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소 골격근 수축시 동맥 혈류속도 및 산소운반계의 변화

        장용우,김성칠,조병곤,이하얀,김동희,김용규,권양기 한국운동과학회 2002 운동과학 Vol.11 No.1

        장용우, 김성철, 조병곤, 이하얀, 김동희, 김용규, 권양기. 운동과학, 제11권 제1호, 93-104, 2002. 본 연구는 국소 골격근 수축시 혈류 및 산소운반 변인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중량운동으로 단련된 선수군과 일반학생 등 총 18명을 대상으로 상완이두근의 반복적 최대 굴신전 운동틀 통해 운동 전, 후 및 회복기 혈류변인인 최대혈류속도(PBV), 평균혈류속도(MBV)와 산소운반변인인 RBC, Hb, Hct, Myoglobln 등을 측정 분석한 결과 국소적 골격근 수축시 PBV의 경우 선수군은 운동직후 85.0%로 비교군 96.3%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증가율을 나타냈고, 회복시에는 선수군이 비교군 -16.0%에 비해 -40.2%로 유의하게 높은 회복비를 나타냈다. MBV는 선수군의 경우 운동직후 131.8%로 비교군 154.1%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증가율을 나타냈고, 회복시에는 선수군이 비교군 -24.3%에 비해 -50.5%로 유의하게 높은 회복비를 나타냈다. 국소적 골격근 수축시 RBC의 경우 운동직후 7.5%로 비교군 6.9%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고, 회복시에는 선수군이 비교군 -5.9%에 비해 -4.8%로 유의하게 높은 회복비를 나타냈다. Hb의 경우 선수군은 운동직후 10.7%로 비교군 8.2%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고, 회복시에는 선수군이 비교군 -7%에 비해 -11.4%로 유의하게 높은 회복비를 나타냈다. Hct의 경우 선수군은 운동직후 8.8%로 비교군 9.1%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회복시에는 선수군이 비교군 -7.7%에 비해 -4.5%로 유의하게 높은 회복비를 나타냈다. Mgb의 경우 선수군온 운동직후 -21.2%로 비교군 -14.2%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고, 회복시에는 선수군이 비교군 -23.1%에 비해 -12.6%로 유의하게 높은 회복비를 나타냈다. 따라서 국소 골격근의 반복적인 근수축시 혈류변화는 안정시 비활동근에 비해 운동근으로 유입되는 혈류의 정확한 이동속도와 활동근의 산소소모에 따른 운반변인의 유동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측정부위가 달리된 혈류검사를 통해 혈관계 질환의 임상적 운동 검사 및 처방에 그 적용폭을 넓혀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Jang Y.W, Kim, S.C., Cho, B.K., Lee, H.Y., Kim, D.H. Mm, Y.K., & Kwon, Y.K. The Change of Artery Blood Velocity and Oxygen Transfer System at Partial Musculoskeletal Contraction. Exercise Science, 11(1): 99-104, 20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nine the change of oxygen transfer system when partial musculoskeletal contracticn.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consist of 18 subjects and into two groups, which are experiment group compose of dumbell exercise trained sports players and control group that has not took part regularly in sport activity for a minimum of 3 times per week. They are measured blood velocity factors of PBV, MBV and oxygen transfer factors of RBC, Hb, Hct, Myoglobin by pre-post, recovery exercise through maximum extension and flexion movement of bioeps branchii. The result are as following: In the case of PBV when partial musculoskeetal systolic, the experiment group(85.0%) has shown significantly lower rates of increase than control group(96.3%) in the pre-post exercise, and experiment group(40.2%)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covery than control group(-16.0%) in the recovery. In the case of MBV, the experiment group (13.18%) has shown significantly lower rate of increase than control group(15.41%) in the pre-post exercise, and experiment group(-50.5%)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covery than control group(-24.3%) in the recovery. In the case of RBC when partial musculoskeletal systolic, the experiment group(6.9%) in the pre-post exercise and the experiment group(-5.9%)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rates of recovey than control group(-4.8%) in the recovery. In the case of Hb, the experiment group (10.7%) g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increase than control group(8.2%) in the pre-post exercise, and the experiment group(-11.4%)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covery than control group(-7%) in the recovery. In the case of Hct, there are no significantly relationship between experiment group(8.8%) and control group(9.1%) in the pre-post exercise, and the experiment group(-7.7%)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covery than control group(-4.5%) in the recovery, In the case of Mgb, the experiment group(-21.2%)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increase than control group(-14.2%) in the pre-post exercise, and the experiment group(-12.6%)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covery than control group(-23%) in the recovery. Therfore, blood flow change at repetition muscle contraction of partial musculoskeletal was confirmed to correct a mobile velocity of blood flow an influx to exercise muscle as compared with inactivity muscle at rest and to fluctuation of transport variation according to O_2 consumption of activity muscle, it will selected adaption to clinic exercise test and prescription of vascular disease according to blood flow test in a different way measurement position..

      • KCI등재

        고 반복 저항성 운동이 비만 남성의 혈관내피 기능 및 산화질소(NO), 엔도텔린1(ET-1)에 미치는 영향

        장용우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high-repetitive resistance exercise on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and nitric oxide(NO) and endocelin1(ET-1) in obese men. Methods: Body fat percentage was examined using a body composition analyzer(in body3.0) for obese males consisting of 10 obese experimental groups and 10 control groups, and obesity status was examined using body mass index(BMI). Blood pressure was measured using a mercury sphygmomanometer. For vascular endothelial cell function tests, blood flow velocity, vascular resistance and vascular stenosis of the subclavian artery were measured using an ultrasound doppler device, and maximum vessel diameter(PVD) and flow-mediated diastolic response(FMD) were measured using a pulse wave doppler device and vascular endothelial regulatory variables NO and ET-1 were measured through blood analysis. Result: In the case of systolic blood pressure, a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variabl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p<.01) difference of -10.7% by treatment period, and the blood flow r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p<.01) difference of –20.4%. Vascular resistance showed a significant(p<.01) difference of -24.8% by treatment perio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significant(p<.01) difference of -12.6% in the experimental group by treatment period in the case of vascular stenosis. PVD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t -2.12% by treatment perio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case of FM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p<.001) difference of 43.4% by treatment perio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NO, a vascular modulato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p<.001) difference of 32.1% by treatment period, and ET-1 showed a significant(p<.001) difference of -46.7%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change in the control group for each variable. Conclusion: High- repetitive resistance exercise is interpre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and vascular endothelial control of NO and ET-1 along with relieving obesity in men, and through the advantages of resistance exercise that will be set variously in the future,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efficiency of high-repetitive resistance exercise for body fat control, improvement of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and improvement of endothelial regulation variables in obese men. 연구목적: 본 연구는 16주간의 고 반복형 저항성 운동이 비만 남성의 혈관내피 기능 및 산화질소(NO), 엔도셀린1(ET-1)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비만 실험군 10명, 통제군10명으로 구성된 비만 남성을 대상으로 체성분분석기(in body3.0)를 사용하여 체지방률을 검사하였으며, 체질량지수(BMI)를 이용하여 비만 상태를 검사하였다. 혈압은 수은혈압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관내피세포 기능 검사는 ultrasound doppler 기기를 통해 쇄골하동맥의 혈류속도, 혈관저항 및혈관협착의 측정과 pulse wave doppler 기기를 이용하여 최대혈관직경(PVD)과 혈류매개 확장 반응(FMD)을 측정하였으며, 혈관내피 조절변인 인 NO와 ET-1은 혈액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혈관내피 기능변인 인 수축기 혈압의 경우 실험군은 처치시기별 –10.7%의 유의한(p<.01) 차를 나타냈고, 혈류속도는 실험군의 경우 처치시기별 –20.4%의 유의한(p<.01) 차를 나타냈다. 혈관저항은 실험군의경우 처치시기별 –24.8%의 유의한(p<.01) 차를 나타냈으며, 혈관협착의 경우 실험군은 처치시기별 – 12.6%의 유의한(p<.01) 차를 나타냈다. PVD는 실험군의 경우 처치시기별 –2.12%로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FMD의 경우 실험군은 통제 군에 비해 처치시기별 43.4%의 유의한(p<.001) 차를 나타냈다. 혈관조절물질 인 NO의 경우 실험군은 처치시기 별 32.1%의 유의한(p<.001) 차를 나타냈으며, ET-1 은 실험군의 경우 –46.7%의 유의한(p<.001) 차를 나타냈다. 각 변인별 통제군은 전반적인 통계적인변화는 없었다. 결론: 고 반복형 저항성 운동은 남성들의 비만 해소와 함께 혈관내피 기능과 NO와ET-1의 혈관내피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되며, 추후 다양하게 설정되는 저항성 운동의 장점을 통해 비만 남성의 체지방 조절, 혈관내피 기능의 향상과 내피 조절변인의 개선을 위한고 반복 개념의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방과 후 순환 운동프로그램이 비만 남자아동의 체지방율, 혈관계 변인 및 렙틴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장용우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방과 후 순환 운동프로그램이 체지방율, 혈관계 변인 및 렙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비만 남자아동의 장기간의 운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비만 남자아동 9명을 실험군, 측정시기에만 참여하는 통제군 9명을 대상으로 Inbody 3.0을 이용하여 체지방율을 측정하였으며, 초음파도플러(Ultrasound Doppler)를 이용해 혈관계 변인인 혈류저항, 동맥협착 비율의 측정과 혈청 렙틴의 측정 분석한 결과 체지방율의 경우 실험군은 유의한(p<.01) 감소를 나타냈으나 통제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실험군의 혈류저항지수, 동맥협착지수는 유의하게(p<.001)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지만 통제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렙틴은 통제군의 경우 낮은 감소율을 기록하여 유의한 변화는 없었지만 실험군은 체지방의 감소에 따라 유의하게(p<.001) 높게 감소하여 비만 남자아동의 혈류저항, 동맥협착 및 체지방율의 변화에 따른 렙틴 호르몬의 감소가 나타나 장기간의 운동에 적응된 혈관계 변인과 렙틴의 유의한 개선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순환 운동프로그램은 비만 남자아동들의 비만 해소, 혈관계의 기능적 발달 및 렙틴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간주되며, 방과 후 비만 남자 아동들을 위한 효율적인 운동으로 제시된다.

      • 인터벌 운동이 비만 아동들의 혈관 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장용우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6 初等敎育硏究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속보와 걷기운동으로 구성된 인터벌 운동이 체지방율, 산화질소(NO)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실험군 12명, 통제군 10명으로 구성된 비만 남자아동들을 대상으로 체지방률과 혈중 NO 수준을 측정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사전, 사후 체지방률은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으며, NO 또한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인터벌 운동프로그램은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체지방 감소와 혈관내피세포의 조절인자에서 분비되는 NO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Quantitative Analysis of TRP Channel Genes in Mouse Organs

        장용우,이연종,정주영,김성민,양영덕,오우택 대한약학회 2012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35 No.10

        Th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channel superfamily is a set of channel genes that mediate numerous physiological functions such as sensing irritants or detecting temperature changes. Despite their functions, expressional information on TRP channels in various organs is largely elusive. Therefore, we conducted a systematic quantitative comparison of each mRNA expression level of 22 mouse TRP channels in various organs. As a result, we found that average levels of TRP channel transcripts were very low reaching ~3% of the GAPDH transcript level. Among 22 TRP channels, TRPC1 and TRPM7 were most abundant in the majority of organs. In contrast, TRPV3, TRPV5, TRPV6, TRPC7, TRPM1, and TRPM5 elicited very low message profiles throughout the major organs. Consistent with their functions as molecular sensors for irritants and temperature changes, TRPV1, TRPM8 and TRPA1 showed exclusive expression in sensory ganglia. TRPC3 and TRPM3 were abundant in the sensory ganglia and brain. High levels of transcripts of TRPV2, TRPC6, TRPM4, and TRPM6 were observed in the lung. In addition, channel transcript levels were very low except TRPM7 in the liver. In summary, the expression profile of TRP channels in major tissues provides insight to their physiological functions and therefore application to new drug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