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의 음절 특성을 통해 본 ‘t’ 입성 한자음의 수용 양상

        장준익 구결학회 2018 구결연구 Vol.41 No.-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ancient sound of final consonant ‘t’ was changed as the ‘l’. There were many previous researches for understanding why it was changed. But, there were few researches considering syllable constraints of the Korean language for solving this problem. In the ancient Korean literatures of the 15th century, final consonant ‘l’ was more broadly used than final consonant ‘t’. This situation is caused by the ending conjug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 syllable that has the final consonant ‘l’ is easily made by the ending conjugation, on the contrary, a syllable that has the final consonant ‘t’ isn’t. In the ancient times, the word ending ‘-l’ of Korean language was influenced by ancient Altai languag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ose the final consonant ‘l’ was also usually used in the ancient time. On the contrary, in the ancient Korean literatures of the 15th century, there are many evidences that many fricative, affricate, and aspirate sounds were neutralized in the final sound position. Therefore, in the ancient time, it is possible to suppose there was few final consonant ‘t’. In order to borrow the ancient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it was not possible for Korean people to use final consonant ‘t’ because of syllable constraints of Korean language. Therefore, final consonant ‘l’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is not respecting the real phonetic value of Chinese antient sounds, but it is the substituted syllable forms made by syllable constraints of Korean language. 중고음 ‘t’ 입성 한자음은 한국 한자음에서 종성 /ㄷ/이 아니라 /ㄹ/로 반영돼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음절 특성을 이용해 이 현상을 이해하고자 했다. 15세기 한국어 문헌에서 종성 /ㄷ/이 있는 음절보다 종성 /ㄹ/이 있는 음절이 더 보편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런 차이가 나타나는 근본적인 원인은 한국어의 어미 ‘-(/으)ㄹ’의 활용에 있다. 이 어미는 알타이어 미래 시제 동명사 어미를 계승한 것으로 고대 한국어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 판단된다. 15세기 한국어에서 종성 /ㄷ/의 대부분이 어말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래 마찰음, 파찰음, 유기음이었던 자음이 중화된 경우가 상당수이다. 용언말의 종성 /ㄷ/은 모음 어미 앞에서 개음절로 나타나며, 심지어 /ㄹ/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15세기 한국어 문헌에서 종성 /ㄷ/이 있는 음절 중 한자음과 대응될 수 있는 것은 소수 유형밖에 없으며 그 소수 유형조차 고대 한국어에서 개음절이었던 것이 폐음절화됐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런 상황에서 고대의 한국인들은 종성 /ㄷ/과 발음 위치가 같은 종성 /ㄹ/을 이용해 ‘t’ 입성자와 대응해 발음할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한국 한자음 崇모의 역사 층위 분석

        장준익 한국중어중문학회 2022 中語中文學 Vol.- No.89

        중고음 崇모자의 한국 한자음 성모는 때로는 파찰음이 되고, 때로는 마찰음이 된다. 기존 학자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 현상을 설명하려 했지만 그들의 설명에는 모두 저마다의 문제가 있었다. 본고의 연구 결과, 崇모자의 한국 한자음 성모는 중고음의 역사적 변화를 반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慧琳音義(807)에서 俟모(*ʒ)의 영향을 받은 일부 崇모(*dʒ)자가 마찰음이 된다. 그리고 濁音淸化가 진행되면서 자연스럽게 平성 崇常船모가 합류했는데 한국 한자음에서는 平성 崇모를 常船모(*ʑ)와 같은 마찰음으로 나타냄으로써 이를 반영했던 것이다. 한국 한자음은 일반적으로 중고음 역사 층위를 반영하고 있지만 僻字의 경우 중고음으로 개신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반대로 상용한자의 경우 근대음으로 개신된 경우도 소수 존재한다. 즉, 한국 한자음을 통해 崇모의 전체적인 역사 변화를 알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 한자음의 음절 대응을 통해 본 고대 한국어 /ㆍ/의 음가

        장준익 구결학회 2022 구결연구 Vol.49 No.-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Korean vowel ‘ㆍ’ can be matching with many vowels of Ancient Chinese. Moreover, because the frequency of Korean vowel ‘ㆍ’ is also very low, it is very difficult to analyze the phonetic value of ancient’ Korean vowel ‘ㆍ’. However, in the sound of Korean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it is possible to find the complementary distribution of the vowel ‘ㆍ’. If there is an ending sound ‘ŋ/k’ or ‘n/t’ in the Ancient Chinese, there is also a vowel ‘ə’. In this case, the Korean vowel ‘ㆍ’ of Sino-Korean characters can be matching with ‘ə’. But if there is no ending sound or an ending sound ‘m/p’ in the Ancient Chinese, there is no vowel ‘ə’. In this case, the Ancient Chinese vowel ‘ɨ’ of dental sounds can be matching with Korean vowel ‘ㆍ’. Moreover, if there is an ending sound ‘i’ in the Ancient Chinese, there is no vowel ‘ə’ and there is also no dental sounds of which vowel is ‘ɨ’. In this case, Korean vowel ‘ㆍ’ can be matching with the Ancient Chinese vowel ‘æ’ and ‘ʌ’. Therefore, actually, Korean vowel ‘ㆍ’ is preferentially matching with the Ancient Chinese vowel ‘ə’. However, statistically speaking, the Ancient Chinese vowel ‘ə’ is much more matching with Korean vowel ‘ㅡ’. So, the ponetic value of Ancient Korean vowel ‘ㆍ’ is also not ‘ə’. If we use elimin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e the phonetic value of Ancient Korean vowel ‘ㆍ’ was ‘ɤ’, which was not existed in Ancient Chinese sound. 한국 한자음에서 모음 ‘ㆍ’는 중고음의 여러 모음과 대응되면서도 빈도수도 적어 그간 해석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런데 한국 한자음을 운미별로 분석해보면 모음 ‘ㆍ’가 음절 간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운미가 ‘ŋ/k’, ‘n/t’인 중고음에는 모음 ‘*ə’가 있기 때문에 모음 ‘ㆍ’는 주로 ‘*ə’와만 대응된다. 운미가 ‘m/p’이거나 개음절인 중고음에는 모음 ‘*ə’가 없었기 때문에 일부 치음자의 모음 ‘*ɨ’를 ‘ㆍ’로 반영할 수 있었다. 운미가 ‘i’인 중고음에는 ‘*ə’도 없었고, 모음 ‘*ɨ’를 취하는 치음자도 없었기 때문에 중고음 모음 ‘*ʌ’, ‘*æ’를 ‘ㆍ’로 반영할 수 있었다. 이렇듯 한국 한자음 모음 ‘ㆍ’가 가장 우선적으로 반영한 중고음 모음은 ‘*ə’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중고음 모음 ‘*ə’와 가장 많이 대응되는 한국 한자음 모음은 ‘ㅡ’로 한국어 모음 /ㆍ/의 음가는 /ə/도 아니었다. 소거법으로 분석해 보면 고대 한국어 모음 /ㆍ/의 음가는 중고음 음운 체계에 없는 /ɤ/였던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