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학생』 수록 정현웅의 「곡마단의 비밀(원제: 칠칠단의 비밀)」(1947~1948) 삽화 연구

        장정희(Jang, Jeung-hee) 한국아동문학학회 2019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6

        이 논문은 『소학생』에 수록된 정현웅의 「곡마단의 비밀(원제 칠칠단의 비밀)」 삽화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방정환의 소년 탐정소설 「칠칠단의 비밀」이 해방 후 재생산되는 과정과 그 변화를 짚어 보고, 정현웅이 그린 「곡마단의 비밀」 삽화의 현황과 특징을 살폈다. 윤석중 주간 『소학생』은 1946년 2월 11일자 ‘주간’으로 창간되어 1950년 6월 한국전쟁 직전까지 발행된 해방 직후의 대표적 아동지이다. 본고는 방정환 탐정소설에 대한 첫 번째 삽화로 정현웅의 활동을 주목하고, 『소학생』에 연재된 수록 현황을 정리하여 그 삽화의 특징적 양상들을 살펴보았다. 일명 방정환 ‘칠칠단의 비밀’에 그림을 그린 정현웅의 삽화는 모두 30점으로 조사되었다. 『소학생』 매호 2~5컷을 그렸다. 평균 약 3컷을 그런 셈이다. 정현웅은 총 33개의 장으로 구성된 내용 5개 장을 제외한 각 장마다 삽화를 그렸다. 「곡마단의 비밀」은 『어린이』에 실린 「칠칠단의 비밀」에서 3개의 장 17장 ‘대문 앞에서’, 18장 ‘이상한 편지’, 28장 ‘마굴을 빠져 나와’-을 추가했다. 추가된 3개의 장 제목은 복간된 ‘현대판’ 칠칠단의 비밀 에도 수용되었다. 「곡마단의 비밀」에 나타난 정현웅 삽화의 특징을 살펴보면, 그는 주로 어두운 톤의 배경 처리와 펜화의 강렬한 질감을 살리고 있다. 삽화는 대체적으로 사각 프레임으로 그려진 것이 대부분이다. 그의 그림은 공간과 배경을 소략하게 한 반면 갈등 관계의 인물의 처리는 빛의 효과를 활용하여 극적으로 대비시킨다. 무엇보다 「곡마단의 비밀」에 표현된 정현웅 삽화는 과장된 구도로 긴장감을 조성한다. 또 과감하게 대상에 접근한다. 정현웅은 순간적 동작과 긴장감을 흑백의 선명한 대비를 통해 극적으로 표현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정현웅의 「곡마단의 비밀」과 김용환의 『칠칠단의 비밀』 사이에 놓여 있는 의문의 지점을 문제 제기해 보았다. 두 사람의 삽화는 사건의 배경, 인물 배치, 공간 구도 등 여러 측면에서 유사성이 포착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유사성이 모방에 의한 결과인지, 혼란했던 해방 정국의 시대적 상황의 결과인지 판단을 유보했다. 앞으로 방정환의 탐정소설 『칠칠단의 비밀』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는 물론, 향후 우리나라 아동 삽화 방면에 폭넓은 궤적을 남긴 정현웅의 삽화에 대한 연구의 촉발을 기대해 본다. This paper is a study of Jung Hyun-woong’s illustrations in “The Secret of the Gokma-Dan” (The Secret of the ChilChil-Dan Gangster) in 『Small Student』. I looked at the process and changes in the process of reproducti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by Bang Jung-Hwan. And I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and features of Jung Hyun-Woong in “The Secret of the Gokma-Dan” The 『Small Student』 was a children’s magazine that was launched on February 11, 1946 and published until the Korean War in June 1950. Jung Hyun-woong is the first illustrator of the detective novel of Jung Hwan Bang. His illustrations in the “The Secret of the ChilChil-Dan Gangster” of Bang Bang-Hwan are all 30 cuts. Jung Hyun-woong mainly uses dark tone background and intense texture of pens. Most of the illustrations are drawn in square frames. Jung Hyun-woong’s paintings simplify the space and the background, and the personality relationship dramatically contrasts with the light.Jung Hyun-Woong’s illustration, expressed in “The Secret of the Bunk-dan”, creates an exaggerated sense of tension. In addition, Jung Hyun-woong explains bold omission techniques and boldly approaches the target. Jung Hyun-woong dramatically expresses momentary movements and tension through vivid contrast of black and white.

      • KCI등재

        1920년대 개벽사의 ‘조선동화’ 전승과 동화화 양상

        장정희(Jang, Jeung-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1 No.-

        본 논문은 1920년대 조선동화의 전승과 동화화 양상에 관한 연구이다. 1920년대 개벽사는 ‘옛날 이야기 모집’(부인)과 ‘조선고래동화모집’(개벽)을 통해 우리나라 전래 이야기 수집 운동을 전개했다. ‘조선동화’ 모집운동은 식민지 전략에 맞선 민족 기획의 논리에 서 있다. 본고는 조선동화현상 모집의 고선자인 방정환이 모집된 글의 제목을 명명하고, 내용에서도 ‘수정’ ‘재화’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본 논문은 개벽사가 모집한 옛날 이야기가 『개벽』에 처음 소개되고, 그후 『어린이』로 전승된 사실을 주목했다. 개벽사 잡지에 수록된 조선동화류 14편 이야기는 크게 ① 동물들 간의 담화, ② 인간과 동물의 서사, ③ 인간 사회의 서사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어린이』에 수록된 조선동화는 인간의 악한 면보다는 선한 측면을 드러냄으로써 비유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동물의 생태와 형상에 대한 유래담이 강세였다. 끝으로 본고는 1910~20년대를 관류하는 대표 민족동화 ‘해와 달’ 이야기, ‘수탉의 내력’을 중심으로 조선동화의 전승과 동화화 양상을 분석했다. ‘해와 달’ 류의 서사 전략은 식민지 조선 민중의 ‘해와 달’ 이미지 만들기였다. ‘수탉의 내력’에서는 ‘나무꾼’ 중심의 서술에서 일본인의 관점이 투사되면서 ‘날개옷’ 표현이 등장하게 된 점을 짚어 보았다. 앞으로 우리의 주체적 노력으로 시작된 1920년대 조선동화의 모집 과정, 채록과 전승, 동화화 과정에 대한 서사 유형의 계보 정리가 요청된다. This study is Writing as a fairy tale and of Succession Process ‘Korean traditional story’ in 1920’s. In the 1920’s, Gaebyuk Publishing collected Korean folk tales. The collection of Korean story was a national project against the colonial strategy. In this paper I have estimated as follows, Bang Jung-hwan would have added a title to the collected articles and modified the contents. I typified the Korean storytelling in the magazine as ① a discourse between animals, ② a narrative of human beings and animals, ③ a narrative of human society. The Korean children’s fairy tales in 〈Eorini(Children)〉 reveal good aspects rather than human evil. The story was mostly about animal’s ecology and form. Finally, this paper analyzed the aspect of making a fairy tale of traditional stories focusing on ‘the story of the sun and the moon’ and ‘the story of the rooster’. The narrative strategy of ‘Sun and Moon’ was the creation of ‘Sun and Moon’ image in colonial Joseon people. In ‘the story of rooster’, the narrative centered on ‘woodcutter’ was dominant. However, as the Japanese perspective was projected, the expression of ‘wing clothes’ appeared. In the future, it is requested to organize narrative type genealogy for recruitment, recording, and writing as a fairy of Korean fairy old story in the 1920’s.

      • KCI등재

        일제 강점기 교과서 『조선어독본』에 수록된 단형 서사물의 변화 양상과 그 특징

        장정희(Jang Jeung-hee)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1 No.-

        본고는 일제 강점기 조선어 교과서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에 수록되어 있는 단형 서사물이 각 교육령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 변화 양상과 특성에 대한 연구이다. 교과서가 편찬되는 제1ㆍ3ㆍ4ㆍ7차 교육령기를 중심으로 일제의 식민지 교육 정책에 따라 교과서 내 서사물의 이입, 수록, 배제되어 가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일제 강점기 식민지 교육의 본질을 밝히고자 했다. 먼저 식민초기의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에서는, ‘조선적인 것’의 서사물이 배제되고 있는 특징과 더불어 ‘욕심 없는 개’ 서사가 유입되었다. 이는 유교적 금욕의 경계가 일제의 식민지 지배 논리와 습합되어 나타난 것이다. 제3ㆍ4차 조선교육령기의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에서는 편찬 방향이 순국문(조선어)을 지향함으로써 ‘조선적인 것’의 지향성을 뚜렷이 보인다. 또, 「갱생」에서 식민지 모델로 식민지 모델로서 제시된 ‘김재호’ 모델의 허구성을 비판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제7차 조선교육령기의 『초등 조선어독본』에 대해서는 ‘황국 신민화와 서사의 파탄’으로 규정하였다. 특히 수록된 2편의 우화적 서사물인 ‘욕심 없는 개’와 ‘개미와 베짱이’는 식민초기부터 일제가 지속시켜 온 것으로, 식민지 전 교육 과정에 걸쳐 일제가 양산시키고자 한 인간형의 표상화라고 보았다. 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 『조선어독본』 수록 단형 서사물의 변화 양상과 특징을 다룬 것이지만, 향후 미시적 접근에 의한 보다 진전된 연구로 나아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looks closely at how descriptions in the language reading book of the Joseon Dynasty has been modified accordingly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oli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also focuses on the changing aspect and the features that reveal the essence of the colonial education during the time. Analyzing the description of 'the Joseon style' as it was excluded and the description of 'a dog who was unselfish' explains a phenomenon of the compromise between the cautious Confucian abstinence and the Japanese colonial ruling logic. The text book as it was utilized by public schools under the fourth Joseon educational policy, aimed for the pure Korean. Thus, it can be noted that there is a clear direction of 'the Joseon style'. Also,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the fictiveness of the model 'Kim Jae Ho' who represented the colonial model was criticized. The study confirms the textbook being termed as 'the yellow chrysanthemum colonization and the failure of the description'. For instance, 'a dog who was unselfish' and 'an ant and a grasshopper' are two allegorical descriptions included in the textbook remained throughout the Japanese Empire from the early colonial period. From these descriptions, we learn that the characters were the symbol of the human-type which the Japanese Empire intended to mass-produce over the all educational processes of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후보

        방정환과 어린이 문학·문화의 국제적 교류 -1920년대 『어린이』지를 중심으로-

        장정희 ( Jang Jeung-hee ) 방정환연구소 2019 방정환연구 Vol.1 No.1

        방정환(1899∼1931)은 한국의 어린이 문학과 어린이운동의 선구자이다. 그는 31세로 요절했지만, 동화, 어린이 잡지, 어린이 예술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겼다. 어린이날 제정(1922), 최초의 어린이 문제 연구 <색동회> 창립(1923), 『어린이』 잡지 창간(1923), 세계어린이예술전람회(1928) 개최 등이다. 20개국 어린이 예술 작품을 전시한 <세계어린이 예술전람회>는 어린이들에게 ‘예술을 통한 세계 평화의 정신’을 보여 주었다. 『어린이』지에는 “씩씩하고 참된 소년이 됩시다. 그리고 늘 서로 사랑하며 도와 갑시다”라는 표어가 실렸다. 방정환은 어린이들에게 정의, 용기, 유머에 대한 가치를 전하고자 했다. 불의에 대해서는 용기 있게 맞서 싸우는 한편, 서로 협력하며 정의를 이루도록 했다. 또 아무리 암울한 일제 식민지라 할지라도 『어린이』에 어린이들이 재미와 웃음을 잃지 않는 유익한 이야기를 많이 실었다. 어린이를 독자로 둔 ‘아동 잡지’, 1920년대 『어린이』는 동서양 어린이 문학과 문화번역의 수용, 교류사에 역할을 하였으며, 적지 않은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Bang, Jung-Hwan(1899∼1931) was a pioneer of children’s literature and children’s movement in KOREA. He passed away at the age of 31 years. But he did a lot of things for children such as writing fairy tales, publishing magazines, art exhibition and so on. < The 1<sup>st</sup> Children’s Day >(1922), < SaekDongHoi >(1923), 『Eorini』(1923), < The World Children’s Art Exhibition >(1928). 『Eorini』include the following motto: “Let us be true and true boys. And let’s always love each other and help.” He has written about values of Justice, honesty, compassion, and faithfulness. And he di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 of ‘laughter’ in children’s literature. There are lots of funny stories in children ‘s magazines. Bang, Jung-Hwan wrote that ‘The world is a house’, ‘The worl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orld affects each other.’ Bang, Jung-Hwan and < The World Children’s Art Exhibition > became the seed of the idea for “Peaceful Cooperation” of the world. He provided a hint to what we should do for children generation called ‘little giants’.

      • KCI등재

        1920년대 초 개성 아동지 『샛별』 연구

        장정희(Jang, Jeung-Hee),서희경(Seo, Hee-Kyoung)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4 No.-

        The paper is a study of a children’s magazine, “New Star”(Saebyul, 샛별), published in the Kaesong area in the early 1920s. Three collections of the National Children‘s and Youth Library, Yunseok Jungmun High School, are excavated and reported to the academic community. “New Star”(Saebyul, 샛별) is a children’s magazine organized around a Sunday school in Gaeseong. “New Star”(Saebyul, 샛별) was founded on November 1, 1923. And it published 10~12 volumes for about a year until October November 1924. The “New Star”(Saebyul, 샛별) contains about half of the children’s literature in the magazine. The first issue of the book was titled ‘History Story’ The book was intended to convey a sense of history to children. In addition, “New Star”(Saebyul, 샛별) has many aspects similar to “Eeorini”(Children, 어린이) such as covers, readers’ pages, discourse rooms, quizzes and celebrating Children’s Day. The “New Star”(Saebyul, 샛별) led to a brisk growth in the early 1920s in terms of the amount of writing and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in Korea. The “New Star(Saebyul)”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 literature and children’s art in the Gaesong area. “New Star”(Saebyul, 샛별) interacted with Gyeongseong “Eeorini”(Children, 어린이) magazine and Bang, Jung-Hwan, and played a pioneering role in the children’s movement and juvenile society in the Gaesong area. 이 논문은 1920년대 초 개성 지역에서 발행된 아동 잡지 『샛별』에 대한 연구이다. 『샛별』지의 존재를 학계에 발굴 소개하고 발행 사항과 편집 체제 등 그 서지적 고찰에 일차적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나아가 1920년대 초 우리나라 아동문학사에서 『샛별』지가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개성 지역의 소년문예운동과 『어린이』의 영향 관계, 방정환과의 교유 관계 등을 조명했다. 『샛별』은 1923년 11월 창간호를 낸 후 1924년 10월호까지 약 1년간 10개 호 가량 발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샛별』은 ‘문예 중심 편집’으로 동요, 동화, 소설, 동화극 같은 아동문학 작품을 지면의 절반 이상을 할애해 실었으며, 창간호부터 역사 인물 이야기 란을 두는 등 어린이들에게 민족의식을 전해주고자 했다. 『샛별』과 『어린이』는 표지와 편집 체제 등 유사성이 발견되고, 1924년 5월호를 ‘어린이날 기념호’로 내는 등 방정환의 어린이운동과 연대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그 배경으로 본 연구는 진장섭·고한승·마해송 등 개성 출신 『색동회』 회원의 적극적 행보와 그 관련성에 주목했다. 현재까지 파악된 『샛별』의 주요 아동문학 작가는 ‘대화’에 우영희, ‘동요’와 ‘유년소설’에 금강생, ‘동화’에 고한승, 고한용, ‘소설’에 임영빈, ‘동화극’에 마해송, 그 외 편집 주간으로서 여러 필명으로 글을 발표했을 박홍근 등을 거론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샛별』을 통해 마해송의 아동극 「복남이와 네 동무」의 발표 시기가 기존에 알려진 ‘1923년 12월호’가 아닌 ‘1924년 1월호’임을 확인하고 바로잡았다. 윤석중의 동요 「봄이 오니ᄭᅡ」도 처음 발굴 소개했다. 「봄이 오니ᄭᅡ」는 일본 동요 「봄이 왔다[春が来た]」에 대한 항일의식으로 발로로 창작된 작품으로 평가되며, 그 동안 윤석중의 첫 작품으로 알려진 『신소년』 수록 「봄」과 같은 시기인 ‘1924년 5월’에 발표된 것이다. 『샛별』은 약 1년 간 발행되어 비록 단명으로 종간한 잡지지만 개성 지역 아동문학사 연구의 중요한 사료이다. 『샛별』은 박홍근, 우영희, 고한승, 마해송 등 개성 아동문학 작가의 작품 활동 무대가 되었으며, 이후 고한승의 『무지개』(1927), 마해송의 『해송동화집』(1934)이 출간될 수 있도록 밑거름 역할을 했다. 특히, 『샛별』은 『색동회』 회원들이 집필에 적극 참여하고, 경성 『어린이』 잡지와 교류 행사를 갖는 등, 방정환의 어린이운동과 연계하여 개성 지역 어린이운동과 아동문학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 방정환 문학 유산의 발굴과 계승의 과제 -방정환 동요의 사례: 전집 수록 과정의 분석-

        장정희 ( Jang Jeung-hee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0 독서아카고라연구 Vol.2 No.-

        이 논문은 방정환의 문학 유산 가운데 ‘동요’ 작품을 중심으로 전집 수록 과정을 분석하고, 방정환 동요의 원전 확정성 및 향후 계승 과제를 검토했다. 방정환의 동요는 과거 19편이 전집에 수록되기도 하였으나, 필명 오류로 10여 편이 제외되어 9편이 되었다가, 후속 자료 발굴에 힘입어 현재 14편여 정도 전집에 수록되기에 이르렀다. 먼저 본고는 「형제별」은 현재 원전 미확인 상태이지만 현단계에서는 ‘번안 동요’로 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본고는 사이죠 야소의 「여름비」가 일본 아동지 『소년구락부』 1920년 8월호에 처음 발표되었고, 『사이죠 야소 동요전집(西條八十童謠全集)』(新潮社, 1924)에도 실린 작품임을 밝히고 그 원문을 수록했다. 방정환의 「가을밤」은 노구찌 우조의 「秋の夜」(『令女界』, 1922.11.)과 비교해 볼 때 바느질하는 어머니와 실잣는 귀뚜라미의 형상에서 유사성을 포착했다. 한편 「가을밤」 곡보와 관련해서는 노구찌 우조의 동요 가운데 모토오리 나가요(本居長世, 1885∼1945)가 작곡한 「닭(鶏さん)」와 비슷한 악상으로 추정해 보았다. 그러나 저본의 확정 및 곡보의 음악학적 비교분석은 결론을 유보했다. 또한 본고는 기존에 누락된 『어린이』 수록 동요, 또는 새로 추가 발굴한 방정환의 동요 5편을 논의했다. 발굴 방정환 동요 「종소리」, 「허재비」의 발견 경위를 밝혔으며, 「나뭇잎 배」는 ‘무기명’으로 발표되어 논의가 더 필요한 동요라고 보았다. 그리고 「어린이날 노래」는 작사가가 명기되지 않은 채로 보급되었으나 색동회 정인섭은 방정환작사의 곡으로 회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김기전 작사라는 견해도 있는 만큼 방정환 작사를 뒷받침할 근거 자료의 확보가 필요하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process of his ‘Children’s Song’ work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Bang Jung-hwan. Bang Jung-hwan’s agitation is known to be 19 different kinds. But 10 of them turned out to be someone else. Five new works have since been added. Now the Bang Jung-hwan Children’s Song has reached 14. The paper discussed Bang Jung-hwan’s children’s songs, “Brothers Star (형제별)”, “Summer Rain(여름비)”, and “Autumn Night(가을밤)”, which are presumed to be “translations”. In particular, “Summer Rain” released its original work. This paper discussed the agitation of five newly discovered pieces. Among them, the discovery of the excavated children’s songs “Song of Bell(종소리)” and “scarecrow(허수아비)” was revealed. And this study suggested that “Children’s Day Song” could be a collaboration created with Kim Ki-jeon.

      • KCI등재
      • KCI등재

        소파방정환(小波方定煥)번역동화의 창작동화로의 이행 연구

        장정희 ( Jeung Hee Ja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1 동화와 번역 Vol.21 No.-

        방정환의 번역동화를 살펴보면, ``전통적 지향``과 ``근대적 지향``이 접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큰 특징이다. 그는 다양한 외국동화를 통해 고래동화에 결여되어 있던 근대적 아동상을 부각시키고, ``아동``의 성립이 전제되는 아동문학에서 ``아동 주체의 확보``가 어떻게 드러나는지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고래동화와 격을 긋는 뚜렷한 변별 지점이 되었다. 또, 그가 번역동화에서 구사하는 문장은 구술적엮음 방식에 의한 반복과 열거가 주된 특징을 보여 준다. 이 같은 구술적 특성은 그의 ``이약이`` 의식과 깊은 관련이 되어 있는데, 첫 번역동화에서부터 선취한 ``-습니다``체는 이후 동화 장르의 보편적 서술체가 된다. 번역동화의 이야기 변형을 통해 창작동화로 이행해 간 대표적 작품은 시골쥐의 서울 구경 이라는 작품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는 그의 번역동화는 ``순창작``이 아니라는, 창작 우위의 관점에서 빚어지는 오류를 수정하고 근대 ``동화`` 장르의 형성과 장르 인식의 측면에서 새롭게 그 지위를 부여했다. You can find above all things that his translated children`s storie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join of ``the traditional aim`` and ``the modern aim``, when you look them closely. By various foreign children`s stories, he underlined the modern child model that the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lacked. Most of all, the sentences which he made use of in his translation are characterized by repetition and enumeration which are weaved by oral methods. This oral characteristic is deeply related to his ``I-Yak-I`` conscience. The ``-sup-ni-da`` type was first gained by his fist translated children`s stories. After that, it became the general declarative type of the genre of the children`s stories.

      • KCI등재후보

        『조선어독본』의 ‘혹부리 영감’설화와 근대 아동문학의 영향 관계 고찰

        張貞姬(Jang, jeung-hee) 한국아동문학학회 2011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0

        본고는 『조선어독본』에 수록된 ‘혹부리 영감’ 설화와 우리 근대 아동문학의 영향 관계를 고찰하는 연구이다. 이 논문은 ‘혹부리 영감’ 설화가 일본으로부터 유입되어 전파되었다는 설을 부정하고, 두 나라 간의 ‘혹부리 영감’을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 고유 ‘혹부리 영감’ 설화의 가능성을 텍스트 분석을 통해 제시했다. 그 첫째는 ‘춤(日):노래(韓)’라는 매우 변별적인 요소이며, 둘째는 인간에 대한 도깨비와 오니가 매우 상반된 태도를 보인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본고는, 『조선어독본』에 수록된 ‘혹부리 영감’과 방정환의 동화극 「노래 주머니」의 영향 관계를 논의했다. 제4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어독본』(1933~35)의 ‘혹부리 영감’ 개작 내용 가운데, ‘아름다운 목소리가 혹에서 나온다는 것을 노인이 말하지 않고 도깨비가 말하게 한 점’, ‘노인이 부른 노래로 시조 및 동요의 삽입’ 등의 미세한 사실에서, 방정환의 「노래 주머니」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논의했다. 끝으로 본고는 ‘혹부리 영감/노래 주머니’ 설화가 우리 아동문학에 어떻게 전승되어 왔는지 살폈다. 1960년대 이후 아동문학의 ‘혹부리 영감’ 수용 양상에서 이원수의 「노래 주머니」가 크게 영향을 미쳐 온 것과 일본형 ‘혹부리 영감’ 설화가 침투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tudies influence relation between our modern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fairy-tale of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which is included in『The language reading book of the Joseon Dynasty』. First, this study denies the theory that the fairy-tale of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was flowed in from Japan and was spread into Korea. Comparing each fairy-tale of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of Japan and Korea, i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our own fairy-tale of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by analyzing their texts. First, it finds a quite distinctive element, namely, ‘dance(Japan) : song(Korea)’. Second, it finds that Dokkaebi(Korean goblin) and Oni(Japanese goblin) have a fairly conflicting attitude for human. Second, this study discusses influence relation between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which is included in『The language reading book of the Joseon Dynasty』and「a pocket of songs」, the fairy-tale drama which is written by Bang Jung Hwan. Examining the adapted contents of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which is included in『The language reading book of the Joseon Dynasty』of the fourth Joseon educational law period(1933~1935), it finds quite minute facts such as ‘the fact that a pretty voice was come out from a lump was said not by a geezer, but by a dokkaebi.’ And ‘as the songs which were sung by the geezer, sijoes (*sijo :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or children’s songs were included in them’, and so on. From these minute facts, it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Bang Jung Hwan’s「a pocket of songs」had an effect on the fairy tale. Finall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fairy tales such as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and ‘a pocket of songs’ have been handed down to our children’s literature. Looking aspects which our Children’s literature had accepted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since 1960’s, it finds that Lee Won Soo’s 「a pocket of songs had a great influence on our children’s literature and Japanese’s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had penetrated our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후보

        『학생』지에 실린 방정환의 글 텍스트와 학생운동의 방향성 고찰

        장정희 ( Jang Jeung-hee ) 방정환연구소 2021 방정환연구 Vol.6 No.-

        이 글은 1929년 3월 방정환이 창간한 『학생』지의 총 18개호를 대상으로 수록된 방정환의 글 텍스트를 검토하고, 방정환이 지향한 학생운동의 방향을 고찰한 논문이다. 『학생』지에 수록된 ‘권두언’ ‘논단’ ‘숙직실’에 포함된 방정환의 글 텍스트를 정리하였다. 또 논란이 되었던 ‘쌍S’ 필명과 관련하여 『학생』에 발표한 차상찬의 글 「조기 1년」을 주목했다. 이 글에 의하면 차상찬은 자신의 별호를 ‘송작’이라고 하고 있다. 본고는 『별건곤』에 실린 ‘송작’과 ‘쌍S’을 상호 견주어 봄으로써 ‘쌍S’가 차상찬의 필명임을 추적해 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학생』지에 나타난 방정환의 학생운동 방향과 그 방법을 고찰했다. 첫째, 방정환은 ‘학생들’을 ‘어린이의 지도자’ ‘우리 사회의 준 지도자’로 인식했다. 둘째, 방정환은 ‘하기방학’ 동안 학생들이 ‘조선’ ‘민족의식’의 전파자가 될 수 있도록 『학생』지를 통해 구체적인 실행 항목과 강습회 조직 방법, 한글 보급의 필요성을 호소했다. 셋째, 방정환의 ‘학생운동’은 그의 ‘어린이운동’에 뒤이은 자연스러운 순차적 운동 방향이었다. 총체적으로 본고는 방정환의 학생운동 방향을 3.1혁명 이후 제2의 민족적 독립운동을 준비하는 ‘총동원령’의 기초 운동으로 해석했다. 본 논의는 『학생』에 수록된 방정환의 글 텍스트를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방정환 작품을 조명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또한 이 논문은 ‘어린이운동 선구자’로만 평가되어 온 방정환이 ‘학생운동’을 통해 일제강점기 전민족적 운동을 조직적으로 실행해 간 점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that examines the text of Bang Jung-hwan’s writing in the magazine Student published by Bang Jung-hwan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ent movement he aims for. First, I investigated the text of Preface, Thesis, and Diligence Room. In particular, I conducted a study on the controversial nickname Double S and noted Cha Sang-chan’s < Wake up early 1Year > published in “Haksaeng(학생)”. In this article, Cha Sang-chan calls his nickname Songjak. I compared the writings of “Songjak(송작)” and “Double S” in “Byulgeongon(별건곤)” and said “Double S” was Cha Sang-chan’s nickname.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and method of student movement of Bang Jung-hwan in the journal “Haksaeng(학생)”. First, Bang Jung-hwan recognized ‘students’ as ‘children’s leaders’ and ‘quasi-leaders of our society’. Second, Bang Jung-hwan appealed for specific implementation items, methods of organizing classes, and the need to distribute Hangeul(한글) through the “Haksaeng(학생)” magazine so that students can become propagators of “Josun(Korea)” and National Consciousness during the “Summer vacation.” Third, Bang jung-hwan’s “student movement” was a natural sequential movement direction following his “children’s movement.” Overall, this paper interpreted Bang jung-hwan’s direction of the student movement as the basic movement of the “total mobilization decree” to prepare for the second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March 1st Revolution. This discussion attempted to contribute to illuminating the works of Bang Jeong-hwan in the future by reviewing the text of Bang jung-hwan’s writing in Student overall. In addition,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Bang Jung-hwan, who has only been evaluated as a “pioneer of the children’s movement,” systematically implemented the entire Japanese colonial era national movement through the “student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