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시영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4 국내석사
2025년부터 전국의 중고등학교에 본격적으로 새로운 교육 체제인 고교학점제가 도입될 예정이며 이는 현재 선도 학교 및 연구 학교에서 부분적으로 시행 중에 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스스로 진로와 적성에 맞게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을 선택하고 일정한 학점 이수 기준에 도달하면 졸업이 가능한 제도로 변화된 교육과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재구조화된 교내 공간을 학점제형 공간이라 일컬으며 학습 공간, 지원 공간, 공용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 고교학점제에 관한 연구는 2020년 이전인 고교학점제 도입 초기에 진행되었다는 시기적 한계점을 가지며,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전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공간의 변화에 대한 관심은 높음에도 불구하고 고교학점제 시행으로 인한 학교 교내 공간 변화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논의된 연구는 부족하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인하여 조성된 서울특별시 고등학교의 학점제형 공간에 대해 분석하고, 이 공간의 사용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새롭게 조성된 학점제형 학교 공간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사항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학생이 개선을 요구하는 교내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계획 요소에 대한 개선 방안을 파악하고 적용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추후 고교학점제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적용되었을 때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디자인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학점제형 공간을 계획할 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중 연구 협조에 응해준 고교학점제를 시행하고 있는 3개의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해당 학교의 학점제형 공간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방법은 (1) 선행 연구 및 사례 조사를 진행한 후,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고교학점제 시행 고등학교의 교내 학점제형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2) 고교학점제 시행 고등학교의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현장 답사 사례 조사를 진행하여 온라인 사례 조사에서 조사 및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현장 답사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3) 기술형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교내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공간 사용자(학생)의 만족도 및 희망 개선 사항을 조사하였다. (4) Photovoice 연구 방법을 통하여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공간 사용자(학생)에 의하여 제안된 공간 개선 방안을 파악하였다. 위 네 가지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도출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 학점제형 공간에서 학습 공간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공용 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도출되었다. 각 공간 마다 교과 교실, 다목적실, 홈베이스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일반 교실, 도서실, 휴게실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학습 공간 중 일반 교실의‘자연적 요소가 주는 효과’, ‘교실 표찰에 대한 정보성’, 교과 교실의 ‘학습 교구 부족’, ‘책상 배치’, ‘책상의 디자인’, 지원 공간 중 자기주도 학습 공간 및 스터디 카페의 ‘소음 및 방음 문제’, ‘학습 공간의 단일화’, 다목적실의 ‘책상의 배치와 디자인’, 도서실의 ‘작은 규모’, 회의실 및 상담실의 ‘규모’, 공용 공간 중 홈베이스의‘공간 사용 목적’, ‘사물함 크기 및 배치’, 휴게실의 ‘수면 공간’, ‘규모,’ ‘휴식 지원 수단’에 대하여 평균 이하의 만족도 결과가 도출되어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세 개의 고등학교에 대한 학점제형 공간의 만족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학점제형 공간을 도입한 고등학교의 학생들의 교내 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비슷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내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희망 개선점과 공간 사용자(학생)가 직접 제안한 개선 방안을 조사한 결과, 학습 공간에서는 ‘협소한 책상’, ‘의자의 크기와 높이’, 지원 공간에서는 자기주도 학습 공간 및 스터디 카페의 ‘바퀴 부착 및 딱딱한 재질의 불편한 의자’, ‘소음 및 방음 문제’, ‘공간 유형의 단일화’에 대한 개선 사항과 도서실의 ‘비효율적인 좌석 배치’, ‘좌식 공간의 부족’과 같은 희망 개선 방안이 제시되었다. 공용 공간에서는 ‘협소한 규모’, ‘푹신한 좌석의 부재’, ‘수면 공간의 부재’, ‘놀거리나 먹을거리의 부재’가 희망 개선점으로 언급되었다. 이에 따라 제안된 개선 방안으로 학습 공간에서는 깔끔하고 산뜻한 색상으로의 벽 색상 교체, 커튼의 설치, 오랜 시간 착석해도 불편함이 없는 재질로의 의자 교체, 미끄럽지 않고 단조로운 패턴의 바닥재가 적용되어야 한다. 지원 공간에서는 좌석 간 간격의 확장 및 소음에 따른 공간 마련, 편안한 의자의 도입, 화분 비치, 개인 조명 마련이 사료되어야 한다. 공용 공간에서는 휴게실 개수 및 규모에 대한 확장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의 구획, 푹신한 좌석 증가, 화분 비치가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될 중, 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학점제형 공간 구성 방향을 제안할 수 있으며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점제형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구체적인 공간 요구 사항과 개선 방안을 살펴볼 수 있다. 더불어 학생 수 감소로 늘어나는 유휴 공간을 활용하거나 기존의 교내 공간을 공간 사용자의 개선 방안을 기반으로 학점제형 공간에서 학생의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내 학점제형 공간의 적용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Starting in 2025, a new education system called the High-School-Credit-System is scheduled to be officially implement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roughout South Korea. Currently, this system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in some leading schools and research schools. The High-School-Credit-System allows students to choose courses aligned with their career goals and aptitude and graduate once they meet specific credit completion criteria. To accommodate this new educational approach, internal school spaces have been restructured (referred to as credit-based spaces) and categorized into learning spaces, supporting spaces, and sharing spaces. Most of the research on the High-School-Credit-System was carried out before 2020,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its introduction. Despite a high level of interest in these changes to school spaces, there is a lack of detailed studies specifically discussing the transformations in school spaces resul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School-Credit-System. Such a study is prudent prior to the system’s widespread adoption. This study analyzed credit-based spaces in Seoul high schools that have introduced the High-School-Credit-System, seeking to understand the needs and opinions of students, the primary users of these newly created credit-based spaces. In addition, this research identifies student-recommended improvement strategies for aspects of school spaces and proposes practical applications for these enhancements. The outcome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for new credit-based spaces as the High-School-Credit-System is expanded nationwide. This study selected three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that have implemented the High-School-Credit-System and agreed to cooperate with an investigation into their credit-based spac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1) a review of existing studies and case studies, followed by image analysis of credit-based spaces within high schools implementing the High-School-Credit-System online platforms; (2) on-site case studies of credit-based spaces within high schools implementing the High-School-Credit-System, based on the findings and analyses obtained from online case studies; (3) a questionnaire survey to assess the satisfaction levels of space users (students) with credit-based spaces and to explore their desired improvements; (4) a Photovoice survey to identify suggestions for credit-based space improvements proposed by space users (students). The primar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three types of credit-based spaces, students were most satisfied with learning spaces and least satisfied with sharing spaces.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reported for subject-specific classrooms, multipurpose rooms, and home-bases, while regular classrooms, libraries, and common rooms garnered the lowest satisfaction levels. Specifically, within learning spaces, regular classrooms had lower satisfaction in categories such as the effectiveness of natural elements and informativeness of classroom tags. For subject-specific classrooms, student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a lack of learning materials, desk arrangement, and desk design. For supporting spaces, students identified issues like noise and soundproofing problems and homogenization of learning spaces in self-directed learning spaces and study cafes, desk arrangement and design in multipurpose rooms, the small scale of libraries and meeting rooms and counseling rooms. For sharing spaces, dissatisfaction was noted in the space utilization and the size and arrangement of lockers in home-bases, and sleeping spaces, scale, and relaxation support facilities in common rooms.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for these aspects was below average, indicating a need for improvement. Furthermore, when compar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credit-based spaces among three high schoo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This suggests systemic challenges and successes among schools that have implemented the High-School-Credit-System. Secon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desired improvements and suggested enhancements directly proposed by space users (students) for credit-based spaces revealed the following: In learning spaces, improvement points included “cramped desks” and “size and height of chairs”. In supporting spaces,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spaces and study café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encompassed issues like “uncomfortable chairs with attached wheels and rigid materials”, “noise and soundproofing problems”, and “homogenization of space types”. For libraries, desired improvements included “inefficient seat arrangement” and “lack of sitting spaces”. In sharing spaces, highlighted improvement points were “cramped size”, “absence of plush seating”, “lack of sleeping spaces”, and “absence of entertainment or food options”.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included replacing wall colors with clean and refreshing tones, installing curtains, replacing chairs with comfortable materials suitable for prolonged sitting, and applying non-slip and simple- patterned flooring in learning spaces. In supporting spaces, recommended enhancements included expanding seating distances and creating spaces to address noise issues, introducing comfortable chairs, placing potted plants, and providing personal lighting. For sharing spaces, prioritized improvements involve expanding the number and size of common rooms, creating zones for reclining, and introducing plush seating, and incorporating potted plants. This study can propose directions for the design of credit-based spac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will be officially implemented from 2025. It can also examine users’ responses to credit-based spaces and identify specific spatial requirements and improvement measures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School-Credit-System in middle and high schools. Additionally, the study can explore ways to utilize the increasing unused space due to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or reconfigure existing school spaces based on user suggestions to enhance student well-being in credit- based spaces.
과학계량학적 정보분석을 통한 LED 및 광분야 유망기술 탐색에 관한 연구
장시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계량학(scientometrics)을 활용하여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LED 및 광분야의 지식맵을 작성하고, 미래 유망키워드를 도출하는 것이다. 과학계량학적 분석을 위해 Web of Science의 SCIE 논문 및 미국특허청(USTPO) 특허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데이터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클렌징 과정을 통해 표준화시켰다. 동시단어 분석을 사용하여 LED 및 광분야의 논문과 특허 서지사항에 나타나는 정보간의 연합강도(associationi strength)를 측정함으로써 기술의 패턴 및 경향을 밝혀내었다. 그리고 LED 및 광분야의 역동적인 변화를 추적하기 위하여 전체 10년의 기간을 2개의 연속적인 기간.(2000년~2004년, 2005년~2009년)으로 분리하여 전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계량학적 분석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미래유망연구영역 및 기술도출의 객관적인 방법으로서 과학계량학의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map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field of LED and optics during the period of 2000-2009. We utilize the scientometric tool of co-word analysis to reveal patterns and trends in the LED and optics field by measuring the association strengths of keywords (or IPCs). Data were collected from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SCIE) and United Stated Patent and Trademark Office (USTPO) for the period of 2000-2009.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abstracts and further standardized using theasarus. In order to trace the dynamic changes of the LED and optics field, the whole 10-year period was separated into two consecutive periods: 2000-2004 and 2005-2009. The results show that the LED and optics field has some established research themes and it also changes to embrace new themes.
Domain knowledge를 이용한 강화학습에 관한 연구
강화학습이란 에이전트가 알려지지 않은 환경에서 행위와 보답을 주고 받으며, 임의의 상태에서 가장 적절한 행위를 학습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강화학습은 알려지지 않은 환경 내에서 에이전트가 적절하게 대응하게 할 수는 있지만, 과거에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학습한 지식을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에이전트가 유사한 환경 내에서 서로 다른 여러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경우, 과거에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학습한 환경에 대한 지식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새로운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이전트가 과거에 학습한 여러 문제들에 대한 환경 지식을 Local State Feature라는 기억공간에 학습한 후 행위함수를 학습할 때 이 지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찰하고, 개선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율 이동 로봇을 적용한 컴퓨터 모의 실험을 하였고, 환경 지식을 이용한 강화학습을 사용한 자율 이동 로봇의 학습 속도가 기존의 강화 학습을 사용한 자율 이동 로봇의 학습 속도에 비하여 개선됨을 보였다. Q-Learning is a most widely used reinforcement learning, which addresses the question of how an autonomous agent can learn to choose optimal actions to achieve its goal about any one problem. Q-Learning can acquire optimal control strategies from delayed rewards, even when the agent has no prior knowledge of the effects of its action in the environment. If agent has an ability using previous knowledge, then it is expected that the agent can speed up learning by interacting with environment. We present a novel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 using domain knowledge, which is represented by problem-independent features and their classifiers. Here neural network are implied as knowledge classifiers. To show that an agent using domain knowledge can hav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agent with standard Q-Learning. Computer simulations are illustrated where a mobile robot navigation problem under complex obstacles is considered.
Monitoring the process with a number of variables is crucial in the modern manufacturing process. In an actual manufacturing situation, practical monitoring technique combining process variables with quality variables is required to give an insight to dynamic change of processes to field engineers. The bag plot is a graphical nonparametric method that is frequently used for analyzing correlation and detecting some outliers. However established the bag plots are used only univariate variable in x-axis and y-axis, so the bag plot is graphical method with several limitation on multistage manufacturing process control. This paper proposes the bag plot method monitoring multistage process by using multivariate projection method value such as Hotelling`s statistics and data depth. This paper also performed contribution chart based on Bonferroni corrected confidence interval and variables importance on PLS projections(VIP) method for analyzing main stages influence on defect data.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a real multivariate process data se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useful visualization for the process. 현대의 제조공정 현장에서는 수많은 공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역동적인 공정과정을 모니터링해야 하는 실제 현장 엔지니어에게 품질측정 값이 적용된 현실적인 모니터링 기법이 필요할 것이다. Bag plot은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이상치를 감지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시각적인 비모수 분석기법이다. 하지만, 기존의 bag plot 분석기법은 각 축과 축에 오직 하나의 변수만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 분석기법은 다단계의 제조공정과정에서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otelling's 통계량, 데이터 depth와 같은 다변량 사영(projection)기법을 사용하면서 다단계의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bag plot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Bonferroni 보정 신뢰구간 기반의 기여도 그림과 불량데이터의 주요원인변수 분석을 위한 부분최소제곱 사영(projection) 과정에서의 변수 중요도 변수선택법도 구현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법으로 터치스크린패널 제조공정 데이터에 적용해봄으로써, 제안한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실제 데이터에서 나타나지 않는 경향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실험해 보면서 제안한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제안한 방법은 공정데이터의 시각적 분석을 통해서 현장엔지니어의 이해력과 통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지역 활성화를 위한 보행환경 개선 연구 : 청계천을 중심으로
장시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ABSTRACK A Study on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for Region Revitalization - A case study of Cheong Gye Cheon - Si-Young Jang Major in Geograph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Including Seoul, the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are growing rapidly. In process modernization, a right of pedestrians became secondary to automobiles. Therefore, to offer the comfort and convenience of city life and bring vitality to the external environment, pedestrian street will need to appear; a city image with emphasis in terms of pedestrian walks and not the strong exclusion of pedestrian rights over the current industrialized urban environment. City traffic planning mainly depending on automobiles has emphasized to design space for automobile traffic and parking, which has caused pedestrians to be driven to narrow space. As a result, it has neglected outdoor activities of human and visual pleasure, and has provided walking space only for its purpose of passing rather than a stroll, thinking and communication. But pedestrian street area is activity and commercial transaction in commercial district are core social and economical activities, which play a crucial role in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urban space for huma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pedestrian street of Cheong Gye Cheon'. A point of view region revitalization analyze through the influence of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n case of foreign study, the pedestrian street development block is emerging to be a very important element to live everyday life. The composition of walking axis and assurance of walking space are major elements to make Pedestrian environments more pleasant. Therefore it is needed to compose a pedestrian street road systematically. Second, pedestrian street pattern is shown difference by scale of the urban formation, buildings and stores and method that use intermediate domain in city core. And the pedestrian street in the commercial zone is ability conflicting interests, can be an effective way of shifting social conflicts into integration. So that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is contribution which region revitalization. Third, through the survey research, the space required for a pedestrian has been proved crucial. It has been proposed that development of pedestrians street is what is truly needed. Therefore, this paper reasons with the general theories, traffic problems, environmental problems and historical space development that can improve urban activities and region revitalization by developing pedestrian street. Pedestrian street that have no cars are presented; both domestic and foreign. Also, the current pedestrian street conditions in domestic pedestrian only roads are observed. Through observation pedestrian street of Cheong Gye Cheon is only a part of roads, the feasibility of pedestrian only road and it potential capability is discussed. Improvements in the street without cars can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s. In addition, this paper has an informative purpose of realizing the consequence pedestrian street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에 있어 주권국가의 재등장 : ICANN vs. ITU
본 연구는 인터넷 연결에 있어 핵심적인 주소자원(Critical Internet Resources, CIRs)인 도메인네임체계(Domain Name System, DNS) 및 IP주소의 배분 및 관리와 관련된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에 있어 국제기구인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과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를 중심으로 국가들 간의 대립이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는 다자간협의기구인 ICANN을 통해 국가이외의 기업, 시민사회, 그리고 전문가집단들간의 협의를 통해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가 행해진다는 신자유주의제도주의에서의 낙관적인 입장과는 대조적이다. 이에 반해 현실주의자들은 정보화와 세계화 등으로 인한 초국가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국제기구나 국제법의 역할 강화는 사실이지만, 이러한 변화가 국제관계상 주권국가들의 전통적 지위를 위협하지는 못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현실주의자들도 인터넷의 핵심적 주소자원의 관리에 있어서 ICANN과 ITU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미국의 헤게모니와 중국/러시아 등을 중심으로 하는 다른 국가들 사이의 대립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에 있어 기존에 ICANN과 ITU 이외에 존재하는 수많은 다른 기구들이 직간접적으로 인터넷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국제레짐복잡성). 그리고 이러한 ‘국제레짐복잡성’에 의해 야기되는 국가들의 전략적 선택인 ‘포럼쇼핑전략,’ ‘레짐전환전략,’ 그리고 ‘전략적 불일치전략’을 중심으로 각 국가들 간의 현실주의적 이익추구가 ICANN과 ITU라는 두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먼저 미국은 약소국들에 비해 더 많은 자원력과 힘을 바탕으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인터넷 거버넌스 패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많은 레짐 중에서 그들에게 호의적인 ICANN을 인터넷 거버넌스 레짐으로 선정하였다(포럼쇼핑전략). 이에 반해 중국과 러시아를 위주로 하는 인터넷 기술력이 취약한 개발도상국들은 미국의 강력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이들 국가들의 참여를 배제하는 ICANN 레짐에 저항하여 ‘1국가 1표제’의 수평적 의사결정방식을 바탕으로 하는 국제기구인 ITU로 인터넷 거버넌스 권한을 이관시키려는 태도(레짐전환전략)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양 진영 간의 첨예한 전략적 대립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지난 WSIS(World Summit on the Information Society)에서부터 최근에 일어난 WCIT-12(World Conference on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12)에서의 인터넷 거버넌스 논의는 주목할 만하다. 특히 두 사례에서 보여지는 미국과 중국/러시아 등의 개도국들의 첨예한 대립관계를 통해 주권국가의 권한 약화 및 이로 인한 다자간협의를 바탕으로 글로벌 거버넌스가 형성된다는 신자유주의제도주의적 견해와는 달리, 인터넷 주소자원의 배분 및 관리와 관련한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에 있어서도 여전히 국가들 간의 현실주의적 권력투쟁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나타날 인터넷 거버넌스 논쟁에 있어서 각 국가들간의 전략적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인터넷 거버넌스 메커니즘의 구축과 같은 해결책 마련에도 이론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數種 市販生藥의 眞菌 汚染度와 Aflatoxin生成에 關한 硏究
장시영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87 국내석사
Mycotoxins have been isolated from a certain 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parasiticus etc. were parasitic on varius kinds of grain. It was reported that Mycotoxins caused fatal damage to Human being, Animal, Fishes, and Birds etc. Aspergillus flavus 1 strain, Aspergillus parasiticus 1 strain isolated from several Market Crude Drugs produced aflatoxins. Isolates of Asp. flavus, Asp. parasiticus were tested for toxicity to chicken embryos. The toxic material (Rf=0.65, 0.60, 0.52) revealed blue fluorescences when viewed under ling UV light. The UV absorption maximum of the material in Methanol was 263,363 nm. The IR absorption masim of the material in chloroform was 1600-1800㎝^(-1).
Investigation of genetic factors controlling capsiate biosynthesis in pepper
Capsinoid which were found recently in non-pungent pepper show the same biological effects as capsaicinoid including anticancer and anti-obesity. A precursor of capsinoid, vanillyl alcohol, is known to be produced by mutations in the putative-aminotransferase (pAMT) gene. In the previous study, it was reported that capsinoid production is also controlled by the capsaicin synthase (CS) gene.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the CS activity and capsinoid contents has not been fully understo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role of CS in quantitative control of capsinoid contents. In the previous study, C. chinense, SNU11-001, which contains capsinoid higher than C. annuum ‘CH-19 Sweet’ was identified. Non-functional mRNA of SNU11-001 had stop codon resulted from 403bp insertion and 45bp deletion. I analyzed the CS and pAMT activity using the five Capsicum accession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pungency including SNU11-001, the transcription levels of CS were higher in pungent Capsicum accessions. Molecular markers which can distinguish CS and pAMT genotype between SNU11-001 and pungent pepper cultivar ‘Habanero’ were developed. To investigate SNU11-001 x Habanero F2 population was constructed and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capsaicinoid and capsinoid concentration and CS genotypes of SNU11-001 and Habanero. Therefore, CS genotype of SNU11-001 and Habanero did not have influence on quantitative trait of capsinoid. Genetic factor which is not related in capsaicinoid biosynthesis might exist quantitative control of capsinoid synthesis. Transcriptome analysis between Capsicum pepper with capsinoid and pungent cultivar will identify effect on regulation of capsinoid contents in future studies.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위한 K-pop 뮤직비디오 활용 한국어 듣기·말하기 교육방안 연구 : 아이유(IU) <strawberry moon> 활용을 중심으로
장시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Korean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measure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Chines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In particular, we studied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to increase learners' interest and confidence by encouraging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by using K-pop music videos that are familiar and interesting to learners. Using K-pop-based music videos among Korean music videos is effective as a material for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to learners. K-pop music videos are the same as movies and dramas in which they include both songs and videos, but they are usually shorter than movies nor dramas, so they are suitable for use in classes. K-pop music videos are usually about three to five minutes, and the plot can be easily grasped by learners. Another advantage of teaching Korean listening and speaking through K-pop music videos is that it is a material that can educate not only linguistic characteristics but also non-verbal characteristics. As such, K-pop music videos are effective in inducing learners' interest. Using this to provide Korean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learners can improve their Korean communication skills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n consideration of this, this study analyzed K-pop music videos from 2020 to 2022 by type to select suitable educational materials and suggeste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asures to use them. In Korean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using K-pop music videos, learners are suggested ways to increase concentration, do fun activities, and learn easily, rather than focusing on boring textbooks. Educational methods using K-pop music videos can not only improve learners'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but also have a good effect on reading and writing. In addition, K-pop music videos can be said to be a good learning material not onl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By selecting K-pop music videos suitable for the level of intermediate learners and conducting Korean language classes, it can induce learners' interest while also inducing voluntary learning and efficient learning, allowing learners to participate in classes without burden. Through repeated melodies and lyrics, vocabulary and grammar can be easily remembered, and repeated playback of music videos can be of great help in listening training. Since learners are interested in music videos and singers, they can talk naturally in the classroom and help improve their speaking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