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인기능 중심의 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술에 미치는 효과

        전보성 ( Bo-sung Jeon ),조인수 ( In-soo Ch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1

        본 연구는 특별한 교육적 욕구를 가진 정신지체학생들에게 실제적인 현장인 지역사회에서의 교육을 통하여 한 사람의 성인으로서 독립적인 사회적응을 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체득하고 자연스러운 사회통합의 기초적응능력을 향상시키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인기능 중심의 전환교육활동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고자 하며 그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대인기능 중심의 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응기술(기본생활영역, 사회자립영역,직업생활영역)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를 밝힌다. 여기서 연구된 내용은 사회와 특수교육현장에 일반화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또한 정신지체 직업.전환교육에 좋은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며 타장애영역 학생들의 직업진로 및 전환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out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function-based transition program on skills adapting to community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selected 21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cluding 1 graders at high school course who are enrolled in special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in A City. The instrument of this employed interpersonal relation function-based transition program, which is reconstructed as interpersonal-functional centered transition curriculum, which applied to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bout 50 sessions for 7 month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relation function-based transition program have an effect on their community integration skills.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 function-based transition program have an effect on their basic living field. Third, interpersonal relation function-based transition program have an effect on their social self-reliance field. Fourth, interpersonal-functional centered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have an effect on their occupational living field. The suggestions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relation function-based transition program have an positive effects upon total sub-domains in community integration skills domain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because the effect of daily life based transition program is insufficient without participation of school, home, local community, public institution, effort for active participation of these institution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effect of interpersonal-functional centered transition program about long-term generalization and to practice follow-up study about the change of each item according to sub-areas of program. Fourth, this study investigated only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 function-based transition program on residing community integration skills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But enlargement applying to vocation adaptation, vocation achievement, the preparation of vocation guide, and so on, is needed in the future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전환교육 실태조사

        전보성 ( Bo Sung Je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고등부 전환교육의 운영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을 탐색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고등부 전환교육의 운영실태는 9개 영역으로,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7개 영역을 중심으로 세부적인 내용을 조사 분석하였다. 여기서 조사.분석된 내용은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직업.전환교육에 좋은 지침이 될수 있을 것이며, 타 장애영역 학생들의 직업진로 및 전환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것이다. The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manage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ransition education in high schools for thementally retarded.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9 domains on current state of management of transition education, and 7 domains on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ransition education.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have an focus on skills needed atsocial adaption when schools set a goal. Therefore, core vocational curriculum in high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is stressing adaption and participation to society. In current practicing contents and method of transition education, it is done by schools`` policies through council of teachers. Transition`` programs is for work practice and work learning and transition education is done in time for vocational instruction by teachers charging for vocation. Second, in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ransition education, problems at starting work is because schools have a difficulty at screening of businesses. The problems, in planning and practicing of transition education in high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is because of wanting of institution, arrangement, programs. The desirable period of transition education, teachers thought a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competencies required for transition education teachers, teachers thought ability for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ning, and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learners, knowledge for vocation, closer cooperation with business and industry, guideline for work, instruction for daily living skills and so on. The findings good guideline for implementing transition education in high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 KCI등재

        장애학생의 중등교육이후 “고용”으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전보성 ( Bo Sung Jeon ),정희섭 ( Hee Sup J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중등학교 과정에서 장애학생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용``으로의 전환을 위한 교육 현실을 간략히 살펴보고, 그 이후 한국현실의 법령과 행정을 감안한 고용으로의 전환교육 성과확대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학교에서 지역으로의 성공적인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이 ``고용``이라고 한다면, 중등교육 이후에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장애성인들의 전반적인 고용률이 낮고, 고용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고용상태가 불량하며, 직장 적응의 문제로 이직률이 높고, 직업이동에 따른 훈련·알선 기회가 적고, 지역사회의 장애성인 고용을 위한 준비 및 지원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들이 도출되었다. 이에 기반하여, 중등교육이후에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고용으로의 전환교육은 전환 관련 법령의 체제적 정비, 직업 교육과정 운영의 유연성 확대, 학교와 직장을 연계하는 효율화 방안 강구, 현장 친화적 직업교육 모델의 구안 밑 실천, 취업 활성화를 위한 학교와 사업체 지원 등의 확대·적용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하편, 본 연구에서는 국가차원의 중등교육 이후 진로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성과 연도별 추이의 지속적인 추적조사 실시, 장애학생의 고용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해당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및 연계에 관한 천적인 체제구축 방안 등의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study was to review briefly educational situation for transition to 'employment' for disables student in secondary education course and to suggest plans to extended transition education to employment considering Korean legal and administrative circumstances. If the most important thing of many factors to affect successful transition from school to local community is 'employment', there are many prlblems: employment rate of disabled adults after second education who live in local society is generally low. Even though they are employed, the environment is poor and because of problems from workplace adjustment, rate of taking up another employment is higher. Even training courses and recommendations are rare and preparations and supports for their employment in local society are barely done. Based on them, transition education to successful employment for disabled students after their secondary education, needs systemtization of transition-related laws and regulations, extension of management of flexibility of job training courses. extension and application of supporting schools and busimesses for invigorating employment. This study also suggests future studies including to build practical systems for collaborations and liaisons between the schools and local society in order to conduct national level continual tracing surveys of general tendencies and annual changes about career situations after secondary education and to transit employment for disabled students.

      • KCI등재

        프랑스의 형집행판사

        전보성(Jeon, Bo-Sung)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0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2 No.2

        미국, 일본의 경우 형사절차상 범죄자 및 범죄사실의 확정을 위한 판결은 사법부가, 형의 집행은 행정부가 담당하고 있고, 이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도 형집행의 권한은 행정부에 귀속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그것을 당연하다고 여겨왔다. 그러나 입법례로 볼 때 행형 또는 형의 집행을 행정부가 담당하여야 하는 데 논리적인 필연성이 있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형사판결의 확정 이후 형집행절차를 행정부가 아닌 사법부가 담당하여야 한다는 사상이 대륙법계 국가에 보편적으로 퍼져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대륙법계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형집행절차를 법원이 담당하거나 형집행판사 제도를 두고 있는 법적, 이론적, 연혁적 배경과 그 이유가 과연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행형 또는 형집행절차에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다만, 형집행판사 제도가 가장 발달되어 있고 그 제도가 완비되어 있는 프랑스의 형집행판사에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La notion selon laquelle le magistrat du siège doit se charger de l'exécution ou l'application des peines à la place du magistrat du parquet est très répandue aux pays européens. Au contraire c'est le procureur qu'assume l'exécution des peines aux Etas-Unis, au Japon et à la Corée du sud. C'est pourquoi que cette mémoire met l'accent sur l'arrière-plan théorique, social ou juridique de ce que le juge s'occupe de l'exécution des peines. Le backgroud théorique se trouve en trois idée : la défense sociale nouvelle, l'individuallisation des peines et la tradition juridique selon laquelle le juge doit assume le rôle important concernant l'exécution des peines depuis le droit romain. L'arrière-plan social est découvert à la surpopulation carcérale depuis la second guerre mondiale et à des réaction pour résoudre des problèmes de la surpopulation. Finalement on peut chercher la cause juridique dans la convention européenne des droits de l'homme, surtout l'article 6 et dans la jurisprudence de la Cour de Strasbourg. Comme le montre l'arrêt Golder, la Cour a condamné solenellement que la justice ne saurait s'arrêter à la porte des prisons et rien, dans les cas appropriés, ne permet de priver les détenus de la protection de l'article 6. Une série de réformes qui s'appuie sur les backgrouds lesdits au sujet de l'exécution des peines depuis des années 1950 sont donnée. Il y a trois occasions importantes dans des cours de réformes. En premier lieu, le juge de l'application des peines est introduit au système du droit pénal français au 23 décembre 1958. Deuxièmement la commission de l'application des peines est implantée et le pouvoir du juge de l'application des peines est agrandit par voie des réformes législatives entre 1970 et 1976. Finalement, la loi n° 2000-516 du 15 juin 2000 renforçant la protection de la présomption d'innocence et les droits des victimes et la loi n° 2004-204 du 9 mars 2004 portant adaptation de la justice aux évolutions de la criminalité font juridictionnaliser la procédure de l'application des peines. Donc les lois abolient l'attribution du ministre de Justice sur la libération conditionnelle et inventent le tribunal de l'application des peines en tant que le premier degré, la chambre de l'application des peines de la cour d'appel en tant que le deuxième degré et des voies de recour contre la décision du juge de l'application des peines et du tribunal de l'application des peines. Le système du juge de l'application des peines français nous fait comprendre beaucoup de choses concernant la réforme sur le système de l'exécution des peines coréenn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기본교육과정 체육1 교과서 내용 분석

        도성화 ( Sung Wha Do ),전보성 ( Bo Sung J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0 지적장애연구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체육1 교과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체육 교과서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과서는 체제와 내용의 두 가지 준거를 고려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내용 분석법 (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여 특수학교 체육 관련 전문가와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교과서 체제는 차례를 제외하고 178쪽으로 되어있으며 체조활동 32쪽 (18%), 육상 활동 36쪽(20.2%), 놀이·게임 및 스포츠 50쪽(28.1%), 표현 활동과 무용 20쪽(11.2%), 체력 운동 18쪽(10.1), 보건과 안전 22쪽(l2.4%)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둘째, 교과서 내용은 각 하위 내용 영역의 접근 방법에서 차이가 있었다. 학습 내용 전개에 있어서 영역 간 위계성이 부족하고 중복되는 내용이 있었다. 삽화와 사진은 명료하지 못하고 잘못 표현된 것이 있었다. 이런 내용들은 학생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여 학습 결 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학생들의 수준 보다 높은 내용이 제시 된 부분이 있었다. 이런 내용은 체육교육을 통한 학습목표 달성에 방해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수정의 필요성이 있었다. This study is analyzed the Physical Education Text Book 1 of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 which will form the basis through analysis and propose the component plan of The Physical Text Book 1. Text Book is analyzed considerable two standards of the system and contents, the collected date is applied a content analysis, and is analyzed by physical teachers and related experts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ystem of Text Book was composed with all of 178 pages except the content. Among them, there are gymnastics 32p.(18%), track and field 36p. (20.2%), playing games & sports 50p. (28.1%), expression activities & dance 20p. (11.2%), physical strength and athletic abilities 18p. (10.1%), and Health & safety 22p. (12.4%). Second, the contents of Text Book were difference of approach methods about each sub-contents domain. They were the lack of rank among areas and overlapped parts i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ntents, and contained unclear illustrations and pictures, also wrong expressions. These might give wrong information to students, and might influence to the results of learning badly. We gave higher things than students level in the some components of contents. These things are needed the modification due to be able to obstructive factor for the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 though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