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권 : 고령화 사회와 사회국가의 미래 -노인복지의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장영수 ( Young Soo Chang ) 안암법학회 2014 안암 법학 Vol.0 No.43

        Living a long and healthy life has been a dream of humanity. Although Korea is solidifying its reputation as a developed nation, it is facing various problems especially with its aging population simultaneously. An aging society is not only a matter of prolonged life expectancy and increasing proportion of senior population. However, aging population will lead to problems in a broader spectrum, as it will considerably affect the country`s political, economic, societal and cultural prospects. The aging society has a critical influence on social paradigm transition especially relating to welfare states. The welfare states play an intrinsic role in helping minorities` benefits from national finance; although the aging society causes economic contraction on state economy and brings negative results on national funding as entering welfare states` boundary, increments of state expenditures are inevitable to retain various demands of welfare states. Due to these changes, there are arising interests in the aging society effects on welfare states` future, the efforts needed for welfare states` proper development, and the nation`s prospective role. In this writing, the proper direction of development in welfare states of progressive aging society is presented based on the arising concerns, especially from aspects of senior citizens` welfare. To do this, organized notion of the aged and its characteristic are presented followed by the welfare states structural changes in a wider frame based on the aging society progress. Then present and future direction of senior welfare are analyzed by categorizing in social security system, psychological and cultural activity, and from health to death. The key point in this part is that the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 changes are ongoing phenomena. Sinc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aging society and the role of the senior citizens so far are based on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 at that time, continuous attention and analysis of present are needed henceforth reflecting those ongoing structural changes. In this article, institutional strategy under current legislation and its involving problems are briefly examined while presenting overview of senior welfare that is emerging as severe social issue as entering the phase of aging socie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how senior welfare issues would progress in the future. For these reasons, this article pursues its rationality only ``at this point`` and seeking new solutions for those problems in next periods should put as a subject of future assignment according to changing circumstances. New centuries are requiring new preparations accordingly, however, and changes in research paradigm beyond the past are expected strongly.

      • KCI등재

        수형자의 선거권 제한, 공직선거법 제18조 제1항 제2호의 합헌성 여부에 대한 검토

        장영수 ( Young Soo Chang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고려법학 Vol.0 No.54

        The petitioner of constitutional complaint at the case 2007 Hun-Ma 1462 who was prosecuted because he declared conscientious objection to the military service as a responisible person enrolling military service, was sent to Young-Deung-Po jail in November, 23, 2006 after being sentenced to one and a half year imprisonment by Seoul Western District Court due to the crimes against military service law. The petitioner who tried to exercise his ballot at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in Dec. 19, 2007, was not able to do so because he was conformed to the person who is under execution of sentence above confinement at the basic date of election day according to the Section 1(2), Article 18 of Public Officials Election Act. So, the petitioner claimed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in Dec. 27, 2007, asserting that the Section 1(2), Article 18 of Public Officials Election Act is unconstitutional because it infringes the right to vote (Article 24 of Constitution), the right to pursue the happiness(Article 10 of Constitution) and the right of eqaulity (Article 11 of Constitution). The main topics of this case is whether this clause (Section 1(2), Article 18 of Public Officials Election Act) is constitutional or no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already decided that it is constitutional through the decision of 2002 Hun-Ma 411 in March, 25, 2004.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 acknowledged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Public Officials Election Act restricting the suffrage of Koreans abroad. Through this case we can see more strict standard than the past. So it is the main topic of this case whether the precedent can be reversed. Although the petitioner claimed that the clause infringed the right to vote (Article 24 of Constitution), the right to pursue the happiness (Article 10 of Constitution) and the right of eqaulity (Article 11 of Constitution), we can hardly see the Section 1(2), Article 18 of Public Officials Election Act as unconstitutional because the meaning and limit of the voting right and the possibilities of restrict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convicted according to one`s legal position, especially one`s voting right. It is true that the suffrage of prisoners is restricted by the Section 1(2), Article 18 of Public Officials Election Act, however it does not break the justifiable boundaries of restriction because it is based on the justifiable purpose of legislation and the proportionality rule (Verhaltnismaßigkeitsprinzip) is abided by. The same goes for the restriction of the right to pursue the happiness(Article 10 of Constitution), and the claims that it infringes the right of equality cannot get persuasion powers because the discrimination between prisoner and (general) people is rational. If we go back to the fundamental problem and regard the matter of restricting the voting right of prisoners as cannot be dealt with the legislator, this conclusion may be hard to agree with. However, we cannot say that it goes out of the boundaries of legislators` authority (legislative power) at this point in time, judging it comprehensively according to the previous review of legal theory and the investigation of foreign legislation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law.

      • KCI우수등재

        최신판례분석 : 공직선거법상 선거운동의 자유와 명함 교부 제한의 헌법적 쟁점 - 헌재 2016. 9. 29. 2016헌마287 결정 -

        장영수1 ( Chang Young-soo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4

        헌재 2016. 9. 29. 2016헌마287 결정은 공직선거법 제93조 제1항과 제60조의3 제2항의 일부 내용이 후보자 이외에 배우자와 직계존비속, 그리고 배우자가 함께 다니는 사람 중에서 지정한 1인이 후보자의 명함교부를 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이 배우자 없는 후보자의 평등권을 침해하여 위헌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심판하였다. 법정의견은 기존 헌법재판소 판례에 따라 배우자와 직계존비속의 명함교부는 합헌으로, 하지만 배우자가 함께 다니는 사람 중에서 지정한 1인의 명함교부는 위헌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해 이정미 재판관은 전자의 경우도 평등권침해로서 위헌이라는 취지로, 김이수, 안창호 재판관은 후자의 경우도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아 합헌이라는 취지로 각기 반대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법정의견과 반대의견은 각기 나름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나, 몇 가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배우자와 직계존비속을 함께 규정하고 있는 것이 과연 21세기 대한민국의 가족제도 현실에 맞는 것인지를 재검토해야 할 것이며, 변화된 현실에 맞는 새로운 기준의 정립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소가 입법자에 대한 존중을 근거로 완화된 심사기준을 채택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서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Die Entscheidung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s von 2016.9.29. zur 2016Hunma287 hat uber die Verfassungsmaßigkeit von §93 Abs.1 und §60-3 Abs.2 beurteilt, die außer Wahlkandidat seinem Ehepaar und seiner Familie von gerade aufsteigende und absteigende Linie, ferner einem mit seinem Ehepaar bewegenden Aushandigung seiner Namenskarte erlauben. Die Mehrheitsmeinung des Verfassungsgerichts beurteilt nach der verherigen Entscheidungen die Aushandigung der Kandidatennamenskarte von seinem Ehepaar und seiner Familie von gerade aufsteigende und absteigende Linie als verfassungsmaßig, die Aushandigung von einem mit seinem Ehepaar bewegenden als verfassungswidrig. Verfassungsrichter Jeongmi Lee sah aber die erstere als verfassungswidrig an, und Verfassungsrichter Yisu Kim und Changho Ahn die letztere als verfassungsmaßig. Die Mehrheitsmeinung und abweichende Meinungen haben eigene Grunde angegeben. Es gibt doch einige Problematik. Vor allem sollte nochmals untersucht werden, ob das Ehepaar und die Familie von gerade aufsteigende und absteigende Linie in Korea und zwar in 21. Jahrhundrt gleichgestellt werden konnten. Wunschenswert ware ein neues Maßstab zu stellen, die der veranderte Wirklichkeit anpasst. In Zusammenhang damit benotigt auch die erleichterte Prufungsmaßstab des Verfassungsgerichts sorgfaltige Uberprufung.

      • KCI등재

        연구논문 :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 통제의 가능성과 한계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의 위헌 논란을 중심으로-

        장영수 ( Young Soo Chang )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15 世界憲法硏究 Vol.21 No.2

        법치주의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필요한 요인들은 무수히 많지만, 그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의 하나가 현대 행정국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의 하나인 행정입법의 객관성과 공정성의 확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입법과 행정의 관계가 올바르게 정립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법치행정을 통한 국민의 인권보장이 제대로 확보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안에 대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매우 첨예한 견해의 대립이 벌어진 바 있다. 국회가 제정한 법률과 정부에서 제정한 행정입법이 상하관계에 있으며, 모법에 반하는 행정입법은 그 존립의 근거를 상실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런데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에 대해 위헌론까지 대두되고 있는 것은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 통제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이견 때문이 아니라 통제의 방법이 문제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안에 따른 국회의 수정ㆍ변경요구권은 정부의 행정입법권을 통제하는 것을 넘어서 국회가 행정입법의 내용에 대해 사실상의 결정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는 권력분립에 반하는 것으로서 위헌의 소지가 충분하다고 보았다. 물론 법률에 위배되는 행정입법의 문제점은 결코 가볍게 평가할 수 없는 것이며, 기존의 국회통제가 충분치 못했기 때문에 보다 강력하고 효율적인 통제장치 도입의 일환으로 수정ㆍ변경요구권을 규정하게 된 것이 무조건 잘못된 것이라고 단언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다만, 이러한 새로운 통제장치가 정당성을 얻기 위해서는 몇 가지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수정ㆍ변경요구권의 행사 이전에 사전적으로 정부의 소관행정기관의 장에게 소명의 기회를 주는 것도 필요하고, 사후적으로 국회의 수정ㆍ변경요구권 행사에 대한 이의절차도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완장치들을 제대로 갖출 경우에는 개정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에서 규정한 국회의 수정ㆍ변경요구권에 대한 위헌성 논란도 대부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several factors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rule of law.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securing objectivity and fairness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feature of modern administrative state. On the one hand this can set up corr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islative and the administrative, on the other hand this can guarantee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rough rule of law in public administration. However, acute tension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esident Park has arisen in process of exercising presidential veto on the revision in the Clause 3 of NATIONAL ASSEMBLY ACT Article 98-2, which the Assembly plenary session passed lately. It is unarguable that legislation by National Assembly is above legislation by the government(so called, administrative legislation), and administrative legislation against a parent law will lose the base of its existence. Nonetheless, unconstitutionality of the revision come to the fore. The reason is not the disagreement about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the control by the National Assembly, but the way to control. In this article. if National Assembly has the right to demand for modifying and changing administrative legislation, it will be not control to administrative legislation but actual decision about the content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Thus, it would be unconstitutional in regard to the separation of powers. Certainly, problems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against law are not downplayed on the following point: the National Assembly does not have sufficiently controlled the government, so the National Assembly regulated the right to demand for modifying and changing administrative legislation as strong and efficient controlling method(system) to the government. This article emphasized the method(system) requires several complementary measures to be legitimate and justifiable. Before exercising of the right, the National Assembly give the government(especially, chief of an organization) the opportunity to explain the law which the National Assembly intends to modify and change. Also, there will be procedure for the government’s raising an objection to the National Assembly’s exercising. With complementary measures, the controversy over unconstitutionality of the revision will be resolved.

      • KCI등재

        집회의 자유의 본질과 복면집회의 헌법적 문제점

        장영수(Young Soo Chang) 한국헌법학회 2016 憲法學硏究 Vol.22 No.3

        복면집회의 문제가 우리 사회의 쟁점으로 부각된 지 이미 오래되었고, 관련법안들이 발의되었다가 여야의 대립 속에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폐기된 것도 최근까지 여러 차례 반복되었다. 그만큼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이 많고 견해의 대립이 날카로울 뿐만 아니라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문제라는 인식이 정치권을 지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양형위원회에서 복면집회에 대한 가중처벌 문제를 검토하면서 복면집회에 대한 찬반은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복면집회를 집회의 자유에 당연히 포함되는 것으로 보는 견해와 복면집회 자체가 집회의 평화성에 대한 매우 심각한 위협요소라고 보는 견해의 대립은 민주화 이전 반독재 투쟁 당시의 집회·시위문화에 대한 인식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즉, 합법적인 집회·시위의 경우에도 그 참가자들의 동일성이 정부에 알려지지 않기를 원하는 경향과 맞물려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복면집회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집회의 자유에 대한 헌법적 보호의 의미와 보호대상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가운데 평화적 집회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즉, 저항권의 행사가 아닌 정상적인 민주국가에서의 기본권 행사로서의 집회의 자유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집회의 평화성 요청에 근거한 집회의 공개성 요청의 의미와 복면집회와의 상관관계 및 복면집회금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차를 보다 깊이 있게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사항들에 대한 정리를 통해 비로소 복면집회에 대한 금지조항 도입의 찬반주장과 그 논거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복면집회에 대한 양형상의 차별과 그 근거에 대해서도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Die Versammlungen in Masken war schon seit langem eine der umstrittenen Rechtspunkte in Korea. Mehrmals wurde Gesetzentwurf für Vermummungsverbot in Gegenüberstellung von Regierungs- und Oppositionsparteien vorgeschlagen, hat doch keinen Erfolg. Diese Problmatik könnte also nicht ohne breite Konsens des Volkes ausgemacht werden. Das Für und Wider über die Versammlungen in Masken wurde erhitzt, als der Strafausmessungsausschuß über Strafschärfung gegen rechtswidrige Versammlung in Masken diskutierte. Die Gegenüberstellung sollte zum Verständnis über die Bedeutung und Funktion der Versammlungsfreiheit zurückgeführt werden. Vor der Demokratisierung der Korea wurde die Versammlungs- und Aufzugsfreiheit als Widerstandsrecht gegen Diktaturgewalt verstanden. Damals war die Teilnehmer der Versammlungen hat ihre Gründe, ihre Identität nicht zu enthüllen. Nach der Demokratisierung in Korea ist die Situation ganz anders. Aber das hergebrahte Verständnis über die Versammlungsfreiheit wurde nicht ganz verändert. Dadurch wurde Konflikte über die Versammlungen in Masken verangelassen. Deswegen müssen wir die Bedeutung der friedlichen Versammlung im demokratischen Staat, also nicht als Widerstandsrecht im Ausnahmezustand, richtig erfassen, um die Problematik der Versammlungen in Masken vertieft zu analysieren. Der vorliegende Beitrag bearbeitet über die Aufforderung der Friedlichkeit und Öffentlichkeit der Versammlung und deren Korrelation mit der Versammlungen in Masken. Danach könnte das Für und Wider über die Versammlungen in Masken richtig eingeschätzt werden und die Strafschärfung gegen rechtswidrige Versammlung in Masken recht beurteit werden.

      • KCI등재

        제21대 국회의 최우선 과제 : 선거법 개정과 개헌을 통한 권력구조 개편

        장영수(Young-Soo Chang) 한국비교공법학회 2020 공법학연구 Vol.21 No.2

        제21대 총선은 여러 측면에서 역대 총선과는 다른 점들을 보였다. 특히 공직선거법 개정에 의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이 왜곡되면서 비례대표의석만을 겨냥한 위성정당의 탄생 등은 과거의 선거에서 볼 수 없던 현상이었다. 이제 제21대 총선이 치러졌고, 제21대 국회가 출범할 것이다. 선거결과를 통해 확인되고 있는 민심의 의미는 시간을 두고 분석해야 할 것이지만, 두 가지는 분명하다. 하나는 정당득표율과 의석수 사이의 불비례성은 지난 20대 국회에 비해 더욱 심각해졌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진영논리와 지역구도가 더욱 심화되면서 제20대 총선에 의해 보여주었던 다당제의 가능성은 이번 선거에서 양당 구도가 공고화됨으로써 무너져 내렸다는 점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러한 결과가 공직선거법 개정을 통한 선거제도 왜곡에 의해 영향받은 바가 크다는 점이다. 선거의 불비례성 개선을 위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한 공직선거법 개정이 전혀 개선효과를 보이지 못했고, 소수정당들의 입지를 강화시키기 위해 추진되었던 선거제도 개혁이 오히려 소수정당들의 몰락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이러한 선거결과는 국민의 의사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선거제도의 왜곡이 작용한 부분이 적지 않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향후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함께 선거제도의 문제, 권력구조의 문제는 뜨거운 쟁점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개정 공직선거법의 내용상 문제점으로 인한 위헌성 논란도 결코 가볍지 않은 문제이다. 개정 공직선거법 부칙에서 명확한 기준 없이 47석의 비례대표의석을 30석의 연동형과 17석의 병립형으로 나누어 놓은 것이 게리맨더링에 준하는 선거결과의 왜곡은 아닌지에 대해서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며, 초과의석 정당에 대해서도 연동형 비례대표 의석을 배분하도록 정한 공직선거법 제189조 제2항 제2호의 위헌성 문제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우리는 또 한 번의 공직선거법 개정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공직선거법 뿐만 아니라, 권력구조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한 헌법개정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점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이제 권력구조의 개혁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대한민국이 발전하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권력구조를 개편하여 제왕적 대통령을 극복하고 승자독식의 정치문화를 바꿔야 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개정 공직선거법에 따른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헌법적 문제점

        장영수(Young-Soo Chang) 한국공법학회 2020 공법연구 Vol.48 No.3

        2018년 정개특위에 의한 선거제도 개혁의 출발점은 거창했다. 2017년 국회 개헌특위의 실패를 거울삼아 ‘개헌보다 어려운 선거법 개정’을 성공시킴으로써 대한민국의 민주정치를 발전시키고, 나아가 헌법개정을 위한 확고한 기초를 마련한다는 포부까지도 이야기되었다. 그러나 선거제도 개혁을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은 시작부터 삐걱거렸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소극적이었고,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확고한 반대입장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소수 3당이 주장하는 명분과 더불어민주당의 과거 당론 등이 결합하는 가운데 정개특위에서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마련되었다. 지역구 의석수를 225개로 축소하고, 비례대표 의석수를 75개로 늘려서 이른바 50%연동형을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미흡하나마 적어도 기존의 선거제도에 비해서는 비례성이 강화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기대가 있었다. 그러나 정개특위에서 발의된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법사위를 통과한 후 본회의에서 대안 발의에 의해 변경되면서 선거제도 개혁의 명분과 취지는 사라져버렸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처럼 독일식 연동형 비례대표제에서 출발하여 한국식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로 바뀌는 가운데 적지 않은 왜곡이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위헌의 소지조차 다분한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정개특위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에서도 나타나고 있었던 것이지만, 국회를 통과한 본회의 수정안에서는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그 결과 개정 공직선거법에 따라 4 15총선이 시행된다 하더라도 합헌성 문제를 둘러싼 홍역이 계속될 우려가 매우 커진 것이다. 특히 개정 공직선거법 부칙에서 명확한 기준 없이 47석의 비례대표의석을 30석의 연동형과 17석의 병립형으로 나누어 놓은 것이 게리맨더링에 준하는 선거결과의 왜곡은 아닌지에 대해서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며, 초과의석 정당에 대해서도 연동형 비례대표 의석을 배분하도록 정한 공직선거법 제189조 제2항 제2호의 위헌성 문제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공직선거법 개정에 의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은 선거제도의 개혁이 아니라 왜곡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며, 머지않은 장래에 이를 치유하기 위한 또 다른 공직선거법 개정이 불가피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판형열교환기에서 POE오일이 R134a 증발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장영수(Young Soo Chang),장재규(Jae Kyoo Jang),강병하(Byung Ha Kang),김석현(Sukhyun Kim) 대한기계학회 2014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8 No.3

        판형열교환기의 증발과정에서 오일에 위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마이크로 기어 펌프를 이용한 냉매-R134a 순환 성능실험 장치를 구성하여, 증발열전달 실험을 수행하였다. POE 오일을 펌프를 이용하여 냉매 질량 유량에 비례하도록 0∼5%를 첨가하여, 오일순환량에 따른 열전달계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오일순환율이 증가할수록 R134a 증발 열전달계수는 감소하며, 압력손실은 증가한다. 질량유량 80 g/s, 증발 온도 30℃ 일 때, 오일 순환율 2%조건에서 무오일 대비 약 10%의 열전달계수가 감소하였고, 압력손실은 약 10% 증가하였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il on evaporation heat transfer of plate heat exchanger, evaporation heat transfer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experimental apparatus for micro gear pumped R134a-oil circulation. By varying oil circulation rate of POE oil from 0 to 5%, evaporation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plate heat exchanger was investigated. As OCR(Oil Circulation Ratio) increases, the evapor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R134a decreases and pressure drop increases. When the evaporating temperature is 30℃ and the refrigerant mass flow rate is 80 g/s, evaporation heat transfer rate decreases by 10 % and pressure drop increases by 10% at 2% of OCR condition.

      • KCI등재

        국민참여개헌의 당위성과 방법론

        장영수 ( Young-soo Chang ) 안암법학회 2017 안암 법학 Vol.0 No.54

        30년만의 개헌이 목전에 있다. 국회에서는 개헌특위를 구성하여 개헌안 마련을 시작하였고, 문재인 대통령도 개헌에 대한 확실한 입장을 밝힘으로써 내년 지방선거에서 개헌안에 대한 국민투표를 한다는 공약대로 개헌이 추진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 것이다. 개헌의 절차 내지 방식과 관련하여 이번 개헌은 과거의 개헌과는 달리 국민의 의사가 최대한 반영되는 국민참여개헌이 되어야 한다는 요청이 폭넓은 공감대를 얻고 있다. 하지만 과연 어떻게 국민참여개헌이 가능 한가에 대한 방법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한 대안이 존재하지 않는 가운데 수많은 단편적 아이디어들이 제각기 제시되고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국민`참여`개헌은 말 그대로 국민들이 개헌안의 마련에 직접 참여하는 개헌절차를 요구한다. 국민참여개헌은 정치권에서 마련한 개헌안에 대해 국민투표를 통해 가부만을 최종적으로 정하는 것은 국민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기에 부족하다는 비판에서 비롯된 것이며, 개헌안의 세부 내용들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국민들의 의사가 반영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문제는 국민 `참여`의 방법이다. 개헌안의 조문 하나하나에 대해서 다양한 대안들을 놓고 국민들이 직접 투표로 결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그렇다고 국민에 의해 선출된 대표자인 국회에 모든 것을 맡긴다면 기존의 헌법개정절차와 달라지는 것이 없다. 이런 문제로 인하여 국회와는 별도로 시민의회를 구성하자는 안이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시민의회의 대표성 내지 민주적 정당성, 그리고 헌법개정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한, 시민의회도 성공하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상황을 전제하고, 과연 현 시점에서 가능한 대안은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모색하였다. 먼저 국민참여개헌의 당위성을 확고하게 정리하기 위하여 국민이 헌법개정의 주체라는 점을 확인하였고, 그 바탕 위에서 역대 헌법개정에서 국민의 역할이 어떠했으며, 국민의사가 과연 제대로 반영되었는지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국민참여개헌의 당위성을 확인하였다. 국민참여개헌의 구체적 방법론과 관련하여서는 전자민주주의의 방식, 여론조사를 통한 민의의 수렴, 시민의회의 구성 등을 개관한 이후에 국회와 시민단체, 그리고 개별국민의 역할 분담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대안들은 향후 많은 논의를 거쳐서 다듬어져야 할 것이며, 이와 더불어 국민참여의 실질화를 위한 성공조건들에 대해서도 나름의 기준을 제시해 보았다. It has been 30 years since the last constitutional revision and a new revision is now before our eyes. The National Assembly organized a special committee and has started to prepare the bill for constitutional revision, and president Moon Jae-In as he had previously expressed in his campaign pledge, took a firm stand regarding the revision. The possibility that a referendum regarding the bill of constitutional revision will be held in next year`s regional election has risen. Regarding the procedure and methods of the upcoming constitutional revision, there is a national consensus that the new revision should reflect the public`s intention as much as possible, unlike previous revision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currently no definite methodology to enable a public participation in constitutional revision and only fragmentary ideas are being suggested. A public `participation` in constitutional revision is literally a revision in which the people directly participates in the process. Such type of revision was introduced from the criticism that previous revisions in which the politicians made the bills and the citizens only made the final decision by showing their approval or disapproval by holding a referendum was insufficient in reflecting the public`s intentions. The key issue is the method of public `participation`. Listing numerous alternatives for every single provision and holding a referendum for each one is unrealistic and undesirable. Yet, having the National Assembly, the elected officials that the citizens have chosen to represent themselves to handle everything will make the new constitutional revision no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Due to this issue, there has been a suggestion to create a separate citizen assembly. However, since the citizen assembly fails to guarantee representativeness or democratic legitimacy, as well as the professionalism to handle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t is unlikely for the citizen assembly to succeed. This article takes such problematic situations as a premise and has seriously searched for the most feasible alternative that best suits the current situation. First, in order to clarify the justifiability of public participation in constitutional revision, this article confirmed that the people are the principal subjects of constitutional revision. On this premise, the article reviewed the public`s role in past revisions and confirmed the imperativeness of public participation in constitutional revision by overviewing whether the people`s opinions were reflected sufficiently. Regarding the detailed methodology of public participation in constitutional revision, the article overviews the usage of electronic democracy, gathering public opinions through polls, and creating a citizen assembly. After creating a citizen assembly, there lies the issue of dividing to roles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citizen assembly, and the people. Such alternatives need to undergo numerous discussions and revisions. In addition, the article presents some standards that can lead to successful public participation in constitutional re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