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A를 활용한 휠체어농구리그 경기관람결정요인 분석

        장철승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1

        요약본 연구의 목적은 IPA 기법을 활용한 휠체어농구리그의 경기관람결정요인 분석을 통해 중요 요인 파악과 그에 따른 만족도를 알아보고, 추후 지속적인 관중 유치를 위한 개선 요인이 무엇인지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농구 경기장에 찾아온 140명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test, 그리고 각 요인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IPA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원팀의 경기 스타일, 전체 경기 소요 시간, 무료 경기관람을 제외한 17개 요인에서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IPA 분석 결과 좌석의 편안함, 경기의 홍보, 경기 진행요원의 친절함, 팬 서비스 요인은 시급히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정된 IPA를 통해 분석한 결과 필수 요구사항으로는 경기장 시설의 편리함, 경기장 시설의 청결함, 경기 진행요원의 친절함, 라이벌팀과의 경기 매치, 팬 서비스 요인으로 나타났다. 추후 휠체어농구리그 관람객 증대를 위해 휠체어농구리그에 대한 다양한 홍보 및 이벤트가 마련되어야 하고, 연고지 기반의 자원봉사자 운영이 요구된다. 또한, 선수들은 다양한 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며, KWBL은 선수 교육을 통해 팬 서비스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팬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and find out the resulting satisfaction levels through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game viewing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league using the IPA technique, and to discuss improvement factors to continue attracting spectators in the future.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survey of 140 visitors to the basketball stadium.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aired samples t-test, and IPA analysis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each facto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as lower than importance in 17 factors excluding the cheering team's playing style, total game time, and free game viewing,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IPA analysis showed that seat comfort, game publicity, friendliness of game staff, and fan service factors needed urgent improvement.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the modified IPA, the essential requirements were convenience of stadium facilities, cleanliness of stadium facilities, friendliness of game staff, match against rival teams, and fan service factors.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wheelchair basketball league viewers in the future, various promotions and events for the wheelchair basketball league should be prepared, and local-based volunteer operation is required. In addition, players will need to provide a variety of fan services, and KWBL will need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fan services and strive to expand fan services through player education.

      • KCI등재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

        장철승,김두영,주교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level of the leisure satisfaction of wheelchair basketball club memb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leisure satisfaction by relevant variables and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it.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of participation and the impeding factors of participation as well as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lub members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club have been set as the relevant variables. Method: For this study, the survey data gained from 144 wheelchair basketball club memb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gistered at Korea Wheelchair Basketball Federation(KWBF) have been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follows. Results and Conclusion: First,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memb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found to show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at the physical satisfaction and to show the lowest at the environmental satisfaction. Second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occupation,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health condition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the leisur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physic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income of the whole family and the health conditi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income of the whole fami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al satisfaction was shown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erms of the leisur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participating in the club.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 leisure satisfaction of wheelchair basketball club memb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academic background,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club activity experiences were found to be variables influencing the leisure satisfaction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elf-development-oriented motivation and the pastime-oriented one were found to be the influencing variables in terms of the motives of participation and the internal factor was found as a variable influencing the leisure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hindrance factors of participation.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전반적인 여가만족도 수준을 알아보고, 관련 변인별 여가만족도의 차이와 각 변인들이 이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관련 변인으로는 동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동호회 참여 정도와 함께 참여 동기 및 참여 저해 요인을 설정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전국 대한장애인농구협회(KWBF)에 등록되어 있는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회 회원 144명이 응답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첫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은 신체적 만족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 수준을 보였고, 환경적 만족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동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만족도 차이에서는 직업 유무, 장애등급, 건강상태에 따라 심리적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가족 전체 수입과 건강상태에 따라 신체적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가족 전체 수입에 따라 교육적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호회 참여 정도에 따른 여가만족도 차이에서는 참여 횟수에 따라 환경적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여가만족도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는 학력, 장애등급, 동호회 활동 경력이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참여 동기 중에서는 자기개발형과 취미오락형 참여 동기가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저해 요인 중에서는 내재적 요인이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 현장에의 적용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IPA를 활용한 장애 청소년 여가스포츠 활성화 요인에 관한 중요도 및 실행도 분석

        장철승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balance and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rough the distribution of each item according to the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which is as for the activation factors of leisure sports for youth with disabilities, by using the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the important factors for revitalizing disabled adolescents’ leisure sports and factors gained from the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questionnaire items for this study were revised and complemented. 250 who were in-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 special-education school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First, the importance on activation factors of leisure sports for youth with disabilities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as an overall average of 4.55 points.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level was low evaluated as an average of 2.77 points. Second, the IPA matrix analysis showed that the linkage between administrative departments, family support services, the organization of village-based education community, the organization of a council within the local community,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for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parent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sport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upport for distributing various equipment in school, the reinforcement of access to public and private sports facilities, and the construction of a leisure sports information network were identified to be urgently improved.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persistently encourage adolescents with disability t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a model that enables disabled adolescents to enjoy leisure sports from school age to adulthood, and furthermore leisure sports to be lifelong physical education is necessary. Also, budgets to distribute a wide variety of sports equipment which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within school are required. 이 연구는 IPA 기법을 활용하여 장애 청소년의 여가스포츠 활성화 요인에 관해 중요도-실행도 매트릭스에 의한 항목별 분포를 통하여 중요도와 실행도의 실질적 균형 및 간극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장애 청소년 여가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중요요인과 상대적 중요도 분석 연구에서 도출된 요인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설문문항을 개발하였고, 재직중인 특수학교(급) 특수교사 및 체육교사 250명에게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 및 체육교사가 인식하는 장애 청소년 여가스포츠 활성화 요인에 관한 중요도의 전체 평균은 4.55점으로 높게 평가된 반면, 실행도 평균은 2.77로 낮게 평가되었다. 둘째, IPA 매트릭스 분석에서는 행정부처 간 연계, 가족지원 서비스, 마을교육공동체 구성, 지역사회 내 협의체 구축, 학교 내 통합체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 부모 교육, 장애인 전용 체육시설 신설, 학교 내 각종 장비 보급 지원, 공공 및 민간 스포츠 시설 접근성 강화, 여가스포츠 정보망 구축이 개선시급구간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청소년의 여가스포츠 참여를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지역사회 내 교육공동체나 협의체 등을 구성하여 장애 청소년이 학령기부터 성인기 평생체육으로 나아가기 위한 모델을 완성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 내 장애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체육 용기구를 보급하기 위한 예산확보가 요구된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의 특수체육 운영실태

        장철승,조창빈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3 재활복지 Vol.27 No.4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의 특수체육 운영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확률표집방법 중 편의표집을 이용하여 중・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한 148명의 설문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0.5%는 특수체육을 실시하고 있는 반면, 59.5%는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체육을 시행하는 데 있어 교육 목적으로는 학생들의 상호협력, 대인관계 기능, 규칙 준수등 태도 습득 때문으로 나타났고, 교육활동으로는 기초체력 향상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확인되었다. 특수체육을 진행하는 주된 장소로는 특수학급 교실이나 체육관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시수는 주 1회 수업 운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체육을 실시하는 이유로는 학생들이체육활동을 통해 신체・인지・정서적으로 발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in special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using convenience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the survey responses from 148 people collected through this surve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40.5% were practicing special physical education, while 59.5% were not practicing it. In implementing special physical education, the educational purpose was found to be students' acquisition of attitudes such as mutual cooperation, interpersonal skills, and rule compliance, and the most educational activitie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improving basic physical strength. The main places where special physical education was conducted were special class classrooms or gymnasiums, and the most frequent class times were once a week. The biggest reason for implementing special physical education was the expectation that students would be able to develop physically, cognitively, and emotionally through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pecific implications were drawn and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장철승,한경근,명소연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2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nd discuss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e future. Concerning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93 articles in total published in the areas of special education, welfare, lifelong education, and other areas of education, and they were analyzed the articles by year, by academic journal, by research subject, and by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study, the number of studie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increased by 2019 and tended to be maintained for the late 4 years. A number of articles were published 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rather than that of lifelong education. By research topic, studies were conducted the most on lifelong learners and learner groups. By research method, survey studies using a questionnaire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and mostly, workers, experts, and guardian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subjects. It turned out that most of them were studies conducted with institutions and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this study made suggestions for the subsequent study and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술지에 게재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의 방향성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 관련하여 특수교육, 복지, 평생교육, 기타 교육 영역에 게재된 논문 총 93편이 분석대상이며, 연도별‧학술지별, 연구주제별, 연구 방법별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는 2019년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 최근 4년은 유지 추이를 나타냈고, 평생교육보다는 특수교육 영역에 다수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연구주제별로는 평생학습자 및 학습자 집단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별로는 질문지를 활용한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주로 종사자, 전문가, 보호자가 연구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및 시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연구 및 방향성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휠체어농구 동호회 참여 동기 및 저해 요인

        장철승(Chul Seung Jang),김두영(Doo Young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1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이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는 동기는 무엇이고,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회의 효과적인 운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남, 제주 등에서 현재 휠체어 농구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회원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최종적으로 144명이 응답한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참여 동기를 조사ㆍ분석한 결과, 취미오락형 참여 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건강지향형, 사교지향형 참여 동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동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호회 참여 정도에 따른 참여 동기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취미오락형 참여 동기의 경우 주거 그룹,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개발형 참여 동기의 경우 연령, 직업 유무, 주거 그룹, 동호회 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참여 저해 요인을 조사ㆍ분석한 결과, 구조적 요인이 가장 큰 저해 요인으로 나타났고, 동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호회 참여 정도에 따른 참여 저해 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요인의 경우 연령, 최종학력, 직업 유무, 동호회 참여 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회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the factors motivating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members to participate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are and what the factors hindering the members from participating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are, based on which it has been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ive direction of the management of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for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a survey targeting 180 members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Gyeongnam, Jeju areas has been conducted and the data gained from 144 respondents of them have been analyzed and its ke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motives of participation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show that the respondents have most frequently participated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by their motives of the pastime-oriented type, which was followed by the health-oriented one, then by the home-oriented one.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motivations for participation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and on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lub members show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group by residence,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in the light of the pastime-oriented motive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ge, the occupation, the group by residence,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factors hindering the members of the club from participating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for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the structural factors are found to have been the biggest hindrance factor of particip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ge,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he occupation,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he club in ve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hindrance factors of participation in the club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lub members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erms of internal factor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earch results, some future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for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장철승(ChulSeung Jang),조창빈(ChangBeen Cho)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총 148부의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첫째, 148명의 특수교사 중 93명이 체육교과 운영 경험이 있으며 체육활동을 통해 가치 및 태도, 기본 움직임 및 스포츠 기술 습득과 학생의 정서적 안정 꾀하고자 하였다. 교수형태와 평가 방법에서 초보교사는 단독 교수 및 직접 평가인 반면 고참교사는 외부 강사 주도/특수교사 보조 형태 그리고 직접 평가뿐 아니라 외부 강사 평가도실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특수교사는 추후 체육교과를 운영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체육교과를 운영하지 않은 이유로는 업무 부담 가중, 운영 예산 부족, 구성원 간 협조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과 운영을위해 충분한 장소, 시설, 기자재 제공, 학교 및 지역사회 구성원 간 협력, 연수 기회순으로 요구가 높았고 연수 기회 제공과 학생의 추수 지도, 지역 연계 체제 구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operating physical education and support needs according to their stage of teacher developmen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data from 148 returned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93 of the 148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experience in operating physical education, and they aimed to have their students acquire values and attitudes, basic movement and sports skills, an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terms of teaching form and evaluation method, novice teachers used solo teaching and direct evaluation, while experienced teachers used external instructor-led/specialist-assisted form and direct evaluation as well as external instructor evaluation, and most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willing to operate phy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Lastly, the reasons for not operating physical education were heavy workload, lack of operating budget, and difficulty of cooperation among members. Second, in order to operate physical education, the needs of providing sufficient space, facilities, and equipment, cooperation among school and community members, and training opportunities were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oviding training opportunities, offering follow-up services for students and establishing a local cooperation system.

      • KCI등재

        장애 청소년 여가스포츠 참여 활성화를 위한 중요요인과 상대적 중요도 분석

        장철승(Chulseung Jang),한경근(Kyounggun Ha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 청소년의 여가스포츠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중요요인이 무엇이고,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출하여 우선순위를 산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장애 청소년의 여가스포츠 참여 활성화를 위한 중요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합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장애 청소년 여가스포츠 참여 활성화 방안으로 도출된 중요요인에 관해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합의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장애 청소년 여가스포츠 활성화 방안을 위한 중요요인을 도출한 결과 9개의 상위요인과 22개의 하위요인이 확인되었다. 둘째, 9개 상위요인 중 예산 확보가 가장 높은 상대적 중요도를 보였고, 다음으로는 인력 자원, 공공/민간 시설 연계체제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 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행정부처 간 연계, 전문지도자 양성 및 배치, 마을교육공동체 구성, 방과후학교, 동아리, 스포츠클럽 연계 운영, 학교 내 통합체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 여가스포츠 관련 인력 역량 강화 연수, 각종 장비 보급 지원, 공공 및 민간 스포츠 시설 접근성 개선, 온라인 여가스포츠 콘텐츠 개발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합의 델파이와 계층화분석을 통해 장애 청소년의 여가스포츠 참여를 위한 중요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산정함으로써 우리나라 장애 청소년 여가스포츠의 발전을 위한 전략과 정책 개발의 기여와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factors are important for activating the disabled youth t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and estimate the priority of them by calcul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m. The consensus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draw such important factor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m were estimated b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t factors for activating impaired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were drawn from the consensus Delphi survey, to show that they consist of nine main factors and 22 sub-factors. Second, budget security had the highest relative importance, among 9 main factors, followed by human resources and then, the linkage among public/private faciliti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sub-factors was analyzed to find that relatively important factors include linkage between ministries, training and deployment of professional instructors, organization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connected operation of after-school, circles and sports clubs,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s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training for capacity-building of leisure sports-related personnel, support for all kinds of equipment supply, improvement of access to public and private sports facilities and development of on-line leisure sports content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understands what factors are important for the disabled youth t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by using both the consensus Delphi and AHP, and contributes to developing strategies and policies for enhancing the leisure sports for the Korean disabled youth and provides efficient data by estim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m.

      • KCI등재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실행과제 도출 연구

        조창빈,장철승,김두영 국립특수교육원 2023 특수교육연구 Vol.30 No.1

        This study aims to derive and present the implementation tasks of community based lifelong education city for the disabl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cities.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were conducted. First, a group of 20 expert panels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an expert council was organized to derive a draft of the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city for the disabled. Second, priorities for the implementation task of lifelong education city for the disabled were derived, applying the AHP analysis technique for the same group. Third, the final draft of the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city for the disabled, reflecting the results of priorities, was presented. Grounded i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city for the disabled was derived as four policy areas and 16 implementation task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lifelong education base for the disabled. 이 연구는 소규모 도시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평생학습도시의 실행과제를 도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 절차를 수행하였다. 첫째, 20명의 전문가 패널집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실행과제의 초안을 도출하였다. 둘째, 동일 집단을 대상으로 AHP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실행과제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셋째, 우선순위 결과를 반영한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실행과제의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실행과제는 ‘장애인 평생교육 기반 구축’ 영역을 포함한 4개의 정책영역과 16개의 실행과제로 도출되었다. 또한,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실행과제의 내용과 타당성, 추진전략 등을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사항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 및 학습성과 분석

        조창빈,김두영,장철승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이 연구는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 및 학습성과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장애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장애성인은 총 127명으로 이들은 최근 1년 간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자들 중 타인에 도움 없이 스스로 설문 문항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자로 선발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조사 및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성인은 대체로 자신이 참여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특히, 프로그램 운영 강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한편, 이들은 프로그램 운영 기관의 장애인 편의시설 관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둘째,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성인은 대체로 개인영역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으며, 특히, 행복감 증진 영역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다. 이에 반해 장애성인은 대체로 직업영역에서 낮은 성과를 보였으며, 특히 소득증대 영역에서 가장 낮은 성과를 보였다. 또한,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발전 방안에 대해 표준화된 만족도 및 학습성과 조사 도구 개발, 일반⋅장애인 평생교육기관 편의시설 정비, 사업체 연계형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등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