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스타일과 지리교과 내용특성

        장의선(Eui-Seon Jang) 대한지리학회 2004 대한지리학회지 Vol.39 No.1

        이 연구의 문제의식은 ‘지리를 가르치다’라는 현상에 대한 연구가 표면적인 교수법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현상을 만들어내는 요소들의 중첩된 관계를 다각화된 관점에서 동시에 포괄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자는 지리 교수 현상의 구성요소를 지리교과내용, 학습자, 그리고 스캐폴딩으로 제안하였으며, 이들의 중첩된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지리교과 내용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지리학적 지식을 인식 방법에 근거하여 분류하였다. 분류된 지리학적 지식은 지리교육내용으로 교수학적 변환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지리교과의 영역특수적 분류체계로 제시하였다. 지리학의 광범위한 특성을 고려하여 지리교육적 맥락에서 교과내용영역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자 한 것이다. 둘째, 학습정보를 지각하고 처리하는 인식방법에 따라 학습스타일을 확산자, 동화자, 수렴자, 조절자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학습스타일은 선호학문영역이 뚜렷하게 구분된다. 이를 토대로 지리교과 내용영역별 선호성이 높은 학습스타일을 연계하였다. 이것은 지식에 대한 인식 방법에 기준을 두고 분류된 학습스타일과 지리교과 내용영역을 상관지은 것이다. 전형적인 문화·역사지리영역과 환경지리 영역일수록 확산자 스타일과 상관성이 높고, 자연지리영역과 도시·경제지리영역의 성격이 강할수록 동화자 스타일이, GIS 및 지도학 영역의 전형일수록 수렴자 스타일, 마지막으로 지역개발과 지역환경문제 영역에는 조절자 스타일이 가장 상관성이 강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지리교과 교수요소 중 교과내용과 학습스타일의 요소간 상관성을 먼저 논의하였다. 교과를 가르치는 토대인 교과내용에서부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교수라는 실천현상에서는 이들 두 요소의 상호작용을 매개시켜주는 스캐폴딩에 대한 실천적 지침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리교과의 세 가지 교수 요소인 교과내용, 학습자, 그리고 스캐폴딩간 정합성에 대한 후속논의가 요구된다.<br/> The critical point in this research is that the research on the phenomenon "teaching geography" should include how various elements consisting of the phenomenon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in diverse angles. not deal with only teaching method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of the three components of teaching geography: contents of geography subject matter; learner; and scaffolding.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of geography subject matter were analyzed. Geographical knowledge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the way of perception. And then the selected geographic contents for this study were done didactic transposition into materials for geography education. These can be presented in a specific classification system from a context of geography education. Secondly. four categories of learning styles were divided by the way learners perceive and process information: Diverger; Assimilator: Converger; Accommodator. Each was connected with learner's preferred contents of geography subject matter. The correlation between divergers and typical Cultural. Historical Geography and Environmental Geography was high. So was between assimilators and typical Physical Geography and Urban. Economic Geography. Learners of Converger style tend to prefer GIS and Cartography. Finally, Regional Development and Regional Environmental Problem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accommodators.<b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세계지리의 다문화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장의선(Jang Eui Seo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2

        우리나라의 다문화 현상은 단일 민족 국가라는 역사적, 지리적 배경 위에서 전개되고 있는 것으로서 미국, 캐나다, 호주의 그것과는 다른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가 보이는 다문화 사회의 유형 역시 그들 나라와 다른 유형일 수밖에 없고, 따라서 다문화 교육을 위한 방법이나 프로그램도 그들과 차별화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나라의 다문화 교육이 소수자 적응 교육이나 이벤트성 프로그램에 편중되고 있다는 점은 큰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세계지리 과목이 다문화 교육에서 중요한 비중으로 활용되고 있는 유럽 여러 나라의 사례를 토대로 세계지리 과목의 다문화 교육적 가치를 토의하였다. 나아가 중등학교의 세계지리 학습 목표와 내용이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반영되어 있다고 보고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세계지리 문항을 분석하여 세계지리과목이 다문화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문항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세계지리 문항들에는 다문화 교육의 목표와 관련된 내용 요소들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었다. 둘째, 세계지리 문항들은 다양한 다문화 교육의 목표 영역들에 관련되어 있었는데 그 중‘지리적 환경의 차이에 대한 인식’에 관련된 문항이 빈도 상 가장 많았다. 셋째, 세계의 문화권별 종교와 의식주에 관한 문항들은 다문화 교육의 목표 중‘세계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에, 그리고 환경 문제를 포함한 세계 각 지역의 당면 과제와 관련된 문항들은 ‘세계 평화와 공존’이라는 다문화 교육의 목표 영역에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끝으로, 범교과학습 주제로서 다문화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세계지리, 세계사, 사회·문화 등 기존의 관련 교과가 지닌 가치와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Multicultural affairs in Korea recently are phenomena on the historical-geographical basis of a nation-state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America, Canada, or Australia. The type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differ necessarily from that of those countries, and for this reason the methodology and progra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cessary to differ from those of those countries. In addition, it is the point at issu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is focused on adjustment education or event program for minority. This study has these critical mind, and tries to discusses the value of the ‘world geography’ subject on the basis of analysis European countries where world geography subject play a important role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n the author tries to draw the subject’s possibilities for contribu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by way of items analysis of the CSAT. The result of item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most items includes content elements relating to the goal of multucultural education. Second, items on ‘the diversity of geographical environment’ of the objective ar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high frequency in number. Third, the author proposes that items which includes religion, clothes, food, and shelter would serve to the objective area of cultural diversities of world, and that those which relates to regional matters in hand including environmental problems would contribute to the objective area of global peace and coexistence. Lastly, the author places special emphasis on the continuous studies over existing subjects such as world geography, world history, society and culture to correspond with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

      • KCI등재

        시스템 사고를 배경으로 한 지리적 사고의 재구성

        장의선 ( Eui Seon Ja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최근 범학문적으로 사고 패러다임의 주된 흐름으로 등장하고 있는 시스템 사고에 주목하고 지리적 사고에 대한 그 함의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시스템 사고의 개념과 응용 분야를 요약하였고, 시스템 사고가 교육학 및 교과교육 분야에 적용되는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특히 시스템 사고의 기본 원리가 인간과 자연의 관계, 스케일의 문제에 주목하는 지리적 사고의 본질과 맞닿아 있다고 판단하고, 시스템사고의 관점에서 지리적 사고를 재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시스템 사고의 기본 원리를 전일주의 사고, 연결망 사고, 피드백 사고, 조정적 사고로 정리한 다음, 이들 각각을 지역적 사고, 관계적 사고, 시·공간맥락 사고, 인간과 자연의 조화 사고 등 지리적 사고의 하위 범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렇게 재구성된 지리적 사고는 스코프와 시퀀스의 차원 및 추상성의 수준을 고려하여 구조화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stem thinking that has appeared to be a main current in thinking paradigms across disciplines recently, and prepared its implications with geographical thinking. To accomplish these goals, the author gave the outlines of the concepts of system thinking and its applied fields including pedagogical branch. Specially, the author assumes that the basic principles of system thinking explicitly implicated in geographical thinking which focuses to man-nature relationships and scale-relations, and tries to reorganize the composition of geographical thinking on the basis of those principles. The present writer suggests that the sub-categories of geographical thinking would be regional thinking, relational thinking, time-space contextual thinking, and man-nature interaction thinking in connection with the four principles of system thinking respectively after summarizing those principles as wholeness thinking, network thinking, feedback thinking, equation thinking. This reorganized geographical thinking could be structured after due consideration of the scope-sequence problems and abstractiveness.

      • KCI등재

        역량 중심 접근의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이인태 ( Lee In Tae ),장의선 ( Jang Eui Seo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2 No.1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정보, 미디어, 디지털 기술을 효과적, 비판적, 창의적, 윤리적으로 다루기 위해 필요한 통합적 역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개념은 디지털 기술을 올바르게 활용하고 정보와 미디어 콘텐츠를 윤리적으로 소비 및 생산하며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과 연대에 참여하는 도덕적인 사용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리터러시 관련 연구 성과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라는 개념을 명료하게 정의하고 구성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역량 중심 접근의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차기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Digital media literacy refers to the integrated competencies necessary to effectively, critically, creatively and ethically utilize information, media, and digital technologies in a digital media environment. Therefore, this concept can be used as a competencies for ‘moral users’ who properly use digital technology, ethically consume and produce information & media content, and participate in activities and solidarity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rough online networks. In this study, we clearly define the concept of digital media literacy and derive competenc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research. And after analyzing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digital media literacy, we propose the improvemen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r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with a Competency-based Approach.

      • KCI등재후보

        지리과 내용요소로서 '지명'의 의미 탐색과 교수-학습의 실제

        장의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사회과교육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문해력' 습득을 위한 내용구성 요소로서 지명의 의미와 지리 교육적 의의 및 실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지명'이라는 요소를 학습자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기호적 표상체계와 환경인지의 결과물로서 살펴보았다. 특히 지역의 특성과 학습자 의사소통의 수단인 언어의 결합으로 생성된 기호표상으로서의 지명과, 지역의 환경과 그에 대한 인간의 사유와 경험이 융합된 '의미의 집합체'로서 지명은 학습자 일상생활에서 매우 익숙해져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판단을 토대로 기존 교육과정에서 나열되었던 지명의 단순 암기가 아닌 학습자 일상생활과 연결된 맥락에서 지명학습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이 직접 생활하는 지역에 대해 지리적 문해력이라는 지리교과의 목표 달성의 내용요소로서 지명의 적합성을 제시한 것이다. 전술한 논거를 토대로 지리과 내용구성 요소로서 지명의 의의를 살펴본 후, 지명을 내용 요소로 한 지리 교수-학습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지명을 활용한 지리 수업에는 지명의 상징성을 통한 장소성 학습과 지명의 언어적 구조를 통한 환경인지, 그리고 추상적 공간인지로서 지명의 이해 등의 유형이 있다. 이들은 지명에 대해 서로 다른 측면에서 접근한 관점이지만 서로 분절적이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명을 활용한 교수-학습안 역사 다양한 수업모형의 장점을 수업 상황에서 적절히 배합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실제적 예시는 지형적으로 상이한 청송군과 창녕군을 비교지역으로 삼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present educational meaning and practice of place for improving the geographical literacy in geography education. Place name is classified into two dimension, semiotic representational system and out of environmental cognition. Especially, I took it granted that student was accustomed with place-name as symbolic presentation which is made up of combination between region's characteristic and student's communicational language and as node of meaning which is mixture of region's environments and men's thinking and experience. On the basis of this judgement, I found that place-name class that is linked with lerner's everyday life is available without mere memorizing listed place-name. Place-name is great elements to improve learner's geographical literacy to their living place and proper for making goal of geography subject matter, in case of Chung song Gun, Changnyeong Gun and their neighbor region.

      • 대도시 생활지역의 환경교육 사례 연구

        이민부,한주엽,장의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0 No.1

        대도시 내의 생활지역과 같은 여러 소지역의 자연 및 인공환경을 이해하는 작업은 각 생활지역별 또는 도시 전체범위로 발생하는 환경문제에 대한 올바른 개념형성과 의사결정을 위하여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선행 문헌연구와 경관분석은 지역 환경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그의 교수-학습을 위한 주요 접근법이다. 또한 생활지역과 인근지역의 환경요소들은 효과적인 환경교육의 학습자료 및 내용으로 구성 될 수 있다. 현재의 있는 그대로의 지역 환경경관을 관찰하는 것이 도시의 환경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데에서 중요하다. 지역 환경교육의 내용과 조사범위 지정, 주요 환경지표를 위한 교수활동은 조사지역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경관분석에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뜻한다. 부산광역시의 좌천동·수정동·초량동 일대에 대한 환경학습 사례에서는 교사의 연구에 의한 학습자료의 구성과 제시가 학습자활동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관점 하에 구성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어느 특정 지역의 교사가 지역 간 교사들의 모임이나 학술활동을 통하여 다른 지역의 환경 정보를 얻으며 풍부한 환경교육의 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and artificial environments of the living areas in the metropolitan region must be worked out for the right conception-building and decision-making about the environmental issues in their local living area together with the city as a whole. Bibliographical regional studies and landscape analyses are important in constructing and learning contents of the region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living area and its neighboring area can be fieldsurveyed a nd mapped for the learning materials. The present environmental state of the region’s landscape is important in the construction of the city’s environmental contents. The study of previous works and landscape analysis on the study area are rather the teacher’s job for setting up the range and content of the reg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esenting major environmental indices to the student. As in a case of Jowacheon, Sujeong and Choryang-dong of Busan metropolitan city, just field work on the natural and artificial landscapes reveals many regional and environmental phenomena. For approaches to more materials of case studies, the teacher in local school has to collect other regions’ environmental informations through meetings for local teachers and academic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