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Synthesis of H-ZSM-5 as catalysts for reaction distillation process
전봉주,이동규,김권일,김동식,정헌도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1
에틸 및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는 각종 용제(코팅, 접착제, 잉크, 페인트, 화장품, 필름), 세정제, 원료(화장품, 의약품), 그리고 추출제로 사용되는 물질로 인체에 해가 적으며 환경친화적인 물질이다. 알코올과 초산을 원료로 하여 탈수 반응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반응증류공정으로 운전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주로 황산을 촉매로 하여 제조하고 있으나 황산 대신 고체산 촉매를 개발하여 이용하는 상대적으로 청정공정이라 할 수 있다. 고체산 촉매로서 성능이 우수한 ZSM-5의 합성은 고온 고압 하에서 알칼리 및 유기 템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두 물질은 ZSM-5를 생성시키는 기본적인 인자들로 널리 알려져 있다. ZSM-5 제올라이트 촉매는 실리카/알루미나 비가 높고 10-산소고리의 특이한 세공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다른 제올라이트보다 형상선택성이 우수하고 비활성화정도가 낮으며 높은 Si/Al비에 따른 열적 안정성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과 카르복실산을 이용하여 에틸 및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를 합성하는 반응에 촉매로 사용하기 위하여 H-ZSM-5를 합성하였다. 먼저 Si/Al ratio, Alumina source, 반응 온도, 소수성, 결정 구조 등을 고려하여 Na-ZSM-5를 제조하고 NH4Cl, HNO3, NH4NO3등을 사용하여 H-type으로 이온교환을 해서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이동현상 : I-13 ; H-ZSM-5의 제립 조건 및 Binder에 따른 반응특성 연구
전봉주,정헌도,김권일,김동식,이동규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2
알코올과 초산의 반응을 통해 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이 반응은 물이 생성되는 탈수 반응이다. 탈수 반응용 촉매로는 황산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황산의 경우 촉매 성능은 우수하나 부식문제와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물질이다. 따라서 대표적인 에스테르의 하나인 에틸아세테이트 합성을 위한 반응증류공정에 황산 대신 고체산 촉매를 사용하면 환경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운전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리카 함량이 높은 펜타실 제올라이트 계열의 ZSM-5촉매는 다양한 반응에 응용되고 있는 우수한 공업 촉매로 X, Y 제올라이트에 비해 강한 산성도를 지니므로 반응증류공정에 적용이 적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H-ZSM-5를 합성하기 위해 여러 반응 조건(Si/Al 비, 알루미나원, 반응 온도 등)을 고려하여 Na-ZSM-5를 제조하고 NH4NO3 용액을 사용하여 이온교환을 하였다. Acid clay, Bentonite, Clay, Na-Montmorillonite, Ca-Montmorillonite등의 binder를 이용해 조성 및 소성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제립하고 강도 측정 및 에틸아세테이트 생성에 대한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결정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XRD, SEM 등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으며, 이온교환 정도 및 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ICP, TPD를 사용하였다.
전시회 명성 대비 만족도의 선행요인과 충성도 간 영향관계
전봉주,최정자 한국무역전시학회 2018 무역전시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위의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전시회 참관객 관점에서 전시회 충성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명성 대비 만족도의 영향을 비교분석함과 동시에 이들의 선행요인인 전시회의 지각된 품질, 가치, 이미지와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명성과 만족도의 이중 매개효과를 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설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인증을 받은 UFI 국제인증전시회로 선정하여 KINTEX와 COEX에서 4월 22∼26일(5일간)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기재가 부실하거나 중심화 경향이 심한 설문지 42부를 제외하고 177부의 B2B전시회와 181부 B2C 전시회 참관객으로부터 수집된 총 358부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먼저, 전시회 명성은 전시회의 결과적 품질과의 관계에서만 유의성을 나타냈고, 전시회 만족도는 전시회의 과정적 품질, 이미지, 그리고 가치 간 유의미한 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전시회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은 지각된 과정적 품질, 이미지, 그리고 가치인 반면, 전시회에 대한 만족도가 충성도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전시회 명성과 만족도의 이중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전시회 명성과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매개효과를 지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z=1.554, p<.05). 연구결과는 전시회의 충성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명성과 만족도의 영향과 그 선행요인들과의 관계에 대해 전시회 주최자들에게 의미 있는 함의를 제공하고 이는 지속가능한 전시회 구축과 전시산업의 장기적인 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ich antecedent variables of reputation vs. satisfaction, including exhibition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image, impact loyal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ata a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wo exhibitions which are identified as “UFI approved events”, meaning a proof of high quality, thus providing exhibitors and visitors alike with the assurance of making a sound business inves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ly the perceived consequent quality of exhibitions has significant impacts on reputation, while the perceived procedural quality and value have significant impacts on satisfaction. It is proved hat satisfaction doesn't guarantee loyalty, but reputation leads to loyalty. It implies that exhibition participations perceive the reputation as the resulting quality of exhibitions. On top of that, this study has presented a practical operating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