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국내 과실 탄저병을 일으키는 종 복합체와 종 다양성 및 살균제 감수성

        장태현,올리울하산,전종엽,김치현,이대민,김주성,강은찬,김재원,Taehyun Chang,Oliul Hassan,Jong Yeob Jeon,Chi Hyun Kim,Dae Min Lee,Ju Sung Kim,Eun Chan Kang,Jaewon Kim 한국식물병리학회 2023 식물병연구 Vol.29 No.4

        탄저병원균(Colletotrichum) 속의 많은 식물병원균은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 과수 생산에 큰 위협이 된다. 사과, 감, 자두, 복숭아, 대추, 포도 및 호두와 같은 과실에서 탄저병과 관련된 탄저병원균의 종이 동정되었다. 형태적, 다중 유전자의 계통발생적 및 병원성 시험이 다양한 접근으로 실시되었다. 동정된 탄저병원균의 종에 대한 감수성은 살균제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2종의 종복합체인 gloeosporioides와 acutatum에 속한 9종의 탄저병원균이 국내 과실에 탄저병의 주요 원인균으로 동정되었다.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종 복합체 안에는 6종인 C. aenigma, C. fructicola, C. gloeosporioides, C. horii, C. siamense 및 C. viniferum이 있는 반면, Colletotrichum acutatum 종 복합체 안에 종은 C. fioriniae, C. nymphaeae 및 C. orientalis이 동정되었다. 사과 탄저병원균은 C. fructicola, C. siamense, C. fioriniae 및 C. nymphaeae, 자두 탄저병원균은 C. siamense, C. fioriniae 및 C. nymphaeae, 복숭아 탄저병원균은 C. siamense, C. fructicola 및 C. fioriniae, 감 탄저병원균은 C. siamense, C. horii 및 C. nymphaeae, 오미자 탄저병원균은 C. fioriniae, 호두탄저병원균은 C. orientalis, 대추탄저병원균은 C. nymphaeae, 포도 탄저병원균인 C. aenigma, C. fructicola 및 C. siamense를 국내 과수류의 과실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종류로 처음 국제학술지에 보고되었다. 이들 병원균의 종에 대한 살균제의 감수성 시험에서 여러 살균제에 대한 탄저병원균의 종 간에 EC<sub>50</sub>값이 매우 다양하여 감수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Anthracnose, caused by the Colletotrichum genus, comprises a significant number of plant pathogens and poses a major threat to fruit production worldwide, including South Korea. Colletotrichum species were identified associated with anthracnose in fruits such as apple, persimmon, plum, peach, jujube, walnut, and grape. A polyphasic approach, including morphology, multigene phylogenetics, and pathogenicity testing, was used. Additionally, the in-vitro sensitivity of identified Colletotrichum species to common fungicides was also evaluated. A total of nine Colletotrichum species within two complexes, namely gloeosporioides and acutatum, have been identified as the causal agents of anthracnose in common fruits in South Korea. In the gloeosporioides complex, we found Colletotrichumaenigma, C. fructicola, C. gloeosporioides, C. horii, C. siamense, and C. viniferum. Meanwhile, in the acutatum complex, C. fioriniae, C. nymphaeae, and C. orientalis were identified. Notably, C. fructicola, C. siamense, C. fioriniae, and C. nymphaeae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apple, C. siamense, C. fioriniae and C. nymphaeae from plum, C. siamense, C. fructicola, and C. fioriniae frompeach, C. siamense and C. horii from persimmon, C. fioriniae from Omija (Schisandra), C. orientalis from walnut, C. nymphaeae from jujube, and C. aenigma, C. fructicola, and C. siamense fromgrape. Fungicide sensitivity tests revealed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EC<sub>50</sub> values among specific Colletotrichum species when exposed to different fungicides. Moreover, the same Colletotrichum species isolated from different host plants displayed varying sensitivity to the same fungicide.

      • KCI등재

        오이 시설재배에서 키토산 처리가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효과

        박기춘(Kee-Choon Park),장태현(Taehyun Chang)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3

        오이시설하우스 토양에 키토산의 분말과 액상을 처리하여 90일, 160일 및 200일이 경과한 후에 인지질지방산을 추출하여 토양 미생물상 구성 및 토양 미생물의 생리적 지표를 분석하였다. 확인된 총지방산을 주요인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키토산 처리 후 90일에 키토산 분말 처리구는 PC(주요인)1 대하여 키토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완전히 구분 되었고, 키토산 용액 처리구는 PC2 모두에 대하여 대조구와 뚜렷이 구분되었다. 키토산 분말 처리 후 160일에 대조구와 비교하여 키토산 분말 처리구는 PC2에 대하여 완전히 구분 되었지만 키토산 용액 처리구는 PC1과 PC2 모두에 대하여 뚜렷이 구분되지 못하였다. 키토산 처리 후 200일에는 PC1과 PC2 모두에 대하여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지표 지방산을 이용한 미생물군과 생리적 지표의 차이를 보면, 키토산을 토양에 처리한 후 90일에는 토양미생물군에 미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곰팡이/세균 비율은 키토산 용액 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키토산 처리 후 160일은 균근이 키토산 분말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세균은 그램 음성균/그램 양성균 비율이 키토산 용액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cyclo-지방산/전구체 비율은 대조구가 키토산 분말 처리구보다 높았다. 곰팡이/세균 비율은 키토산 처리구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키토산 처리 후 200일 조사에서 호기성균/혐기성균 세균의 비율이 키토산 분말 처리구가 키토산 용액 처리구보다 높았고, 포화지방산/불포화 지방산 비율은 키토산 용액 처리구가 키토산 분말 처리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키토산은 처리 후 160일 까지 토양 미생물상을 변화시켰으며 분말에서 효과가 컸다. 미생물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키토산의 영향은 처리 160일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200일까지 나타났다. Soil microbial community and soil physiologic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phospholipid fatty acids extracted from the soils amended with chitosan powder and solution in a cucumber greenhouse. The soils were sampled at 90, 160, 200 days after treatment. Identified fatty acids were analyzed with principal component (PC) analysis. Chitosan powder soils and chitosan solution soils were separated from non-treated control soils by PC1 and PC2 90 day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And chitosan powder soils were separated from non-treated control soils by PC2 160 days after treatment. The ratio of fungi to bacteria increased significantly in chitosan solution-amended soils compared with the control soils 90 days after treatment. Microbial groups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160 days after treatment: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 (VAM) significantly increased in soils amended with chitosan powder compared with other soils, the ratio of gram negative bacteria to gram positive bacteria and cyclo-fatty acids to precurs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lower in soils amended with chitosan solution and chitosan powder compared with control soils, respectively, and the ratio of fungi to bacteria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ontrol soils compared with chitosan-treated soils. The chitosan powder increased the ratio of aerobic to anaerobic bacteria and lowered the ratio of saturated to unsaturated fatty acids compared with chitosan solution 200 days after soil application. In conclusion, chitosan powder changed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and the effects maintained up to 160 days after soil application. The effect of physiological parameters on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started to appear 160 days after and continued up to 200 days after soil application of chitosa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