킬 확률이 0.817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 참여에 있어 건강을 추구하는 동기가 스포츠 참여 수준을 지속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참여 수준을 증가시킬 확률도 높아 가장 영향력 있는 스포츠 참여 동기 유형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 참여에 있어 성취/유능감을 추구하는 동기는 스포츠 참여 수준을 증가시키는 확률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포츠 참여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개연성이 더 높은 확률로 나타났다. 재미를 동기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스포츠 참여를 지속시키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스포츠 참여를 증가시키는 영향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활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쌓고자 하는 동기는 스포츠 참여 수준에 가장 약한 영향력을 보이는 동기 유형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