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입원 환자의 환자안전 환경과 환자안전 참여의 관계에서 건강정보문해력의 매개효과
장인숙,박명화 간호행정학회 2023 간호행정학회지 Vol.29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patient safety environment (PSE) and health literacy (HL) on patient safety participation (PSP) and the mediating effect of HL. Methods: We recruited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D” city. A total of 230 people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survey we conducted from March 15 to July 10,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WIN 26.0. Results: PSP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SE (r = .29, p < .001) and HL (r = .44, p < .001). PSE and HL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SP (power : 23%). HL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direct effect: 0.09, 95% CI: 0.04 ∼ 0.14) between PSE and PSP.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interventions for patient participation in the PSE and providing directions for offering safe and high-quality medical care to patien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환자의 환자안전 환경, 건강정보문해력, 환자안전 참여의 정도를 확인하고, 변인들 상호 간의 상관관계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며, 환자안전 환경과 환자안전 참여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건강정보문해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방법: 자료 수집은 2022년 3월 15일부터 7월 10일까지 D시 소재의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총 230명의 자료를 연구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결과는 SPSS/WIN 26.0 프로그램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는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 PROCESS macro의 4번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안전 참여는 환자안전 환경(r=.29, p<.001)과 건강정보문해력(r=.44, p<.001)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환자안전 환경(β=.15, p=.018)과 건강정보문해력(β=.32, p<.001)에 환자안전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3%였다. 건강정보문해력은 환자안전 환경과 환자안전 참여와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indirect effect: 0.09, 95% CI: 0.04∼0.14)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안전하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 및 환자안전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사바꾸기를 중심으로 한 음악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에 미치는 영향
장인숙,이혜진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4 임상예술치료연구 Vol.3 No.-
본 연구는 가사 바꾸기를 중심으로 한 음악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 지적장애 아동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시 다운지역아동센터에서 주 1회 40분씩 총12회를 실시 하였다. 측정도구는 PRES와 REVT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시작 1주일 전 사전검사와 프로그램 종료 후 1주일 뒤 사후검사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수용언어와 표현 언어를 분석하여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로 첫째, 가사 바꾸기를 중심으로 한 음악치료는 지적장애아동의 수용언어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둘째, 가사 바꾸기를 중심으로 한 음악치료는 지적장애아동의 표현 언어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by the change of lyrics on the improvement of the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select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y were in their fourth to six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nd an experiment was implemented 12 times in Down Local Children's Center, once a week, 40 minutes each.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PRES and REVT. A pretest was conducted using these inventories a week before the program was provided, and a posttest was carried out using the same inventories a week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Both of their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shown in the form of a graph.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below: First, music therapy by the change of lyric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receptive language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music therapy by the change of lyric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xpressive language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심리 및 사회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장인숙,오미영 한국예술치료학회 2017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주시 ◯초등학교 5, 6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국민기초 생활보장 수급권자 와 차상위 계층에 속하는 저소득층 아동 중 연구에 동의한 2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45분씩 총 20회의 집단음 악치료를 시행하였고 통제집단은 무 처치하였다. 연구도구는 일상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 감,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검증을 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와 측정시기 간의 차이 및 집단과 측정 시기 간의 상호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 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집단음악치료는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 중 부모 관련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 요인과 자아존중감 및 자아탄력성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음악치 료가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자아존중감과 자아탄 력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group music therapy on the stress, coping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rs from low-income groups. The subjects are 37 children selected from among 139 fifth and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Jeonju. The selected students either belong to the near-poverty group or ar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mong them, 10 students were selected again with the consent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randomly organized with 10 students in each group. But the number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as reduced to nine because one student was excluded due to low attendance rate. A group music therapy was provid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20 times, twice a week, 45 minutes each.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inventories that were designed to check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aily stress, stress-coping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The group music therap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daily stress level of the subjects and some of their stress-coping factors. The therapy served to improv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may be used as a valuable intervention method to facilitate the psycho social development of school children from the low-income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