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항기 조선 생우 무역과 일본의 개입 양상 -일본 내 검역 체제 정비 및 부산 적용 과정을 중심으로-

        장윤걸 부산경남사학회 2019 역사와 경계 Vol.112 No.-

        This paper examines Japan 's intervention in live cattle trade during the Open Port Period of Korea through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a quarantine system in Meiji Japan and its application in Busan. The aim i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pre-colonial live cattle trade in the expansio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colonization of Korea. While the Japanese government was trying to strengthen its control over the Korean cattle trade, local communities in Japan, merchants, and overseas diplomatic missions were not only attempting to fulfil their government’s national policies but also their own private interests. Meiji Japan’s Korean cattle policies were very closely connected to the problem of rinderpest (cattle plague). Since the Meiji Restoration, the import of Korean cattle into rural areas in Japan had increased rapidly, and rinderpest from the Korean peninsula caused great damage throughout Japan.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control the spread of rinderpest by implementing related legislation but this was not an effective solution because it was limited to the Japanese mainland. As a result, a quarantine system was enforced in Busan, which was a base for exporting live cattle to Japan. This enabled Japan to gradually strengthen its control over trade. This was unified as a 'national policy'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and it gradually led to the subordination of the Korean economy by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Japanese empire. 본고는 개항기 조선 생우 무역에 대한 일본의 개입 양상을 근대 일본의 검역 체제 정비 및 부산에의 적용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목적은 일본 제국주의 팽창과 조선 식민지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식민지 이전 생우 무역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일본 정부가 조선 생우에 대한 통제력 강화를 정책적으로 꾀하는 가운데 일본 내 지역 사회와 상인들, 그리고 재외공관은 각자의 권익을 위해 노력하면서도 결국 국가 정책을 충실히 따르는 역할을 수행해갔다. 근대 일본의 조선 생우 관련 정책은 우역 문제와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메이지 유신 이래 농촌 사회로의 조선 생우 수입이 본격화 되는데 그와 함께 한반도에서 유입된 우역은 일본 전국에 큰 피해를 야기했다. 일본 정부는 관련 법령의 정비를 구체화시키며 우역 방지를 위해 힘쓰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국내적 조치였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었다. 이에 일본으로의 생우 수출 거점이었던 부산에 검역 체제를 적용시키며 점차 무역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해 나간다. 이러한 모습은 점차 러일전쟁이라는 국가 총력전 하에서 ‘국책’ 으로 일원화되며, 일본 제국의 경제 구조에 포섭되는 결과를 낳는다.

      • KCI등재

        조선 동북부 생우 무역 환경의 변화

        장윤걸 한국근현대사학회 2018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6 No.-

        This paper examines Japan’s perception of and response to changes in live cattle trade between Korea and Russia during the period from 1890’s to the Russo-Japanese War in North Hamgyung Province. During the process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the outflow structure of livestock resources had greater politic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in this region than in southern Korea. Although exports of live cattle officially began in 1888, the trade was not put into practice. This was due to unofficial trade carried out by Russian merchant ships through unopened coastal ports. At that time, Japan, which had been trying to expand its power in this region, was strongly concerned about economic ties between Korea and Russia. As a result, Japan mounted pressure on Korea to open ports which eventually led to the opening of Sungjin Port in 1899. This meant that another formal trade route was added to the existing export structure. In addition, the basis for Japan’s intervention in the live cattle trade in this region was created, and its visible achievements appeared in earnest after Russo-Japanese War. Through this continuous process, livestock resources in northeastern Korea gradually became dependent on the economic system of Japan. 본고에서는 함경북도 성진항 개항을 전후한 1890년대부터 러일전쟁 이전까지 조선과 러시아 간 생우 무역 환경 변화와 더불어 그에 대한 일본의 인식 및 대응을 일련의 역사적 전개를 통해 알아보았다. 일본의 조선 식민지화 과정에서 함경북도의 축산자원 유출 구조는 남부 지역과 대비되는 정치 경제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1888년 조러육로통상장정의 체결은 종래 암묵적으로 행해졌던 민간 레벨의 생우 수출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이것이 실질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한 반면, 여전히 기존의 밀무역 형태, 즉 ‘비공식’ 무역이 가진 지역사회에서의 영향력은 매우 컸다. 동시에 해로를 통해서도 이러한 형태의 무역은 횡행하고 있었는데 특히 러시아 상선에 의한 활동이 문제가 되었다. 이는 함경남도 원산을 거점으로 세력 확장을 꾀하고 있던 일본에게 경계심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일본 정부의 정책적 판단이 조선 정부에 압력으로 작용했고 1899년 함경북도 성진항 개항으로 이어졌다. 성진항 개항은 기존 생우 수출 구조에 또 하나의 공식 무역 경로가 추가됨으로써 함경북도 생우 무역에서 일본이 개입할 기반을 만들어준 사건이었다. 그리고 그 가시적 성과는 러일전쟁 이후에 본격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연속적 과정을 거치며 조선 동북부 축산업은 점진적으로 일본 경제에 종속되어 가게 된다.

      • KCI등재

        제국 일본의 한반도 축산 통제 -‘이중검역체제’의 성립 과정과 그 의미-

        장윤걸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69 No.-

        이 논문은 한반도 축산 자원에 대한 일본의 통제가 러일전쟁 후 급격히 심화되어 식민지적 유출 구조로 변모해 가는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에서 새롭게 정립된 朝鮮牛 인식과 함께 이중검역체제의 성립 과정을 파악하고, 세부적으로 일선에서 생우 수출의 실무를 맡은 일본인 기업 한국흥업과 부산 수출우검역소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러일전쟁을 겪으며 일본에서는 조선의 축산 경제를 일본 제국의 영향권에 편입시켜 원료 생산지와 소비지의 관계로 재편하고, 이를 통해 유사시 조선우를 군수 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해진다. 동시에 우역 방지를 위해 많은 제한을 두었던 일본의 기존 검역 방침은 한반도에서 선제적 검역을 실시함으로써 적극적인 조선우 수입을 추진하는 이른바 ‘이중검역체제’ 구상으로 발전하여 1909년에 현실화된다. 그 일선에서 제국 일본의 국책을 수행하던 한국흥업은 부산 수출우검역소의 사업을 일임하여 식민지기까지 생우 이출을 담당해 간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이미 공식적인 식민지화 이전에 한반도의 제국 경제 편입과 축산 자원 공급처로의 전락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This paper examines how Japanese imperial control over livestock resources on the Korean Peninsula rapidly intensified after the Russo- Japanese War and transformed into a colonial structure. In terms of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s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dual quarantine system from the new perspective of the Korean cattle resources in Japan. The study also focuses on the case of the Japanese company ‘Kankoku Kogyo’ and the Cattle Quarantine Station in Busan which was responsible for exporting live cattle. After the Russo-Japanese War, Japanese public opinion began to call for reorganizing Korea’s livestock into a relationship between raw production and consumption by incorporating it into the Japanese economy. This was because Japan could utilize Korean cattle as a military resource in war. On the other hand, by 1909, the existing quarantine policy, which placed a lot of restrictions on the prevention of Rinderpest, developed into a so-called “dual quarantine system” that promoted Korean cattle imports by preemptively imposing quarantines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front line, Kankoku Kogyo, which was carrying out the national policy of the Japanese empire, took over the work of the Cattle Quarantine Station in Busan and was responsible for exporting live cattle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This process meant that the Korean Peninsula had already become a source of livestock resources and transfer to the economy of the Japanese empire even prior to colo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