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농업가뭄의 수문기상학적 특성 및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장중석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1 No.2

        For 159 administrative areas,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RDI(Agricultural Reservoir Drought Index) and ARDIs(Agricultural ReservoirDrought Index Simulated)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drought index and agricultural droughts. In order to identify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droughts, SPI, ARDI and ARDIs were calculated nationwide, and the applicabilitywas compared and examined. SPI and ARD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 and depth of drought in both spatial and temporal. ARDI and ARDIs showed similar tendencyof change, and ARDIs were considered to be more representative of agricultural drough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gricultural drought is a problem to be solved in the medium and long term rather than short term due to variousforms of development, complexity of development, and difficulty in forecasting.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a preliminary and systematic approach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meteorological, hydrological and hydrometeorologicalcharacteristics rather than a fragmentary approach, and that an agricultural drought index is need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agricultural drought.

      • 저수지 재해대비 보강설계를 위한 PMF의 적용

        장중석 ( Jang Jung-seok ),정진호 ( Chung Jin-ho ),배상수 ( Bae Sang-su ) 한국농공학회 200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5 No.-

        This study considers that hydrologic stability evalu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designed by past standards and approximate increase methods of flood control when PMF(Probable maximum flood) flows in.

      •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정성 평가

        장중석 ( Jungseok Jang ),이건국 ( Kunko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2002년 태풍 루사의 내습시 강원도 장현저수지, 동막저수지의 붕괴를 계기로 농업용저수지의 설계기준이 상향조정되고, 저수지 관리의 중요성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정부에서는 주요 저수지에 대한 설계홍수량을 재검토하여, 수문학적 안정성을 평가하는 사업을 2004년부터 연차적으로 수행하였으며, 2009년까지 179개소에 대한 조사·분석을 완료하였다. 농업용저수지는 준공년도가 오래되어 현재 설계자료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나,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는 저수지별 설계홍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주요 농업용저수지에 대한 설계홍수량을 재검토 한 결과, 과거 설계홍수량 대비 16%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남과 충남이 37%로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경기 등 수도권지역은 오히려 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검토한 홍수량을 바탕으로 200년빈도 홍수유입시 저수지 추적을 통하여 저수지의 최고 상승수위와 여유고등 수문학적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179개소의 저수지중 49개소만이 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12개소는 200년빈도 홍수유입시 현재의 계획홍수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64개소는 홍수위에 대한 여유고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대상 179개소중 54개소는 200년빈도 홍수유입시 현재의 계획홍수위를 초과할 뿐 아니라, 제정표고에 대한 여유고도 부족하여 수문학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보수 등 보강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적으로 구분할 경우에는 강원, 경기지역에 위치한 저수지의 경우는 약 41% 정도가 수문학적으로 안정적으로 평가되어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전북, 전남에 위치한 저수지의 경우는 각각 17%, 14%로 수문학적으로 안정적인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 엘니뇨 등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강우패턴이 많이 달라지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강우의 패턴은 강우일수는 감소하고, 총강우량은 증가하고 있어, 치수측면에서 불리한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특히 짧은 강우지속시간에 높은 강우강도를 가지는 강우사상이 증가되고 있어, 준공년도가 오래되고, 홍수도달시간이 짧은 농업용저수지의 안정성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강우의 경향은 대규모 댐 보다는 농업용저수지와 같은 소규모 시설의 안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와 수문학적 안정성 확보를 통하여 선제적으로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연계 물수지 분석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량 평가

        장중석 ( Jang Jung-seok ),정진호 ( Chung Jin-ho ),이태호 ( Lee Tae-ho ) 한국농공학회 200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5 No.-

        This research evaluates agricultural water supply capabilities for water computing demand and supply for water of the whole water system of Ansung stream by carrying out basin water balance classified by irrigation facility of water system of Ansung stream.

      • 농업용댐 운영방법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연구

        장중석 ( Jungseok Jang ),이태호 ( Taeho Lee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방류량의 조절이 가능한 수문이 설치된 중규모 농업용저수지로부터, 비구조적인 저수지운영방법에 따라 어느 정도의 홍수조절 효과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연구대상 저수지는 충청남도 보령시 죽정동에 위치한 청천저수지로서 유역면적 7,010ha, 총저수량 2,073만㎥으로 농업용 저수지로는 규모가 상당히 큰 편이다. 청천저수지는 방류량 조절이 가능한 Radial Gate(9.0×7.0×4련)가 설치되어 있으며, 적절한 수문조작으로 통하여 하류부의 홍수피해 방지를 위한 홍수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청천저수지 현재의 제원을 대상으로 AROM, SRC-ROM, RROM, TROM등 저수지 홍수조절방법을 적용하여, 각 방법별 홍수조절능력을 검토해 보았다. 100년, 200년빈도 확률홍수량 유입시, Radial Gate의 방류능력 범위내에서는 유입량을 그대로 방류하고, 방류능력을 초과할 경우, 여수로 방류능력대로 방류하는 AROM을 적용하여 모의운영한 결과, 100년빈도 유입량 1,098㎥/s를 1,010㎥/s(92%)로 조절방류하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200년빈도 유입량 1,241㎥/s를 1,066㎥/s(86%)로 조절방류하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년빈도 홍수를 기준으로 수위별 최적 방류량을 결정하여, 운영하는 SRC-ROM을 적용할 경우에는 200년빈도 유입량 1,241㎥/s를 866㎥/s(70%)로 조절이 가능하여, AROM보다 200년빈도의 경우 200㎥/s을 더 조절하여 방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유입단계부터 첨두홍수량까지의 수문곡선의 예측이 가능할 경우, 적용이 가능한 RROM을 통하여 홍수조절용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방류할 경우에는 100년빈도 유입량 1,098㎥/s를 588㎥/s로 조절하여 유입량대비 54%로 조절방류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200년빈도 유입량 1,241㎥/s를 718㎥/s로 유입량 대비58%로 조절방류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200년빈도의 경우 AROM보다 첨두홍수량의 28%를 더 조절하여 방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유입곡선의 전체가 예측이 가능할 경우에 적용가능한 TROM을 적용하여 최적조절할 경우 200년빈도 홍수의 경우 첨두유입량 1,241㎥/s로 613㎥/s(49%)로 조절이 가능하여, 200년빈도의 경우 AROM보다 첨두홍수량의 37%를 더 조절하여 방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토결과 TROM, RROM, SRC-ROM, AROM 순으로 홍수조절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홍수예경보시설이 없는 농업용저수지의 특성상 홍수수문곡선의 예측이 전제가 되는 TROM, RROM의 경우 적용성이 떨어질 것으로 판단되며, 경험적인 요소가 많은 현재의 농업용저수지 운영방식보다는 SRC-ROM을 적용하여 표준홍수에 대한 수위별 수문조작 테이블을 구성하고, 여기에 관리자의 저수지 운영경험을 부가하여 관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홍수조절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