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동성친구간 일상대화에 있어서의 내러티브 대조연구 -내러티브의 산출과 도입을 중심으로-

        장윤아(張允娥)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5

        This study analyz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aspect and introduction strategies of narrative observed in daily conversation between the same sex speakers in Japanese and Korea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In both Japanese and Korean conversation, narrative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opics have the highest proportion of usage. As for the narrative produced to express consensus or empathy with the counterpart, it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the conversation between female friends in both Japanese and Korean. (B) Participants produce narratives as a means of changing conversation to a new topic more often in Korean conversation than in Japanese conversation. Moreover, participants in Korean conversation tend to introduce narratives without using strategies. When a narrative relevant to a certain topic was initiated in Korean conversation, participants often use the strategy that presents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e event first. When producing the narrative that provides the information similar to what the counterpart provides, participants tend to use the strategy of expressing their will to speak. (C) A narrative that contributes to the conduction and development of topics is produced with a higher frequency in Japanese conversation than in Korean conversation. When producing a narrative to change the topic, Japanese often use the strategy of notifying the change of a flow of conversation. Moreover, when introducing a narrative related to the topic and a narrative that provides the information similar to what the counterpart provides, the most preferred strategy is to talk about the conclusion of the story first. The speaker often uses the strategy of expressing the will to talk spontaneously.

      • KCI등재

        한일어 일상대화에 있어서의 질문표현의 유형과 기능

        장윤아(張允娥) 한국일본어학회 2022 日本語學硏究 Vol.- No.74

        This study categorized question expressions produced in daily conversations in Korean and Japanese and conducted an empirical comparative analysis to inquire into how and on which position the question expressions are used in convers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request for judgment (Yes/No)> is us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same manner both in Korean and Japanese, while similarities are observed in the position of appearance and functions of <request for judgment (Yes/No)>, <expression of emotions>, <request for confirmation>, and <request for consent>. However, the relative use frequency of question expressions turned out to be higher in Korean conversations than in Japanese conversations. In addition, in Japanese conversations, there was a high proportion of using question expressions to ask for consent from the counterpart and question expressions to express uncertainty about ones own ideas or opinions, whereas in Korean conversations, the rate of using question expressions to ask for explanations or confirmation from the counterpart was high. In the case of <request for explanation>, <expression of response>, and <expression of ideas>,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ere observed depending on not only the position within the conversation where they were used, but also by what means they were use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functions vary in terms of development of conversations depending on the position within the conversation where the question expressions were used.

      • KCI등재

        同性間 · 異性間の会話における〈理解〉と〈同意 · 共感〉

        張允娥(장윤아) 한국일본어학회 2015 日本語學硏究 Vol.0 No.45

        본 연구에서는 한일 동성 · 이성친구와의 대화에 나타나는 〈이해〉와 〈동의 · 공감〉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포지티브 폴라이트니스 전략 사용을 한일차와 남녀차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전략의 사용비율을 비교하면: (1) 일본 남녀는 한국 남녀에 비해 상대에게 주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전략을 더 높은 비율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한국의 남녀는 상대와 공통의 의견과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전략을 더 높은 비율로 선택하는 경향이 보인다. (2) 한일모두 여자의 경우 남자에 비해 공통의 의견과 감정을 주장하는 전략을 더 높은 비율로 선택하는 반면 남자의 경우 상대에게 주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전략을 선택하는 비율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3) 이성간의 대화에서의 전략사용 비율에서는 남녀차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친구간의 대화에서 한일남녀 모두 친구의 포지티브 페이스를 배려하기 위해 포지티브 폴라이트니스 전략을 사용한다. 하지만 포지티브폴라이트니스 전략의 선택비율에서 한일차와 남녀차가 보여진다는 점에서 친구의 포지티브 페이스를 배려하는 방식에는 한일차와 남녀차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여자간 남자간의 대화에 있어서 전략의 선호에는 차이점이 보이지만 남녀가 상호행위를 하는 이성간 대화에서는 남녀차가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어코모데이션에 의한 결과라고 보여 진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Japanese and gender differences in positive politeness strategy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Comprehension’ and ‘Agreement/Empathy’ in same-sex and mixed-sex conversations between frien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Comparing the proportions of strategies: (A) Japanese speakers tend to adopt the strategy, which indicates that they are paying moreattention tothe speaker`s utterance than Korean speakers do, while Korean speakers tend to adopt the strategy of claiming common points of view andempathy more than Japanese speakers do. (B)Both Japanese and Korean women tend to adopt the strategy of claiming common points of view and empathy more than men do, while both Japanese and Korean men tend to adopt the strategy that indicates their attention to speakers more than women do. (C) The distribution of strategies in mixed conversations show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are reduced. In conversations between close friends, Korean and Japanese use positive politeness strategies to save their friend`s face.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positive politeness strategies between Korean/Japanese and gender differences have led to the suggestion that the way of saving their friend`s positive face may differ. Even though the preference of strategies in all women conversations and all men conversations are rather different, the differences are reduced as a result of accommodation when women and men interact with each other.

      • KCI등재
      • KCI등재

        철도 차량용 EMB의 클램핑 포스 과도응답 향상을 위한 토크 예측 제어

        장윤,박영수,이교범,Jang, Yoon,Bak, Yeongsu,Lee, Kyo-Beum 한국전기전자학회 2017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논문은 철도 차량용 electro-mechanical brake (EMB)의 클램핑 포스 과도응답 향상을 위한 토크 예측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에는 공압식 제동 시스템이 사용된다. 공압식 제동 시스템은 외부환경 변화에 민감하며, 과도응답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공주시간이 증가한다. 또한, 긴급 제동과 같은 기준 이상의 제동 토크를 인가하는 경우에 제동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공압식 제동 시스템의 단점은 철도 차량용 EMB 시스템을 적용하여 극복할 수 있다. 철도 차량용 EMB 시스템은 차량의 축중을 감소시키고, 설계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연비 증가 및 설계 유연성 확보 등의 장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 차량용 EMB의 클램핑 포스 과도응답 향상을 위한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제어 방법의 타당성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This paper proposes a torque predictive control for dynamic performance improvement of clamping force in electro-mechanical brake (EMB) for railroad cars. In general, pneumatic braking system (PBS) is used for railroad cars. It is sensitive depending on environmental changes and it has increasing idle running time because of slow dynamic response. Additionally, the PBS has low braking efficiency in case braking torque more than standard value is applied to the brake system such as emergency braking.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of the PBS, the EMB is used for the railroad cars. The EMB for railroad cars has advantages that increasing the fuel efficiency and design flexibility because it is able to decrease vehicle weight of railroad cars and secure space for design. In this paper, control method for dynamic performance improvement of clamping force in EMB for railroad car is propos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ntrol method is verified by the simulation results.

      • KCI등재

        공공사업 지연에 따른 비용의 기업회계적 평가

        장윤,윤윤석,김수영 한국회계정보학회 2010 회계정보연구 Vol.28 No.3

        The lack of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the continuous monitoring system, there is some criticism that the considerable number of public investment projects bring about the abuse of national resources and the serious social conflicts in our country. This problem is not confined to our country which has yet to equip with the revaluation system in public investment projects but also the developed countries which have it and the problem varies according to the methods of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from daily Asahi in the year 2009 , it shows that over a ten-year period from 1998 to 2008 only 2% of projects have been classified with “project halted” or “project pause.” This result raises the question : is the revaluation system necessary? This research puts an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 revaluation is not working well and the purpose of it is not consistent to the real circumstance because of applying non-Accounting methods on the Cost-Benefit Analysis. The substantial step is the preliminary feasibility test that determines the validity of public investment projects in our country. In this thesis, empirically we try to establish the needs for the project revaluation system and the accounting method on the Cost-Benefit Analysis in some cases which include 1) delay in starting the projects for no-required the budget or the opposition of environmental groups, 2) change in cost and benefit of revaluation elements. The Accrual Accounting method is applied to these economic research on preliminary feasibility test of Korea Development Institute(KDI) which we categorize into a) projects completed as planned, b) projects delayed in the first stage and c) projects delayed in the end of the period. Consequently, we present the evidence of the accounting effects which cannot be found at the stage on preliminary feasibility test. 우리나라에서 공공투자사업의 상당수가 사업추진에 관한 체계적인 관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 부재로 인해서 국가재원의 남용은 물론, 심각한 사회갈등 등을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는 공공투자사업의 재평가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며, 사업재평가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선진국에서도 그 운용기법의 여하에 따라 다양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결정하는 실질적인 단계는 예비타당성조사라고 할 수 있으며, 사업의 타당성이 인정된 후 예산 확보시까지의 과정이 장기화되거나, 환경단체 등의 사업반대 등 다양한 이유에서 사업추진이 당초 예비타당성 조사단계에서 상정한 경우보다 훨씬 지연된 경우, 사업기간을 포함하여 비용․수익의 평가요소에 변화가 있을 때 사업재평가가 필요하다는 점과 기업회계적인 비용평가기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실제 사례를 도입해서 입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사례는 한국개발연구원(KDI) 등에서 수행한 예비타당성 조사상의 경제성분석 결과이며, 이를 당초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된 경우, 초기에 사업이 지연된 경우와 말기에 사업이 지연된 경우로 각각 나누어서 기업회계적인 발생주의 회계기법을 적용해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많은 세금을 초기에 투자한 사례의 경우, 기업회계적인 관점에서 매몰비용의 발생으로 인해 그렇지 않은 사례에 비해 대폭적인 순손실의 발생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당초 예비타당성조사단계에서는 파악할 수 없었던 시간의 경과에 따른 회계적인 영향을 명시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주제어실의 Group-View Display 시각 정보 설계를 위한 시인 가능 최소 글자 크기 분석

        장윤,이백희,정기효,정일호,유희천 대한인간공학회 200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중 ·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방폐장) 주제어실의 group-view display에 시현되는 시각정보를 설계하기 위해 시인 가능한 최소 글자 크기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방폐장 groupview display 상에 사용될 다양한 배경과 글자 색 조합을 고려하여 방폐장 운용자가 시인 가능한 최소 글자 크기를 실험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본 실험은 방폐장 주제어실 운전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모집된 30대와 40대 남성 22명(평균 연령 = 37세, 표준편차 = 6.7, 교정 시력 0.8 이상)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배경과 글자 색 조합은 방폐장 주제어실 group-view display에 사용된 8가지로, 최소 글자크기 결정은 심물리학적 접근 방법인 method of limits를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모든 조합에 대해 실험 참여자 전원이 시인할 수 있는 최소 글자크기는 7’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경과 글자 색의 대비가 클수록 시인 가능한 최소 글자크기는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