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님의 沈黙』의 리듬 연구

        장철환(Jang, Cheul?Whoan)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6

        본고의 일차적 목적은 『님의 沈?』의 시행을 중심으로 ‘호흡률’의 실제적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통상 내재율 혹은 자유율이라고 규정되는 만해 시의 독특한 리듬의 양상을 규명하는 것에 있다. 특별히 만해 시의 시행의 띄어쓰기 표지에 착목하여, 시행이 분절되는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는 것에 주안점을 둔다. 이는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하나는 시행을 구성하는 호흡의 마디들의 수를 계상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호흡의 마디들 자체의 양적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호흡상의 휴지(休止)의 빈도와 호흡발산의 크기라는 요인이 개입하는데, 이의 분석을 통해 『님의 沈?』의 고유한 템포(tempo)의 양상을 변별해낼 수 있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한용운의 시에서 율독 상의 호흡의 패턴과 변화의 양상은 그의 시의 리듬의 전체 구조를 지탱하는 한 축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시행의 마디의 분절 양상이 시의 호흡상의 패턴을 조직하고, 나아가 시의 템포의 변화를 규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호흡률’은 구문론적ㆍ의미론적ㆍ리듬론적 요소들이 교차하는 중심지점으로, 시인의 사유와 시의 의미를 분절하는 조직화의 원리인 것이다. 본고의 해명은 현대 자유시와 산문시의 내재율 혹은 자유율의 실제적 양상을 해명하는 데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rhythm of Han Young?Woon"s poetry, analyzing the rhythm of breath in lines of 『The silence of "Nim"』. Speciall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word spacing, the caesura of lines. For this, there are next two methods, one is to count the number of colon, the other is the size of colon. Analyzing the frequency of caesura in lines and the strength of release in breath, we will figure out the tempo of 『The silence of "Nim"』. Finally we will know that the pattern of breath in reading 『The silence of "Nim"』 is the key point of the whole structure of his poetry"s rhythm. This shows that the colon of lines controls a pattern of breath and a tempo in reading his poetry. In other words, the rhythm of breath is the key point to connect syntactics, semantics and rhythmology of 『The silence of "Nim"』, and the essential principle to produce poet"s thought and poem"s meaning. Therefore, I affirm that a explanation of this article will contributes to explanation of a rhythm in modern poetry in many ways.

      • KCI등재

        접선, 탈골 그리고 접합에의 욕망

        장철환(Jang, Cheul-Whoan)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이 글은 김진희의『한국 근대시의 과제와 문학사의 주체들』(소명출판, 2015)에 대한 서평이다.『한국 근대시의 과제와 문학사의 주체들』은 근대시의 출발에서부터 정립과 확산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연구주제에 대한 심도 있는 탐색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이 책에 담긴 연구자의 문제의식, 곧 “근대문학의 정립을 향해가는 문학사 주체들의 욕망과 꿈과 분투, 그리고 실천적 작업”을 정치하게 탐색하려는 저자의 자세와 태도의 정중함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이 서평에서는 ‘문학사 주체들의 욕망과 꿈과 분투, 그리고 실천적 작업’을 통해 한국 근대시를 이해하고 그 과제를 적출하려는 저자의 시도가 갖는 함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문학사 주체들이 추구한 세계와 ‘한국 근대시의 과제’가 만나는 접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근대시의 과제’가 지닌 추상성과 ‘문학사 주체들’의 구체성을 매개하고자 하는 저자의 의지를 독해할 것이다. 2장에서는 근대시 성립과 시적 주체의 첫 번째 접점을 ‘번역’에서 찾는 1부의 논의들과, 낭만주의를 한국 서정시의 저류로 인식하면서 낭만성을 문학사 주체들의 두 번째 접점으로 간주하는 2부의 논의들을 분석할 것이다. 3장의 내용은 ‘동아시아 문학의 장과 근대시의 방향과 과제’(3부)에 나타난 일제의 대동아공영이라는 이데올로기 속에서 근대문학의 방향을 모색하는 문인들의 고민과 성찰에 대한 탐구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라는 보다 큰 틀에서 한국 근대시의 다양한 양상과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저자의 제언 속에는, “문학사적 위기를 체감하면서 시인으로서의 삶을 선택했고, 또 절필했던 당대 작가들의 삶에 들어가 보고 싶다는 어떤 절실함”이 투영되어 있음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is a review of The task of modern Korean Poetry and the subjects of a history of literature(somyong, 2015), written by Kim, Jin-Hee, who has studied various issues such as a formation of literature-field, a translation and comparative literature, and modernity and post-modernity. The author inquires into these issues widely and deeply. This shows that her intention to investigate "the desire, hope, effort and praxis of the subjects of a history of literature" is very magnificent and precise.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meaning of her final intention by undertaking a detailed analysis of her work in due course of contents. Specially, I focus much attention on her desire to connect "the task of modern Korean Poetry" to "the subjects of a history of literature", who are one and the same person, the author.

      • KCI등재

        이상 글쓰기의 방법적 원리로서 “대칭성” 연구 2 -타자의 자아화에 나타난 대칭구조를 중심으로

        장철환 ( Cheul Whoan Ja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3

        이 글의 목적은 주체와 타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상 글쓰기의 방법적 원리로서의 ‘대칭성’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절름발이’로 표현된 아내와의 관계는 이상 시의 대칭성을 이해하는 중심축 가운데 하나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타자의 자아화’를 발견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거울’을 매개로 한 ‘자아의 타자화’와 대칭을 이룬다. 이때 ‘문(門)’은 이러한 대칭 구조의 중선(中線)이 되며, ‘문’을 사이에 둔 안과 밖의 대칭성의 이해는 ‘아내’와의 미묘한 관계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기만술’은 ‘타자의 자아화’의 기교적 핵심이다. 우선, ‘나’와 ‘아내’의 관계에 나타난 대칭성은 이중적이다. 창부와 아내로서의 분열은 아내 내부의 데칼코마니적 대칭을 보여주고, 이는 아내와 나의 절름발이의 대칭을 이룬다. 이때 아내의 이중적 기만술은 이러한 대칭 구조의 균열을 야기한다. 다음, 아내의 기만술에 대한 나의 기만술은 양자의 대칭을 파열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이는 궁극적으로 자기기만을 통해 자기를 부정하려는 힘이 내재해 있다. 이 힘은 궁극적으로 ‘절망→기교’로의 운동 및 ‘기교→절망’으로의 운동과 동궤를 이룬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on the symmetry as the principle of a writing in Lee Sang`s poetry,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subject and the other. The word ‘cripple’ is a crux to understand the symmetry as the principle of a writing in Lee Sang`s poetry. We can see the becoming ego of other in it. The door is an axis of symmetry of this symmetry. The technic of deception is a important method to investigate a delicat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A wife divided into two, i.e. a chaste woman and a prostitute. These two parts are composed of a decal symmetry, which keeps their relationship. The poetic subjects deception to a wife`s deception implodes this symmetry. Finally this self-deception is similar to his self-denial. Therefore his statement(“espair engenders artistic technic and technic produces despair again.) shows up his principle and methodology in the his writing.

      • KCI등재

        정지용 시의 템포 -호흡 마디 분절의 변조를 중심으로

        장철환 ( Cheul-whoan J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3

        본고는 정지용 시의 리듬 분석의 세 가지 층위(음가의 반복으로서 리듬, 템포로서의 리듬. 선율로서의 리듬) 가운데 템포로서의 리듬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템포로서의 리듬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는 호흡의 마디의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호흡 마디는 시의 연속적 흐름에 특정한 분절을 형성함으로써 율독상의 고유한 패턴을 창출하고, 시의 고유한 호흡 패턴과 템포의 빠르기를 구성한다. 본고에서는 정지용 시에 나타난 호흡 마디의 분할의 특수한 양상과 변조를 확인함으로써 자유시의 리듬 분석의 새로운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정지용 시에 나타난 호흡 마디의 분할과 변조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우선 초기 시의 경우, 음수율에 기반한 정형적 호흡 패턴이 감지된다. 그러나 이는 극히 예외적인 현상으로, 44조 음수율로 주조된 경우라 할지라도 내부에는 호흡 마디의 불규칙과 변조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지용이 시행의 마디 분할의 변조를 통해 시적 정조를 표현하기 위해 모색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모색은 1927년을 기점으로 호흡 마디 분절에 대한 다양한 실험으로 나타나는데, 음가의 연장과 띄어쓰기의 확대라는 두 가지 층위로 구현되고 있다. 전자는 주로 음성상징어와 부사어의 반복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정형적 율격에 맞추기 위한 시도가 아니라 대상과 사물에 대한 ‘청신한 감각’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후자는 하나의 어휘, 체언과 조사,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의 의도적인 분절로 나타나는데, 이는 지용이 띄어쓰기의 차이가 유발하는 호흡상의 패턴 변화와 리듬상의 효과에 대해 명확히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것은 대상에 대한 시적 주체의 정조를 표현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다. 특히 “-처럼”의 이중적 분절은 호흡상의 반복과 변조가 야기하는 템포의 변화에 대한 지용의 인식과 모색을 잘 보여준다. 이처럼 정지용의 시에서 호흡 마디의 분할이 야기하는 템포의 변화는 시의 구문론적. 의미론적 자질과 긴밀히 호응하고 있다. 이는 언어에 대한 지용의 천재적 감각과 혈육적 애착을 예시하며, 그의 시의 리듬 분석이 언어의 결(texture)을 조직하는 천재성 위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정지용의 시가 지닌 호흡 마디의 특수한 양상은 그가 일상어의 호흡에 기초한 자연스런 리듬에 대한 지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tempo of Jeong Ji-yong`s poetry. Specially it is focused on the aspects of the articulation of breath unit and it`s variation. The function of breath unit in poetry is to form a unique articulation, to cause a proper scansion pattern, and to decide a speed of tempo.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articulation of breath unit and it`s variation in Ji-yong`s poetry, this article will investigate the speciality of rhythm in his poetry and explain specific aspects of free rhythm. Firstly, some of his early poetry are consisted of a fixed form of verse, in specially a regular repetition of same syllables. But this is very restrictive, and there are many variations of the articulation of breath unit. Secondly, the majority of his free verses are consisted of irregular forms of breath units. This is divided two aspects, i.e. the extension of phonetic value and the expansion of word spacing. The former appears in the repetition of sound symbolic words and adverbial phrases. The latter appears in one word, ``a substantive+postpositional particle``, and ``predicate +auxiliary predicate``. This shows that he is aware that a change of breath pattern brings about a change of tempo and rhythm. Proceeding from what has been analyzed above, it should be concluded that the articulation of breath unit in his poetry is related to sentence structure and meaning of poem. And finally this explains his affection of language and his genius to write a poem.

      • KCI등재

        김억 시의 리듬 연구 : ‘음절률’과 ‘호흡률’을 중심으로

        장철환(Jang Cheul-whoan) 한국시학회 2011 한국시학연구 Vol.- No.30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hythm of Kim uk's late poetry. "7 ? 5조" is the core of his consciousness of meter. And the syllabic meter to standardize the same number of syllables is another aspect of his consciousness of meter. Both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unicity, and produce the beauty of symmetry. But there is the principle of diversity to produce a change of rhythm. The rhythm of breath changes a regular rhythm, and produce a free rhythm. Therefore a syllabic meter and the rhythm of breath are the key parts of the rhythm of Kim uk's late poetry. In other words 『안서시집』 is a complex of various rhythm.

      • KCI등재

        정지용 시의 리듬 연구

        장철환(Jang, Cheul-whoan)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6

        본고는 한국 현대시의 발전에 있어 중요한 전기를 마련한 시인인 정지용 시의 리듬에 대한 탐색이다. 정지용 시의 리듬은 크게 음가(音價)적 반복과 비음가적 반복으로 나뉜다. 이중 본고는 전자를 음운·단어·어절·문장의 층위로 나누어 분석한다. 첫째, 동일 문장과 유사 문장의 반복에 의한 구조적 리듬은 지용 시의 리듬의 한 양상을 이룬다. 구문론적 반복의 양상은 대체로 동일한 문장보다는 유사 문장이 반복되는 경우가 주를 이룬다. 이는 그가 동일성 내부에서도 차이와 변화에 대해 의식하고 있음을 예증한다. 둘째, 그의 시에서 구절 층위의 반복은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그 양상은 규칙적이고 정형적인 형태를 띠지 않고, 불규칙적이고 비정형적 양상이 주를 이룬다. 구절 단위의 반복은 대부분 부분적으로 실현되기 때문에, 반복의 실제적 양상과 효과는 매우 다양하고 산발적인 특징을 지닌다. 셋째, 단어 층위의 반복은 정지용 시의 리듬을 이해하는 중심지점이다. 그 양상은 음성 상징어의 반복과 일반 어휘의 반복으로 구분되는데, 대체로 2회 반복이 주를 이룬다. 그는 동일 어휘를 인접하여 반복하되, 양자 사이를 분리하여 표기함으로써, 매우 독특한 음성적 도상적 효과를 산출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특정 음운의 반복은 시의 의미와 긴밀히 호응한다. 이것은 지용의 시가 음운론적·의미론적으로 단일하게 통합되어 있음을 예시한다. 이것은 단일 음운의 반복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자음과 자음, 자음과 모음의 교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는 지용이 소리의 중층적 효과에 대해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그가 언어가 갖는 음성적 효과와 미적 가치에 대해 매우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 시인임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rhythm of Jeong Ji-yong’s poetry, who marked a turning point in Korean modern poems. The rhythm of his poetry is divided into two parts, a repetition of phonetic value and a repetition of non-phonetic value.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former into four layers, namely sentences, phrases, words and phoneme. Firstly, the structural rhythm is one aspect of his rhythm. It is produced by a repetition of same and similar sentences. This shows that he was conscious of differences and changes in oneness. Secondly, the repetition of phrase is a frequent phenomenon in his poems. But the aspect is not formular and regular, but informal and irregular. And the effect is very various and sporadic, because the repetition of phrase is realized in part. Thirdly, the repetition of word is a central part in a repetition of phonetic value. The aspect is divided two parts, sound symbolic words and general words, which generally repeat two times. This makes a powerful effect on the sounds and images of his poetry. Fourthly, the repetition of phoneme is connected with a emphasis of meaning. This shows that his poetry is a united entity of sound and meaning. Further this repetition occurs not only one phoneme but also mane phonemes. This means that he was conscious of several effects of pronunciation. Finally, this analysis will reveal he was the best poets of his time, for he carefully considered the sonic effects and values of Korean.

      • KCI등재

        이상 시의 수사학

        장철환 ( Cheul Whoan J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9

        이 글은 이상 시의 수사학의 원리와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이상 시에서 복화술과 기만술은 그의 글쓰기의 원리의 중핵을 이룬다. 이는 수사학적 차원에서 대칭과 치환의 수사학으로 현상한다. 초기시의 수식과 기호의 사용은 이를 예시한다. < 烏瞰圖 > 이후의 시편들에서는 수식과 기호의 사용은 현저히 감소하고, 대신 문채(trope)와 전의(figure)의 사용이 두르러지게 나타난다. 여기에 내재한 수사학적 방법은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는데, 하나는 역설 및 반어와 같은 모순어법(oxymoron)이고, 다른 하나는 은유 및 환유에 의한 치환어법(substitution)이다. 양자는 회귀와 병행이라는 반복어법(repetition)을 공유한다. < 烏瞰圖 > 이후의 시편들에서, 모순어법은 주체 내부의 분열, 분열된 주체의 타자와의 관계의 대칭성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여기에는 19세기와 20세기라는 시간의 대칭성이 내재해 있다. 이때 대칭을 이루는 짝패는 서로 모순 혹은 부정의 양상을 띠고 있다. 치환어법은 ``문필 계열``과 ``의복 계열``의 비유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이는 글쓰기 주체의 표층과 심층 사이의 분열을 암시한다. 대중들에 대한 사기술과 주체 자신에 대한 기만술은 여기에서 기원한다. 이상 시의 수사학은 일차적으로 기존의 시적 문체의 외연을 확대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언표행위의 주체와 언표 내적 주체 사이의 간극을 심화시킴으로써 새로운 시적 텍스트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현대적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on the principle and method of a rhetoric in Lee Sang`s poetry. The ventriloquism and deception are cores of his writing. Both are corresponding to the rhetoric of symmetry and substitution. In his early poetry, the use of number and symbol examples this. After his poetry < 烏瞰圖 >, the use of number and symbol are substituted by the use of trope and figures. This change is summarized as two, one is a oxymoron as a paradox and irony, the other is a substitution as metaphor and metonymy, which hold a repetition in common. The conclusion which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 oxymoron represents a symmetry of many aspects, that i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bjects, between a wife and a husband, and between a son and a father. This means that Lee Sang was conscious of a symmetry of the time such as a contradiction between 19`s and 20`s century. Second, the substitution to appear in a stationery-figure and a clothing-figure, represents a division between a inner layer and a outer layer in his trope and figure. A deception to the general public and a ventriloquism to himself emerge from this. Finally, we can see the value of his rhetoric in the expansion and deepening of the previous poetic styles. Namely, it is his contribution to provide a stepping stone for developing the modern poetic text.

      • KCI등재

        김수영의 `풀의 시학` 연구

        장철환(Jang, Cheul-whoan) 한국시학회 2017 한국시학연구 Vol.- No.49

        이 글은 김수영의 마지막 작품 「풀」의 해석을 중심으로 한 ‘풀의 시학’에 대한 연구이다. 「풀」은 “김수영 답지 않은 그 단순성”을 지닌 작품이면서 동시에 탁월한 ‘무의미 시’의 전범으로 간주되어왔다. 이는 「풀」이 ‘김수영 신화’ 성립의 중요한 전거가 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해석상의 공허한 측면을 포함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풀」의 해석은‘풀’의 역설적 운동에 대한 천착을 통해 ‘체험과 이념의 긴장’을 해명하는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 본고의 분석에 따르면 풀은 이중 구조를 지니고 있다. 하나는 ‘풀’의 운동(눕다/일어서다)이고, 다른 하나는 시적 주체의 운동(울다/웃다)이다. 양자는 1연의 1~3행과 4~6행 사이의 간극에서 출발하여, 2연과 3연에서 강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이를 제대로 지각하지 못하는 것은 문장부호의 사용 없이 양자가 교묘히 병치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을 고려할 때, 풀 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지점에서 새롭게 재해석 될 수 있다. 첫째, ‘풀’과‘바람’의 관계는 양자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때 충분히 객관적 사실로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울다’와 ‘웃다’의 주체는 ‘풀’이 아니라 ‘시적주체’이다. 셋째, ‘풀’의 운동으로부터 시적 주체의 ‘울음’에서 ‘웃음’으로의 전이가 배태된다. 넷째, ‘풀뿌리가 눕는다’는 새로운 시작으로의 노래의 발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해석은 풀 이 ‘풀의 시학’일 뿐만 아니라 ‘바람과 비의 시학’이자 ‘자유와 비애의 시학’임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poetry of grass’ centering on the interpretation of Kim Su-young’s last work, the “Grass”. It has been regarded as a work with the simplicity that was not like Kim Su-young’s, and at the same time as a model of a poem of ‘no meaning’. This interpretation proves that the “Grass” includes the void aspect of the interpretation, even though it has been an important authority in establishing Kim Su-young’s myth. The interpretation of the “Grass” should go on to explain the tension of experience and thought through the inquiry of the paradoxical movement of gra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paper, the “Grass” has a dual structure. One is the ‘grass’ movement(lying down / standing up) and the other is the movement of the poetic subject(crying / laughing). Both begin at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third rows and the fourth and sixth rows at first stanza, and are strengthened at the second and third stanza. Nevertheless, we fail to perceive this correctly because both are being juxtaposed without the use of punctuation marks. Given thes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Grass“ can be reinterpreted at several point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grass’ and ‘wind’ can be interpreted as objective fact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interaction of the two. Second, the subjects of ‘cry’ and ‘laugh’ are not ‘grass’ but ‘poetic subject’. Third, from the ‘grass’ movement the transition from ‘cry’ to the ‘laugh’ of the poetic subject begins. Fourth, ‘grassroots lie down’ means the utterance of a poetry as a new beginning. This conclusion shows that the “Grass“ is not only ‘a poetry of grass’ but also ‘a poetry of wind and rain’ and ‘a poetry of freedom and sorrow’.

      • KCI등재

        『오뇌(懊惱)의 무도(舞蹈)』 수록시의 형식과 리듬의 양상 연구

        장철환 ( Jang Cheul-whoa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본고의 일차적 목적은 우리나라 최초의 번역시집 『懊惱의 舞蹈』에 수록된 번역시편들의 언어 표현상의 특징을 형식과 리듬으로 나누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근대 자유시형에 대한 김억의 인식의 전개 과정, 즉 초기 산문시형에서 자유시형으로 전이되는 과정을 해명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懊惱의 舞蹈』가 근대 자유시의 형성 과정에 끼친실제적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懊惱의 舞蹈』의 형식적 양상은 연(stanza)과 시행(line)의 구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연구 결과 김억이 특정 형태의 시 형식을 선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의 경우 서양의 소네트에서 차용한 3행연과 4행연이, 시행의 경우 서술어와 부사어 위주로 된 14±4음절의 길이의 시행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김억이 원시의 리듬감을 살리기 위해 음절수의 제한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懊惱의 舞蹈』에서 시의 형식적 특성은 리듬적 특성과 긴밀히 호응한다. 김억은 자유시 리듬의 요체를 시인의 호흡에서 찾고 있는데, 시의 내용과 정조에 따라 호흡의 마디를 다르게 배열하고 있다. 이는 안서가 호흡 마디의 크기와 수에 따라 시적 정조와 분위기가 달라진다는 것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호흡발산력의 차이와 율독의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은 호흡 마디의 분할을 야기하는 주요원인이 된다. 템포의 차이도 여기에서 비롯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aspects of form and rhythm in Kim Uk`s Dance of Agony, the first modern translation-poems in Korea. From this study, we know Kim Uk`s concepts of free verse and the process of change from prose-verse to free-verse. Firstly, the aspect of form in Dance of Agony. Kim Uk prefers a stable and ordered form to a unstable and disordered form. Tercet and quatrain stemming from Sonnet are mainly stanza. And 14±4 syllables have the most syllable of all the lines. This means that the arrangement of syllables is the principle of versification of lines in Kim Uk`s poetry. Secondly, the aspect of rhythm in Dance of Agony. The pattern of breath in Dance of Agony is the key point of the whole structure of Kim Uk`s poetry. In other words, the dimension and volume of breath-unit is the primary point to connect poem`s emotion(mood) and rhythm. From this discussion, we know that his thinking about poetic rhythm have a profound effect on the formation of modern poetry in both contents and forms.

      • KCI등재

        대문자 윤동주와 저항성의 심도(深度) - 윤동주 후기시의 타자인식을 중심으로

        장철환 ( Jang Cheul Whoa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3

        <국문초록>윤동주의 비극적 생애는 저항시인으로서의 윤동주를 지탱하는 지주 가운데 하나이다. 문제는 비극적 생애 자체만으로는 그의 시를 "저항시(抵抗詩)"로 규정할 수는 없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의 시에서 "저항성"을 건저내야 하는데, 그의 작품에서 "저항성"을 가려내는 작업은 수월치 않다. "저항성"이 표면에 부상하지 않고 심층으로 침잠(沈潛)하기 때문이다. "저항성"의 심도(深度)를 가늠하는 핵심은 자아와 민족 사이의 경계에서 양자를 매개하는 요소들을 변별하는 데에 있다. 이는 그의 시 속에서 일본 제국주의라는 타자에 대한 인식을 변별해 내는 것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특별히 본고에서는 릿교대학(立敎大學) 시기(1942년 3∼9월)에 쓰인 다섯 편(「흰그림자」, 「흐르는거리」, 「사랑스런追憶」, 「쉽게씨어진詩」, 「봄」)에 나타난 타자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도일(渡日) 유학이 제국주의 일본에 대한 타자 인식이 성립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즉 본고는 이들 시편들에 나타난 타자 인식의 실제적 면모를 살핌으로써, 윤동주의 내면세계와 현실 인식 양자를 총체적으로 사유하고, 시인의 삶과 사상과 시적 발화(發話) 사이의 간극에서 비롯하는 윤동주 시의 특수성을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아와 민족과 종교의 경계에서 윤리적 주체를 정립하려는 의지가, "부끄러움의 시학"의 역설(逆說)로 드러난다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Yoon Dong-ju`s resistibility in his poetry sinks in the deep. To measure the depth of resistibility, we need to discriminate between self and nation. This article`s primary aim is to analyze the Yoon Dong-ju`s recognition of Imperial Japanese in his poetry, specially in the period of Rikkyo Univ.(1942. 3∼9.)Firstly, 「Lovely memory(사랑스런追憶)」 was written directly after the entrance to Rikkyo Univ. This poem shows Yoon Dong-ju`s state of mind and the situation of before-and-after the entrance to Rikkyo Univ. 「Flowing street(흐르는거리)」 shows “here”, i.e. the night streets of Dokyo. The interpretation of “poor/ many people(가련한/ 많은 사람들)” has at least two implications. One is the peer in the same circumstances. The other is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Japanese people. The latter means that Yoon Dong-ju`s spirit was not limited in the nation, on the contrary reaches to the post-nationality. 「A white shadow(흰그림자)」 expresses the anguish of Yoon Dong-ju in the Imperial Japanese. “Many suffering I(괴로워하든수많은나)” includes the ethical decisions. This comes out from the will to sublate the conflict and agony from the chasm between personality and period. And 「The poem written easely(쉽게씨어진詩)」 expresses not only the shame of a poetic subject, but also the hope of a poetic subject who waits our freedom. From the above, it is apparent that his literature appears a border between ethics and religion. From this, a poetic subject comes to the surface. The meaning of “first handshake(最初의 握手)” is the meeting of a ethical subject and a poetic subject. 「The spring(봄)」 shows the paradox of the change of shame to the proud, which is the core of Yoon Dong-ju`s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