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획논문 : 상주지역 퇴계학파(退溪學派)의 학문과 사상 ;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철학과 경세론

        장승구 ( Seung Koo Ja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0 No.-

        우복 정경세(1563-1633)는 서애 류성룡의 수제자로서 퇴계의 再傳 제자에 속한다. 그는 상주 출신의 남인으로서 서애의 뒤를 이어 중앙정계에서 활발한 관직생활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높은 권위를 유지하며 17세기 초반 영남 학계를 대변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는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등으로 국난이 지속되던 가장 어려운 시기에 관직생활을 하였다. 우복은 서애로부터 퇴계의 『주자서절요』를 물려받아서 간행함으로써 퇴계학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주자대전』 가운데 중요한 글을 선택하고 모아서 『주문작해』를 편저함으로써 『주자서절요』의 한계를 보완하고 주자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우복은 학통상 퇴계학파에 속하는데 일부에서 그의 리가설은 율곡설을 지지하는 것처럼 언급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존 『우복집』을 분석해보면 그의 철학은 기본적으로 퇴계학파의 입장을 지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리기설에 있어서 리와 기의 일물설을 비판하고, 리와 기의 차이점을 구분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격물과 물격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도 퇴계의 理到學을 계승하여, 格物을 손님을 청하는 것으로 物格을 손님이 오는 것으로 비유하고 있다. 사단칠정론에 있어서는 사단을 칠정의 일부로 보지 않고, 양자를 구분해서 보려는 입장이다. 칠정도 형기가 아니라 성명에서 나오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성인의 경우에 가능하고 일반인들에게는 어렵다고 인식한다. 공부론에 있어서는 存養은 靜時의 공부만이 아니라, 靜時와 動時를 겸한 統體 공부라고 인식한다. 공부는 성인의 경서에 대한 세밀한 학문적 탐구의 과정을 거쳐서 높은 단계의 정신 경지를 지향해야지, 그러한 과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깨달음을 추구하는 것은 안 된다고 여겼다. 우복은 선조대부터 시작하여 광해군을 거쳐 인조대까지 벼슬을 하였다. 그 중 광해군 때에는 시련이 많았고 낙향하여 은거하기도 하였으나 인조대에는 중용되어 대제학·대사헌·이조판서 등의 고위직을 역임하였다. 특히 우복은 선조대부터 경연관으로 명성을 날렸으며, 인조대에는 8년에 걸쳐 장기간 경연에서 경서를 강의하면서 국정을 논하는 기회를 가졌다. 우복의 경세론은 그가 올린 상소문과 경연강의를 통해서 살펴볼 수가 있다. 광해군에게 올린 상소를 보면 우복은 민생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국가, 왕실이) 절검을 해야 하고, 인재의 선발과 등용이 공정해야 하며, 군주의 일심을 바르게 하기 위한 수양과 학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인조가 반정에 성공하고 나서 올린 『弘文館 八條箚」에서는 ``큰 뜻을 세울 것``, ``성학에 힘쓸 것``, ``종통을 중시할 것``, ``효와 경을 다할 것``, ``간쟁을 받아들일 것``, ``보고 듣는 것을 올바른 계통을 통해서 할 것``, ``궁궐의 법도를 지킬 것``, ``백성들의 인심을 안정시킬 것`` 등을 건의하였다. 정묘호란을 겪고 나서 올린 『玉堂論時務箚』에서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는 총포가 중요함을 강조하고, 총포 사수 1만 명을 양성하고, 조총 1만 정을 구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우복은 예론에서는 명분과 실제를 조화시키려는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아동교육에 필요한 예절과 관련하여 『養正篇』을 편저하였으며, 고금의 상례를 모아서 『喪禮參考』를 지으려 했으나 완성하지 못했고, 禮記에 대한 연구가 포함된 『思問錄』을 저술하였다. 요컨대 우복은 17세기 초반 예학 및 성리학 발전에 기여한 학자이면서, 동시에 생리학적 철학과 경세론을 실천으로 옮긴 모법적 관료이자, 민본주의적인 경세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서인 학자와의 교류를 통해서 퇴계학을 서인에게 이해시키려고 노력하는 등 학문적 교류와 소통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Ubok(愚伏) Chung Kyung-se(鄭經世, 1563-1633) was a prominent official and scholar in the middle Chosun Dynasty. He was a leading disciple of Ryu Sung-ryong, whose mentor was Toegye Lee Hwang. Ubok represented the scholarly and political position of Nam-in(南人, Southern factio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hilosophy and Politics of Ubok Chung Kyung-se. In Li(理)-Qi(氣) philosophy, Ubok basically follows the philosophical theory of Toegye. According to Ubok, Li can not be one thing with Qi. The metaphysical characteristic of Li i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material nature of Qi. In regard to the meaning of Gyeokmul(格物) and Mulgyeok(物格), he explains it as follows. If one investigates the principles of things, the principles of things arrive at one`s mind. This can be compared to inviting a guest. If one invites a guest, then the guest comes. Ubok recognizes the active aspect of Li. Regarding the way of self cultivation, the specific course of classical study is an essential step to attain the noble spirituality of the sage. With regard to politics, Ubok thinks the self-cultivation of ruler is most basic and important for good government. Preserving ruler`s mind and scholarly learning are two essential ways to self cultivation. Besides self cultivation, he emphasizes the financial retrenchment and just personnel administration. In addition to Li-Qi philosophy, Ubok had much interest in the ritual. In line with Kim Jang-saeng, he had led the era of ritual study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the practice of ritual, Ubok pursued the harmony between ritual norms and current customs. Ubok communicated with scholars from opposite school. Through academic exchange with Seo-in (西人, Western faction) scholars. Ubok made an effort to understand the scholarly position of other school and to explain his school`s theory of New-Confucianism toward Seo-in. Ubok not only have developed Korean Neo-Confucianism, but also have played the exemplar role of Neo-Confucian officia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관자(管子)』의 철학사상 연구

        장승구 ( Seung Koo Ja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5

        『관자(管子)』는 춘추시대 명재상 관중의 언행과 사적을 토대로 하여 전국시대 제나라 직하학궁의 관중학파 학자들의 저작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관자』는 부국강병을 이념으로 정치·행정·법·경제 등 경세와 관련된 내용이 많지만 철학적 내용도 풍부하다. 『관자』에서 도는 만물을 이루는 근본적 요소이면서 만물을 규정하는 원리이다. 도는 형상이 없으므로 감각적으로 파악할 수도 없고 언어로 충분히설명할 수도 없다. 도는 무형성, 편재성, 불변성, 무위성을 특성으로 한다. 「심술상」에 의하면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음이 안정되고 다스려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양이 필요하다. 안으로 고요하고 밖으로 공경을 유지하면[內靜外敬] 본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한다. 『관자』는 이익을 추구 하고 생존·안전·안락·부귀를 원하는 인간 본성을 긍정하며 이러한 본성 의 기초 위에 정치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윤리사상에서는 네 가지 덕목으로 ‘예·의·염·치’를 중시하며, 중과 겸허의 덕을 강조한다. 군주는 법치의 확립을 위해 무엇보다 신뢰를 지키고 공정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천하의 세상을 다스리고 만사를 판단 하는 기준은 법이라고 인식한다. 군주가 법을 잘 집행하기 위해서는 권세를 지니고 술수를 겸해야 한다. 그러나 법 이외에도 도덕과 예의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일정하게 인정하여 예법병용(禮法幷用)의 입장을 취하고, 법의 근거를 도에서 구하는 도법결합(道法結合)의 특성을 보여준다. 『관자』의 철학은 현실의 실용적 목적을 위해 도가의 도, 유가의 예의, 법가의 법을 아우르는 융합적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관자의 철학은 직하학궁에서 연구하였던 순자의 사상에도 큰 영향을 주었으며, 유가와 도가 중심의 중국철학사에서 제3의 대안적 사상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hilosophical thought in Guanzi. The authorship of Guanzi is unknown.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some parts of Guanzi are regarded as the records of Guanzi`s words, deeds, and policy, while other parts are collections of essays written by scholars who respected Guanzi in Chi-hsia Academy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Guanzi, the Way is the most fundamental substance as well as the principle. The Way is intimately related to ch`i. According to Guanzi , it is necessary to obey the Way in order for human being to succeed. In ethics, the virtues of propriety, righteousness, integrity and honor are four social ropes to maintain national system. In Guanzi, ethics is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order and national development. The concept of mind is compared to the position of prince in the nation. The mind is to be cultivated to rule well the functions of body organs. In the cultivation of mind, the attitude of innner qing (靜) and outer gyung(敬) is required. In the theory of human nature, Guanzi perceives human nature as being pursing self interest. With regard to governance, it is most important to establish legal system. Under impartial legal system, the nation could be prospered and the people could be benefited. In conclusion,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of Guanzi is the combination of the Way, morality, rituals and the law. Through the harmony of these thoughts, Guanzi pursued to construct the rich and powerful country.

      • KCI등재

        정약용의 윤리교육론

        장승구 ( Jang Seung-ko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정약용은 주자학에 대한 비판을 통해 새로운 사상체계의 정립을 시도하였다. 다산의 사상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는 윤리사상에 관한 것이다. 다산은 윤리사상뿐 아니라 윤리교육에 대해서도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유배지에서 인근의 아동들을 모아서 교육하는 가운데 『제경(弟經)』을 편찬해서 가르쳤다. 다산은 『소학(小學)』이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데 있어서 일부 문제가 있다고 여겨서 『제경』을 편찬하였다. 『제경』은 『소학』에 비해 내용이 간결하고, 철저하게 아동중심의 교재이며 일상생활의 실천예절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부모·스승·어른에 대한 예절, 일상에서의 음식예절, 남녀 사이의 예절 등을 포함하고 있다. 비록 내용이 『소학』의 범위를 크게 벗어난 것은 아니지만, 합리적인 내용을 선택하였으며 실천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실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산은 논어·맹자·대학·중용 등 사서(四書)에 대해서도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다산의 사서에 대한 새로운 해석서도 넓은 의미의 윤리교육의 교재로 볼 수 있다. 다산은 사서의 핵심적인 윤리적 원리가 서(恕)라고 보았다. 따라서 성인을 위한 윤리교육에 있어서는 서(恕)라는 윤리적 원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겼다. 그리고 다산은 도덕적 마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제(上帝)의 존재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마음 수양을 위해서는 늘 상제(신)의 존재를 의식하고 경외(敬畏)하는 계신공구(戒愼恐懼), 그리고 혼자만이 아는 것에 대해서도 삼가는 신독(愼獨)이 매우 중요하다고 이해하였다. 다산은 윤리교육의 궁극적 근거와 기초를 형이상학적 태극이 아니라 인격적 상제의 존재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것은 상제의 존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설득력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를 남긴다. Jeong Yak-yong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philosophical system through the criticism on Neo-Confucianism. The most important area among the ideas of Dasan is on the ethical thoughts. He has a tremendous interest in the ethical education as well as ethical thought. During his exile, he gathered children around and educated them by editing 『Jegyeong(弟經)』. Dasan regarded 『Sohak(小學)』 to have some problems in educating children. Thus, he reconstructed the contents of 『Sohak』 and edited 『Jegyeong』. 『Jegyeong』 is more concise than Sohak and is a textbook focusing on children which is mainly composed of practical etiquette in the everyday life. It contains etiquettes to parents, teachers and adults, etiquettes on food in the everyday life and etiquettes between men and women. Although the contents does not exceed the scope of Sohak, he selected reasonable contents and composed with practical contents. Thus, it is practical. Dasan also attempted to make a novel interpretation on Saseo (四書), i.e., Noneo, Maengja, Daehak and Jungyong. His new interpretation on Saseo can be considered as ethical textbooks in a broad sense. Dasan considered the key ethical principle of Saseo (四書) to be Seo (恕). Accordingly, he thought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nd practice ethical principle of Seo (恕). Dasan studied and annotated 『Simgyeong(心經)』 and 『Sohak(小學)』 for self moral discipline. And, he thought it is utmost important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existence of Sangje (上帝) in order to keep moral mind. He believed it to be important to have Gyesingonggu (戒愼恐懼), which is to aware and respect the existence of Sangje (god) for self discipline and Sindok (愼獨) to be cautious about things that only he was aware of. He thought that if people are aware of Sangje (上帝) and make dialog with Sangje, the will of Sangje could be expressed into Dosim (道 心). In the ethical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ultimately, the awareness on the absolute being is the most important point to Dasan.

      • KCI등재후보

        다산 정약용과 민주주의

        장승구 ( Seung Koo Ja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6

        한국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 드물게도 산업화와 민주화를 모두 성취하였다. 한국이 비교적 짧은 기간 안에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데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일까? 한국의 전통문화와 유교사상에 민주주의적 요소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조선 유학자 가운데 진보적 지식인에 속하는 다산정약용(1762~1836)의 사상에 나타난 민주주의적 측면을 고찰하고 그것의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산에 의하면 인간은 타고난 기질의 청탁 여부와 관계없이 도덕적 실천에 있어서 평등한 가능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다산은 인간이 타고난 기질이나 신분의 고하와 관계없이 상제의 자녀로서 평등하고 존엄한 존재라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원목.을 통해 정치지도자나 정치권력에 대해서 민이 존재론적으로나 가치론적으로 우선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옛날에 정치지도자는 백성들의 사회적 필요에 의해서 아래로부터 추대된 존재에 불과하고, 법도 본래는 백성들의 여망에 따라 제정되었다고 한다. .탕론.에서는 왕이 민을 위해서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면 그 자리에서 물러나게 할 수 있다고 하여 탕과 무왕의 혁명을 정당한 행동이라고 평가한다. 다산에 의하면 고대 오제의 시대에는 권력이 혈연에 따라 세습되는 것이 아니라, 덕이 있고 공이 있는 사람에게 선양되었다고 한다. 다산은 토지 사유에 따라 빈부격차가 심화되는 것을 보고 토지제도의 개혁으로 경제적 가치를 고르게 향유할 수 있는 경제민주화 문제에도 큰 관심을 가졌으며, 과거제도와 교육제도 개혁으로 지역, 문벌, 신분의 차별을 초월하여 국정에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다산의 정치사상을 현대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보면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유교 사상과 다산 사상에 내재된 민주주의적 속성이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잠재력을 제공한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mocratic aspects of Tasan Cheong Yagyong(1762~1836)``s thought. Among Asian countries Korea had rarely succeed not only in economic industrialization but also in political democratization. How can this phenomenon be explained? Confucianism had given an important cultural ground in accepting democracy. Tasan was one of the most democratic thinkers in the Chosun Dynasty.According to Tasan, the supreme being is not abstract principle but Sangje(上帝). For Tasan all human beings are equally the children of Sangje. Tasan emphasized human equality and dignity. For Tasan the rulers originally had been authorized not by the decree of heaven, but by the people. For this reason, rulers exist for the sake of the people. The purpose of rulers is to serve the people. If rulers don``t play their proper roles for the people, they could be replaced by other right persons. According to Tasan, in the ancient period of Five Great Emperors(五帝), only virtuous and benevolent men could succeed to the throne. Tasan emphasizes that rulers and government officials should serve the people. If rulers forget their duty and oppress the people, to resist or to replace them is a right action. In addition, Tasan placed importance on the economic balance among the people and the equal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government service. On the one hand Tasan had a democratic vision from the ideal point of view, and on the other hand Tasan had much interest in the planning of pragmatic policy to improve the people``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In this regard Tasan``s thought has an affinity with democracy.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인물성동이논쟁과 환경윤리

        장승구 ( Seung Koo Jang ) 한국환경철학회 2015 환경철학 Vol.0 No.20

        호락논변(湖洛論辨)은 조선후기 최대의 중요한 철학논쟁이었다. 인물성동이 문제는 미발문제와 함께 호락논변의 주요 논제였다. 호론(湖論)에 따르면 사람은 오상(五常)의 전부를 갖추고 있지만 동물은 일부의 동물만이 오상 가운데 하나만 지니기 때문에 사람과 동물의 성은 다르다. 반면에 낙론(洛論)에서는 사람과 동물은 오상이라는 리를 함께 부여받았으므로 그 성이 같다고 한다. 다만 타고난 기의 질에 따라 부여된 오상의 구현에 차이가 있어서 사람은 온전히 구현하지만 동물은 그렇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호론과 낙론은 사람과 동물의 성에 대해 서로 다르게 이해하고 있다. 호론에서는 사람이 지니고 있는 오상과 같은 고귀한 도덕적 가치를 동물과 공유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취한다. 호론에서는 동물의 성이란예컨대 소는 밭을 갈고 말은 달리는 것과 같은 것일 뿐이라고 여긴다. 반면에 낙론에서는 사람만이 아니라 동물도 원리적으로 또는 잠재적으로 오상과 같은 도덕적 본성을 지닌다고 본다. 낙론의 입장에서는 사람은 원리적으로 도덕적 본성을 지닌 동물을 함부로 학대해서는 안 된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사람은 동물에 대해서도 그 이익을 존중해줄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윤리의 관점에서 보면 호론과 비교할 때 낙론의 입장이 동물의 권리에 대해 훨씬 더 적극적 태도를 취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리학의 인물성동이 문제가 호락논쟁을 통해서 크게 부각되어서 금수칠정론과 인물심동론, 인물균론으로 까지 발전하게 된 것은 환경윤리적으로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Horak (湖洛) deba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hilosophical disput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One of the main issues in the Horak debate is whether the nature of animals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nature of man. Horon (湖論) contends that the nature of animals is not the same as that of man. Because man is endowed with the Five Virtues (五常) as nature from Heaven while only few animals are endowed with one of the Five Virtu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ir qi (氣). In contrast, Nakron (洛論) takes the position of claiming that animals also share the same nature of principle as man. Although both man and animals are equally endowed with the nature of Five Virtues, animals`` realization of the Five Virtues is restricte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qi with which they are born. The point of the dispute is on how the meaning of (original) nature is understood. Horon understands nature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pure principle, the nature of both man and animals is the same. Second, looking at principle with relation to qi, man``s nature is not the same as that of animals.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principle mixed with qi, not only is man``s nature not the same as that of animals, but each man``s natur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qi each is endowed with. Horon considers the second perspective to be true (original) nature, that the (original) nature is different between man and animals. Nakron explains nature from two perspectives. The first perspective is of one original root in which the nature of both man and animals is the same. All living beings are endowed with the principle of Five Virtues. The second perspective involves diverse embodiment: Not only is man``s nature not the same as that of animals, but every human being``s nature i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qi of each individual. Nakron perceives (original) nature from the first perspective, and regards nature is the same between man and animals. Horon does not agree with sharing the Five Virtues with animals, because the Five Virtues are noble values that make man a moral being. For Horon, cow``s nature is in just plowing. And the nature of a horse is in just galloping. But for Nakron, not only are human being but also all animals are endowed with the same principle of Five Virtues. In the perspective of Nakron, animals should not be cruelly treated as a means by human beings because they, too, have been endowed with the Five Virtues. Rather, animals should be respected by human beings. In terms of environmental ethics, Nakron``s view on the nature of animals is more in line with animal rights advocates than Horon``s view.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자기치유와 행복관

        장승구(Jang Seung Koo)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39 No.-

        다산 정약용(1762~1836)은 유배시기에 크나큰 위기와 고통을 겪으면서 많은 트라우마가 있었지만 그것을 성공적으로 치유하고, 어려움 속에서도 행복을 구현하였다. 이 논문은 다산의 자기치유 방법과 행복관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산은 『주역』 연구를 통해 사물의 변화 법칙에 대해 달관함으로써 현재의 어려움이 영원하지 않고 즐거움으로 반전될 수 있음을 알고 마음의 여유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글쓰기와 저술을 통해 경세에 대한 관심을 저술로 표현함으로써 간접적으로나마 자신의 경세에 대한 꿈을 실현하여 자기치유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많은 시련을 겪은 역사적 인물의 삶을 돌아봄으로써 유배지에서 자신의 고통을 상대화 객관화 시켜서 조망함으로써 고통스런 시련을 자기 단련의 계기로 이해하였다. 또한 다산은 유배시기에 주위의 아름다운 자연을 완상하는 것을 통해서 자연의 아름다움으로 마음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상제는 언제나 어디서나 마음속에서 대화를 통해 다산의 상처를 위로하고 희망을 갖게 한 존재였다. 다산에 있어서 진정한 행복은 도심(道心)에 따라서 살아가는 도덕적 삶이다. 도덕적 삶은 의무이기도 하지만 진정한 기쁨을 가져다주고 행복으로 인도한다. 그 외에도 독서나 학문적 탐구를 통한 지적 만족, 자연의 아름다움을 즐김도 행복의 중요한 원천이다. 다산은 복을 열복(熱福)과 청복(淸福)으로 나눈다. 열복은 세속적 부귀와 영화를 누리는 복이고, 청복은 자연과 전원 속에서 자유로움을 누리는 복이다. 다산은 청복이 더 가치 있다고 여긴다. 실학자로서의 다산은 백성을 위한 공공의 행복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백성의 행복을 위한 제도적 구조적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w Dasan Jeong Yak-yong developed self-healing and his perspective of happiness during the hardest point of his political and social career. Just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 (正祖, reign. 1766-1800) the arrest and persecution of those who accepted Christian knowledge from the West began. Among them were Jeong’s family members and friends. Jeong, who had learned but had not accepted Christianity as a religious belief, was exiled to Ganggin 康津 in southern Jeolla Province where he was to spend the next 18 years. The two things that helped Jeong through his exile were the Book of Changes 易經 and his commitment to the study of Confucian thought, political, and social reforms. His life-long commitment to writing and his progressiv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changes of the universe in the Book of Changes, represented processes of self-healing and cultivation, depriving Jeong of self-pity and enabling him to attain the highest level in self-realization. According to Jeong, there are two kinds of happiness; “secular happiness” (yeolbok 熱福) related to power and wealth, and “pure happiness” (cheongbok 淸福), a free and idyllic life. For Jeong, the latter was more valuable than the former. Jeong believed that life pursing ethical virtues only could bring authentic joy to people. Furthermore, his devotion to the issues of systematic, social reforms was out of his desire to bring the public happiness by “practical learning”, silhak 實學.

      • 류성룡과 이이의 사상과 경세론 비교

        장승구 ( Jang Seung-koo ) 서애학회 2023 서애연구 Vol.7 No.-

        Ryu Seong-ryong(1542~1607) and Yi Yi(李珥, 1536~1584) were the two most representative administrators and philosophers of the late 16th century Joseon. As the most prominent scholars and statesmen, the two played leading roles in the intellectual and political world of the time. As contemporaries, they hav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ideas and political theories. This article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Ryu Seong-ryong and Yi Yi’s philosophical ideas and statecraft theories. In terms of philosophical ideas, as a loyal following of Zhu Xi (朱熹, 1130-1200) Neo-Confucianism, Yi Yi was fundamentally opposed to Lu Jiuyan’s (陸九淵, 1139-1192) position. By contrast, Ryu Seong-ryong was a cutely aware of the limitations of Zhu Xi’s learning while recognizing its values. Particuarly, Ryu Seong-ryong was not completely convince of Zhu Xi’s theory of investigation of things and extension of knowledge, the fundmaental core of Neo-Confucianism. While being critical of Lu Jiuyan and Wang Yangming’s learning, he thought it was necessary to absorb the strengths of their approaches in terms of self-cul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