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복수 표준 발음 처리의 기준에 관한 연구

        장정민 ( Jang Jung-min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2 백록어문교육 Vol.30 No.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iteria by reviewing words to which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has been added. Since 2016, there have been 20 words in which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has been added, and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has been recognized only in Phonetic Phenomenon related to tensification and /n/-insertion. As a result of reviewing these words, there are three criteria for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processing. First, it does not violate the language norms. Second, it does not change the notation. Third, the realization rate of actual pronunciation is more than twice the realization rate of standard pronunciation Subsequently, the actual pronunciation survey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as divided by type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additional words that could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processing..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Lateralization and nasalization occurring in the ‘n-l’ sequences should also be treated with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processing standards are too conservative, it is suggested that more flexible and active multiple standard pronunciation processing is needed to get close to language norms and reality.

      • KCI등재

        일정변형률 시험을 이용한 재성형 광양 해성점토의 압밀특성 연구

        장정민(Joeng-Min Jang),김진영(Jin-Young Kim),정운기(Woon-Ki Joeng),최진(Jin Choi),진영식(Young-Sik Jin),강권수(Kwon-Soo Kang),백원진(Won-Jin Baek),이강일(Kang-Il Lee)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4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3 No.4

        최근 들어 연약지반상에 구조물을 건설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기반 시설의 유지관리 및 건설 비용의 절감을 위해 사전압밀공법 및 연직배수공법과 같은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지반 개량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연약점성토 지반상에 다양한 개량공법이 적용 될 때, 점성토의 낮은 투수계수로 인한 장기간에 걸친 압밀침하가 중요하게 된다. 압밀침하와 관련된 기존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표준압밀시험의 재하기간은 압밀정수 산정에 최소한 10일 이상의 시간을 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서남해안의 대표적인 연약지반으로 구성된 광양만 재성형 해성점토를 이용하여 표준압밀시험과, 일정변형률 압밀시험의 변형률 속도를 변화시킨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내시험결과를 통해 등변형률 속도에 따른 압축특성, 변형률-유효응력관계, 재하속도에 따른 간극수압 변화특성, 압밀정수와 등변형률 속도의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Recently, the case to construct the structure on the soft clayey ground has increased and in order to the reduction of the cost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n the social infrastructure facilities we have been trying to improve the soft clayey ground using the existing methods such as the pre-loading method and the vertical drain method. Like this, when various ground improvement methods are applied on the soft clayey ground, a long-term consolidation settlement will be key issue due to low permeability coefficient of cohesive soil. According to existing research results that relate to the consolidation settlement, the loading periods for existing the standard consolidation test (Oedometer test) to obtain the consolidation parameters are needed for minimum ten days or mor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andard consolidation test (24 hours step-loading) and constant strain rate consolidation test changed by strain rate was performed using the remolded marine clay on Gwangyang bay composed of a soft clayey ground of the south-west coast. From the laboratory test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compression, strain-effective stress relations by constant strain rate and the variation characteristic of the pore water pressure by different of loading speed and the relation between consolidation parameters and constant strain rate are compared and analyzed.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영유아 편의식 소비자의 구매 특성과 제품개발 요구도

        장정민(Jeong-Min Jang),최희령(Hee-Ryong Choi),홍완수(Wan-Soo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10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영유아 편의식 제품의 구매 특성, 제품개발 요구도, 편의식 제품의 첨가 재료 선호도, 제품개발 방향 필요성 및 식품안전 인식도를 분석하여 중국 수출을 준비하는 국내 식품업계의 영유아 편의식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7년 8월 10일부터 8월 25일까지 편의식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대~50대 중국 영유아 편의식 소비자 514명을 유효 표본으로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Statistics(ver. 22.0, IBM Corp., Armonk, NY,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일반사항을 교차분석 한 결과 연령(P<0.001), 월 소득(P<0.01), 직업(P<0.05)에서 남녀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유아 편의식을 구매하는 중국 소비자의 구매 특성 중 구매 빈도는 ‘자주 구매한다’의 응답이 34%(174명)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선호하는 영유아 편의식의 포장 단위는 ‘1회 섭취량’으로 47.9%(246명)의 비율을 보였다. 선호하는 보관방법은 상온 보관(15~25°C)이 67.3%(346명)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성별 및 월 소득에 따른 중국 영유아 편의식 소비자의 편의식 제품개발 요구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16개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남녀 차이를 확인하였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제품개발에 대한 요구도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월 소득의 경우 5,000위안 이상의 경우 ‘저 당도 제품개발’, ‘최신 건강 식재료 사용’, ‘다양한 소스 개발’, ‘다양한 양념 개발’, ‘다양한 한국 영유아 편의식 개발’, ‘한국 발효식품을 활용한 개발’, ‘한국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개발’ 항목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소득이 높을수록 제품개발에 대한 요구도도 더 높게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친환경(유기농) 식재료를 사용한 프리미엄 영유아 편의식부터 건강을 고려한 제품, 한국의 발효식품이나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영유아 편의식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 대상자의 제품 첨가 재료 선호도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채소류, 단백질류, 곡류, 유제품의 세부항목에서 성별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남성보다 여성의 첨가 재료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채소류의 옥수수, 당근, 감자, 토마토, 버섯, 단백질 류의 달걀, 소고기, 콩, 닭고기, 곡류의 백미, 밀가루, 유제품의 우유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이들 식재료를 첨가한 제품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월 소득에 따른 편의식 제품의 첨가 재료 선호도 차이에서는 전체적으로 소득이 8,000위안 이상인 집단에서 5,000위안 이하인 집단에 비해 채소류, 단백질류, 곡류, 유제품류에서 높은 선호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조사대상자의 영유아 편의식 제품의 남녀 간 개발 방향 필요성의 차이에 있어서는 총 12개의 항목에서 성별 간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남성 소비자보다 여성 소비자의 점수가 더 높게 조사되어 여성 소비자가 더 필요를 높게 인식하지만 필요를 높게 인식하는 항목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및 월 소득에 따른 중국 소비자의 영유아 편의식 제품 식품안전 인식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성별은 13문항 중 7개의 문항에서 성별 간 차이를 보였고 남성보다 여성의 식품안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아 여성의 식품안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소비자에게 중국에 수출될 영유아 편의식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식재료 및 첨가물 등의 성분, 유통경로, 생산과정 및 포장까지 안전한 제품을 만들고 홍보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월 소득에 따른 식품안전 인식의 차이에서는 4개의 문항에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월 소득이 높은 집단에서 소득이 낮은 집단보다 식품안전에 대해 더 높게 지각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 편의식을 구매하는 중국 영유아 편의식 소비자에 따라 소비자의 요구 및 필요를 반영한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소비자가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국내 식품 관련 업계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연구는 중국이라는 넓은 나라를 대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못했으며 온라인으로 설문을 수집했다는 연구의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convenient baby food, needs for developing products, preference for additional ingredients of convenient baby food, and necessity of direction for developing products. Buying 1 to 3 times per two weeks was ranked as the highest in terms of frequency of buying convenient baby food. Single consumption was the most preferred package unit. Storage at room temperature was the most preferred storage method. Women had higher needs for the convenient baby food product development than men. As incomes increased, needs for the convenient baby food product development also increased. Women showed a higher preference in each food category than men in terms of preference for additional ingredients in products. Those with higher income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dditional ingredients in convenient baby food. Female consumers had higher need than male consumers in terms of the necessity for various development direction. Analysis of perception on food safety revealed that women and those with higher monthly income ha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n food safely issues compared to men and those with lower income, respectively. The study findings can be useful for future development of convenient baby food for Chinese consumers.

      • KCI등재
      • KCI등재

        가격할인의 추가 정보 유형(언어 vs. 비언어)이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장정민(Jang, Jung-Min),이진화(Rhee, Jin-Hwa)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5

        소비자의 가격할인 정보처리에 관한 연구는 제조기업의 광고나 유통기업의 판매촉진 등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다루어져 오고 있다. 특히 가격할인을 소비자에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에 관한 이슈는 기업의 재무적?비재무적 성과와 직결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쇄광고 상황에서 가격할인 정보와 함께 제시되는 추가 정보의 표시 방식을 언어적(e.g. 글)?비언어적(e.g. 그림)으로 구분하고, 이 두 표시 방식이 소비자 인식(가격할인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의 조절초점(regulatory focus)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연구 결과, 예방초점의 소비자들은 가격할인에 대하여 비언어적(vs. 언어적) 정보가 추가된 경우 가격할인에 대하여 더 매력적으로 지각한 반면, 향상초점의 소비자들은 언어적(vs. 비언어적) 정보가 추가된 경우 가격할인에 대하여 더 매력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중요하게 연구되어 온 언어적, 비언어적 자극의 정보처리 문제를 가격 할인 정보전달과 같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적용하고, 이론적으로 설명하여, 실증적으로 그 차이를 검증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실제로 여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언어적?비언어적 표시 방식의 효과가 소비자의 조절초점 성향에 따라 다름을 확인함으로서 가격할인표시 방식의 세부 활용 전략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formation processing of consumer’s price discount has been an important topic in formulating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such as manufacturers’ advertising and distributors’ promotions. Especially, issues of how to communicate price discounts to consumers directly impact firm’s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s. We divide two modes of presentations - linguistic (e.g. number, letter) and nonlinguistic (e.g. picture) - and aim to find how the effects of these two modes of presentations on consumer perceptions of discount attractiveness differ with consumers" regulatory focus. Results from an experiment reveal that the prevention focused consumers find discount information more attractive when non-linguistic information is additionally provided, whereas promotion focused consumers find it more attractive when linguistic information is offered in addition. We conclude the paper wi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

      • KCI등재

        물리적 분리단서가 소비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정민(Jang, Jung Min),박은영(Park, Eun Young) 한국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연구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가 의사결정을 하는 상황에서 제품의 포장 용기나 봉투와 같은 물리적 분리단서의 유 · 무에 따라 행동의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마음가짐(mind-set)에 관한 연구들을 기반으로 물리적 분리단서와 소비자의 사전 경험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제안하였다. 즉, 대상에 대한 사전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은 의사 결정에 의해서 실행 마음가짐(implemental mind-set)을 지니고 있다. 이때 물리적 분리단서가 제시되면, 대상의 긍 · 부정적 측면을 고루 반영하며 그 채택 여부를 고려하는 심사숙고 마음가짐(deliberative mind-set)으로 전이될 것이다. 반면 물리적 분리단서가 없는 경우, 실행 마음가짐이 유지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물리적 분리단서가 제시될 때가 없을 때보다 덜 호의적인 행동의도룰 나타낼 것이다. 하지만, 사전 경험이 없는 소비자는 대상에 대한 채택 의사 결정을 한 적이 없으므로 심사숙고 마음가짐을 지니고 있고, 대상에 대한 긍 · 부정적 측면을 고루 고려한다. 물리적 분리단서에 따른 마음가짐 전이 현상의 영향력이 미비할 것이며, 행동의도에도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심리적 기제로 지각된 바람직함을 제안하고 매개 효과와 관련한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초콜렛 신제품을 평가하는 상황에서 물리적 분리단서(제품 용기)와 유사 제품에 대한 사전 경험의 상호작용이 시식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와 지각된 바람직함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2에서는 기부 캠페인에 대한 광고 상황에서 물리적 분리단서(봉투)와 이전의 기부 경험 여부가 기부의도 및 기부 금액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와 지각된 바람직함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전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은 물리적 분리단서가 있는 조건에서 없는 조건보다 대상에 대해 덜 호의적인 행동의도를 나타낸 반면, 사전 경험이 없는 소비자들은 물리적 분리단서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설은 지지되었으며, 이 결과를 통해 학문적, 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potential impact of physical partitions on behavioral intention toward objects.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existing literature verifying the mind-set effec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hysical partitioning effect is moderated by consumer experience. More precisely, experiencers tend to have an implemental mind-set due to prior decision-making. However, a physical partition can activate a deliberative mind-set in which an experiencer reflects on both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an object and considers whether to accept or reject that object. Conversely, the absence of a physical partition induces consumers to maintain the existing implemental mind-set. However, non-experiencers tend to have a deliberative mind-set because they have never made decision about an object. Therefore they, having already considered equally its pros and cons, are insensitive to the shift effect from implemental to deliberative mind-set arising from physical partitions. As a result, experiencers respond more negatively when a product is provided with a physical partition than without. Partitions induces experiencers to shift from an implemental to a deliberative mind-set, thus driving less favorable behavioral intentions. On the other hand, non-experiencers are generally insensitive to physical partitions because they already have a deliberative mind-set. Perceived desirability has been suggested as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this process occurs. We tested the proposed effect in two laboratory studies. In study 1, a new product sampling context, we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resence of product cover and prior experience on consump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perceived desirability mediated the proposed effect, which was also verified. In study 2, in evaluating a donation ad-campaign context, we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resence of envelopes and prior experience on donation intention and amount and also provided evidence for perceived desirability as a mediator. The results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how consumers respond to physical partitions and highlight implications for marketers seeking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