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와 부처 간 협력방향에 관한 연구

        장환영(Hwan-Young Jang),김남곤(Nam-G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사례검토를 통해 향후 거버넌스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국내외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사례 검토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둘째, 도출된 시사점에 기반한 국내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추진방향 정립, 셋째, 설정된 추진방향에 기초한 국토부와 미래부 간 협력방안 제시의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각각의 부처에서 개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을 효율적으로 연계 · 협력할 수 있는 기초적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는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 및 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smart city in Korea through the review of smart city governance. first of all, reviewed the trend of smart city governance. Since then, Establishing direction of korea Smart City governance based on the implications. Finally, derive a field where cooperation between ministries and agencies is possible, and presented a cooperation scheme accompanying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foundation to link smart city projects efficiently and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smart city policies and projects.

      • KCI등재

        융·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장환영(Hwan-Young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융·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 실현을 위해 필요한 사항이 무엇이고, 각각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무엇인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융·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 개념을 정립한다. 둘째, 스마트시티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여 융․복합형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필요요소를 세분화하고 AHP기법을 활용하여 영역별·세부요소 간 우선순위 및 중요도를 도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스마트시티 사업의 핵심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되는 융·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 무엇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 봄으로써 향후 융·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안정적 정착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at is necessary for realization of convergence smart city service, and what is the priority order for it. First, the concept is set up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about convergence smart city service. Second,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smart-city related experts and derive the necessary elements to implement convergence smart city service. Third, derive priorities by subdividing the derived elements and utilizing the AHP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smart city service by deriving what should be considered for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smart city service.

      • KCI등재

        스마트시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방향

        장환영(Jang, Hwan-Young) SH도시연구원 2017 주택도시연구 Vol.7 No.3

        Korea has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smart cities since the mid-2000s. Especially, U-City brand name has been consistently provided with a policy basis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smart city. However, the environment for Smart City is changing drastically, but countermeasures against it are relatively inadequate. Therefore, in this study aims to offer the policy direction for securing the domestic smart city competitiveness by reflecting the features of this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owards that end, the current position of South Korea in the global market was examined, and major trends and issues of smart city were derived. Then, we had in-depth interview with smart city-related domestic and overseas planning experts to derive implications by type, and to offer mid- and long-term implementation dire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four important categories for securing smart city competitiveness -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dvanced business management system, support for private-sector-led overseas market entry, and improvement of relevant laws. In particular, the preparation of strategies for penetrating global markets is essential for securing smart city competitiveness to take advantage of mega-trends such as 4th industrial revolution spreading globally, rather than lag behind them. At this juncture of ti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offer the basic data for the government"s 3rd future master plan for construction of smart city, and to provide the implementation direction for the sustained development of smart city.

      • KCI등재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시티 마케팅 모형 개발 연구

        장환영(Jang, Hwan Young),정원주(Jung, Won Ju),김종진(Kim, Jong Jin)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3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arket size of smart cities is rapidly growing. Therefore efforts are being made to preempt the smart city market centered on advanced countries, and competition is getting fier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rt city marketing model linked to marketing theory to support the revitalization of smart city overseas expansion of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need for a link between smart city and marketing theor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develops a smart city marketing model. Korea is recognized as a country leading the smart city, but overseas exports are not meeting expectations. As this point, this study will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global markets in the future.

      • KCI등재

        학회지 분석을 통해 본 HRD 이슈와 동향 탐색

        장환영 ( Hwan Young Jang ),손지영 ( Ji Young Shon ),하정례 ( Jeong Rye Ha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3 HRD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HRD관련 학회지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통하여 인적자원개발의 동향과 주요 이슈를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HRD 분야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HRD 관련 핵심적인 학술단체라고 할 수 있는 한국산업교육학회, 한국기업교육학회, 한국인력개발학회에서 발행하고 있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의 학회지 논문 279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틀은 연구주제, HRD 프로세스, 연구방법, 연구자 소속기관에 대한 조사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로서는 교육훈련에 대한 주제가 가장 많이 논의 되었으며 조직변화와 개발, 경력개발, 국가 및 지역인적자원개발 등의 주제들은 상대적으로 연구자들의 관심이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HRD 프로세스 부분에서는 분석, 설계 및 개발, 실행, 평가 중 ‘분석’의 영역에 압도적으로 많은 논문들이 생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이론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빈도수가 가장 많아 질적 연구와 실천적 연구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넷째, 연구자 소속기관에 대한 조사는 대부분 대학의 연구자들이 학회지 논문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며, 수도권 중심인 것으로 나타나 HRD 연구의 구조적 한계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RD 분야의 이슈와 향후 발전을 위한 방향성 및 제안점들을 결론적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field of HRD in Korea by presenting major trends and issues of HR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Korean HRD journal articl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analysed total 279 articles for a 6 year period (2006 - 2011) of academic journals produced from three main HRD related academic societies which are The Kore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study was composed of four elements, which were research themes, HRD process, research methodology, and institutions that the authors of the journal articles belong t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hemes related to training and development were more frequently discussed than the issues with organization change and development or career development; 2) as the dimension of HRD process, the most articles heavily focused on ``analysis`` rather than intervention, implementation, or evaluation; 3) the HRD researchers much depended on utiliz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mpared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or practical developmental research which received less attention; 4) the researchers in the articles were mostly affiliated to universities of capital area. As a conclusion, the study recommends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HRD in Korea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 KCI등재

        논문 : 도시민의 일상활동 패턴에 따른방범용 CCTV의 입지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환영 ( Hwan Young Jang ),김걸 ( Kirl Kim ),이재용 ( Jae Yong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7 No.1

        범죄로부터의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안전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욕구가 증대되면서 안전도시의 구축에 관한 관심은 점차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범죄를 효율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도시 내 시민들의 일상활동 패턴과 그 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의 범죄예방 정책은 이를 고려하지 못한 상황에서 정책입안자의 의도에 의해 획일적으로 수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그 동안의 범죄연구는 행정동 단위에 기반한 범죄 발생의 분포패턴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도시민의 일상활동 패턴과 안전취약지대를 연계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도시민의 공간적 일상활동 패턴과 안전취약지대의 관련성을 고찰함으로써 현행 방범체계의 대표적 사례인 CCTV의 입지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성공적인 안전도시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the citizens’ interest on safety from crime and the desire for safe life increase, the interest on the establishment of a safe city is nationally spreading. In order to prevent crime effectively, the daily pattern of urban people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must be synthetically considered, but the existing policies for crime prevention did not consider them well and were performed uniformly by intention of policy makers in many cases. Also, previous studies on crime were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re were insufficient studie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personal daily activity and safety vulnerable zon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trategical directions for constructing a successful safe city by eliciting the locational problem and its improvement of CCTV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daily activity patterns and safety vulnerable zones.

      • KCI등재

        한국의 스마트시티 정책흐름과 향후 과제

        장환영(Hwan-Young J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6

        본 연구는 과도기적 시기를 보내고 있는 국내 스마트시티 사업이 향후 더욱 발전하고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 스마트시티(U-City) 정책의 발단과 성장과정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스마트시티 구축과정 상에 나타난 기능적, 정책적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세 번째, 국내와는 다른 방식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해외 선진사례를 검토하였다. 네 번째, 확대된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이에 대응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정책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섯 번째, 앞의 검토를 종합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발전을 위해 나아가야 할 추진방향 및 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과거 국내의 스마트시티 개발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스마트시티 정책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최근 급변하고 있는 환경변화 및 기술발전을 감안한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국내 스마트시티의 발전 및 고도화를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적 토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pare measures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in the global market by further developing the domestic smart city business, which is in a transition period. First, we examined the origin and growth process of domestic smart city (U-City) policy, Second, we analyzed the functions and policy problem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smart cities. Third, we studied advanced cases in which smart city projects overseas were promoted in a different way from domestic ones. Fourth, we examined the concept of the expanded smart city and the pattern of policy changes in Korea. Fifth,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and presented the direction to take and challenges to overcom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in Korea. This research, which looks at the trend of domestic smart city policy from the earliest point in the past to the present, and presents the future direction based on environmental changes,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smart cities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사범대생 경력개발에 관한 질적 연구

        장환영(Hwan Young Jang),김경민(Kyung Min K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4 역량개발학습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교육학, 교육공학, 가정교육, 한문교육에 재학 중인 사범대생 23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어떻게 경력개발을 하고 있는지 사범대생의 눈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 사범대생은 청년실업의 문제뿐만 아니라 매우 높은 교원임용시험 경쟁률로 인해 앞으로의 미래직업 선택에 대한 혼란을 겪고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경력계획의 과정을 자기진단과 목표설정, 기회와 위협의 인식, 대안검토, 행동계획의 순으로 보아 이를 과거, 현재, 미래의 관점에서 사범대생들의 진솔한 목소리를 드러내도록 하였다. 치열한 임용시험 경쟁하에서 사범대생들은 사범대학 교육에 대한 불만을 지니고 있었고, 미래 경력에 대한 방향성과 자신의 능력 부족 등에 대해서도 불안과 혼란스러움을 동시에 피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차원에서 경력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과 및 대학의 차원에서 사범대생들의 자기 진단을 위한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사범대의 커리큘럼이 이론만이 아니라 학생의 실천적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변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 내 경력개발센터 등에서 비교사 경력목표를 가진 사범대생과 경력미결정자들을 위해 경력계획 관리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생 경력개발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임용대란으로 일컫는 현재 교원임용시장에서 그 후보자들인 사범대생이 겪는 경력과 관련된 견해들을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탐색해 보고 사범대학 교육의 미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quires qualitatively into career development of 23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in teacher`s colleges. The study started with the assumption that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experience confusion due to difficult situation caused by both severe youth unemployment and exhaustion of teacher selection test preparation. Researchers tried to expose their own voices with respect to past, present, and future about their career planning process that comprises of 5 steps such as self discovery, goal setting, perception of opportunities and threats, review of alternatives, and action plan. Under the environment of fiercely competitive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had negative opinions against the education programs of teacher`s college, and showed anxiety and confusion simultaneously about the directions of their future career and the lack of their present competenci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the persons in charge of department or college of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ce in terms of exploring teacher`s college students`extensive career development struggles and experiences in their own voices, and drawing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teacher`s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스마트시티 이슈 해결을 위한 정책프레임워크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장환영(Hwan-Young J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본 연구는 급변하는 스마트시티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다양한 스마트시티 이슈 해결을 위한 정책프레임워크의 구성 및 개발방향에 대해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의 발전과정과 국내외 스마트시티 정책 수립 사례 및 절차를 검토하였다. 두 번째, 기존에 수행되었던 스마트시티 관련 연구 약 30여편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주요 이슈들 간의 영향요인 및 연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세 번째, 도출된 스마트시티 이슈를 보다 구체화하고 이를 실무적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해 지자체 공무원 3인, 민간기업 종사자 2인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네 번째 도출된 스마트시티 이슈,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한 스마트시티 정책프레임워크 개발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정책프레임워크는 스마트시티 관련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요소를 세분화한 후, 이를 스마트시티 구성요소와 연계·매칭한 후, 수행 가능한 주체를 선별하여 해결방안을 마련하고, 국가스마트도시위원회, 스마트도시서비스지원기관의 승인·심의과정을 거치게 되며, 정부는 이를 재정적·정책적으로 뒷받침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시티 관련 내·외부시장의 간접네트워크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 컨트롤타워 구축과 함께 지속적인 정보수집·모니터링 작업이 동반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외 스마트시티 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절차적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국내 스마트시티의 발전 및 고도화를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적 토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a policy framework to 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Smart Cities. For this purpose, first, after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domestic smart cities, we examined various cases of smart city policies being established overseas. Second, we analyzed the existing research into smart cit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issues. Third, an expert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the identified issues. Fourth, we present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a Smart City policy framework to solve the major problems associated with domestic and foreign smart cities. In the policy framework presented in this research, after subdividing the elements used for solving each problem, we linked them with the smart city components and selected matching executable agents to prepare solutions. Then, once the deliberation process of the National Smart City Committee and the Smart Urban Service Support Organization has been completed, the government will support it financially and politically. It also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erform continuous information gathering and monitoring work,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a control tower to strengthen the network effect between smart city related market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the procedures required for efficiently responding to the problems arising in the smart city promotion proces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dealing with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domestic smart citi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