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의 불평등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장안식 대한범죄학회 2015 한국범죄학 Vol.9 No.3

        From the perspective that fear of crime can be embedded into the structural features such as social/income inequality and demographical heterogeneity,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hether community’s inequality or heterogeneity as a social force can influence the individual’s reaction to the fear of crime.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constitutive heterogeneity ,which is generated by social/income inequality, can influence on the fear of crime. After divided by the income and heterogeneity, the analysis finds that people who live in a lower income area but wealthier than other residents tend to have more fear than other residents. This analysis demonstrates the kinds of ‘Otherness’ process. In this ‘otherness’ context, residents in the area become strangers and may even view each other as dangerous. Consequently, fear of crime becomes relative one. Finally,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factors and structural factors that influence people’s reactions to fear of crime can be dynamic and interactive. Also, this analysis finds that structural conditions such as income inequality and the constitutive heterogeneity that was generated by such inequality explain a significant share of the growing concentration of fear of crime among the more (economically or socially) marginalized people and areas. 본 연구에서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배후에 사회적 불평등이 존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지역수준의 소득 불평등 정도를 고려한 후 지역사회의 불평등이 사람들이 가지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강화시키는지 혹은 완충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고에서는 지역사회적 불평등으로 조성된 구성적 이질성이 범죄의 두려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구수입별 소득의 이질성과 동질성의 구분을 통해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가구수입이 그리 높지 않은 지역에 사는 상대적으로 가구수입이 높은 사람들의 두려움이 유의미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의 소득 수준이 보다 이질적인 지역에서 계층 간에 일종의 타자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함의는 지역적 환경의 특성에 따라 개인적 특성의 영향력들이 다르게 나타나듯이, 지역사회의 불평등 정도와 그에 따른 이질적 구성은 취약성의 상대성을 강화시키는 조건으로 작동한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담론의 수준에서만 머물렀던 범죄의 두려움에 대한 사회 불평등적 요소가 가지고 있는 배후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소득 계층과 소득 불평등을 통합하여 살펴본 지역사회의 소득 이질성과 사회계층의 상호작용은 지역 구성원의 소득 수준이 이질적인 공간에서 가구수입에 의해서 구분되는 사회계층간에 형성되는 타자화과정의 단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양극화가 심화되어 가는 한국적 공간에서 서구에서는 인종적으로 이질적인 타인들에 대해서 진행되었던 타자화의 과정이 한국적 상황에서는 사회 계층적으로 경제적으로 주변화된 집단에 대한 타자화 과정으로 이어지고 결국에는 두려움의 차이를 유발할 것이라는 주장에 대한 단초를 제공했다.

      • KCI등재

        위험성(Risk)-요구(Need)-반응성(Responsivity) 모델의 이해와 국내 소년사법 적용 가능성

        장안식,김민경,정혜원 한국교정복지학회 2017 교정복지연구 Vol.- No.47

        이 연구는 R-N-R 모델을 소개하고, R-N-R의 체계가 갖는 보다 넓은 실천적 함의를 추적하고 더불어 한국적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R-N-R 모델이 무용성(nothing works)에서 효과성(what works)으로의 전환이라는 패러다임 변화를 겪는 과정에서 어떻게 제기되었는지, R-N-R 모델의 원리는 무엇인지, 그리고 R-N-R 모델에 대한 이론적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R-N-R의 체계가 갖는 보다 넓은 실천적 함의를 추적하기 위해. R-N-R 모델을 검증하도록 고안된 측정도구와 프로그램에 효과성과 관련된 메타분석의 결과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 소년사법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소년사법에 R-N-R 모델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면, 형사사법에서의 R-N-R 접근은 가해자의 위험 수준을 결정하고 개인의 필요에 맞는 처우를 결합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R-N-R 접근은 성인 대상의 교정 시설에서 재범을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그 효용성을 광범위하게 인정받고 있다. 비록 R-N-R 모델이 성인 범죄자들의 재범 억제를 위해서 개발되었고, 그 효용성이 성인 대상의 환경에서 인정받았지만, 이러한 R-N-R 의 접근 방식은 소년사법에서도 성공적으로 적용 가능할 수 있다. R-N-R 모델이 국내 소년사법 적용에서 가장 큰 이점은 소년 사법 시스템의 실천에서 보다 효과적인 자원 분배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위험 평가 산정에 근거하여 저위험군의 아이들을 시스템에 가두는 것을 피하고, 고위험군의 아이들의 처우에 집중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소년범 각 개인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데, 각 개인이 처한 위험과 필요에 맞춰 처분이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R-N-R 원칙의 적용은 궁극적으로 처분에 대한 소년범 개개인의 반응성을 증가시켜 친사회적인 성향을 배양하고 재범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비록 R-N-R 모델이 성인 대상의 교정 모델에서 성공했지만, 소년사법에서의 성공적 적용은 그리 쉬운 문제가 아니다. 실제로, 소년사법에 대한 R-N-R 적용을 위한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R-N-R 원칙이 어느 정도 적용되어야 하고, 그것들이 실제로 적용되었을 경우, 얼마나 재범을 줄일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소년사법 환경에서 온전한 R-N-R 모델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N-R 모델의 이점을 고려한다면 향후 국내 소년사법에 R-N-R 모델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ntroduced the R-N-R model with tracking the wider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N-R system and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the R-N-R system in Korea. For this,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R-N-R model is introduced in the course of experiencing a paradigm shift from “nothing works” to “what works.” And also, this study discusse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N-R model as well as the principles of the R-N-R model.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broader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N-R system, this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N-R tools and reviewed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which reveal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light of the applicability of the R-N-R model to the juvenile justice in Korea, the R-N-R approach emphasized determining the risk level of the perpetrator and combining the treatment appropriate to the individual's needs. This R-N-R approach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way to reduce recidivism in adult correctional facilities. Although the R-N-R model has been developed for the reduction of adult offenders' recidivism and its efficacy has been recognized in adult settings, the R-N-R can be successfully applied in juvenile justice. Needless to say, if the purpose of juvenile justice is to correct and rehabilitate juvenile offenders, the R-N-R approach is best suited for that purpose. The advantage of the R-N-R model is that it can allocate resources more in the juvenile justice system practice. For example, based on a risk assessment, we can avoid putting low-risk offenders into the correctional system but only focus on the treatment of high-risk offenders. This system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each individual of the juvenile justice system by allowing the disposition to be tailored to the risks and needs of each individual. The application of this R-N-R principle ultimately increases the responsiveness of individual offenders to dispositions, enabling them to develop a pro-social orientation and lower the recidivism. Although the R-N-R model succeeds in adult correction settings, it doesn’t guarantee the successful application in the juvenile justice settings. Indeed, despite the numerous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R-N-R to juvenile justice, it is still unclear how much the R-N-R principles should be applied. In other words, the effectiveness of the full R-N-R model in the juvenile justice system is fully based on the consistent application of the R-N-R principles in the juvenile justice settings. That is, if the R-N-R principles are applied at different levels by the stakeholders of the juvenile justice system, the effectiveness of the R-N-R principles cannot be assured. Considering these points, the applicability of the R-N-R model to the juvenile justice system seems very positive.

      • KCI등재

        시설보호 비행청소년의 재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연구

        장안식,안윤숙,정혜원 한국교정학회 2016 矯正硏究 Vol.- No.72

        The increase in the recidivism among juvenile offenders is a cause for concern in Korea. The protective proposition No. 6 for juvenile offenders has been operated as a community care facility since it was introduced 40 years ago.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recidivism of juvenile delinquents in these protective proposition No. 6 facilities. Unlike the proposition No. 6 facilities of the past, current No. 6 facilities are trying to accommodate changing demands such as adopting new programs.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amined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toward recidivism with 259 juvenile delinquents in the protective disposition No. 6 facilities in Korea. In light of the purpose of the proposition No. 6 that reduce the effects of labeling and crime bredding,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No. 6 facilities whether these facilities affects on their attitudes of recidivism. In this study, we examined family factors, school factors, peer factors, school factors, program related factors, prior adjudication history, and behavioral change in the facility whether these can influence on the attitudes of recidivism.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ath to the attitudes of recidivism.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eer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ith a facility are the significant factors on the dependent variables, attitudes toward recidivism. In other words, it is revealed that those who have more attachment to the family or have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facility/program tend to receive positive influence from the No. 6 fac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path toward the attitudes of recidivism. And, it indicated that only the satisfaction of the facility has both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the attitudes toward recidivism. In light of this, in order to encourage juvenile delinquents in community correctional facilities to have an intention or attitude of not re-offending, it is required to improve programs for delinquent juveniles in the No. 6 facilities and develop policies and system which are designed to improve the effects of programs at a practical level.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on program development, implementation,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correctional facilities is also required. 최근 한국의 소년사법에서 우려할 만한 현상 가운데 하나가 재범률의 증가이다. 6호처분은 40년간 중간단계 처우로서 운영되어왔지만, 과연 6호 처분이 소년범의 재비행예방에 기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6호 처분 시설들이 과거와는 다르게새로운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등 변화를 하고 있다는 시점에서 새로운 관심과 연구들이필요하다. 이 연구는 기존의 시설 내 처우가 주는 낙인효과(labelling effect)와 범죄배양효과(crime breeding effect)을 극복하자는 6호 처분의 목적에 근거하여, 6호 처분의 프로그램이 과연 입소자의 재범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가족요인, 학교요인, 또래요인, 과거 판결횟수 등 입소 전 과거 생활과 재범태도에 영향을미칠 가능성이 높은 입소 후 행동변화를 추가하여 프로그램이 재범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재범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경로를 통해 프로그램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주요 변인을 중심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애착과 또래애착, 프로그램만족도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친구들과의 애착관계가 잘 형성되어 있을수록, 가족과의 애착이 클수록, 프로그램만족도가 높을수록 재범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더불어 재범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경로는 어떠한 지 분석해본 결과, 프로그램 만족도만이 재범태도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가지고있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내 수용처우 입소자들이 재범을 하지 않겠다는 의지혹은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입소자를 위한 프로그램강화와 실질적인 차원에서의 프로그램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과 제도적 장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현실에 근거한 지역사회 내 수용시설 프로그램 개발, 운영, 관리, 평가 등에 대한연구들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 만성적 범죄두려움 집단에 대한 연구

        장안식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9 공공정책연구 Vol.36 No.1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social contexts of fear of crime in Korean society, and examines how many people belong to a group of chronic fears through LCA(Latent Class Analysis). In additi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oci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group membership of fear of crime are examined and discussed. This paper also attempt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group membership and how variou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variables affect fear groups. Through the analysis of latent class analysis (LCA), this paper reveals that there are three latent classes such as 'chronic fear', 'cautious fear', and 'no fear.'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fear groups, only 4.6% (611) of them were found to be "chronic fear group(Fear)." At the discourse level, the fear of crime appears to be very widespread and prevalent, but it seems that the level of concrete fear actually felt by individuals may be significantly lower.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determinants of each fear groups and talks about some implications of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