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서책의 교정에 관한 연구

        장원연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연구 Vol.42 No.-

        In the Joseon Dynasty(朝鮮), there were the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s which took charge of publications, such as Gyoseokwan(校書館), Jujaso(鑄字所), Gyojeongcheong(校正廳), etc., and several other government agencies which published books in various subject fields, following the kings’ orders, such as Sayeokwon(司譯院), Naeuiwon(內醫院), Gwansanggam(觀象監) and so on. The books published in these organizations were continuously proofread until the final complete editions could be distributed. The books locally published by the families(門中), Seowon(書院), and Buddist temples were also always proofread, and the proofreading was very thoroughly done with discussions and corrections during the entire process of editing through final print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proofreading performed in various stages of publishing by examining historical documents, and confirmed the roles of proofreading and their differences in stag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rganizations and people in charge of proofreading. 조선시대 중앙에서는 校書館, 鑄字所, 校正廳, 實錄廳 등 출판을 전담한 기관이 있었고, 출판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구는 아니었으나 司譯院이나 內醫院, 觀象監 등에서도 관련 분야의 서책을 왕명에 의해 간행하였다. 이러한 기관에서 간행되는 서책은 반드시 교정의 단계를 거쳤고, 교정은 한두 번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최종본이 완성되어 반사될 때 까지 끊임없이 이루어졌다. 중앙관서에서 뿐만 아니라 지방의 사찰을 비롯한 문중과 書院, 私家에서 출판되는 간행물 역시 반드시 교정의 과정을 거쳤으며, 편집에서부터 인출이 완료될 때까지 상호간의 토론과 질정을 통하여 철저한 교정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이러한 출판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정을 史料 등 문헌의 기록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아울러 책이 완성되는 단계별로 그 절차와 방법을 살펴보았다. 또 이를 담당했던 기관과 교정 참여 인물을 분석함으로써 출판에 있어서 교정의 역할과 과정별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현존 자료에 나타난 기록을 정리하여 비교하였다.

      • KCI등재

        「訥齋集」 책판 교정 사례 연구

        장원연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0 No.-

        This study examined Parksang’s (1474∼1530) set of books as an example about correcting the printed wood-piece while publishing its own set of books in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Nuljaejib was published four times based in Honam area which it was first published in 1547 in Geumsan, then Gwangsan(1694), Wanyoung(1796), and Gwangju(1843). Every assigned examiners led the publication, and especially, This study’s main topic Nuljaejib was published in 1843 in Gwangju by Heonjong ordering to Gwangju Moksa Cho Cheulyoung after it was burned in Gwangju Myungyoondang in 1841. For this study, the proofs of Nuljaejib and printed wood and the final copy were contrasted. We confirmed the corrected image of the printed wood and its procedures were confirmed according to the correcting instructions of the proofs, and organized its procedures by figuring out how it was reflected on the printed copy. 16 volumes of 6 books of the book combined with each piece of proofs of Nuljaejib is kept at Kyungbuk University Central Library, and 200 printed woods that are donated by Chungju Park family are kept in Gwangju Minicipal Folk Museum. Although fixing the error of the engraver form a state in the printing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a lot of corrections to be made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final copy. Also, correcting the missed number of strokes occurred the most with 87%. An important thing to remember when proofreading Nuljaejib printed wood is the way of correcting abnormal letters inappropriate with the rule of writing. Abnormal letters occurred due to engraver’s lack of understanding of letters which requires second most corrections after correcting the missed number of strokes. From this, it is known that understanding the form of letter is one of the important requirements that engraver of the printed wood must have.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개인문집 간행 시 책판교정에 대하여 朴祥(1474∼1530)의 문집 「訥齋集」을 한 사례로 살펴본 것이다. 「눌재집」은 1547년 錦山에서 초간된 후 光山(1694), 完營(1796), 光州(1843) 등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네 차례 간행되었다. 모두 부임한 지방관이 간행을 주도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四刊本 「눌재집」은 1841년 광주 明倫堂에 보관 중이던 「눌재집」 책판이 燒失되어 憲宗이 光州牧使 趙徹永에게 명하여 1843년에 광주에서 간행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사간본 「눌재집」의 교정쇄와 책판, 그리고 완성본을 대조하였다. 교정쇄의 교정 지시에 따라 책판이 교정된 모습과 그 방법을 확인하였고, 인출본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확인하여 그 현황을 정리하였다. 「눌재집」의 교정쇄본은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에 16권 6책이 소장되어 있으며, 책판은 광주시립민속박물관이 2004년 충주박씨 문중으로부터 200여판을 기증받아 소장해오고 있다. 인쇄과정에서는 각수의 판각오류를 바로잡는 교정이 주를 이루지만 최종원고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져야 할 내용에 대한 교정도 상당히 많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으며, 자획의 교정은 탈획을 바로잡는 교정이 전체의 87%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눌재집」 책판 교정에서 주목할 점은 字法에 맞지 않는 형태의 글자인 訛字의 수정방법이다. 와자는 각수의 字形에 대한 이해 부족에 기인하여 엉뚱한 형태의 글자로 새긴 것인데 탈획 다음으로 많은 교정이 이루어진 부분이다. 이를 통해 자형에 대한 이해는 책판 제작의 각수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요건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賢良科 『薦科榜目』에 관한 연구

        장원연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80 No.-

        The Examination for the Learned and Virtuous was one of the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 systems of Joseondynasty in which outstanding individuals were recruited based on recommendations. It was implemented in 1519 at the recommendation of Jo Gwnag-jo, and those who qualified were recorded in Cheon-gwa bangmok. Cheon-gwa bangmok was published twic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first printed copy was produced by Noh Su-sin, but it is unfortunately not extant. A reprint was published in 1639 in Cheongju by Kim Yuk, but the extant copy currently at Yonsei University is defective. This Cheon-gwa bangmok is not cited much by researchers of the Examination for the Learned and Virtuous because it is not well known and only parts of it remain. It became possible to ascertain a more complete version of Cheon-gwa bangmok by supplementing missing its parts when eight woodblocks that were used in reprint were found recently in Cheongju. Based on tha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Examination for the Learned and Virtuous and the unique recording method of Cheon-gwa bangmok. 현량과는 1519년에 조광조의 건의로 시행된 추천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과거제도의 하나였으며, 이때의 합격자를 기록한 책이 「천과방목」이다. 「천과방목」은 조선시대 두 번 간행 되었는데, 초간은 1579년 노수신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인본은 전하지 않는다. 1639년에 김육이 청주에서 간행한 재간본은 연세대에 낙장본으로 소장되어 있다. 이 「천과방목」은 잘 알려지지 않았고 또 일부만 남아 있어 현량과 연구에 많이 인용되지 않았다. 최근 재간본 인출에 사용된 목판 8장이 청주에서 추가로 발견됨에 따라 「천과방목」의 누락된 부분을 보완하여 좀 더 완전한 모습의 「천과방목」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현량과의 시행과정과 「천과방목」의 독특한 기록방식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조선후기 금속활자인쇄 교정의 실증적 연구 - 戊申字本 「明紀編年」을 중심으로 -

        장원연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4 No.-

        This study put a focus on the proofreading of poems published within the newly found Mu-sin letter-style myeong gi pyeon nyeon (明紀編年) in order to study the proofreading practices for metal type pr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es. myeong gi pyeon nyeon a Chinese history book that summarizes the ups and downs of the Ming Dynasty, began to be taught in the reign of Yeongjo of the Joseon period and was published multiple times for elementary students. This study looked into the first version of myeong gi pyeon nyeon which consists of 12 fascicles and 6 volumes in perfect condition. The marking and contents of proofreading in the proofread version seem similar to the proofread version of other metal type pr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Right- or left-leaning letters(5,517 times, 43.1%) and blurred letters(4,540 times, 35.4%) were most frequently pointed out, which are attributable to the irregular shapes of types. It makes up 78.5% of total number of proofreading. It means the regularization of type standard can save printing time. In fact, Jeongnija types were casted to fix the problem during the reign of Jeongjo of Joseon.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common practices of metal type setting and proofread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by analyzing the proofreading method and the frequency of each correction type based on myeong gi pyeon nyeon, and supplementing with the examples of other proofread publications. In the process, the exquisite quality of proofreading and elaborate efforts for metal type print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have been demonstrated. 이 연구는 조선후기 금속활자인쇄 교정에 대한 전반적인 모습을 고찰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 발견된 무신자본 「明紀編年」 간행시의 교정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명기편년」은 明의 흥망성쇠를 簡要하게 기술한 중국 역사서로, 조선에서는 영조 때부터 강연되어 초학용으로 여러 차례 간행된바 있다. 본 「명기편년」은 초견본으로 12권 6책이 온전하게 남아 있다. 이 교정쇄본의 교정표기 방식과 교정내용은 조선후기 다른 금속활자 교정쇄본과 유사한 모습이다. 가장 많은 교정은 좌우로 기울어진 글자(5,517회, 43.1%)와 흐린 글자(4,540회, 35.4%)에 대해 이루어졌으며, 이 두 가지는 활자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것이 주원인으로 전체 교정에 78.5%를 차지하고 있다. 즉, 활자 규격의 정형화로 인쇄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실제로 정조연간에 이를 개선하여 정리자활자를 주조하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명기편년」의 교정표기 방법과 교정내용별 교정횟수 등을 분석하고, 다른 교정쇄본의 교정 사례를 보완하여, 조선후기 중앙의 금속활자인쇄의 조판과 교정의 일반적인 모습을 유추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금속활자인쇄 교정의 정교함과 이를 위해 쏟은 공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薦科榜目」 책판 복원을 위한 연구

        장원연 한국서지학회 2022 서지학연구 Vol.91 No.-

        본 연구는 조광조의 건의로 1519년에 시행된 현량과의 합격자를 기록한 「천과방목」의 원형을 복원하려는데 그 목적으로 두고 서술하였다. 「천과방목」은 1579년 노수신이 처음 간행하였으나 인본은 전하지 않는다. 재간은 1639년에 김육이 청주에서 간행하였는데, 인본은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낙장본으로 소장되어 있고, 그 책판 8판은 청주의 박상일 선생이 소장하고 있다. 인본에는 제1∼11장까지와 노수신의 발문 끝부분 다섯 행이 수록되어 있으며, 책판에는 제3∼6, 8∼9, 11∼16, 17, 18, 23, 24장의 내용이 새겨져 있다. 이에 두 자료를 상호 보완하여 현량과의 시행과정과 파복과 그리고 문과 합격자를 수록한 1∼16장, 발문에 해당하는 25∼26장의 원문을 정리하였으며, 책판의 규격을 실측하여 복원의 기준 제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유자본 『周易傳義大全』의 간행과 교정

        장원연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9 No.-

        This study is about proofreading the typeset in Korea’s metal type printing techniques. In publishing books, proofreading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roofreading the manuscript before printing and proofreading in the process of printing. And the proofreading of printing is the part that particularly demands the technical skills of master craftsmen, especially Gyunjajang in charge of typesetting. The best way to understand proofreading at printing is to examine the proof sheet marking the proofreading after the trial printing ; however, once the proof sheet is printed out, most of them get to be discarded or reused for another usage, so it is not easy to find a proof sheet that is complete. Fortunately, however, the recently found two volumes of proof sheet edition of Juyeokjeonuidaejeon published in Jeongyuja in 1793 provide crucial data that allow u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roofreading the metal type printing during late Chosun. The proof sheet edition of Juyeokjeonuidaejeon is a volume collecting all the printed pap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ewing of Juyeokjeonuidaejeon issued in Jeongyuja in 1793. They correspond to the first (Vol. 1~2) to the thirteenth book (Vol. 23~24) among total 23 volumes and 14 books. And each page refers to proofreading with red color.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n the aspects of proofreading the typeset based on the 1,600 cases of proofreading marked in Vol. 1, those proofread for the uneven height or horizon of the type are 825 cases which form over 50% of the total proofreading. And those ordered to be proofread for the letters leaning towards left and right are 513 cases (32%) which form the second most. Other than these, there are also cases of proofreading for misprinted, omitted, or blurred letters. If we suppose that this book ordered proofreading equivalent to the level of Vol. 1 including total 24 volumes and 1 complete catalogue, we can estimate that only on the second viewing of Juyeokjeonuidaejeon there must have been proofreading for up to 40,000 or so letters. And since at the first viewing, there must have been much more corrections than this, so we can assume the difficulty of typesetting in metal type printing. In the typesetting of the metal type, setting the type evenly is the most difficult and important task to do. Also, it has been learned that typesetting is influenced by the shape of the type most greatly. Therefore, they tried to standardize the shape of the type during late Chosun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rinting. 이 연구는 한국의 금속활자인쇄기술에 있어서 조판교정에 관한 것이다. 서책 간행시 교정은 인출 전 원고의 교정과 인출과정에서의 교정으로 크게 구분을 할 수 있는데, 인출교정은 匠人들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활자의 조판을 담당하는 균자장의 기술적인 능력이 많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인출시 교정에 관해서는 시험 인출해서 교정을 표시한 교정쇄를 보면 가장 잘 알 수 있으나, 교정쇄는 인출이 끝나면 대체로 폐기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활용 되어 완전한 모습을 갖춘 교정쇄를 찾기란 쉽지 않다. 다행히 최근에 발견된 1793년 정유자로 간행한 『周易傳義大全』의 교정쇄본 두 책은 인출시 교정내용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서 조선후기 금속활자 인쇄의 교정수준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게 되었다. 교정쇄본 『주역전의대전』은 1793년 정유자로 간행한 『주역전의대전』의 再見에 해당하는 인출지를 모두 모아 책으로 엮은 것으로, 전체 23권 14책 중 제1책(권1~2)과 제13책(권23~24)에 해당하며, 매장마다 붉은 색으로 교정을 지시하고 있다. 권1에 표시된 1,600건의 교정내용에 근거하여 조판교정의 양상을 살펴보면, 활자의 높이와 수평이 고르지 않아 교정된 것이 825회로 전체 교정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글자가 좌우로 기울어져서 교정을 지시한 것이 513회(32%)로 두 번째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외에도 오자, 탈자, 흔들려 인쇄된 글자 등의 교정내용이 확인된다. 이 책이 전체 24권과 총목 1책을 포함해서 권1과 비슷한 수준의 교정이 지시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주역전의대전』의 再見에만 무려 40,000여 자에 대한 교정이 있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고, 초견에서는 이보다 훨씬 많은 횟수의 수정이 있었을 것이므로, 금속활자인쇄에서 조판의 어려움을 대략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활자의 조판은 활자를 고르게 조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작업이었으며, 또한 조판은 활자의 모양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때문에 조선후기로 갈수록 활자의 모양을 규격화하여 인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 조선시대 개인문집의 간행과 교정

        장원연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보 Vol.0 No.34

        이 연구는 조선시대 개인문집의 간행을 위한 원고의 마련에서부터 최종인출이 이루어지기 까지 이루어진 교정에 관한 것이다. 문집의 간행은 저자 사후에 후손과 문인들에 의해 이루어 졌기 때문에 저술을 수집하고 편집과 교정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특히 저명한 이들의 문집은 출판된 후에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컸기 때문에 몇몇 개인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公論을 얻기 위해 유림이 간행을 주도했다. 이 과정에 참여한 교정자는 문인이나 저자와 평소 교유했던 이들이며, 이들에 의해 많은 토론과 합의를 통한 내용의 추가와 삭제ㆍ수정을 거쳐 정본이 마련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실제로 문집간행을 위해 정본이 마련되는 과정을 대산 이상정 문집의 원고 교정을 통하여 살펴보았고, 수월일고의 원고교정본과 눌재집의 교정쇄를 통하여 교정지시 방법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described regarding the proofreading performed from the initial stage of preparing a manuscript until the final printing to publish an individual collection. Since the publication of collections were made by the descendents and the literary followers of the author after his death, it took quite a long time to collect, edit and proofread the literary works. Especially for the collection of prominent authors, the publication was led by Confusian scholars rather than several specific individuals to get public opinion, since the collection made a big impact on the society after the publication. The proofreader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ofreading were literary men or the persons who had social intercourse with the author and the literary works included in the collection by them were made into an original manuscript after the process of addition, deletion and correction of the content through a lot of discussion. Noting on such fa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making an original manuscript for actual publication of collection through the proofreading process on the manuscripts of Daesan Lee Sangjeong's collection, and the method of proofreading instructions through the manuscript proof of SuweolIlgo and the proof sheets of NuljaeJip.

      • KCI등재

        조선후기 서책 교정의 賞․罰 사례에 관한 연구

        장원연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6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one aspect of the national publishing project in terms of proofreading by introducing laws on publish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cases of awards and punishments for correction officers. Among the regulations related to publication, penalty clauses were made first in Later Supplement to the Great Code in 1543, and contents about rewards was added later in 1785 in Comprehensive Great Code, the publication regulations became intact. The penalty rules in Later Supplement to the Great Code were defined in the form of flogging, dismissal, or salary reduction by checking the print status, such as the number of typos and omissions in the printed materials. Since then, flogging has disappeared in Comprehensive Great Code, and the permissible range of typos and omissions have increased from one to three per volum, and the penalty clause, which was specific in the “Later Supplement to the Great Code” has been changed to “punishment.”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horses, leather, medicines, and luxury goods were award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status and merit to civil officials who participated as director of proofreading and director of printing, and also the rewards were carried out by raising the rank of officials or offering government pos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