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극도설』 해석에 나타난 주자(朱子)와 장남헌(張南軒)의 공부론(工夫論)

        전병욱 ( Jeon Byoung-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4 No.-

        남송(南宋)이 건국되고 얼마 되지 않아 주렴계(周濂溪)의 「태극도」와 「태극도설」이 주진(朱震)의 『한상역전(漢上易傳)』에 수록되어 황제를 비롯한 대중에게 소개되었다. 그 뒤로 주렴계의 『통서(通書)』가 여러 곳에서 출판되었는데 그 속에는 대부분 「태극도」와 「태극도설」이 포함되어 있었다. 주자(朱子)와 장남헌(張南軒)는 이 『통서』를 교정하고 편집하여 출판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나중에는 『태극도설』과 『통서』를 분리하여 유통시켰다. 주자와 장남헌은 처음에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에 대한 해석부터 동정(動靜)의 공부론에 이르기까지 여러 의견이 대립하였다. 주자가 ‘미발(未發)’의 문제로 고민하고 있을 때 장남헌은 세계의 본질은 ‘무극(無極)’이며 그 속에 세계의 이치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태극이라고 부르는 것일 뿐이라고 설명하여 주자가 ‘미발’을 미지의 본체로 상정하는 중화구설(中和舊說)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후 주자는 중화신설(中和新說) 시기에 『태극도설』의 ‘주정(主靜)’을 이정(二程)의 공부법인 ‘주정(主敬)’과 조화시킬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太極이 動靜을 아우르는 것처럼 그 공부인 敬도 동정을 아우르고 주정은 전체 경(敬) 공부의 근간이라는 관점을 정립하였다. 장남헌은 ‘입인극(立人極)’을 처음에는 ‘성인이 다른 사람을 위해서 삶의 보편적인 표준을 세운다’라는 의미로 해석하다가 나중에는 ‘성인 스스로 자신의 인극(人極)을 정립(定立)한다’라는 의미로 고쳤다. 이 부분에 대한 주자의 설명은 모호한 감이 있는데 장남헌의 이 해석을 통해 그 의미가 한결 선명해진다. 이렇듯 『태극도설』에 대한 주자와 장남헌의 해석은 본체론뿐만이 아니라 성리학의 공부론을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자료이다. Not long after the Southern Song Dynasty (1127-1279) was founded, Hanshanzhg's theory of Yi made Taijitu and the Annotations to Taijitu public. Since then, Zhoudunyi's Tongshu has been published in many places, and it contained Taijitu and Taijitushuo(the explanation to Taijitu). Zhuxi and Zhangshi made a lot of effort into correction, editing, and publishing of Tongshu to complete the common edition, and made annotations about it. They were odds with each other regarding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because the had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between Wuji and Taiji, however, they finally reached a consensus through discussion. Zhangshi insisted that jing靜 in zhujing主靜 meant wuji無極 at first, accepted Zhuxi's interpretation that this jing was tranquility of action's antonym. At a time when Zhuxi was agonizing over how to reconcile zhujing主靜 and zhujing主敬, he met Zhangshi to discuss the issue of taiji and found a clue to the solution. Zhangshi first interpreted lirenji立人極 as 'the sage sets the standard of life for others', and later changed it to 'the sage achieves his own virtue'. Zhuxi's explanation for this part was unclear, but Zhangshi's interpretation made the meaning clearer. When Zhuxi was concerned about weifa未發issue, Zhangshi helped him establish the old theory of zhonghe中和, and taiji was an important topic they discussed at the time. Zhangshi explained, "The world's origin is wuji and it is also called taiji because wuji contains all kinds of principles. " This view led Zhuxi to assume weifa未發 was the unknown noumenon. At that time, Zhuxi only vaguely claimed that jing敬 was the key. Then, after establishing the new theory of zhonghe中和, Zhuxi considered zhujing主靜 as the basis for studying the jing敬. Zhangshi first thought that the moral standards were set up by Sage, but later he accepted Zhuxi's argument and established the theory that everyone should base their inherent nature on morality. As such, the interpretation of taijitu and the Annotations to Taijitu by Zhuxi and Zhangshi is a key not only to understanding their ontologies but also to the reinterpretation their theories of self-cultivation.

      • KCI등재

        장횡거(張橫渠) 철학에서 심통성정(心統性情)의 의미

        田炳郁 ( Jeon Byoung-ok ) 퇴계학연구원 2020 退溪學報 Vol.147 No.-

        이 글은 張橫渠의 心統性情論을 그의 전체 철학 체계 속에서 조명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心統性情이라는 언명이 장횡거 전체 체계와는 맞지 않다는 관점을 비판하고 장횡거의 여타 철학적 이론들과 유기적인 관련성을 가진다는 점을 밝혔다. 장횡거의 철학에서 性은 天道와 합일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情은 한 개체가 性을 근거로 외부세계와 감응하여 발현하는 운동방식이다. 心은 性이라는 존재양식과 情이라는 운동방식이 구현되는 장소이자 性과 情에 대한 실천적 주체이다. 心의 知覺은 太虛로부터 잠시 형성된 客形인 한 개체가 세계와 소통하는 방식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태허의 관점에서 볼 때 한 개체의 性은 일시적 존재양식이자 운동방식일 뿐이지만, 한 개체의 관점에서 볼 때 性은 자신의 고유한 노력을 통해서 구현해야 할 도덕적 목적이다. 장횡거의 철학에서 盡心과 成性이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에서 보듯이 心이 性情을 온전히 이루는 일은 자신의 구현하는 길이기도 하다. 장횡거는 心統性情이라는 언명을 통해 사람이 도덕적으로 살아야 할 이유에 대해 정합적인 설명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that sheds light on Zhang Zai’s Theory of Xin-Tong-Xing-Qing in his whole philosophical system. Some researchers argue that his theory is inconsistent with his other theoretical system. This study criticized that view and revealed that this statement is not only coherently understood in his theoretical system but also the most fundamental theory. In his philosophy, nature is the natural form of existence given to an object and is considered to be united with Tiandao (天道). Since Xing (性) and Qing (情) are regarded as noumenon and function, Qing is an exercise in which an object responds to the outside world based on Xing. Xin (心) is an existential entity in which the existential form of Xing and the exercise method of Qing are located, and is a practical entity that implements Xing and Qing in the most complete way. Zhijue (知覺) of Xin refers comprehensively to the way an object, a Kexing (客形) formed briefly from Taixu (太虛), communicates with the world, and the way it embodies noumenon and function is also included in this area. From the point of view of Taixu (太虛), an object is a natural temporary form of existence, but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object, it is a moral purpose to implement through its own unique efforts. An object is not a lasting self because it is a creature that emerges from Taixu and retains its aspect as the subject of perception and action for a while, but is scattered back to Taixu. Therefore, as shown by the fact that Jinxin (盡心) and Chengxing (成性) are used in the same meaning, to realize the nature also means to exert the whole ability of the heart. His theory suggests a coherent explanation of why one should live morally.

      • KCI등재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의 인심도심(人心道心) 사상

        전병욱 ( Jeon Byoung-ok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8 퇴계학논총 Vol.32 No.-

        이 글에서 논자는 穌齋 盧守愼을 한국 도학파의 한 계승자로서 조명하였다. 靜庵 趙光祖 이래로 道學者들은 성균관 교육체계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성리학 공부에 있어 개념이나 이론체계를 익히는 것보다는 『소학』을 평생 읽으면서 그 안의 규범을 실천해 나가도록 권장하였다. 그들은 朱子의 정신으로 돌아가 주자처럼 스스로의 사유와 실천을 통해 자신의 철학 체계를 세우려고 하였다. 穌齋는 바로 이 도학 전통의 분위기 속에 성장하였으며 高峯 奇大升과 栗谷 李珥도 이 계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退溪 李滉의 경우는 이 기존 한국의 도학자들과는 달리 독서를 비롯한 格物致知를 중시하는 입장을 가졌다. 그는 元나라 시기 학자들의 성과를 朱子학술의 주류적 발전으로 긍정하여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퇴계가 주도한 새로운 사조가 형성되는 시기에 穌齋는 기존 도학자들처럼 실천을 통해 자신의 철학을 구축하려고 노력하였고 그 과정에서 整庵 羅欽順의 도움을 빌리기도 하였고 陽明王守仁의 도움도 받았다. 퇴계와 소재 사이의 대립을 한국 도학파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려 한 입장과 도학의 전통 위에 관학의 전통까지 통합시키려 한 입장 간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소재의 人心道心說은 율곡이 그 방향을 일부 계승하고 동시에 조금 더 원만한 방식으로 발전시킨 뒤로는 성리학의 발전사에서 그다지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조선 학자들 중에서 거의 처음으로 주자와 다른 학설을 과감하게 주창한 소재의 인심도심설은 조선성리학의 발전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In this article, I shed new light Noh Soo-shin as a successor to Dohak school. Dohak school who focus on moral practice are critical of school education centered on Sungkyunkwan. Rather than learning about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Neo-Confucianism, they encouraged reading Xiaoxue(小學) and practicing its rules for life. They returned to the spirit of Zhuxi and tried to build their own philosophy through reason and practice, just like Zhuxi. Noh Soo-shin grew up in the very spirit of this Dohak school. Toegye, unlike this common Dohak school's scholar, has a position that values reading and research. He actively accepte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early scholars of the Yuan Dynasty as the development of Zhuxi's phiolosophy. However, Noh Soo-shin tried to build his own philosophy by himself and borrowed Luoqianshun's help in the process, as well as Wangyangming's help. It may be an interpretation to understand the contradictions between Noh Soo-shin and Toegye as a conflict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school to inherit and develop Dohak and the school to integrate the Sungkyunkwan' education. As Yulgok inherited Noh Soo-shin's theory and developed further, it seems that his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no longer had an influence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Chosun. However, research on his theory will have to be conducted more actively in order to gain a comprehensive view on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of Neo-Confucianism in Chosun.

      • KCI등재

        일반논문 : “혈구지도(혈矩之道)”에 대한 해석을 통해 본 주자의 공동체 윤리

        전병욱 ( Byoung Ok Jeon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3 No.-

        朱子는 혈矩之道를 두 가지 방식으로 해석하였다. 하나의 해석은 “남의 마음을 가늠할 때 공평한 기준을 사용한다는 원칙”이고, 다른 하나의 해석은 “남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잘 헤아려 남도 나와 같이 공정한 몫을 얻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두 입장은 모두 타당한 논거를 가지며 “平天下”章의 전체적인 논지에도 합당하다. 결국 혈矩之道는 위의 두 해석을 모두 아우르는 것이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남의 마음이 어떠할지를 가늠할 때는 나의 마음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남의 마음을 알고 난 뒤에는 그에게 정당하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잘 헤아려서 그도 나와 같이 공정한 몫을 얻도록 하는 방식”이 혈矩之道의 의미이다. 이 논문의 첫 번째 임무는 이 점을 밝히는 것이다. 이 혈矩之道는 모든 상황에서 통용되는 행위의 규범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治國이 이미 이루어진 상황에서 비로소 요구되는 것이 이 혈矩之道이다. 治國이 이루어진 상황이란, 위정자가 가정 내에서 행하는 도덕적 실천에 모든 사람들이 감화를 받아 그들 자신도 가정 내에서 도덕적으로 살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된 상황이다. 그러므로 위에서 말한 ‘남의 마음’이란 가정 내에서 도덕적으로 살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된 마음을 가리키며, ‘나의 마음’이라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정 내에서 도덕적으로 사는 것을 좋아하는 위정자 자신의 마음이다. 『大學』 傳9章에서 쓰인 ‘恕’는 독특한 의미를 가진다. 그것은 바로 治國을 이룰 수 있는 위정자의 내면적 조건으로서, 스스로가 도덕적 모범을 보이려고 하는 자세를 가리킨다. 이렇듯 위정자가 ‘恕’를 통해 治國을 이루었을 때 비로소 혈矩之道가 요구된다는 사실을 밝히는 이 논문의 두 번째 임무이다. 그리고 君子가 혈矩之道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格物致知와 誠意正心의 도덕적 수양이 먼저 전제되어야 하며, 혈矩之道의 구체적인 적용 대상은 경제 문제와 인사 문제라는 사실을 설명하는 것이 이 논문의 나머지 내용이다. Zhu Xi interpreted the principle of xieju (혈矩之道) in two ways. One was “the principle that uses the standard of being impartial in judging others` minds-and-hearts.” Another was “the principle that make others receive their share as if I would do.” Both these ways are well-grounded in “the chapter of ping tianxia” (“平天下”章), converging on the point that “when I judge others` minds-and-hearts, one uses one`s mind-and-heart as the standard, and after judging others` minds-and-hearts, make them receive their share impartially as if one would do.” This is what I would like to show first in this article. The principle of xiejiu cannot be applied entirely to all circumstances. It can be applied under the condition of the well-ordered state, in which people, inspired by those who govern them morally, live their life with morality in their family. As a result, “others` minds-and-hearts” mentioned above means what they live their life with morality in their family, and so does one`s own mind-and-heart. In this regards, “shu” 恕 in the Daxue 大學 is important in the sense that those who govern people should have the attitude of “shu” as an inner condition inside their minds-and-hearts. This is the second purpose I have in this article. The remaining revolves around the point that one should cultivate oneself morally before executing the principle of xieju, which is mainly applied to economic and political issues.

      • KCI등재

        생사(生死)에 대한 원초적 욕망을 넘어서: 정도전(鄭道傳)의 유교적 행복론

        전병욱 ( Byoung Ok Jeon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4 No.-

        이 글은 인간의 욕망과 행복에 대한 鄭道傳(1342~1398)의 관점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행복의 표준과 관련하여서는 3가지의 주요 이론이 존재한다. 가장 많거나 가장 좋은 즐거움을 느끼는 상태를 표준으로 삼는 쾌락주의, 바라는 만큼 욕구가 충족된 상태를 표준으로 삼는 욕구이론, 개인의 선호와는 상관없이 객관적인 조건을 표준으로 삼는 객관적 목록이론이 그것이다. 이를 다시 좁혀 본다면, 욕구를 만족시켰을 때 행복해진다는 발상과 어떤 객관적 가치가 실현되었을 때라야 행복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는 발상으로 분류해볼 수 있겠다. 하지만 고대의 많은 사상들은 욕구의 만족과 객관적 가치의 실현을 일치되는 일로 이해한다. 정도전이 보기에 불교와 도교는 행복을 개인의 욕구만족으로 이해하며 각각 마음의 淸淨과 氣의 寧靜을 이루는 것을 행복의 경지로 간주한다. 마음의 절대적 실재성에 주목하는 불교는 육신으로부터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는 마음의 淸淨상태를 이루고자 한다. 도교는 氣의寧靜을 이룬 상태를 행복으로 간주하여 마음의 간섭을 최대한 배제하려고 한다. 마음의 부질없는 판단이 氣의 寧靜을 깰 수 있다고 여기기때문이다. 정도전은 성리학의 입장에서 인간의 진정한 행복과 관련하여 理의 특별한 위상에 대해 주목하는데, 理란 사람에게 당위로서 주어진 것이면서 마음의 욕구로 발현된다. 理가 사람에게 당위일 수 있는 까닭은 사람의육신이 理라는 원리에 따라 생성되었고, 사람의 마음에 이 理가 仁義禮智라는 품덕으로 내재하여 감정으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정도전은 우리가 마음과 몸으로 이 공공의 원리를 최대한 구현해내는것이 최상의 행복이라고 여긴다. 잠재된 당위의 원리를 온전히 실현하는데서 행복을 얻는다고 본다는 점에서 정도전의 행복론은 욕구만족을 행복으로 보는 관점과는 다른 것으로 보인다. 정도전은 유교의 전통에 따라 仁, 義, 禮, 智와 같이 공공의 원리에 해당하는 목록들을 진정한 행복을 얻는 조건으로 제시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는 이 인의예지를 객관적으로 주어진 규범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현실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억제할 수 없는 도덕감정``이 인의예지의 규범성을 담고 있다고 본다. 원래 유교는 衆人들에게도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억제할 수 없는 도덕감정``을 바탕으로 더 나아가 君子만이 알 수 있고 체험할 수 있는 도덕 감정의 규범체계로까지 발전시켜 나가려고 하였다. 이러한 일관성과 연속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면 陸象山이나 王陽明의 이른바 心學으로 기울게 되는데, 반대로 그것을 부정할 경우 유교는 禮지상주의가 되어버린다. 心學은 내면의 도덕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최고의 행복을 가져온다고 주장하는 셈이고 禮지상주의는 객관적인 禮法을 따르고 지킬 수 있을 때 인간은 진정한 행복에 이른다고 주장하는 셈이다. 성리학은 이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서 조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겠지만, 현실에서는 대체로 어느 한쪽으로 경도되는 모습을 드러낸다. 정도전의 경우 인간에게 가장 본질적인 것이 무엇이냐의 문제를 인간의 궁극적 본성은 무엇인가를 묻는 방식으로 대답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유교의 규범들과 인간의 궁극적 본성이 일관성과 연속성을 갖는다는 점을 중요하게 부각시켰다. 사람이 자신의 도덕적 본성을 최대한 만족시킬 때 그것이 바로 객관적 규범에도 맞으며 그 상태가 바로 최고의 행복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Jeong Do-jeon``s perspective on the desires and happiness of human beings. Many western thinkers in antiquity believed that meeting desires is equivalent to the realization of objective values. In Confucianism, as well as Daoism and Buddhism, what is the most desirable and valuable also comes from human desires. In others words, there is no objective values that people do not desire. According to Jeong Do-jeon, both Buddhism and Daoism see xin 心and qi 氣as the essence of human beings and, therefore, the realization of human essence is the most objective value. However, Jeong Do-jeon criticizes Buddhism and Daoism on that grounds that the human essence is li 理, of which the core content is ren 仁. His position is in line with the idea that in meeting their moral essence fully, human beings are fit for objective standards and are in the happiest state.

      • KCI등재

        潛冶(잠야) 朴知誡(박지계)의 格物說(격물설)

        전병욱 ( Byoung Ok Je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61 No.-

        이 글은 17세기 전반기에 활동했던 잠야(潛冶) 박지계(朴知誡)의 격물설(格物說)에 대한 연구이다. 잠야는 격물(格物)과 관련한 논변에서 논적들이 어떤 형태로든 주자 (朱子)의 이론을 벗어나려는 의도를 가졌다고 비판하고 자신은 주자(朱子)의 학설을 묵수(墨守)한다고 자처하였다. 그는 주자(朱子)의 학설을 그대로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뇌동(雷同)해야 한다고까지 극언하였다. 이런 점에서 그는 주자학(朱子學) 묵수주의자로 평가될 수 있다. 한편 그는 율곡(栗谷)의 정통을 계승한 사계(沙溪)의 이론에 맞서기도 하였기 때문에 주자학(朱子學)을 비판하는 입장에 서 있었던 것처럼 평가되기도 한다. 사계(沙溪)의 학문만을 주자학으로 간주한다면 성립될 수 있는 평가이다. 잠야는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큰 상처를 입은 주자학을 새롭게 정립하는 일을 담당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있었고, 그것의 첫걸음으로 격물(格物)의 의미를 정확하게 밝혀내는 일에 주의를 기울였다. 잠야 격물설(格物說)의 근본 종지(宗 旨)는 ‘인식능력을 완벽하게 정립하기 위해서는 외재적인 사물을 남김없이 사색 (思索)하고 궁구(窮究)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그의 논적인 만회(晩悔)가 격물(格物)이라는 용어를 ‘인식대상인 物이 인식주체로 이르러오는 과정’로 이해한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논변과정에서 주자(朱子)가 ‘격(格)’자를 ‘지(至: 이르다)’로 풀이한 까닭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항을 지적하였다. 말하자면 그는 ‘지(至: 이르다)’란 인식주체 가 인식대상으로 향해간다거나 인식대상이 인식주체로 향해온다는 의미가 아니 라, 사색(思索)과 궁구(窮究)라는 공부의 진척 정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 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주자학의 격물설(格物說)과 관련하여 훈고(訓□)와 이론 사 이의 괴리라는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다. 잠야 박지계의 격물설에 대한 연구인 이 글은 17세기 조선 성리학의 발전상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 있어 하나의 단초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Jam-ya Pak Ji-gye`s theory of Ge-wu in the early 17th century. Jam-ya criticized his opponents in argument related Ge-wu, stating that they wanted to break free in any way. He also considered himself a follower of Zhu-xi`s theory. He insisted in following the theory as it was and even extremely said to follow it thoughtlessly. In this sense, he can be regarded as an adherent. However, he also was judged to be critical of Zhu-xi`s theory because he sometimes stood against Sa-gye`s theory which maintained Yul-gok`s authentic theory. This judgment is reasonable if Sa-gye`s studies are regarded as Neo-confucianism (the teachings of Zhu-xi). Jam-ya retained his enthusiasm for newly establishing Neo-confucianism which had been damag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paid attention to examining the exact meaning of Ge-wu as his first step to establishing a new definition of Neo-confucianism. Jam-ya`s ultimate principle was ‘in order to establish perfect awareness ability, extrinsic objects must be contemplated and investigated.`` He criticized his opponent Man-hoi because Man-hoi understood ge-wu to mean ``the process of the recognition object (wu) coming to the recognition subject.`` He pointed out essential matters in his arguments related to the reason why Zhu-xi`` interpreted ‘Wu 物’ into ‘Ji 至 (reach).`` In other words, he argued that ‘Ji’ had to be interpreted as the stage of speculation and investigation progress, neither as the recognition subject approached the recognition object nor vice versa. It carries an important meaning to provide a clue to solve the gap between the explanation and theory related to the theory of Ge-wu in Neo-confucianism. We expect this article about study on Jam-ya Pak Ji-gye`s theory of Ge-wu will be an essential clue for understanding Neo-confucianism`s entire state of development in the seventeenth century of Joseon.

      • KCI등재

        주자 인심도심설의 궁극적 관심

        전병욱 ( Jeon Byoung-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40 No.-

        이 글은 주자 인심도심설의 궁극적 관심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주자의 인심도심설은 많은 여러 논의들이 결합되어 복잡한 양상을 드러낸다. 남당 한원진은 주자의 인심도심설을 초설과 후설로 나누었으며 현대의 연구자들 중에도 논의의 출현 시기를 근거로 주자의 만년정설을 가려내려는 시도를 해왔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의 가치를 충분히 인정하면서도 주자의 인심도심설에 일관되게 견지되는 궁극적 관심은 무엇일까라는 또 다른 문제에 대해 조금 더 천착하였다. 인심과 도심을 대립적인 것으로 규정하는 듯이 보이는 설명이나 인심 속에 도심이 내재한다는 설명이 사실은 모두 의식주체인 마음의 단일성을 주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상이한 표현일 뿐이라는 점에 주목한 것이다. 그리하여 논자는 이 글에서 인심과 도심의 원천에 대한 논의나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한 논의도 모두 이 문제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고 보고 그 사이의 차별성은 부차적인 문제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론은 주자 철학이 정립된 중화신설(中和新說) 시기의 핵심적인 견해인 `마음의 단일성` 테제가 주자가 일생 동안 펼친 논변에서 관철시키고자 한 궁극적 관심임을 밝히는 의미가 있다. This article is a research on the ultimate concern of Zhuzi`s theory of renxin-daoxin. Various discussions are completely united in his theory of renxin-daoxin. Han Won-jin divided them into early theories and later theories at the first time and modern researchers also tried to sort out the established view of Zhuzi`s theory of renxin-daoxin. This paper appreciates the value of these studies, on the other hand, debates deeply in the ultimate conrn of Zhuzi`s theories on renxin-daoxin. I noticed that his arguments are all expressed in the process of asserting the superiority of the mind. This conclusion worthy of value in that it revealed that Zhuzi`s core these in New theory of zhonghe carried through the view of unity of the mind-and-heart.

      • KCI등재

        기획주제2 도곡집(陶谷集)을 통해 본 도곡(陶谷) 이의현(李宜顯)의 학문 저술과 문예 성리학자(性理學者)로서 도곡(陶谷) 이의현(李宜顯)의 위학론(衛學論)

        전병욱 ( Byoung Ok Jeon ) 한국한문고전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5 No.1

        This article deals with Do-Gok Uy-hyun Lee(1669-1745)`s theory of defending Neo-Confucianism. Do-gok was a key figure representing Noron(老論) in politics, as well as a quite literary stylist in Tang-Song Gomunpa(唐宋古文派) in his era. Although he was not a leader of his party-Noron Nakron, Do-gok made an avowal of Noron`s Uyli(義理) by writing numerous Shindaobimyoung (神道碑銘), Myozimyoung(墓誌銘), and the like, which contained his evaluation of Noron`s leading figures of the time. In his literary writing, he wrote both verse and prose evenly, but more importantly, he mostly wrote Manshi(輓詩) and Biziliu(碑誌類), which dealt with Noron`s figures. He asserted that Zhuziwenzi(朱子文集) should be treated as a paragon in literature, and thus faithfully represented Noron`s standpoint which rated Zhuzi(朱子) more highly than that of shaoron(少論). The existing research of Do-gok tends to focus on his literary theory, shedding light on that he openly ranged over an extensive writing styles while he succeeded to Zhuzi`s literary theory. According to these researches, it is considered that he acknowledged the merit of Mun(文) independently, while he tried to reconcile Dao(道) with Mun. In this context, some researchers claim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Do-gok`s literary theory is his effort to reconcile Dao with Mun, whereas others maintained that these two elements-his acknowledgement of independent merit of 文and his attempt to reconcile Dao with Mun-were combined contradictorily. Despite this difference, they generally see Zhuzi`s literary theory as the essential feature of Do-gok`s theory. That is, basically, Do-gok`s literary theory, having extensive openness, was based on Zhuzi`s theory. However, I believe that the starting point of Do-gok`s literary theory was not that of Zhuzi. Rather, he mainly read irrelevant text books to Dao such as Hanshu(漢書), Zhuangzi(莊子), and the like, when he started to take his literary training. He cultivated his literary ability through these books, not through SiShu-SanJing(四書三經), or Zhuzi`s other works. Although it is true that Do-gok referred to Zhuzi-Daquan(朱子大全) as the basic, indispensible source of sentences, it does not mean that he took his literary training through Zhuzi-Daquan. Instead, I think, it only shows his regret late in his life, which he was misguided with his literary training. Do-gok maintained that Zhuzixue (朱子學) must be protected from attacks of heresy, but it is not because he thoroughly studied Zhuzi`s theory, but because he strongly intended to defend Noron`s Uyli(義理) in politics. In other words, he did not consider Zhuzi`s philosophy or literary theory as perfect ones theoretically as well as aesthetically. In brief,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Do-gok`s literary theory is that he tried to represent Noron`s Uyli by his sentences and literary theory.

      • KCI등재

        『입학도설(入學圖說)』의 심성론에 대한 철학적 재해석

        田炳郁 ( Jeon¸ Byoung-ok ) 퇴계학연구원 2020 退溪學報 Vol.148 No.-

        陽村 權近(1352~1409)의 『入學圖說』은 처음에 天人心性과 관련한 合一과 分釋의 두 가지 그림을 중심으로 한 일련의 글들로 이루어진 것이었는데 나중에 『四書』와 『五經』의 내용까지 담게 되었다. 이 저작은 한국 성리학의 현존하는 최초의 저작이라는 점에서 꾸준히 주목을 받았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간 연구자들은 양촌이 朱子를 뛰어넘었거나 극복한 면모를 드러내려고 시도하였다. 주자의 『四書集註』 등이 과거시험의 표준이 된 시기에 ‘入學圖說’이라는 서명을 가지고 성균관 교육에 사용된 이 책이 주자의 이론체계를 극복하거나 초월하는 것을 목표로 삼지 않았을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양촌은 해석의 과정에서 자신의 독자적인 관점을 곳곳에서 드러내었으며 그 관점은 일관된 이론체계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그는 『太極圖說』이나 『中庸章句』의 원전만으로는 그 깊은 뜻을 이해할 수 없고 자신의 해석을 통해서 만 정확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특히 그는 「太極圖」와는 상당 부분 다르게 그려진 그림을 제시하면서 자신의 그림이야말로 「태극도」를 올바로 이해하는 길이라고 주장하였다. 자신의 그림을 보지 못한 사람들은 「태극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하겠다. 그렇다면 양촌의 세계관은 주자학에 기반하고 있지만 자신의 이해를 바탕으로 더욱 발전된 형태로 구축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런 점에서 양촌의 철학체계는 하나의 연구주제가 되기에 충분한 이유를 갖추었다고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양촌의 철학이 주자의 철학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는 가급적 거론하지 않고 그의 심성론을 재해석하는 데 집중하였다. 양촌 철학에 설정된 心과 性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性發爲情과 心發爲意가 一體二用으로 규정되는 이유를 밝혔고 四端과 七情에 대한 그의 독특한 관점을 설명하였다. 그런 한편 胡炳文 뿐만 아니라 程復心의 영향도 간혹 언급함으로써 양촌의 철학적 문제의식이 상당히 다채로웠음을 드러낸 것도 이 연구의 작은 기여일 것이다. Yangchon(1352-1409)'s Iphakdosoel is a series of commentary focusing on the unity an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human, mind and nature. Later, it includes explanations of the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This is the first existing work on Neo-Confucianism in Korea, so it has been paid close attention to and has carried out a lot of research. The researchers tried to show that Yangchon surpasses or overcomes Zhuxi. Of course, during the period when Zhuxi's collection of Four books, the Bible, became the examination standard for civil servants, under the education of Seonggyun-gwan, a book titled Introduction to Neo-Confucianism could not have been aimed at overcoming or surpassing Zhuxi. Yangchon introduced the method of entering the academic world of Neo Confucianism in his own way, and established his own philosophical system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In Yangchon's view, scholars can't understand the meaning of Taiji diagram theory and the Notes of Mean, but through his own interpretation to achieve a correct understanding. In particular, he put forward quite a few different paintings from the Taiji diagram, believing that his paintings are the way to correctly understand the Taiji diagram. So, although Yangchon's world outlook is based on Zhuxi's theory, it can be said that it is based on his own understanding. From this point of view, Yangchon's philosophy system has a good reason to become a research topic. This study tries not to discuss the difference between Yangchon's philosophy and Zhuxi's philosophy, but focuses on reinterpretation of his mind nature theor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nature in Yangchon's philosophy, this paper shows the significance of one essence (體) and two functions (用), and explains his unique views on Four and Seven(four ends and seven emotions).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Cheng Fu-Xin is occasionally mentioned in this study, which shows that Yangchon is quite rich in philosophical problem consciousness, which is also a small contribution of the study.

      • KCI등재

        한문고전 정리·번역 시스템 연구

        윤재민(Yoon, Jae-Min),이동철(Lee, Dong-Chul),송혁기(Song, Hyok-Key),전병욱(Jeon, Byoung-Ok),김정숙(Kim, Jeong-Suk),백진우(Baek, Jin-woo) 한국고전번역원 2009 民族文化 Vol.- No.33

        In this paper, we were dealing with building collection and translation system for Korean rare book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For this purpose, we grasped the present status and then tried to suggest a new system. We particularly focused on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ITKC)‘. That‘s because ITKC has played a key role in the field of collection and translation in Korea. Collection and translation for Korean classics has put emphasis on the quantity so far. And it seems to be inevitable considering present situation that we still have so many books to be collected and translated. However, we contend that upcoming works should consider the quality as well as quantity. Regarding on raising the quality, it is suggested that we should build a stable system for collection and translation. Until now, translators or organizations has had responsibility for the works. But we think that‘s not a efficient system any more. So that we subdivided the process of collection and translation to make that work simple and efficient. We laid stress on the following points. First, we tried to subdivide the process of collection and translation carefully. We also tried to express the role and purpose of each stage clearly. It can help us to figure out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Second, we tried to include the step of computerization and evaluation in the system. Though these two steps are very important in collection and translation works, they have been unnoticed so far. Third, we emphasized that ITKC must play an important role as a hub organization for collection and translation in Korea. These works need national support, and need to be controled by authoritative organization. We believe that ITKC has the ability and capacity for these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