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지역의 점, 면, 이동오염원에 의한 대기오염배출자료 작성(1995)

        張榮基 水原大學校 1997 論文集 Vol.15 No.-

        There are about twenty million people, forty million automobiles and numerous industrial complex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Seoul and Kyonggi Province of Korea. The air quality of this area is, therefore, the worst in Korea, and people have been suffering from heavy smog. There are many work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control air pollution. First of all, to tackle the air pollution, emission inventory should be prepared. Therefore, emission inventory by point, area and mobile sources of Kyonggi area is constructed in this study. Methods for calculating emissions are reviewed, and emissions of SO₂, NO₂, CO, TSP in 1995 are calculated. As the result, it is found that SO₂, NO₂ is mainly emitted from point sources, CO is mainly emitted from mobile sources in this area.

      • 李白對於詩歌的觀點及基詩歌的淵源

        張榮基 서경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人文科學硏究 Vol.2 No.-

        본 논문은 이백(李白)의 시가(詩歌)에 대한 관점(觀點) 및 그 시가(詩歌)의 연원(淵源)에 대하여 논하였다. 시가의 관점은 첫째, 복고(復古)를 주장하였으며, 둘째, 육조(六朝)미려(靡麗)시풍에 반대하였으며, 셋째는 청신(淸新)시풍 중에 진실한 생명내용이 담겨 있는 것을 강조하였다. 고로 그의 작시 역시 이와 같은 기준에서 이루어졌다. 시가의 연원은, 이백은 비록 자기 스스로 그 시학원류(源流)에 대해 말한 적은 없으나 그 작품 중에서 그 맥락을 살펴보면, 시경(詩經)·초사(楚辭)·악부(樂府)·고시(古詩)를 이어받았으며 또한 조식(曹植)·완적(阮籍)·도연명(陶淵明)·사령운(謝靈運)·포조(鮑照)·사조(謝眺)·경신(庚信)·진자앙(陣子昻) 등 전대(前代)시인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시경·초사·악부 및 중국 고대의 많은 고전문학 가운데 그 정화만을 흡수하여, 후세 사람들의 모방할 수 없고, 배울 수 없는 하나의 새로운 형식, 새로운 풍격을 창조해 냈다고 할 수 있다.

      • 수원지역의 대기오염도 분석(1989―1993)

        장영기 수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4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in Suwon area. To this end, hourly sulfur dioxide, total suspended particles, carbon monoxide, nitrogen dioxide, ozone concentrations measured over Paldaldong monitoring station for five years(1989-1993) were analyzed. So trends of monthly mean value and diurnal variations were analyzed and maximum l-hr values were examin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there are improvements in sulfur dioxide, total suspended particles, carbon monoxide, there is an deterioration in nitrogen dioxide.

      • KCI등재

        축산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축종별 특성에 대한 설문조사

        장영기,송기봉,김호정,유용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04 환경영향평가 Vol.13 No.1

        At Recent the number of livestock is rapidly increased and the scale of farm has changed to large operations in Korea. So the odors frcm livestock feeding operations have increased and become major environmental problem. The odor emission are dependent on the types of manure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This report presents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on the odor characteristics from livestock facilities for the beef, dairy, swine and poultry. It is founded that the impact by odors from the facilities for swine and poultry is higher than cow and dairy, and the odor intensity at morning is higher than other times.

      • KCI등재

        朝鮮時代 宮闕 便殿의 성격과 체제변화

        장영기 조선시대사학회 2009 朝鮮時代史學報 Vol.48 No.-

        ‘PyunJeon(便殿)’ in the palace of Joseon periods was a place where the king performed his official duties and discussed affairs of state with his men. It as also called 'Sisajiso(視事之所)' and played a critical role in running the state actual affairs including 'Sangcham(常參)‘, ’Sisa(視事), ‘the Emperor's learnig(經筵)’, Sajo(辭朝)'. It had been more of an 'Yunchur(燕處)‘ where the royal family stayed until king Taejong(太宗) but started to perform official duties such as exercising ceremony of the government from Sejong(世宗) Dinasty as ’the Emperor's learnig(經筵)‘ become active, 'Sagwan(史官)' and 'Daegwan(臺諫)' were allowed to enter 'PyunJeon(便殿)'. Besides attending the events at 'Jungjun(正殿)', the king governed regular state affairs at PyunJeon(便殿) during the day and continued his official duties including ‘the Emperor's learnig(經筵)’ and 'Ingyun(引見)' at ‘Chimjun(寢殿)’ in 'Gangnyeongjeon(康寧殿)‘ of 'Gyeongbokgung(景福宮)' or 'Byeoljeon(別殿)' in 'Heejeongdang(熙政堂)', 'Yadaecheong(夜對廳') of 'Changdeokgung (昌德宮)' and 'Bihyeongak(丕顯閣') of 'Gyeongbokgung(景福宮)'. 'Byul-jeon(別殿)' shared PyunJeon(便殿)‘s duty but was different from PyunJeon(便殿) for the level of the work. While PyunJeon(便殿) was more of a 'Beopjeon(法殿)’ or 'Jungjun(正殿)' and excercised 'Samgang(三講)' which was a major function of PyunJeon(便殿), 'Byuljeon(別殿)' could only preform 'Yadae(夜對)' and 'Sodae(召對)'. 'PyunJeon(便殿)' can be divided in to 'Pyunjeon major(大便殿)' and 'Pyunjeon minor(小便殿)' according to its function and rank. From the late Choseon period, 'Pyunjeon major(大便殿)' such as 'Seonjeongjeon(宣政殿)' of 'Changdeokgung(昌德宮)'․'Jajeongjeon(資政殿)' of 'Gyeongheegung(慶熙宮)' kept performing 'Sisa(視事)' as well as holding more ceremonies like 'Sangcham(常參)' and 'Binjun(殯殿)'. Meanwhile, 'Pyunjeon minor(小便殿)' such as 'Heejeongdang(熙政堂)' of 'Changdeokgung(昌德宮)'․'Heungjeong dang(興政堂)' of 'Gyeongheegung(慶熙宮)' held 'Samgang(三講)', which had been a main event that took place in 'Pyunjun major(大便殿)' till early Choseon peroid, and more 'Ingyun(引見)' than before. 'Pyunjeon minor(小便殿)' began to grow because it was more appropriate to discuss state affairs and 'In-gyun' than 'Pyunjeon major(大便殿)' as it dealt with more official problems. It can be an opportunity to appreciate the link between governmental management and place along with its func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by understanding how 'PyunJeon(便殿)', which was the center of the administration, was run and changed. 조선시대 궁궐의 便殿은 국왕의 집무실 기능을 하며 군신간의 만남을 통해 국정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곳이었다. 편전은 視事之所로 일컬어지며 상참ㆍ시사ㆍ경연ㆍ辭朝 등이 행해져 실질적인 국정운영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였다. 편전의 성격은 태종대까지 燕處로서 內殿的 성격이 강하였다. 세종대부터 경연의 활성화와 사관ㆍ대간의 편전 입시가 가능해지고 상참을 통해 政廳의식을 수행하는 의례적 공간이 되면서 公的인 성격으로 변모하기 시작하였다. 국왕의 일과는 ‘受朝’의 장소인 正殿에서의 행사 참여 이외에 대개 편전에서 국정업무를 수행하였으며 일과 이후에는 寢殿 또는 別殿[小寢]에서 경연과 인견 등 정무활동이 지속되었다. 침전에서의 정무활동은 경복궁의 강녕전을 聽政의 장소로 이용하는 사례가 있고, 별전 설치는 창덕궁의 희정당ㆍ야대청, 경복궁의 비현각 등으로 나타났다. 편전 기능을 분담하는 別殿은 본 편전과 위상의 차이가 있었다. 본 편전은 法殿ㆍ正殿으로 인식되고 편전의 주요 기능 중 경연에서는 三講(朝晝夕)이 행해졌다. 반면 別殿은 三講을 제외한 夜對와 召對만이 가능하였다. 편전의 기능과 위계의 분화로 편전을 大便殿ㆍ小便殿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후기 편전운영의 특징과 변화을 보면, 창덕궁 선정전ㆍ경희궁 자정전 등 대편전은 시사 기능을 유지하면서 상참ㆍ빈전 등 의례적 성격이 강화되었고 창덕궁 희정당ㆍ경희궁 흥정당 등 소편전에서는 야대ㆍ소대와 함께 조선전기 대편전의 주 기능인 三講도 시행되었고 이외의 인견도 활발해졌다. 소편전의 발달은 경연의 활성화와 비변사체제의 국정논의 과정에서 공식적 성격이 강한 대편전보다 인견과 국정논의의 장소로 적합하였기에 가능하였을 것이다. 궁궐운영의 중심공간인 편전의 운영체제와 변화를 통해 정치운영과 정치공간의 상관성과 함께 정치활동을 위한 공간이 어떻게 구현되고 효과적으로 운영되는지 이해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