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목생육 조건을 고려한 조경수목과 아파트 건물의 최소 이격거리에 관한 연구

        장하경,안근영,이은희,Jang, Ha-Kyung,Ahn, Geun-Young,Lee, Eun-Heui 한국조경학회 2007 韓國造景學會誌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inimum distance needed between landscape trees and apartment buildings. in order for the trees to grow soundly and maintain constant growth.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green-spaces contiguous to apartment buildings and the trees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The following general problems were identified : (1) the tree growth conditions, (2) the planting intervals, and (3) the planting methods in the apartment complexe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reas, measure the trees and analyze the results. Ten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Seoul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 greens contiguous to the building of each apartment complex, the green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including the front greens, the side greens, and the rear greens. The study surveyed the width of all contiguous greens and the distance from trees to my given building. Four representative sites were specifically investigated to measure the crown widths, heights, and diameters of the trees. These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over 3 months from August to December 200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reens are narrower in width and the more closer to a building. The study identified a correlation between the tree and the passage of time afte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of an apartment complex, showing that the malformation of the trees worsened as time pass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right crown and left crown width with the tree trunk as the center, a broad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coniform trees and trees that tend to branch out more.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Acer palmatum is 1:6. However, the ratio of the Metasequoia glyptostroboide is 1:1.7. Based on the overall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the maintained minimum width must be greater than one meter over the green space according to the 'Landscape Standard 2000'. However, that is only applicable to cases such as apartment buildings that present no obstacles. In conclusion having greens placed within one meter of width to a building is not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the healthy growth of trees. To create sound green spaces, sustainable, long-term growth rate and size should be consider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new standards for the computation of planting trees and the measurement of square landscapes. Wall greenery and shrubberies could be an alternative in the case of a narrow-width green space.

      • KCI등재

        관리조방형 옥상녹화 식재식물의 피복률 변화 및 피복유형

        장하경 ( Ha Kyung Jang ),이은희 ( Eun Heui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옥상녹화 식재계획을 위하여 관리조방형 옥상녹화 식재식물에 대한 다년간 조사결과를 토대로 피복률 변화의 양상을 분석하고 피복특성을 유형화하였다. 실험대상지는 2007년에 조성된 서울여자대학교 행정관 옥상녹화지이며 식물은 기린초등을 포함한 4종류의 세덤류와 층꽃나무 등 다년생 초화류 14종을 포함하여 총 18종이 식재되었다. 식재식물 피복변화 모니터링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피복률은 식재 후2년이 경과한 2008년에는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거나 다소 증가한 반면 2009년 들어서는 세덤류와 섬백리향 등 총 6종을 제외하고는 대다수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피복양상을 관찰한 결과 크게 4가지 유형으로 식재지유지형, 인접지역 잠식형, 포복 확산형, 산발 확산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주요기간의 피복률 데이터를 종속변수로 하여 식재후 경과 시간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8종에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피복률 변화양상 예측모델이 도출되었다. 향후 다양한 식물들에 대한 장기적인 피복특성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가능한 옥상녹화 식재계획을 위한 다양한 식물정보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covering in the extensive green roof site. Eighteen herbaceous perennial grass such as Caryopteris incara and sedum species such as Sedum Kamtschaticum were planted on an experimental green roof with 10cm substrate depth in 2007. This study investigated vegetation change over 3 growing seasons 2007-2009. The covering rates of planted species mostly increased in 2008, but declined in 2009 except 6 species such as sedum specis and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etc. There were four categories of covering characteristics generat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se include the type of sustain planting site, the type of encroach adjacent site, the type of creeps and spreads, and the type of scatters and spreads. The covering models of eight planted species were drawn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However more monitoring of various plants will be needed to establish the information for sustainable roof planting plan.

      • KCI등재

        옥상녹화용 식물의 생장모형 모델링을 위한 실험적 연구

        장하경(Ha-Kyung Jang),한승원(Seung-Won Han),김재순(Jae-Soon Kim),정명일(Myung-Il Jeong) 한국생활환경학회 2012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vering characteristics of planted species for various greening like roof greening in urban area. Twelve plants such as Hosta longipes, Aster koraiensis,Phlox subulata etc. were selected from the perennials. Plants planted at an interval of 20 cm in the experimental planters in April, June 2011. Hedera helix and Hypericum tricolor crept over the ground irregularly. Coverage rates of Aster koraiensis, Prunella vulgaris, Ajuga reptans, Phlox subulata, Hydrangea serrata, Mazus miquelii, were over 100% at September. Among them Prunella vulgaris, Ajuga reptans, Mazus miquelii, rapidly covered in the early stage. Coverage rates of Hydrangea serrata, Aster koraiensis increased continuously in 5 months, while Artemisia laciniata,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decreased from September. Aster koraiensis, Hydrangea serrata, Mazus miquelii, were over 200%. With various results of this study, planting plan for urban greening in uniform should be improved for sustainable greening.

      • KCI등재

        서울시 일부 상업용 건물 수목의 입지환경

        이은희,장하경,안근영,Lee, Eun-Heui,Jang, Ha-Kyung,Ahn, Geun-Young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5

        본 연구는 서울시내 상업용 건물 수목의 입지환경을 조사하여 지속가능한 녹지조성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및 이론 고찰을 통해 상업용 건물 조성과 관련하여 조경과 관련된 법규 및 기준들을 살펴보고, 대상지로 선정된 상업용 건물과 식재된 수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지로 선정된 20개의 상업용 건물 녹지공간은 식재지의 폭과 방위, 향, 주변여건 등 환경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상업용 건물 수목의 입지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녹지는 크게 전면녹지, 측면녹지와 후면녹지 등 위치별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식재된 조경수목과 건물과의 이격거리 및 식재환경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면녹지는 대상지의 45%, 후면녹지는 30%가 조성되어 있지 않는 반면, 측면녹지는 20개소 중 19개소의 대상지에 조성되어 있었다. 둘째, 녹지 폭은 조성되지 않은 곳을 제외한 총 44개소의 녹지 중 13개소가 1m 미만으로 나타났다. 측면녹지의 경우 지역이나 건물의 특성과 무관하게 띠 녹지 형태로 유사하게 조성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이격거리를 조사한 결과 평균 0.76m로 조사되어, 전반적으로 수목이 매우 건물에 가깝게 식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재된 수종은 총 30종으로 상록교목 8종, 낙엽교목 15종, 관목류 7종으로 조사되었으며, 대부분 유사한 수종이나 식재패턴을 보였다. 다섯째, 대체적으로 식재된 수종의 수관 폭이나 생육특성과 무관하게 식재되어 상업용 건물 수목의 입지환경이 장기적으로는 식재 수목의 건전한 생육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최소 녹지 폭과 녹지면적만을 규정하고 있는 관련 법규의 세분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최소 녹지 폭 확보에 관하여서는 식재지 조성 후 적어도 1m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접녹지의 입지형태 및 유형(폐쇄형과 개방형)에 따라 적절한 식재기준 및 관리 지침을 제시하여 지속적으로 녹지가 양질로 관리되도록 하는 제도적 뒷받침 또한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database of the use of landscape greenery that surrounds commercial buildings in Seoul.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receding studies and related laws, survey areas, measure trees, and analyze the results. The 20 representative sites were specifically investigated to measure the width, direction, and environment of planting conditions. To analyze the greens adjacent to the building, the green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front greenery, side greenery, and rear greenery. The study surveyed the distance from trees to adjacent buildings, and their planting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45% of the front greenery and 30% of the rear greenery were not established, but 19 of the 20 side greens were. Second, 13 of the 44 green areas adjacent to commercial buildings were under 1m in width. Most side greenery was belt -shape and unrelated to the features of the site or building. Third, the average distance from trees to buildings was 0.76m, indicating that most trees were planted too close to the buildings. Fourth, of the 30 trees utilized, the species breakdown was: 8 evergreen trees, 15 deciduous trees, and 7 shrubs. For the most part, planting patterns were similar for all species. Fifth, most sites were ill-suited to tree growth, because crown shape, planting conditions, and light conditions, etc., had not been consider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ore specific, subdivided standards for planting conditions should be established. For example, building plans should include a green area that is at least one meter in widt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ype(closing/opening) of the greenery adjacent to the buildings, suitable management programs and supervision protocol should be adopted.

      • KCI등재

        조경용 주요 지피식물의 생장 특성을 고려한 식재조합 및 혼식 적합성 평가

        한승원,장하경,Han, Seung Won,Jang, Ha Kyung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경관식재용 지피식물의 혼식 설계를 위하여 생활형이 다른 9종의 식물의 연중 생장 특성을 파악하고 식물들 간의 피복 특성을 분석하여 생활형에 따른 적정 식재조합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단립형으로 초장 20 cm 이상 생장하는 둥굴레, 맥문동, 일월비비추는 4월 식재 후 60일 이내 생육이 증가한 후 형태를 유지하였다가 9월 이후 지상부가 퇴화하며 휴면기에 들어가는 경향을 보였고, 분지형으로 20 cm 이하로 생장하는 바위취, 패랭이꽃, 애기기린초는 4월 식재 후 9월까지 지속적으로 생장하다가 9월 이후 생장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포복형으로 지면에 붙어서 생장하는 리시마키아는 식재 후 3개월 경과부터 급속한 생장을 보였으며 돌나물은 8월까지 서서히 생장하다가 온도가 하강하는 9월부터 지상부가 퇴화하는 특성을 보였다. 꽃잔디는 초반 생장은 좋았으나 개화기가 지나고 난 후에는 전반적인 생육발달이 더뎌져 식재 후 7개월 동안 11.0%의 낮은 생장 특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르게 생장하는 9종의 식물들을 혼식하였을 때 피복하는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각 식물의 생장 특성이 피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초장이 10~20 cm 자라며 로제트형으로 자라는 형태와 포복형 식물들의 조합이 높은 피복률을 나타냈다. 식물별로는 포복형인 돌나물이 맥문동, 일월비비추, 패랭이꽃, 애기기린초, 꽃잔디 등이 가장 많은 식물들과 혼식하였을 때 생장이 증가하는 종이었다. 로제트형 중에서는 일월비비추가 애기기린초, 바위취, 리시마키아, 돌나물과 동반생장이 가능한 종이었고, 지표면에서 분지가 밀생하여 자라는 패랭이꽃은 잎이 밀생하지 않는 맥문동, 바위취, 리시마키아, 돌나물과 혼식이 유리한 경향을 나타났다. 이 결과는 식물의 생장형 분류 중 근경이 분지하는 종보다 땅위로 뻗는 줄기로 번식하거나 무근경으로 영양 생장하는 종이 다른 종들과 혼식하기에 좋은 유형이라고 사료되었다. With the purpose of designing companion planting of groundcover plants for ornamental uses, this study identified the y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nine species of different life forms, analyzed the coverag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lants, and suggested combinations of plants suitable for each life form.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Liriope platyphylla and Hosta capitata, as short-grained plants that can grow to more than 20 cm, tended to grow for 60 days after planting in April and maintain their shape thereafter. Their aerial parts started to wither and enter dormancy after September. Saxifraga stolonifera, Dianthus chinensis and Sedum middendorffianum tended to continuously grow until September after planting in April and their growth declined after September. Lysimachia nummularia, as a creeping plant that grows creeping on the ground, started to show a rapid growth three months after planting. Sedum sarmentosum grew slowly until August and the aerial parts started to wither from September when the temperature decreases. The coverage characteristics of these nine species that grow differently after companion planting were surveyed and the growth of Sedum sarmentosum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companions. It was found that Hosta capitata can be companion planted with Sedum middendorffianum, Saxifraga stolonifera, and Lysimachia nummulari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mong different shoot growth types species propagated with their stems creeping on the ground or those that can grow vegetatively with non-rhizome parts are more suitable for companion planting with others than those of which rhizomes branch.

      • KCI등재

        꼬마잠자리(Nannophya pygmaea Rambur: Libellulidae, Odonata) 서식처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1a

        이은희 ( Eun Heui Lee ),장하경 ( Ha Kyung Jang ),박민영 ( Min Young Park ),윤지현 ( Ji Hyun Yoon ),김재근 ( Jae Geun Kim ),배연재 ( Yeon Jae Ba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꼬마잠자리 서식처의 자연환경을 조사하고, 생물종의 복원과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꼬마잠자리는 잠자리과에 속하는 초소형 잠자리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 보호야생동식물로 분류되어 보호되고 있다. 국내의 서식처는 중남부 일부 지역에 매우 희소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멸종위기종인 꼬마잠자리의 서식처 복원을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꼬마잠자리의 서식이 확인된 4개 지역 10개 지점의 경관, 서식처면적, 식생 유형, 수환경, 수원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2006년 6월부터 2007년 8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대부분 산지의 묵논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서식처 면적은 113.4㎡~1,153.1㎡로 나타났다. 식생은 골풀과 고마리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수심은 2.6~7.3㎝사이였고, 수온은 16~27.8℃이었다.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고산습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조사 결과 해발 고도 139~243m 사이의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주변이 위요된 육화되기 전의 빈영양화 초기 단계의 묵논과 같은 습지에 복원되어야 하며, 꼬마잠자리는 다른 잠자리보다 환경에 예민한 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서식처 복원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restore habitats of Nannophya pygmaea. Nannophya pygmaea is an endangered species of wildlife fauna in Korea and its habitats are distributed very scarcely in Korea. Ten wetland sites throughout Korea, where N. pygmaea inhabited (2 sites in Incheon Muui-do, 1 site in Gokseong Singi-ri, 4 sites in Gokseong Wolbong-ri, and 3 sites in Mungyeong Yulsu-ri) were investigated from June 2006 to August 2007. Investigation was made on landscape properties, habitat sizes, vegetation types, water environments, and water sources. N. pygmaea was generally found in the abandoned paddy fields surrounded by mountains. The habitats ranged from 113.4 ㎡to 1,153.1 ㎡in area, and were mostly dominated by Juncus effusus and Persicaria thunbergii. The water level was 2.6~7.3 ㎝, and the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16℃ to 27.8℃. The elevation of the habitats ranged from 139 to 243 m above sea level, which was mostly lower than that of other high mountain wetland habitats. In conclusion, the habitats of N. pygmaea can be restored at wetlands, which have similar condition with field habitat such as abandoned paddy fields in the beginning stage of oligotrophy. Because N. pygmaea is sensitive to microtopography and other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approach to restore the habitats for N. pygmaea should consider those microhabitat conditions shown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