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의 아카데미즘과 문화운동적 성격 연구

        장지선 ( Jang Ji Seo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0 한국어와 문화 Vol.28 No.-

        이 논문의 목적은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을 둘러싼 정치·사회·문화적 맥락을 살핌으로써 아카데미즘의 영향 아래 전개된 대학극 운동의 문화운동적 성격과 그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이 해방 후 재편된 ‘대학’과 4.19 혁명 이후 ‘대학생’의 세대 인식에 기반하고 있음을 전제하고 이와 함께 1960년대 연극사적인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이 시기 ‘대학극’이 지닌 특징과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은 해방 후 재편된 대학의 학적 체계를 기반으로 새로운 연극인을 양성하고 배출하는데 기여했으며, 아마추어리즘에 입각한 새로운 ‘실험 연극’의 전초지로서 기능했다. 특히, 이 시기 대학극 운동은 소수의 대학 연극인들에 의한 좁은 의미에서의 연극운동이라기보다 당대 대학생들의 문화 감각과 적극적으로 관계하며 발생했다는 점에서 문화운동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통시적 차원에서의 ‘연극운동’이 아니라 당대 대학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공시적 차원에서 대학극 운동이 지닌 ‘문화운동’적 성격을 밝히고자 함을 뜻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2장에서는 문화운동의 기반을 형성할 수 있었던 1950~60년대 대학 내 지식장과 그 변화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당대 대학문화에서 ‘연극’이 지닌 문화적 위상과 의미를 확인하고 이 시기 대학극 운동이 기성연극과 구분되는 의미에서 ‘대학극’만의 역할과 사명감을 철저히 의식하는 가운데 전개되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나아가 3장에서는 4월 혁명 이후 문화주체로서 등장한 대학생들과 이들의 세대의식 가운데 놓인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의 구체적인 면면들을 살필 것이다. 이 시기 대학 연극인들은 ‘실험무대’로서 대학극의 역할을 역설하고 실제 공연을 통해 이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때에 구미 번역극은 새로운 연극의 모델로서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기존 신극의 사실주의 극 양식에 대한 거부로서 유럽의 연극주의 작품이 공연되는가 한편, 서구문화의 표상으로서 미국문화의 영향력이 강력해짐에 따라 영미 현대극으로 대학 무대가 채워졌다. 당시 번역극 공연은 궁극적으로 ‘새로운 우리의 연극’을 위한 기반을 구축한다는 의미에서 적극 수용되었으나 당초의 목적의식은 상실한 채 서구추수주의적 태도라는 비판을 면치 못했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번역극 공연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정치현실에 따른 반성 가운데 창작극 및 전통연희를 활용한 공연을 살피고자 한다. 이에 전후 새롭게 등장한 신진 극작가의 작품이 공연되는 한편, 우리 연극의 뿌리를 찾는다는 명목 하에 기존 신극 작가들의 작품 또한 재조명되었다. 나아가 대학극만의 정체성과 독립성을 확보해야한다는 의식 가운데 학생 창작극이 무대에 올라가기 시작했다. 한편, 전통연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점차 전통극과 서구극 양식을 결합한 형태의 새로운 공연을 시도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공연은 비록 당대 대학극 운동의 주류에 속하는 것은 아니었으나 실험 정신과 형식적 시도에 있어서 1970년대 대학 내 마당극 운동의 모태로서 작용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은 대학 내 아카데미즘을 기반으로 대학생으로서 시대적 사명감을 갖고 기성극과는 다른 자신들만의 ‘이즘’을 추구하는 것으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이는 한마디로 ‘새로운 우리의 연극’에 대한 지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구미 번역극이 적극 수용되었으며 나아가 창작극 및 전통 관련 공연이 시도되었다. 이에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은 단순한 연극운동의 차원을 넘어서 당대 대학문화와 긴밀하게 관계하는 ‘문화운동’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surrounding the university theater movement in the 1960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movement and its meaning of the university theater movement that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academism. This paper also intend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definition of "university theater production" within the theatrical context of the 1960s, assuming that the university theater movement in the 1960s is based on the generation recognition of "University" and "University student"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April Revolution. Chapter 2 examines the knowledge fields and changes in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and 1960s, which formed the basis of cultural movements. In the late 1950s, when first-generation scholars entered universities after the liberation, they identified the situation of the academic fields and their role as telegraphs of culture, which revealed that the foundation of university culture laid in line with the beginning of campus festivals, the spread of American culture, and the growth of popular culture.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identify the cultural status and the meaning of "theater production" in university culture at that time and to confirm that the movement of theater productions developed in ways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established productions, while thoroughly aware of its role and mission of the "university theater production.“ Chapter 3 looks at the specific aspects of the 1960s university theater movement, which was in the midst of the consciousness of students and their generation, who emerged as cultural entities after the April Revolution. During this period, university theater groups emphasized their roles as an 'experimental stage' and wanted to implement it through real-life performances. In addition, native language productions were frequently performed by students majoring in foreign languages, with the emphasis on 'ability to speak foreign languages' as it was viewed as traits of cultured people. The performance of translated productions in universities was actively accepted in the sense of ultimately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Our New Modern Drama," but it was criticized for its Western populism attitude and losing its original purpose. Finally, Chapter 4 confirms that performances of original productions and traditional performances were attempted in accordance with critical reflection on performances of westernized productions and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political reality. While the works of the newly emerging playwright after the war were performed, the works of the existing and new playwrights also re-emerged in the name of finding the root of ‘Our Play’. Meanwhile, interest in traditional methods have been heightened as an art form that reveals resistance to the Park Chung-hee. In the beginning, the focus was on recreating the Korean traditional theater style, but it gradually led to new performances that were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and western style theaters. The performances served as the source of the Madangguek movement in the 1970s with experimental minds and formal attempts, even though they were not part of the mainstream contemporary university theater movement. In summary, the 1960s university theater movement developed into a pursuit of their own "ideology" that was different from established productions with the zeitgeist as a university student based on the Academism within the university. In short, this is the goal of “Our New Modern Theater.” In the context, it accepted translated westernized productions, attempted original productions, and traditional-related performances. Thus, in the 1960s, the university theater movement was able to establish itself as a "cultural movement" that was closely related to the undergraduate (youth) culture of the time.

      • KCI등재

        충수 돌기의 점액낭종으로 야기된 충수 돌기형 장중첩증 1예

        김희선 ( Hee Seon Kim ),장명국 ( Myoung Kuk Jang ),문한국 ( Han Kook Moon ),장지선 ( Ji Sun Jang ),김형수 ( Hyung Soo Kim ),조성진 ( Seong Jin Cho ),김학양 ( Hak Yang Kim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4

        저자들은 22세 여자 환자에서 발생한 충수돌기의 양성 점액성 낭종에 의한 장중첩증을 경험하고, 이를 충수돌기 절제술만으로 치료하였다.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Intussusception of the appendix is not only extremely rare but also presents with symptoms similar to appendicitis. Therefore, preoperative diagnosis is unusual. On the other hand, appendiceal mucocele refers to obstructive dilatation of the appendiceal lumen caused by mucus. It has been reported in 0.2~0.3% of appendectomy specimens. A 22-year-old woman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because of right lower abdominal tenderness with hematochezia. Abdominal CT scan revealed a target sign in the right lower quadrant area that was suggestive of intussusception. The patient underwent emergency surgical reduction of the intussusception and appendectomy. The pathology showed an appendiceal mucocele. (Korean J Med 75:449-452, 2008)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