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림 조석진(1853~1920) 작 <백자청화산수문병> 고찰

        장효진 ( Jang Hyo-jin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백자청화산수문병>은 근대 도자 가운데 흔치 않게 제작자, 제작연도, 문양 소재를 분명히 알 수 있는 작품이다. 기면에 “松下問童子 言師採藥 只在此山中 雲深不知處 辛亥夏日 小琳寫”가 써져있어, 소림 조석진(小琳 趙錫晉, 1853~1920)이 1911년 당대 가도(779~843)의 시 “尋隱者不遇”를 도상화한 송하문동자 도상을 그린 것임을 알 수 있다. 기형은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 형태인데, 구연 일부에는 고의적으로 각이 나 있다. 병이 백자이지만 고려 매병 형태로 제작된 것은 당시 고려청자 수집 및 재현이 활발했던 사회적 분위기와 맞물린다. 더욱이 작가가 소속되어 있던 관립공업전습소는 청자 연구 및 재현사업에 적극적이었기에 작가의 제작 경향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병의 구연 일부가 변형된 것은 근대기 외부로부터 유입된 새로운 조형 형태가 모방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서울 일부 소비유적에서 출토된 외국산 잉크병의 구연과 유사해 주목된다. 한편, 병의 화면 전체에 세밀한 필치의 청화로 문양이 그려졌으며, 상단 일부에는 짙은 먹색의 안료로 제발이 써졌다. 기면에 그려진 송하문동자 도상은 조선시대부터 그려졌던 소재다. 조선후기 화원 화가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19세기경 관요에서 제작된 청화백자에도 나타난다. 조석진이 계승되어 온 화원의 작품이나 모본을 참고했을 수 있지만, 그가 활발히 활동했던 조선말~근대초기에 다량 유입된 상해 발간 화보에서 유사한 구도와 화풍을 찾아볼 수 있어 이를 참고했을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또 하나 주목되는 것은 <백자청화산수문병>이 제작되었을 시기 중국에서 시서화가 결합된 문인화풍의 천강채자기가 유행했다는 점이다. 양자 모두 공장이 도안화된 문양을 기계적으로 장식한 것이 아닌 전문 작가가 문인화적인 소재와 구성을 표현해냈다. 특히 마치 회화 작품과 같이 화면 한 곳에 제시 및 간지, 작가명을 쓴 점이 주목되는데, 이러한 특징은 조선시대 도자에서는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조석진이 <백자청화산수문병>을 제작하는데 당시 중국에서 유행한 도자 제작 경향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근대기 제작된 도자의 한 성격을 파악하고자, <백자청화산수문병>의 조형을 면밀히 분석하고 작가의 주변 환경 및 동시기 주변국의 요업 경향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에 근대기 다자간에 이루어졌던 교류로 출현한 새로운 면모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이것이 기존에 계승되어 온 전통 양식과 결합된 과정을 확인해 본데 의의가 있다. “White Porcelain Vase with Landscape design” offers a clear picture of the makers, the year of manufacture, and the design of patterns of pottery made during the modern period. On the surface, there is written as “松下問童子 言師採藥 只在此山中 雲深不知處 辛亥夏日 小琳寫” So, it is clear that Sorim Cho Seok-jin drew the child under the pine tree in 1911. This vase is a typical form of Maebyeong during the Goryeo Dynasty. However, some of the beaks are Intentionally sharp. Although the bottle is a white porcelain, there is a special reason why it was made in the form of a Maebyeong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is because the collection and reproduction of Goryeo celadon was active at the time. Moreover, the researchers of the Governmental Industrial Research Institute, which the artist belonged, was actively engaged in the study and reproduction of celadon ware, so it is possible that the artists who are associated to the institute contributed to the making of the pottery. And the deformation of the mouth of the bottle appears to have replicated a new form of molding that came from outside the country of modern period. It is especially notable that it is similar to the spout of imported ink bottle found at some historical site in Seoul. Meanwhile, drawing colored by blue pigments were detailed throughout the surface of the vase. And on the other side, typescript was written in black ink. The child under the pine tree painted on the surface of the bottle, is a material that was started to draw from the Joseon Dynasty. This category of paintings can be found from Imperial pain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ven in White porcelain, made in Official kiln during the 19th century. It is possible that Cho Seok-jin may have referred Imperial painters work which was succeed by generation or its duplicates. In the later phase of Joseon Dynasty, when he was actively engaged in his career, a number of photo books published in Shanghai were brought in, a similar structure and style of painting was found there. Therefore, it can not be ruled out that he may have referred it. Another noticeable fact is that the trend of the literary painting style of Qianjiangcai Porcelain(淺絳彩瓷器), was popular in China when the “White Porcelain Vase with Landscape design” was created. Both expressed literary painting style using the material and its composition, not by mechanically decorating the design patterns of potters.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y wrote the words in black ink on a surface of the vase, as like a painting. These characteristics are not found in pottery from the Joseon Dynasty.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hat Cho Seok-jin was influenced by the popular pottery in China at the time. The study concentrat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ottery made during the modern period. To this end, the composition of White Porcelain Vase with Landscape design was analyzed. And looked at the ceramics trends in neighboring countries at the same time as the author's surrounding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discovering new aspects that emerged as multilateral exchanges in the modern period, and how they combined with traditional styles that are inherited.

      • KCI등재후보

        신안선 출수 자기 고족배로 본 중ㆍ일 도자 교류의 일면-출수 현황 및 용례 검토를 중심으로-

        장효진 ( Jang¸ Hyo-jin ) 동양미술사학회 2021 동양미술사학 Vol.13 No.-

        이 글에서는 신안해저문화재 가운데 자기 고족배(高足杯)에 주목하여 출수 현황과 조형특징을 정리하고, 중국 내 생산 및 소비 유적 출토품과 비교를 통해 그 성격과 특징을 살펴 보았다. 필자가 지금까지 파악한 바로는 신안선에서 고족배가 60 여점 발견되었는데 이는 전체 도자기 수량의 0.3% 미만을 차지하는 매우 적은 수량이다. 그러나 청자와 백자가 모두 확인되며 특히 일부 백자 고족배의 경우 부량자국이 관할한 우수한 민간 요장에서 생산된 고급 생산품이기에 일부는 특별한 목적성을 갖고 교역된 기종으로 여겨진다. 즉 일부 고족배는 높은 위상을 가진 고급 무역품으로 당시 중국 민간 요장에서 중앙으로 공납했던 양식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원나라 관에 공납ㆍ유통되었던 것과 유사한 양식을 갖춘 것이 무역에서 통제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고급 상품성을 가지고 지역적ㆍ계층적으로 폭넓게 유통되었음을 확인한 셈이다. 따라서 신안선에서 발견된 고족배분석으로 원대 도자무역의 개방된 성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각종 회화와 문헌 자료를 통해 고족배의 용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중국에서 술잔 혹은 찻잔, 공양구로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일본에서는 신안선에서 발견된 고족배의 비율을 반영하듯 소비지역에서 출토사례가 많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러한 가운데에도 일부 선종 사찰에서 고족배가 출토되었다는 점은 소비지 성격을 이해하는데 참고자료로 도움이 된다. 일본의 용례를 살펴본 결과 술잔, 과일이나 음식 등을 바치는 공양기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았으며, 오랫동안 전세되어 내려오면서 그 용도가 바뀌어 다실에서 향로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 에도시대 중국 청자 고족배가 재현 대상이 되었던 사례를 확인하여, 일본 일부에서는 중국 고족배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또 소장 대상으로서 애호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summarizes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eramic cups(Gojeokbae) excavated from the shipwreck in Shinan. The characteristics of Gojeokbae were studied compared to those excavated from China. According to the research so far, the number of cups(Gojeokbae) excavated from the shipwreck in Sinan is about 60 pieces. It is very small amount, less than 0.3% of the total number of ceramics excavated from the wreck. For that reason, cups(Gojeokbae) have not been actively studied in export ceramics research. However, the cups(Gojeokbae) excavated from the shipwreck in Shinan contain both celadon and white porcelain. There are also several white porcelain with the highest quality and inscriptions. Thus, cups(Gojeokbae) are considered to be an object of study, although the excavated quantity is small. Various paintings and literature materials were used to examine the usage of cups(Gojeokbae). They are used as teacup, or winecup, and as a buddhist relics in China. And they are most likely used for drink in Japan. And its purpose used to have changed while its long-term usage. Cups(Gojeokbae) are also used as incense burners in tea rooms. There is the case that the imitations of Chinese celadon cups(Gojeokbae) were produced in Japan during the Edo period. Therefore, it can be known that Japan clearly recognized the Chinese cup and loved it as a collectible. Until now, ceramic excavated from the shipwreck in Sinan was studied mainly from Celadon in Longquan Kiln and Black-Glazed ware in the Fujian Area, which accounted for the largest quantity. In order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ceramics excavated from the shipwreck in Shinan as a trade item, it must be studied regardless of the excavation rate. Close analysis of detailed types and models and extended attention are continuously needed.

      • KCI등재

        한국의 사회적 위험관리와 가구의 소득변동성

        장효진 ( Hyo Jin Ja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5 사회보장연구 Vol.31 No.1

        사회적 위험관리론은 국가, 시장, 개인 또는 가족이 위험을 예방, 완화, 극복하는 전략을 통해 전반적인 사회적 위험이 증가하더라도 가구 단위의 경제적 불안정성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위험의 수준이 증가하고 있지만, 소득변동성으로 측정한 경제적 불안정성은 낮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현상이 공적소득이전을 통한 국가의 역할이나 사적소득이전을 통한 민간의 역할 혹은 가구의 사회적 위험관리 능력이 증대해서가 아니라 근로소득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계층별?근로형태별 분석결과, 저소득층의 소득변동성은 중?고소득층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며, 저소득층 내에서도 가구주가 직업이 없거나 직업이 있어도 고용이 불안정한 가구에서 소득변동성이 훨씬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임금 수준이 높지 않고 상대적으로 고용이 불안정한 저숙련 노동자 혹은 무직의 저소득층에 대해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과 사회보장제도의 확충을 통한 사회적 위험관리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Social risk management framework suggests that a society can deal with increased economic insecurity by mitigating, preventing, coping risks through institutional arrangements, mainly government, market and family. Even though many empirical researches point out the level of social risks in Korea is soaring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measured economic insecurity proxied by income variability at the household level has been decreased. This paper argues diminishing income variability in Korea is due to stabilized labor income, while rejecting other hypotheses which emphasize increased role of government or families in social risk management. Results of analysis by the level of income and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household head indicate that the level of income variability in the low-income families is much higher than the high-income families and families whose heads are not working or have unstable jobs show higher income variabilit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o strengthen social risk management by expanding effective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nd social security systems.

      •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장효진 ( Jang Hyo-jin ),전순희 ( Jeon Soon-hee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언어로 인한 의사소통보다 몸짓이나 손짓, 눈빛은 지도자와 학생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얼굴 표정과 함께 하는 제스처나 몸짓, 눈빛 등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수반되는 것이며,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때 더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상대방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이런 행위는 무용지도자의 교육방식에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전공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특성에 따른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무용수업의 특수한 상황이 반영된 행동적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전공생들과 지도자간의 상호 작용 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무용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무용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가 연구가 될 것이다. More than verbal communication, body motions, hand gestures, and eye contacts play a more important role when an instructor communicates with his or her students. A nonverbal communication refers to an act of communicating with facial expressions together with gestures, body signs, looks in the eye, etc., and this helps one convey his or her mind to another in a more precise and effective way. Nonverbal communication is considered to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 students studying dance when their dance instructor applies such behavior in their training system. As most of preceding researches focused on the instructors` leadership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there was an inadequate study about how an active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which reflects distinct conditions of a dance class―affect their interactions. Thus this study will determine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dance class by carrying out comprehensive interview sessions. This will serve as a basic study for a basic research worker who wishes to advance danc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한국무용수업 평가표 개발 사례 연구

        장효진 ( Jang Hyo-jin ),전순희 ( Jeon Soon-hee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8 한국무용연구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도자와 학생들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한 도움을 주기 위해 대학 한국무용수업 평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고찰을 토대로 5명의 전문가와 회의를 진행하고 무용전문 교육자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학 한국무용수업 평가표는 전통무용수업과 창작무용 수업으로 구분되었으며, 전문가 회의와 델파이 조사에 의하여 평가 항목과 문항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통무용 수업에서는 동작(2), 숙련(8), 표현(4), 학습(5)으로 총 4평가항목의 19문항으로 나타났으며 창작무용 수업에서는 동작(3), 숙련(10), 표현(4), 학습(7)으로 총 4평가항목 24문항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한국무용수업의 전통무용 수업 평가표와 창작무용 수업 평가표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도자들의 공정성과 객관적인 수업진행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토대로 대학 한국무용수업의 교과과정 중 평가기준이 될 수 있는 평가표를 개발하여 지도자의 객관적 성적오류를 해결하고 예비 전문가들의 성적 향상 및 공정성과 타당성에 관한 명확한 의식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table for Korean dance classes . For that, meetings were proceed with 5 experts based on the sight of references and the Delphi research on 15 dance educators was conducted ,reaching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assessment table on Korean dance classe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is divided into classical and creative dance classes, reaching the criteria and items. Second, in Korean classical dance class, there are 4 criteria, consisting of movement(2), skill(8), expression(4) and learning(5) with 19 items. As for creative dance class, 4 criteria including movement (3), skill(10), expression(4) and learning (7) along with 24 items make up the assessment table. Third, an assessment table is developed for Korean classical and creative dance classe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This will help professors or instructors proceed the class with fairer and more objective approach. Based on this, an assessment table was developed which could be an evaluating standard in academic of Korean dance classe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 leading to a solution on incorrect grading and helping those preparing for the area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grade report, breathing clear definition on fairness and validity into them.

      •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과 화이트헤드의 철학

        장효진 ( Jang Hyo Jin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7 화이트헤드 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을 화이트헤드가 자신의 철학 내에서 물리적 목적의 개념과 동일시한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은 유동성-존재 자체를 그 대상으로 하며, 기능적으로는 형이상학을 유동적 존재 위에 정초한다. 하지만 화이트헤드는 여전히 개념적 내용을 대상으로 하는 물리적 목적이라는 개념을 베르그송의 직관과 동일시하는 오류를 범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화이트헤드 철학의 개념 중 베르그송의 직관개념과 유사한 것이 있는지 찾아본다. 이 글은 인과적 효과성의 지각 양태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과 유사할 소지가 있다는 전제 하에 그 개념을 추적해 보지만 이 개념에게서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과 유사한 그 어떠한 흔적도 발견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철학적 방법론으로서 직관의 유무에 따라 철학을 두 갈래로 정리하고 화이트헤드의 철학 체계는 철학적 방법론이 부재한 철학의 유에 속한다는 사실을 보임으로써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이 화이트헤드의 철학 내에 부재한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입증한다. This paper begins with a critical view of that A. N. Whitehead identified the concept of physical purpose in his own philosophy with the concept of intuition of H. Bergson. The concept of intuition of Bergson has fluidity-Being itself as it`s object, so that founds metaphysic functionally on the fluid Being. However, Whitehead made a mistake to identify physical purpose which still has conceptual contents as objects with Bergson`s intuition. Therefore, this thesis tried to find out some concepts in the Whitehead`s philosophy which is similar with the concept of intuition of Bergson. This paper has traced causal efficacy based on a premise of that it could be similar with Bergson`s intuition, but this paper failed to find out any similarity between them. Thus, this paper has defined the boundary of two types of philosophy based on whether it has the concept of intuition or not, and Whitehead`s philosophy belonged to the type of philosophy lacked intuition. As a result, this paper could demonstrate indirectly, there is not any concept in the whitehead`s philosophy which is similar with Bergson`s intuition.

      • KCI등재

        대학 한국무용 실기평가지표 개발 연구

        장효진 ( Jang Hyo-jin ),전순희 ( Jeon Soon-hee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8 한국무용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대학 한국무용 실기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무용전문 교육자 25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개방형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5명의 전문가와 회의를 거쳐 15명을 대상으로 2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무용 실기평가를 위해 전통무용 수업과 창작무용 수업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대학 한국무용 실기평가지표의 항목과 문항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통무용 수업에서는 5평가항목으로 숙련(6문항), 동작(16문항), 표현(6문항), 음악(6문항), 작품(5문항)으로 총 39문항으로 나타났으며 창작무용 수업에서는 6평가항목으로 표현(6문항), 동작(22문항), 음악(5문항), 작품(7문항), 숙련(6문항), 체격(2문항)으로 총 48문항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무용과 창작무용의 평가항목은 중요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문항 또한 상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측정학적 관점에서 본 성적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적인 토대로서 대학무용실기 교과과정 중 평가기준에 대해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성적향상과 공정성, 객관성에 관련하여 지도자와 학생들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an assessment index for college Korean dance practice evaluation, with Delphi method. Semi-structured data conducted on questionnaires with total 25 experts as a professional instructors of Korean dance for Delphi approach. First Delphi round Delphi consented with 5 experts discussion. Second round consented with 15 experts discussion for agreement. Through the two Delphi rounds, dance class extracted traditional dance class and creative dance class with agreement. As a result, 5 factors extracted firstly. Secondly, for the traditional dance class evaluation consisted of skill, motion, expression, music, and work. Total of 39 items with skill(6), motion(16), expression(6), music (6), and work(5) were confirmed. Tthird, for the creative dance class evaluation consisted of 6 factors with 48 items, as expression(6), motion (22), music(5), work(7), skill(6) and physique(2).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tems in the traditional dance and creative dance. This results explain a basic data to control bias of the assessment errors from a perspective measurement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cerning the improvement of grades, fairness, and objectivity by developing a assessment index for the criteria in the Korean dance curriculum. In conclusion, Korean dance assessment index would be necessary to differentiate items instead of assessment scoring and have to be discussed further research for dance evaluation.

      • KCI등재

        비관료적 행태에 관한 새로운 접근

        장효진(Jang, Hyo jin),이민아(Lee, Min Ah),이수영(Lee, Soo-Young) 서울행정학회 2015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비관료적 행태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와 실증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비관료적 행태의 개념을 도출하고, 한국적 상황에서 비관료적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비관료적 행태에 대한 실증연구들은 대안탐색, 규정변용, 규정무시 행위를 비관료적 행태의 구성개념으로 하여 비관료적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혹은 개인적 요인을 탐색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관련한 이론적 논의와 구성개념 타당성 검증을 통해 세 개념이 한 개념을 구성하고 있다는 가설을 타당하지 않음을 밝히고 있다. 각각의 행태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도 비관료적 행태를 구성하는 개념들이 단일차원이 아님을 지지하였다. 비관료적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규정을 중시하는 조직문화의 경우 세 행위 모두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요인들은 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공직봉사동기의 경우 규정무시 행위는 줄이는 방향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많았던 반면, 대안탐색 행위는 오히려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비관료적 행태를 하나의 차원으로만 분석한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며, 향후 관련 연구가 지속되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oncept of unbureaucratic behavior by reviewing related theoretical as well as empirical literature and explore determinants of unbureaucratic behaviors in Korea. Empirical researches focusing on unbureaucratic behaviors operationally define unbureaucratic behavior as ‘exploration of alternatives’, ‘rule-bending’, and ‘rule-breaking’. However, this operational definition of unbureaucratic behavior has not only no theoretical grounds but also no empirical foundations. Research findings from regression analyses on each behavior also support that three items designed to measure unbureaucratic behavior are not to construct a single concept. There are no common antecedents to three types of unbureaucratic behaviors except organizational culture related with rule-conformity. In particular, public servants with strong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are less likely to disregard rules, whereas they are more likely to explore alternatives if rules are regarded as pointless. In a nutshell, ‘exploration of alternatives’, ‘rule-bending’, and ‘rule-breaking’ behaviors are three related but different concepts so that further researches should develop models to explain each behavior and compare them empir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