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딸기 중 Acequinocyl 외 3종 및 쪽파 중 Acetamiprid 외 5종의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연구

        장희라 ( Hee-ra Chang ),유정선 ( Jung-sun You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딸기와 쪽파는 비타민 C가 풍부하여 피로회복 및 체력증진에 좋으며 면역력을 향상시켜주는 과일 및 채소이다. 딸기 및 쪽파의 잔류허용기준은 159개 및 121개가 등록되어있지만,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의 경우는 딸기는 53개, 쪽파는 24개로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이 필요한 과일 및 채소이다. 본 연구는 시설재배 딸기 중 농약 4종 (Acequinocyl, Diflubenzuron, Clothianidin 및 Thiacloprid) 과 쪽파중 농약 6종 (Acetamiprid, Boscalid, Cyazofamid, Cyhalothrin, Thiamethoxam 및 Tebufenozide)을 안전사용 기준에 적합하게 처리한 후, 농약 잔류량 감소추이를 확인하여 생산단계 농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고시(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재배과정에서의 농산물 안전성관리를 통하여 농산물의 유통단계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자 한다. 지리적으로 차이가 있는 2개 시험포장 (딸기의 경우 논산-포장1 및 예산-포장2, 쪽파의 경우 평택-포장1, 예산-포장2, 보령-포장3)은 처리구 3반복 및 무처리구 1반복으로 구성하여, 농약안전사용 기준과 동일하게 약제를 조제하여 calibration을 수행한 소형 전동식 배부형 분무기로 단위면적당 일정하게 처리되도록 살포하였다. 시료채취는 농약의 최종 수확 전 살포일을 고려하여 딸기의 농약 4종의 경우 0, 1, 2, 3, 5, 7 및 10일에, 쪽파 중농약 6종의 경우 0, 1, 3, 5, 7, 10 및 14일에 시료 1 kg 이상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시료전처리, 분석전처리 과정을 거쳐 HPLC 및 HPLC-MS/MS를 이용한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딸기 및 쪽파 중 농약 처리 후 일자별 잔류량으로부터 약제별 회귀방정식에 의한 감소상수 및 반감기를 산출하고, 통계학적 방법에 근거한 신뢰성 있는 생산단계 잔류농약 허용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식품공전 분석법 미설정 농약의 잔류분석법 확립(I) -Chlorthal-dimethyl, Clomeprop, Diflufenican, Hexachlorobenzene, Picolinafen, Propyzamide-

        장희라 ( Hee Ra Chang ),강혜림 ( Hae Rim Kang ),김종환 ( Jong Hwan Kim ),도정아 ( Jung A Do ),오재호 ( Jae Ho Oh ),권기성 ( Ki Sung Kwon ),임무혁 ( Moo Hyeong Im ),김균 ( Kyu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2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1 No.2

        수입 농식품에 대하여 국내에 등록되지 않아 식품공전 상의 분석법이 미확립된 chlorthal-dimethyl, clomeprop, diflufenican, hexachlorobenzene, picolinafen, propyzamide등 6종의 농약에 대해 GC-ECD로 다성분 동시분석법을 확립하였고, GC/MS로 확인하였다. 대상작물은 현미와 오렌지 2종을 선정하였고, 분석법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고시한 다종농약다성분 동시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시료의 추출은 acetonitrile을 사용하였고 Florisil SPE 정제과정을 거쳤다. 분석법의 정량한계는 0.02∼0.05 mg/kg 이었고, 직선성은 0.05∼10.0mg/kg 범위에서 R2 >0.999였다. 평균회수율은 정량한계 수준에서 74.4∼110.3%, 정량한계 수준의 10배에서 77.8∼118.4%였으며, 변이계수는 전체시료에서 8.8% 이하로 잔류농약 분석기준인 회수율 70∼120%와 10% 이내의 변이계수 조건을 충족시켰다. 이와 같이 확립된 6종의 다성분 분석법은 수입농산물 분석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For the safety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analytical method of unregistered pesticides in domestic. The analytical method of 6 pesticides, chlorthal-dimethyl, clomeprop, diflufenican, hexachlorobenzene, picolinafen, and propyzamide, for a fast multi-residue analysis were established for two different type crops, orange and brown rice by GC-ECD and confirmed by mass spectrometry. METHODS AND RESULTS: The analytical method was evaluated to limit of quantification, linearity and recoveries. The crop samples were extracted with acetonitrile and performed cleanup by liquid-liquid partition and Florisil SPE to remove co-extracted matrix. The extracted samples were analyzed by GC-ECD with good sensitivity and selectivity of the method. The limits of quantification (LOQ) range of the method with S/N ratio of 10 was 0.02∼0.05 mg/kg for orange and brown rice. The linearity for targeted pesticides were R2 >0.999 at the levels ranged from 0.05 to 10.0 mg/kg. The average recoveries ranged from 74.4% to 110.3% with the percentage of coefficient variation in the range 0.2∼8.8% at two different spiking levels (0.02 mg/kg and 0.2 mg/kg, 0.05 mg/kg and 0.5 mg/kg) in brown rice. And the average recoveries ranged from 77.8% to 118.4% with the percentage of coefficient variation in the range 0.2∼6.6% at two different spiking levels (0.02 mg/kg and 0.2 mg/kg, 0.05 mg/kg and 0.5mg/kg) in orange. Final determination wa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ed ion monitoring (GC/MS/SIM) to identify the targeted pesticides. CONCLUSION: As a result, this developed analytical method can be used as an official method for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 KCI등재
      • HPLC-MS/MS를 이용한 축산물 중 농약(살충제)의 다종다성분 동시시험법 개발 연구

        장희라 ( Hee-ra Chang ),유정선 ( Jung-sun You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축산물 중 농약이 국내외에서 가축농가에서 방제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사료섭취 등의 비의도적 경로에 의하여 잔류할 가능성이 있어, 소비자에 대한 위해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축산물 안전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소비자의 축산물 중 살충제 농약에 대한 불안감 해소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검사 대상 농약성분의 확대와 상시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국제적으로 신뢰성있는 표준화된 분석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유통되는 축산물의 잔류농약 안전관리 확대를 위한 국제적 수준의 동시분석이 가능한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체계 개발 및 확립을 하고자, 국내의 기준 미설정 농약 중 살충제에 대한 HPLC-MSMS의 다종다성분 동시시험법을 개발하고, 교차검증을 수행하여 표준화된 SOP를 마련고자 한다. 대상농약은 Codex 및 EU에서 축산물 중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나, 국내 축산물 중 잔류허용기준 미설정 농약으로 acetamiprid 등 44종 및 대사산물 14종을 선정하여, 축산물 대표시료 5종인 소, 돼지, 닭, 계란 및 우유를 대상으로 CODEX CAC/GL 40 guideline에 적합한 시험법을 개발하고, 실험실간 교차검증을 수행하여 표준화된 분석법을 한다. 분석법 개발 및 검증항목은 국외 잔류분의 정의에 따른 대상화합물에 대하여 정량한계, 직선성, 정확도 및 정밀도 확인을 수행하며, 분석법 개발에서 회수율은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2배 및 정량한계 10배의 3수준 5반복, 실험실간 검증은 3수준 3반복으로 수행하여 guideline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 적합한 분석법 개발 및 검증을 수행하고자 한다.

      • 생산단계 농산물의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쑥갓 및 피망 중 잔류성시험 연구

        장희라 ( Hee-ra Chang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본 연구는 농산물 중 쑥갓에 대하여 4종 농약(Pyridaly, Spinetoram, Boscalid, Fludioxonil)과 피망에 대하여 5종 농약(Chlorantraniliprole, Cyenopyrafen, Novaluron, Boscalid, Spinetoram)을 1회 살포하여 수확전 최종농약 살포일로부터 수확일까지 농약 잔류량 감소추이를 확인하여 생산단계 농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고시(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생산단계에서의 농산물 안전성관리를 통한 유통과정에서의 농산물 안전관리를 강화하는데 적용하고자 한다. 위도가 다른 2개의 시험포장을 선정하여 쑥갓은 남양주(포장1), 안동(포장2), 피망은 고창(포장1), 부여(포장2)에서 시험을 수행하였고, 시험구의 구성은 처리구 3반복 및 무처리 1반복으로 반복구당 10 m2 이상으로 설계하였다. 농약의 안전사용 기준에 따라 약제를 조제한 후, 사용직전에 calibration을 수행한 소형엔진식 배부형 분무기를 이용하여 1회 살포하였고, 약제 처리 후 시료채취는 총 7회로 쑥갓은 0일, 1일, 3일, 5일, 7일, 10일 및 14일, 피망은 0일, 1일, 3일, 5일, 7일 및 10일에 수행하였고, 각각 일자별로 시료 1 kg 이상을 polyethylene bag에 채취하여 24시간 이내에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운반 후 즉시 시료 전처리과정을 거쳐 Deepfreezer(-70℃ 이하)에서 2일 이상 보관한 후,homogenizer를 이용하여 마쇄하여 분석시료로 칭량하여 분석을 수행하기 전까지 냉동보관(-15℃ 이하)하였다. 잔류성시료는 분석전처리 과정 및 GC, HPLC 및 HPLC-MS/MS를 이용한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쑥갓 및 피망에 대한 대상농약의 일자별 잔류량으로부터 농산물, 별 약제별 회귀방정식으로부터 산출된 생물학적 반감기 및 감소상수에 근거하여 통계적 처리방법을 통하여 대상약제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으로부터 신뢰성 있는 생산단계 잔류 농약 허용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딸기 중 Cyflumetofen 외 5종의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연구

        장희라 ( Hee-ra Chang ),유정선 ( Jung-sun You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딸기는 무기질, 비타민C가 풍부하여 심혈관질환의 예방에 효과적이며, 맛과 향이 좋아서 인기있는 농산물로 시설재배로 생산하고 있으며, 농림축산식품부는 2017년 기준 딸기 전국 재배면적 5,907 ha 중 시설재배는 5,783 ha이고, 생산량은 206,226 ton으로 단일품목으로 산업규모가 크다. 딸기 생산의 대부분이 시설재배로 정식 초기에 병해충을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여, 딸기에 등록된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은 195성분이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은 52성분으로 유통단계 안전성 확보를 위한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딸기에 등록사용되고 있는 농약 6종 (Cyflumetofen, Dimethomorph, Penthiopyrad, Tebuconazole, Thiamethoxam 및 Thifluzamide)에 대한 시설재배조건에서 농약 잔류량 감소추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리적으로 차이를 반영한 2개 시험포장 (포장1-논산, 포장2-홍성)에 처리구 3반복 및 무처리구 1반복으로 구성하여, calibration을 수행한 소형 전동식 배부형 분무기로 농약안전사용 기준과 동일하게 조제한 후, 사용횟수 및 사용량을 적합하게 살포하여 잔류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시료채취는 농약의 최종 수확 전 살포일을 포함할 수 있도록 최종약제 살포 후 0, 1, 2, 3, 5, 7 및 10일차에 수확에 적합한 크기의 딸기 시료를 1 kg 이상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시료전처리 후, 확립된 분석법에 따라 분석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HPLC 및 HPLC-MS/MS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딸기 중 농약 처리 후 일자별 잔류량을 적용하여 회귀방정식에 의한 감소상수 및 반감기를 산출하고, 통계학적 방법에 근거한 신뢰성 있는 생산단계 잔류농약 허용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시설재배 조건에서 참나물과 아욱에 등록된 농약의 생산단계 잔류허용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장희라 ( Hee-ra Chang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병해충 및 잡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합성된 유기 화합물인 농약은 식량의 안정적 생산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사용을 허가하고 있으나, 농약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농약 안전사용기준과 최대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여 사용법과 사용량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또한 생산 및 유통단계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통하여 지속적인 안전성 조사로 인해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에 대한 잔류실태 파악 및 인체의 위해성 유무를 평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 잔류농약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관리를 위하여 잔류농약 부적합 판정이 가장 많은 엽채류 농산물 중 참나물에 등록된 농약 4종(Bifenthrin, Carbendazim, Diethofencarb, Lufenuron)과 아욱에 등록된 농약 2종(Flufenoxuron, Nonaluron)을 대상으로 잔류성 시험을 수행하여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시험포장은 지리적 차이를 통한 잔류량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위도상 직선거리 20 km 이상이 나도록 참나물은 보령과 평택, 아욱은 이천과 평택으로 각 2포장을 선정하여 잔류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참나물에 등록된 4종의 농약 Bifenthrin(2%, 수화제), Carbendazim(25%, 수화제), Diethofencarb(25%, 수화제), Lufenuron(5% 유제)과 아욱에 등록된 2종의 농약 Novaluron(10%, 액상수화제), Flufenoxuron(5%, 분산성액제)은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에 따라서 약제를 살포하여 0, 1, 3, 5, 7, 10, 14일차의 시료를 채취하여 일자별 잔류량을 확인하였다. 참나물과 아욱중 Bifenthrin, Diethofencarb, Novaluron, Flufenoxuron의 정량한계는 0.01 mg/kg이었으며, Carbendazim 및 Lufenuron의 정량한계는 0.02mg/kg 및 0.04 mg/kg이었다. 회수율 및 변이계수(CV)는 정량한계(LOQ) 및 10배 수준(10LOQ)에서 70∼120% 및 20% 이내로 분석법 확립을 위한 평가기준에 적합하여, 확립한 분석법을 적용하여 참나물 및 아욱의 시료 잔류량을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한 분석기기는 Carbendazim, Flufenoxuron 및 Lufenurin은 HPLC-DAD, Bifenthrin, Diethofencarb 및 Novaluron은 HPLC-MS/MS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 근대 중 농약 8종의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연구

        장희라 ( Hee-ra Chang ),김나윤 ( Na-yoon Kim ),황은진 ( Eun-jin Hwang ),이서현 ( Seo-hyeon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근대는 엽채류로 잎부위를 국거리, 나물 및 쌈채소의 용도로 봄, 가을에 재배가 가능하며, 다른 엽채류에 비하여 당질, 아미노산 및 칼슘 함량이 높아 건강식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유통과정에 서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 판정을 받는 농산물 품목이다. 본 연구는 시설재배 근대 중 농약 8종(Acetamiprid, Pymetrozine, Thiamethoxam, Azoxystrobin, Cyazofamid, Ethaboxam 및 Metalaxyl)을 안전사용 기준에 적합하게 처리한 후, 농약 잔류량 감소추이를 확인하여 생산단계 농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고시(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므로서 재배과정에서의 농산물 안전성관리를 통하여 농산물의 유통단계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자 한다. 지리적으로 차이 가 있는 2개 시험포장(포천-포장1 안성-포장2)은 처리구 3반복 및 무처리구 1반복(반복구당 10m2 이상)으로 구성하여, 농약안전사용 기준과 동일하게 약제를 조제하여 calibration을 수행한 소형 전 동식 배부형 분무기로 단위면적당 일정하게 처리되도록 살포하였다. 시료채취는 농약의 최종 수확 전 살포일을 고려하여 Acetamiprid, Pymetrozine, Cymoxanil은 0, 1, 2, 3, 5, 7 및 10일에, Thiamethoxam, Azoxystrobin, Cyazofamid, Ethaboxam, Metalaxyl은 0, 1, 2, 3, 5, 7, 10 및 14일 에 시료 1 kg이상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시료전처리, 분석전처리 과정을 거쳐 HPLC, GC 및 HPLC-MS/MS를 이용한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근대 중 농약 처리 후 일자별 잔류량으로부터 약제별 회귀방정식에 의한 감소상수 및 반감기를 산출하고, 통계학적 방법에 근거한 신뢰성 있는 생산단계 잔류농약 허용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생산단계 참나물의 Carbendazim 잔류특성에 따른 노출평가 및 농약 잔류허용기준 개선

        장희라,곽혜민,Chang, Hee-Ra,Gwak, Hye-Min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지 Vol.41 No.3

        BACKGROUND: The residue dissipation pattern of pesticides for agricultural products during the pre-harvest period after the final application is important to prevent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violations in domestic and export markets. The MRL violations of carbendazim are observed more often in chamnamul by pesticide residue management surveys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residue level at the pre-harvest interval (PHI) and the residue dissipation constant from the critical good agricultural practice (cGAP) trials could be estimated to meet the MRL and pose a health risk to consumers. METHODS AND RESULTS: Chamnamuls were harvested at 0, 1, 3, 5, 7, 10, and 14 days after application of carbendazim in accordance with critical GAP. The residue analysis in chamnanul was performed by HPLC-DAD with the C<sub>18</sub> column. The limit of quantitation of carbendazim was 0.04 mg/kg, and the recoveries were 74.4 - 95.8% at the two spiked levels (LOQ and 10LOQ) of carbendazim. The dissipation rates in chamnamul were calculated from the residues at the sampling days by statistical method at a 95% confidence level. The biological half-lives of residual carbendazim in the field trials 1 and 2 were 4.9 and 4.4 days, respectively. CONCLUSION(S): In this dissipation study, the residue concentrations at the recommended PHI were higher than the established MRL in Korea. Therefore, the MRL is proposed based on the residue data sets from the trials conducted at the same cGAP and the dietary exposure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