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심밴드 착용에 대한 법적 쟁점의 검토

        장진환 법과사회이론학회 2020 법과 사회 Vol.0 No.64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been enforcing, without going through the legislative process, the electronic wristbands system to tackle the spread of COVID-19. However, the urgent decision on implementing electronic trackers is criticized due to a lack of legal grounds. In this regard, it could be said that the precise legal issues can be solved hinged on an interpretation on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but this approach can also lead to a high risk on the violation of the Vagueness Doctrine. Furthermore,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obtaining voluntary consent from all participants, attempts to find the legal basis for the use of electronic wristbands are unlikely to be constitutionally justified.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to legislate for the electronic wristbands system. Using electronic wristbands has resulted in stronger restriction on fundamental human rights compared to other monitoring measures, it is hard to deny that real-time electronic monitoring plays a big role in preventing those who are subject to self-quarantine from violating self-isolation rules. Given the urgency of COVID-19 and the public safety, it would be difficult to determine that the government lacked legal authority to compel people to wear the wristbands. Nonetheless, the introduction of the electronic system under the name of the public safety has a potential threat to civil liberties. In the future, much more researches are needed to find a point where the value of individual freedom and public safety are balanced, especially in terms of range of recipients, strengthened penalties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현재 시행되고 있는 안심밴드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방지라는 특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회의 입법을 거치지 않은 채로 도입되었다. 따라서 안심밴드는 명시적인 법적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이와 관련해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해석론을 통해 그 법률적 근거를 찾는 시도가 가능하나 이러한 해석은 법률의 명확성원칙에 위배될 확률이 높다. 또한 당사자의 동의 또는 승낙을 바탕으로 안심밴드부착의 법적인 근거를 찾는 시도도, 당사자의 자발적인 동의부족으로 인해 헌법적으로 정당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안심밴드에 대한 국회의 입법이 이루어지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심밴드는 다른 감시 수단들에 비해 당사자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정도가 강하지만 24시간 전자감시로 인해 자가격리자의 일탈행위를 방지하는 예방효과는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가 가지는 특수성으로 인해 이로부터 사회를 보호해야 하는 공공의 이익이 매우 크다고 판단되므로 안심밴드 부착을 과도한 기본권제한활동으로 보아 위헌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안심밴드의 도입은 사회의 안전을 위해 시민의 자유가 급격히 후퇴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안심밴드의 대상자 선정범위, 안심밴드준수사항 위반시 벌칙규정의 강화, 안심밴드와 관련된 위치추적 데이터의 보호의 정도 등의 쟁점과 관련하여 자유와 안전의 가치가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지점을 찾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 KCI우수등재

        보안처분과 소급효 금지원칙에 대한 새로운 접근 - 신뢰보호원칙의 적극 활용을 중심으로

        장진환 한국형사법학회 2022 刑事法硏究 Vol.34 No.4

        Recently, the Ministry of Justice announced a legislative notice on the amendment of the Act on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The most notable change to be introduced by the amendment is the addition of a provision allowing the imposition of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on convicts who are released from prison after completing their sentence and leading a normal life. This type of amendment is not unfamiliar anymore. A similar retroactive legislation had been introduc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regarding the Act on Electronic Monitoring. In this regard, the position of the precedents is that such retroactive legislation is not unconstitutional because the principle of non-retroactivity does not apply to security measures. However, this position of the precedents has drawn a significant amount of criticism since security measures, like legal punishment, is an exercise of state power and a criminal sanction that greatly restrict basic rights. Therefore, most criminal law textbooks state that the principle of non-retroactivity should also apply to security measures just like it applies to legal punishments. This position of textbooks authors appear generally reasonable considering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involved, what actually matters is not whether a measure constitutes a legal punishment or a security measure, but the fact that their basic rights would be severely restricted by unexpected retroactive legislation. However,a more sophisticated approach should be adopted. If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non retroactivity to security measures is denied, the fundamental function of security measures, which were originally introduced as preventive measures, could be greatly damaged. If, based on the concern over the possible impediment to the preventive function of security measures, the principle of non-retroactivity is interpreted as a principle that entails a process of weighing and balancing, the intrinsic function of the principle of non-retroactivity could be greatly damaged.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that (i)while the principle of non-retroactivity should be strictly applied to legal punishments and retroactive imposition of a punishment should immediately be considered unconstitutional without having to conduct a weighing and balancing, (ii)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trust, which pursues legal stability on the one hand and flexibility in addressing specific circumstances on the other, should be applied to the imposition of security measures to ensure a balance between individual freedom and public safety. 최근 법무부는 치료감호법 개정안을 입법예고 하였다. 개정안의 핵심은 형벌의 집행이 종료된 후, 사회로 나와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에게도 치료감호를부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장면은 사실 이제는 낯설지도 않다. 이미 법무부는 전자발찌법률과 관련하여 유사한 소급입법을 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급입법과 관련하여, 판례는 보안처분에는 소급효 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논리를앞세워 해당 법률이 위헌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판례 태도에 대해서는 많은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보안처분도 형벌과 마찬가지로 국가 공권력의 행사이고, 기본권제한의 정도가 강한 형사제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다수 형법 교과서에서는 형벌과 마찬가지로 보안처분에도 소급효 금지원칙을 적용해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당사자의 관점에서 보면, 형벌인지 보안처분인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예상치 못한 소급입법을 통해 기본권을 크게 제한당한다는 사실이 중요하므로 교과서의 이러한 태도는 기본적으로 타당하다. 그러나 조금 더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 보안처분에서 소급효 금지원칙 적용을 부정하는 경우, 예방목적으로 탄생한 보안처분본연의 기능이 크게 훼손될 수 있고, 반대로 보안처분의 예방적 기능 침해를 우려해소급효 금지원칙을 자유롭게 이익형량이 가능한 원칙으로 해석하게 된다면, 소급효금지원칙 본연의 기능이 크게 훼손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글에서는 형벌에는 소급효금지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해, 일단 소급적용이 존재하면 특별한 이익형량 없이도 위헌으로 판단하고, 보안처분에는 신뢰보호원칙을 활용하여 소급적용 금지원칙과 마찬가지로 법적안정성을 추구하면서도 예방이 꼭 필요한 구체적 상황에서는 이익형량을통해 자유와 안전의 균형점을 찾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핸드폰 압수ㆍ수색영장으로 행한 클라우드 압수ㆍ수색의 타당성 - 대법원 2022도8203 사건을 중심으로

        장진환 한국형사법학회 2023 刑事法硏究 Vol.35 No.1

        Digital evidence, unlike traditional physical evidence, does not have a physical form and cannot be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Accordingly, to collect digital evidence related to the criminal charges specified in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the investigative authority must examine data storage devices in which digital evidence is stored and identify and select crime-related information. The problem is that in this process, the investigative authority inevitably looks into private information stored in such devices that is irrelevant to the crime. There is a risk that the information examined in the process may be used as evidence in a different case, and obtaining such information amounts to a serious invasion of privacy. The methods of and legal principles on the search and seizure of traditional physical evidence cannot be used as is for the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and thus new regulations, legal theories and court decision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evidence are necessary. In this regard, questions have arisen recently concerning the investigative authority’s search and seizure of the cloud account linked to a mobile phone, including (i) whether a warrant for the cloud account is required separately from the warrant for the mobile phone, and (ii) if a separate warrant for the cloud account is required, whether information regarding authorization to access the account, such as username and password, must also be specified in the warrant as the articles subject to search and seizure, that is, whether the cloud account subject to search and seizure must be specifically identified. The cloud account to be searched and seized should be specified in a separate search and seizure warrant for the cloud account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this does not put an end to concerns about possible infringement on personal information. If the investigative authority specifies all individual cloud accounts in its request for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and have such warrant issued by a court, the authority will ultimately be able to search and seize all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ose cloud accounts. Therefore, the issue comes down to determining the scope of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for digital evidence, that is to say, determining the evidence’s relevance to the crime concerned. In this regard, the court has recently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an in-person deliberation system under which a judge can summon face-to-face meetings with related parties to decide whether to issue a warrant, and the reinforcement of preliminary examination for the issuance of a warrant using keywords. The court’s effort to establish a harmonious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investigative authority and suspects by strengthening preliminary examination for warrant issuance, which has been conducted in a rather perfunctory manner, is reasonable. However, the validity of the specific requirements for implementing the proposed measures presented by the court should be reviewed, because a lack of validity means that the purpose of the court’s proposal was only to ensure that it arbitrarily exercise the power that the investigative authority once exercised in the past. Consequently, an in-depth review of these requirements is needed. 디지털 증거는 기존의 유체물 증거와 달리 그 내용이 육안으로 파악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사기관은 압수ㆍ수색영장에 기재된 범죄혐의와 관련된 디지털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디지털증거가 저장된 정보저장매체를 대상으로 범죄관련 정보를 탐색ㆍ선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수사기관이 정보저장매체에 담긴 범죄와 무관한 사생활에 관련된 정보도 필연적으로 들여다보게 된다는점이다. 이렇게 탐색된 정보는 추후 별건수사의 증거로 활용될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매우 심각한 사생활 침해를 초래한다. 따라서 디지털 증거의 압수ㆍ수색과 관련하여서는 종래 유체물에 대한 압수ㆍ수색 방식 및 법리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고, 디지털 증거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법률 규정, 이론 및 판례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되어 최근 수사기관이 핸드폰(컴퓨터)과 연동된 클라우드 정보를 압수ㆍ수색할 경우, ① 핸드폰에 대한 영장과 별도로 클라우드에 대한 영장이 필요한지와, ② 만약 클라우드에 대한 추가 영장이 필요하다고 한다면, 클라우드 계정에 대한 로그인정보 및 접속방법과 관련해 압수ㆍ수색영장에 어느 정도로 구체적으로 기재되어야하는지가 문제가 되고 있다. 클라우드에 대한 추가영장 및 영장에서의 개별 클라우드계정에 대한 특정은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꼭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이렇게 하더라도 개인정보보호 침해의 우려는 여전히 존재한다. 즉, 수사기관이 처음부터 모든 아이디와 집행유형에 대해 압수ㆍ수색 영장에 기재하여 청구해 버리면, 결국은 개인정보 모두에 대해 탐색하는 것과 다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결국디지털 증거 압수ㆍ수색영장의 범위확정, 즉 범죄사실과의 관련성 확정 문제로 귀결된다. 최근 법원은 법관의 대면심리 수단 도입과 검색어 등을 이용한 사전심사강화를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절차의 강화를 통해 자칫 형식적인 심사틀에 불과할 수 있는압수ㆍ수색영장 심사를 재고하여 적극적으로 수사기관과 피의자 사이의 조화로운 힘의 균형을 설정하려는 법원의 노력은 타당하다. 그러나 문제는 법원이 제시한 구체적기준의 타당성이다. 이러한 부분이 실효성이 없으면, 법원의 제안은 과거에 수사기관이 행사하던 권력을 이제는 법원이 자의적으로 행사하겠다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검토 결과 법원의 제안은 절차를 강화하고 관련성을 확정하는 판단 요소들을 절차적인 측면에서 더욱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실무현실과 비교해 진보한 형태이므로, 일단 이를 토대로 운영해가면서 부족한 점을 보완해가는 방향이 타당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보안처분에 관한 비례성심사의 구체화 과제 - 판례의 논증태도 분석을 중점으로

        장진환 한국형사법학회 2020 刑事法硏究 Vol.32 No.2

        In order to protect our society from the dangerous sex offenders, various multiple security-measures, e.g. the notification system for the sex offender, the electric monitoring,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and the civil commitment, were legislated. Currently multiple security-measures have already been duplicated with a heavy penalty in most cases of the existed judgments related to the sexual crime. With respect to the harmonic balance between the protec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for citizens and our public safety, it is necessary to lead a judgment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However, the actual precedents have dealt with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s an abstract reasoning highlighted in the public safety based on a simple difference between the protec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for citizens and the public safety. Given these reasons, a judgment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has been criticized because it does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vealing the limitation of the security-measures. In particular, a specific situation, which was imposed security-measures due to the recidivism risk, was not sufficiently considered in the proving process of the preceden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shows an approach to analyse the position of our court on the proportionality related to the multiple security-measures. In addition, it provides the points which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process of legal argument for the purpose of the achievement of a rational as well as concrete judge. 2000년대 이후 위험한 성범죄자로부터 사회를 보호하기 위해 신상공개제도, 위치추적 전자감시, 성충동 약물치료, 치료감호 등의 다양한 보안처분들에 대한 법률들이 새롭게 제정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보안처분들은 현재 대부분의 성범죄와 관련된 판결에서 무거운 형벌과 더불어 중복적으로 부과되고 있다. 보안처분의 지나친 팽창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비례성원칙의 엄격한 준수가 요구된다. 그러나 판례에서 나타난 비례성원칙의 심사는 추상적인 논증으로 인해 보안처분의 한계를 설정하는 심사도구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 특히 불완전한 재범 위험성 예측에 근거하여 보안처분을 부과받는 당사자의 특별한 상황이 비례성 심사에서 충분히 고려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세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보안처분들에 대한 비례성 심사에서 법원이 어떤 논증을 펼치고 있는지를 분석한 후, 비례성원칙의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심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판례의 논증과정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적외선 영상검지 기술을 활용한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단속시스템 개발

        장진환,Jang, Jinhwan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5

        An automatic freeway bus-only lane enforcement system was developed and assessed in a real-world environment. Observation of a bus-only lane on the Youngdong freeway, South Korea, revealed that approximately 99% of the vehicles violated the high-occupancy vehicle (HOV) lane regulation. However, the current enforcement by the police not only exhibits a low enforcement rate, but also induces unnecessary safety and delay concerns. Since vehicles with six passengers or higher are permitted to enter freeway bus-only lanes, identifying the number of passengers in a vehicle is a core technology required for a freeway bus-only lane enforcement system. To that end, infrared cameras and the You Only Look Once (YOLOv5) deep learning algorithm were utilized. For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ystem, two environments, including a controlled test-bed and a real-world freeway, were used. As a result, the performances under the test-bed and the real-world environments exhibited 7% and 8% errors, respectively, indicating satisfactory outcomes. The developed system would contribute to an efficient freeway bus-only lane operations as well as eliminate safety and delay concerns caused by the current manual enforcement procedures.

      • KCI등재

        독일 보호감호제도의 위헌성여부에 대한 유럽인권법원 판결 -소송사건 M Vs 독일, 사건번호 Nr. 19359/04-

        장진환,이석배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0 비교형사법연구 Vol.22 No.2

        Translating and introducing the full text of the case, not the summary edition (press edition), which introduces only the results and brief arguments of German precedents, is thought to be meaningful in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community and the establishment of legislative policies based on it. Here, we will first introduce the second of the three cases mentioned above,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nd the other two cases will also be introduced next time. The translation was based on the German version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nd all the translations were made without any special edits, without any omission in the order of the original text.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text, the footnotes were added to the parts that were deemed necessary. 위험한 범죄자로부터 어떻게 사회를 보호할 것인가의 문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늘 중요한 형사정책의 과제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대 이후 연달아 발생한 아동성폭력사건을 계기로 이러한 사회방위의 문제는 국민들의 주된 관심사로 떠올랐고, 입법자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다양한 보안처분들을 새롭게 도입하고, 동시에 기존의 보안처분제도들의 예방기능을 더욱 강화하는 등의 보안처분 강화라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한편 보안처분을 통한 예방정책의 강화는 독일에서도 똑같이 목격되고 있는데, 독일에서 이러한 보안처분의 강화는 주로 보호감호제도와 관련하여 이루어졌다. 전통적으로 독일에서의 보호감호제도는 1년에 그 부과명령을 받는 사람들이 불과 몇 명에 불과할 정도로 예방의 최후 수단도구로서 작동하고 있던 형사제재였다. 그러나 독일에서도 1990년대 후반 국민들의 감정을 자극하는 아동 성폭력 사건 사건들이 잇따라 발생하자 여론의 압력에 따라 독일의 입법자들은 보호감호를 점점 더 강화하는 결단을 내렸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형벌 선고시점에서 형벌을 선고하면서 보호감호명령을 내리는 것을 유보한다는 명령을 동시에 내려 자유형의 수형기간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수형자의 재범위험성을 판단하여 보호감호명령을 내릴 수 있게 하는 유보적 보호감호(Vorbehaltene Sicherungsverwahrung)제도와 형벌 선고시점에서는 아예 보호감호명령을 내리지 않고 형벌만 선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유형의 수형기간 도중 위험성이 발견되었다는 이유로 자유형의 종료시점에 다시 보호감호명령을 내릴 수 있는 사후적 보호감호(nachträgliche Sicherungsverwahrung)제도 등이 법률의 개정을 통해 새롭게 도입되었으며, 그 기간에 있어서도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10년이라는 기존의 최장수용기간을 넘어서도 위험성이 사라질 때까지 수형자의 자유를 박탈할 수 있게 하는 부정기적인 보호감호제도(Unbegrenzte Sicherungsverwahrung)가 도입되었다. 이렇게 범죄예방의 필요성을 앞세워 계속 강화되던 보호감호제도는, 1)이중처벌금지 원칙 2)비례성 원칙 3)소급효 금지원칙 등의 위배유무를 둘러싸고 위헌성 시비에 휘말렸고 지금까지도 치열한 공방이 지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관련 쟁점을 확립하고, 찬반 논거들의 각축장이 된 중요한 선도적인 판결로는 다음의 3가지 판결이 손꼽히고 있다. 시작점이 된 판결은 2004년 선고된 2 BvR 2029/01 판결로, 이 판결에서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당시의 보호감호 관련규정들에 대해 합헌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에 불복한 당사자가 유럽인권법원을 상대로 낸 소송(EGMR, 17.12.2009 – 19359/04)에서는 독일의 보호감호규정이 유럽인권협약에 위배된다는 결정이 내려졌고, 2011년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결(BVerfG, 2 BvR 2365/09)에서 재판부는 유럽인권법원의 판결결과를 존중해 문제가 된 독일의 보호감호 규정이 위헌이라고 선고하였다. 이러한 3가지 판결은 우리나라 보안처분의 위헌성 논의에서도 많은 시사점을 준다. 우리나라의 보안처분들 역시 지나친 팽창으로 인해 여전히 위헌시비에 시달리고 있고,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판례를 비롯하여 많은 문헌들에서 이러한 독일의 판례들을 참고하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은 논의과정에서 이러한 독일 판례들의 결과 및 부분적인 논리들만이 소개될 뿐이고, 위의 3가지 판례들의 ...

      • KCI등재

        실시간 누락 교통자료의 대체기법에 관한 연구

        장진환,류승기,문학룡,변상철 한국ITS학회 2004 한국ITS학회논문지 Vol.3 No.1

        현재 여러 지자체에서 혼잡한 도시교통의 이동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단교통관리체계(ITS)를 구축 운영중인데 이러한 시스템에서 수집하는 교통상황에 대한 실시간 자료가 노면상황, 악천후, 통신 및 장비자체의 결함 등으로 인해 수많은 자료가 결측된다. 이러한 결측 자료로 인해 통행시간 예측 및 각종 연구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며 또한 도로의 계획과 기하구조 설계시 기본 자료가 되는 AADT 및 DHV 등의 교통 파라메터들이 과소 또는 과대 추정될 수 있어서 심각한 손해를 끼칠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득이하게 누락되는 교통량 자료에 대해 전 후기간 평균, 회귀 모형, EM, 시계열 모형들을 활용한 대체기법들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대체의 경우 MAPE, 불균등계수, RMSE 가 각각 5.0, 0.030, 110으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고 나머지 대체기법들은 평가지표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결과를 보였으나 대체로 만족할 만한 수준의 결과를 낳았다 There are many cities installing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and running TMC(Trafnc Management Center) to improve mobility and safety of roadway transportation by providing roadway information to drivers. There are many devices in ITS which collect real-time traffic data. We can obtain many valuable traffic data from the devices. But it's impossible to avoid missing traffic data for many reasons such as roadway condition, adversary weather, communication shutdown and problems of the devices itself. We couldn't do any secondary process such as travel time forecasting and other transportation related research due to the missing data. If we use the traffic data to produce AADT and DHV, essential data in roadway planning and design, We might get skewed data that could make big loss. Therefore, He study have explored some imputation techniques such as heuristic methods, regression model, EM algorithm and time-series analysis for the missing traffic volume data using some evaluating indices such as MAPE, RMSE, and Inequality coefficient. We could get the best result from time-series model generating 5.0, 0.03 and 110 as MAPE, Inequality coefficient and RMSE, respectively. Other techniques produce a little different results, but the results were very encouraging.

      • AVI 자료를 이용한 동적 통행시간 예측

        장진환(Jang, Jin-Hwan),백남철,김성현(Kim, Sung-Hyun),변상철(Byeon, Sang-Cheol)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6 No.-

        본 논문은 일반국도 실시간 통행시간 정보제공을 위한 동적 통행시간 예측모형을 개발했다. 교통 정보 제공을 위한 통행시간 예측에 관한 기존의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우리나라에서 단속류 일반국 도에 대한 통행시간 예측모형은 없었다. 신뢰성 있는 통행시간 예측을 위해 현재 일반국도 1호선에 약 10km 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된 2지점의 AVI자료를 이용했고, 통행시간 참값을 위해 프로브차량 을 이용해 수집한 기준값을 이용하여 통행시간 예측모형을 평가했다. 본 논문에 사용된 일반국도 1 호선 구간은 잦은 유출․입 지점과 오산시내를 통과함으로 인해 많은 이상치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이러한 이상치를 제거하기 위해 장진환이 제안한 이상치 제거 알고리즘을 사용했고, 칼만 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통행시간을 예측했다. 수집주기를 달리하여 통행시간을 예측모형을 평 가한 결과 5분, 10분, 15분 수집주기에 대해서는 MARE가 0.061∼0.066로 비슷하게 나왔고, 30분 수 집주기는 0.078로 나와 다소 높은 오차율을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