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성복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Internet is a kind of media characterized by wider dissemination and higher ratio of arrivals at users. While newspapers, TV, radio, magazines, etc., dominated the 20th century, Internet must represent the 21st-century media. Unlike the conventional mass media delivering the advertising messages one-way to consumers, Internet allows for a targeted customized advertising, which differentiates it most clearly from the conventional media. In addition, since a variety of advertising techniques on Internet are being tested and developed, consumers are exposed to innumerable types of advertisements flooding the Internet web pages. In fact, most of the advertisements on Internet adopt the 'CPM' (cost-per-thousand) mode whereby advertisers pay for each 1,000 clicks. As data transmission speed and compression technology ever develops dizzily, it is deemed necessary to research into the contextual ads, among the diverse advertising techniques, served by major portals in Korea. 'Contextual ads' is a kind of advertising technique using a robot to analyze various on-line website contents and opt for the advertisements most fitting the nature of the contents or the most relevant ones. 'Contextual ads' which are not available on ordinary banner or keyword advertisements are now served by Google (AdSense), Overture (Contents Match), Daum (Clicks), Naver (SmartLink), etc. Contextual ads provide users with higher-relevant informative advertisements than the conventional searching ones, while allowing advertisers to select one among diverse advertising t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uch contextual ad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mparatively analyzed contextual and other ad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ds, products and their buying intention between the two, and thereby, tested the interactions among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ds and products and their buying intention depending on their involvement in contents and products. 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on-line ads and then, categorized them into 2 types of contextual ads and 4 types of other ads (total 6 types) to design test websites for a questionnaire survey. The test web sites were transmitted via email to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each participant was exposed once to only a single type of ads. Thus, 240 college students divided equally into 6 groups were exposed to each of 6 types of ad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processed for T-test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ontextual ads were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other ads in improving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ds and products as well as their buying intention. When they were exposed to an informative ad relevant to contents, consumers were more likely to show a positive response with more buying intention.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contextual ads of higher involvement in contents were more significant than other ads in terms of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ds and products and their buying intention. And the higher the involvement in contents was, the involvement in product was higher. On the other hand, although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d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contextual and other ads in case of high involvement in products, their attitudes towards product and buying intention differed significantly. Thus, contextual ads were proven more effective media than other ads. This study attempted to measure the value of contextual ads as new and effective advertising technique, because they are served by major portals despite their shorter history, and thereby, proved through objective assessment that they are more effective than other ads in terms of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ds and products and their buying intention.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duce to Internet marketers' on-line advertising performance and effects. 인터넷은 그 특성상 전파성이 크고 이용자에 대한 도달율이 높은 매체이다. 신문, TV, 라디오, 잡지 등이 20세기를 지배했던 매체들이라면 인터넷은 21세기를 대표하는 매체임에 틀림없다. 인터넷은 일방적인 광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존의 매스미디어와는 달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타겟(Target)지향의 맞춤광고가 가능하다는 점이 기존 매체와 가장 큰 차별점이다. 광고기법 또한 다양한 시도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어. 소비자들은 여러 가지 형태의 인터넷 광고가 웹페이지의 상당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인터넷 홍수 시대를 살고 있다. 인터넷 광고 대부분이 CPM(cost-per-thousand) 즉, 1000번의 노출에 대해 광고비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소비자의 클릭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해가 갈수록 데이터 전송속도와 압축기술 또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는 가운데, 다양한 광고기법 중 최근 국내에서 포털을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는 문맥광고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문맥광고(contextual ads)란 웹사이트의 각종 온라인 콘텐츠를 로봇이 분석하여 콘텐츠의 성격에 가장 맞는 관련성(relevance)이 높은 광고를 보여주는 기법이다. 일반 배너광고나 키워드광고에서 제공되지 않는 방식으로써, 구글(애드센스)과 오버추어(콘텐츠 매치), 다음(클릭스), 네이버(스마트링크) 등이 실시하고 있다. 문맥광고는 이용자들에게는 기존 검색 광고에 비해 연관성이 뛰어난 정보성 광고를 자연스럽게 제공하고, 광고주들에게는 보다 다양한 광고 수단을 제공하는 일석이조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맥광고의 효과측정을 위해 문맥광고와 비 문맥광고를 비교 분석하여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향의 차이를 규명하고, 콘텐츠 관여도와 제품관여도에 따라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향에 어떠한 상호작용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문맥광고의 유형 2가지와 비 문맥광고에서 4가지, 총 6가지로 나누어 실험용 웹사이트를 만들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20대 대학생으로 이메일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설문 참여자에게 하나의 유형을 보여주어 한번만 참여게 하는 방식으로 각각 40명씩 총 240명에게 유형별 6가지 설문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설문을 통한 결과는 t 검정을 통한 검증과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통해 검증되었다. 설문결과 문맥광고는 비 문맥광고보다 인터넷 이용자의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콘텐츠의 내용과 연관성 있는 정보성 광고가 노출되었을 때, 소비자들은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구매의향도 함께 높아졌다. 또한 콘텐츠 관여도가 높은 문맥광고가 비 문맥광고 보다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콘텐츠의 관여도가 높으면 제품에 대한 관여도도 함께 높아짐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제품관여도가 높은 문맥광고에서는 비 문맥광고보다 광고태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기각되었지만, 제품태도와 구매의향은 높게 나타남으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지되었다. 이를 통해 문맥광고가 비 문맥광고 보다 효과적인 매체임이 증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인터넷 문맥광고의 시작은 짧지만, 대형포털 위주로 실시되고 있는 문맥광고의 측정을 통해 새로운 광고기법으로써 효과적인 매체로서의 가치를 측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문맥광고가 비 문맥광고보다 효과적임을 입증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터넷 광고 업무에 종사하는 마케터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매체 집행을 돕고, 더 큰 광고효과를 끌어낼 수 있는 지표가 되리라 기대한다.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performance of financial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during the past 20 years and proposes the promisable research work of financial management in future. In order to analysis the performance of financial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during the past 20 years, we collected business administration journals which carried financial management articles. The business administration journals that we collected are Korean Management Review, Daehan Journal of Business, The Korean Journal of Finance,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The collected financial management articles are classifi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intention. In order to propose promisable research work of financial management in future, we compared research performance about financial management in Korea with the research performance about that in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research performance in USA was deducted from the classification of articles carried in the Journal of Finance published by the American Finance Association. The finding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the financial management article in terms of research subject is inclined to security matters when compared with the case of USA. Therefore the article about corporate finance, financial policy should be more published in future. Second, the tendency of the financial management article in terms of research method is inclined to statistical methods similar to the case of USA. We propose that the researcher of financial management in Korea should we qualitative analysis more widely when completing his articles. Third, the tendency of the financial management article in terms of research intention is inclined to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when compared with the case of USA. We propose that the researcher of financial management in Korea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 advancement of financial management theory.
A Study on the Educational ministry for the integration of newcomers of Small Korean Church Jang, Seong bok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sin University Abstract In Korea, approximately 3,000 churches—five percent of all churches—close down each year. This can be seen as a crisis of the Korean church, which means a crisis of small churches because 85% of Korean churches are small churches. In addition, most of the churches that close are new churches or financially dependent churches. Moreover, the survival of small churches is directly related to church growth. While small churches with few resources struggle, larger churches with both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are able to sustain themselves and even grow. The essential requirement for resolving this crisis of small churches is the integration of newcomers into the church. While all pastors strongly desire that newcomers be fully integrated into the life of the church, this should take an even higher priority for smaller churches. All small churches make efforts to integrate newcomers, however, most research on the integration of newcomers is modeled on larger churches that have sufficient growth and may not apply to small churches. Therefore, a wide range of practical, small-church specific strategies for integrating newcomers is needed.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hysical growth of Korean churches should be found within the essence of the church. Therefore, educational ministry is proposed as the location of the solution. Educational ministry is an essential aspect of pastoral care, applying educational principles to the primary ministries of the church—worship (Leiturgia), preaching (Kerygma), service (Diakonia), fellowship (Koinonia), and education (Didache). Therefore, as a solution to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newcomer-integration strategies for small Korean churches based on an educational ministry approach. 한국 소형교회의 새가족 정착을 위한 교육목회 방안 장 성 복 고신대학교 대학원 기독교교육학과 국문 초록 최근 한국 교회의 20분의 1정도에 해당하는 약 3,000교회가 해마다 문을 닫는다. 하루에 대략 8개의 교회가 문을 닫는 셈이다. 이와 같은 상황은 한국 교회의 위기 상황으로 여겨질 수 있다. 한국 교회의 위기는 소형교회의 위기를 뜻한다. 한국 교회의 85%가 소형교회이고 문을 닫는 교회의 대다수가 개척 교회 및 미자립교회이기 때문이다. 한국 교회의 위기 가운데 인적, 물적 자원을 가진 중대형교회는 유지, 성장을 하지만 열악한 상황에 있는 소형교회에게 성장은 교회의 존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특별히 소형교회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 필요하다. 소형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 바로 새가족 정착이다. 새가족 정착은 영혼 구원의 사명을 가진 모든 교회의 최대 관심사이자 소형교회 사역의 핵심이다. 소형 교회들마다 새가족 정착을 위하여 노력을 기울이지만, 새가족 정착을 위한 연구의 대부분이 성장을 이룬 중대형 교회를 모델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교회가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소형교회의 상황을 고려하여 새가족 정착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이를 위해 ‘교육 목회’를 적용하였다. 소형교회의 상황을 고려하여 새가족 정착을 목표로 예배, 선포, 봉사, 교제, 교육의 영역에서 구체적 적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 방안으로, 예배에서는 세대통합예배를, 선포에서는 복음 설교와 복음전도를, 교제에서는 새가족 환영회를, 봉사에서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라는 프로그램을, 교육에서는 새가족 양육과 자녀신앙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연구자의 제안이 다양한 목회적 환경에 처해있는 한국의 모든 소형교회에 적용할 수 있는 해결책은 될 수 없다. 하지만 한국의 소형교회의 상황을 최대한 반영할 뿐 아니라, 교육목회의 관점에서 총체적인 목회 사역이 새가족 정착을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소형교회 목회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새가족 정착을 위한 총체적인 목회 사역의 접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장성복 慶星大學校 貿易大學院 1990 국내석사
The equity method is a method of accounting for investments. An investor using the equity method initially records an investment at cost. Subsequently, the carrying amount of the investment is increased to reflect the investors share of income of the investee and is reduced to reflect the investors share of losses of the investee or dividends received from the investee. The investors share of the income or losses of the investee is included in the investors net income as the investee reports them. Adjustments similar to those made in preparing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such as elimination of intercompany gains and losses and amortiz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cost and underlying equity in net as-sets, also are applicable to the equity method. Under the equity method an in-vestment in common stock is generally shown in the balance sheet of an investor as a single amount. Likewise, an investors share of earnings or losses from its investment is ordinarily shown in its income statement as a single amount. This thesis requires that an investor use the equity method to account for investments in corporate joint ventures. This thesis also requires use of the equity method to account for other investments in common stock if the investor has the ability to exercise significant influence over operating and financial policies of the investee enterprise. That ability is presumed to exist for investments of 20 percent or more and is presumed not to exist for investments of less than 20 percent; both presumptions may be overcome by predominant evidence to the contrary.
장성복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현대 사회는 정보화 사회이다.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수많은 정보 속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아내며 그 정보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때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최근 들어 우리 나라에서도 학습자의 독해 능력향상에 목적을 둔 여러 가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주로 읽기 자료의 종류에 있어서 설명문을 위주로 한 연구일 뿐, 현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 안에 수록된 이야기글·주장하는 글·설명문·관찰기록문 등의 다양한 종류의 글을 직접 적용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해 전략으로서의 정교화 전략을 이해하고 현장에서 실제의 교과서를 활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정교화 전략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읽기 교수-학습에 적용해 본 후 정교화 전략을 활용한 읽기 지도와 독해력과의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교화 전략이란 학습자가 읽은 글을 잘 이해하고 그 내용을 오랫동안 잘 기억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 중심의 효과적인 독해 전략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는 학습할 자료들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학습자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경험이나 사전 지식을 활용하여 학습할 내용에 추가적으로 정보를 첨가하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삭제하거나, 글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심상화하여 머리 속이나 종이 위에 그려보는 등의 활동들로 이루어진 전략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 제 6차 국어과 읽기 교과서에 제시된 읽기 자료를 가지고 Anderson이 제시한 독해 지도의 3단계에 따라 정교화 전략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정교화 전략 프로그램에 '요약하기' 활동을 추가하여 재구성하였다. 즉, 읽기 전 단계로는 '먼저 생각하기', 읽는 중 단계로는 '심상 만들기', '사전 지식과 연관시키기', '중요한 내용에 밑줄 긋기', 읽은 후 단계로는 '요약하기', '질문 만들기'의 활동을 넣어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교화 전략 활동을 통한 읽기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집단간의 아동의 회상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정교화 전략 활동을 통한 읽기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집단간의 아동의 요약하기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정교화 전략 활동을 통한 읽기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집단간의 아동의 추론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위 문제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서울시 강남구 S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7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구성하고, 1998년 3월 19일부터 4월 18일까지 5주 동안 실험 집단에게는 정교화 전략을 활용한 읽기 지도를, 통제 집단에게는 교사용 지도서에 따른 평소대로의 일반적인 읽기 지도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 표준화 학력 진단 검사를 활용하였으며, 독해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 회상 능력 검사, 요약하기 능력 검사, 추론 능력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의 t-검증으로 통계 처리 하였다. 이상과 같은 실험에 의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교화 전략을 활용한 읽기 지도를 통하여 아동의 회상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그 향상 정도로는 정교화 전략을 활용하지 않은 집단과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정교화 전략을 활용한 읽기 지도를 통하여 아동의 요약하기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그 향상 정도로는 정교화 전략을 활용하지 않은 집단과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정교화 전략을 활용한 읽기 지도를 통하여 아동의 추론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그 향상 정도로는 정교화 전략을 활용하지 않은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정교화 전략을 활용한 읽기 지도가 아동의 독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정교화 전략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reading skills of students and utilize the experimental method and to find the relations between the reading instruction using the elaboration strategies and the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e elaboration strategies are one of the efficient methods for comprehending and remembering the text. There are many activities such as generating mental imagery, describing how new information relates to existing knowledge, creating analogies, making question and answering, and summarizing as a elaboration strategies. The detail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alling between the group which is receive the reading instruction using the elaboration strategies and the other group which isn't?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mmarizing between the group which is receive the reading instruction using the elaboration strategies and the other group which isn't?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erring between the group which is receive the reading instruction using the elaboration strategies and the other group which isn't?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3 students of two fifth-grade-classes at S elementary school, Kang-nam ku, Seoul. One class as a experiment group has been receive the reading instructions using the elaboration strategies, 15 rounds concerning 30 pieces of learning material during 5 weeks. And the other class as a control group has been receive the usual reading instructions. The free recalling test, the summarizing test, and the inferring test are carried out in order to check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 group with the reading instruction using the elaboration strategi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call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The experiment group with the reading instruction using the elaboration strategi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improvement in summariz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The experiment group with the reading instruction using the elaboration strategi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ferr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importance and need for teaching strategical reading skills, and the need to develop the various forms of teaching strategies.
웹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성격 특성과 교류활성 기억체계가 개인 창의성과 직무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Recently, as creativity is considered as one of critical factors to determine individual ability in working area, companies have invested lots of time and money to improve creativity of their employees expecting greater performance. Generally, in the view of organizations, creativity regarded as competence or ability of members has an important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many researchers support this fact. Adding to evidences of previous studies which say that creativity has a direct influence on perceived job performance, this stud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 between a web creative specialist group’s work and achievements in the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and research problems and hypotheses were extracted to find what influence do the members’ personality factors and transactive memory system working through mutual information exchange have on manifestation of creativity and to examine the cause and effect process between job performance and perception. In order to do thi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preserving and expanding categories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perceived job performance, the influence of these on the web contents creator’s personality factors and transactive memory system were examined. The aim of the main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measure—with consideration of the distinctiveness of the web—the web contents creator’s creativity and perceived job performance, the previous standards were supplemented and expanded to determine their influence on creativity and perceived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personality factors and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 Second, to determine what influence the web contents creator’s personality traits have on creativity. Third, to determine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s influence on creativity. Fourth, to confirm the influence the web contents creator’s creativity and perceived job performance. Fifth, to determine if the web contents creator’s personality traits and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perceived job performance and the web contents creator’s creativ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bove goals, seven hypotheses were set and to investigate this study, a survey coded through the web was conducted to current male and female web contents creators from October 6th, 2014 to the 13th. Out of the 311 answerers, answers from 304 answerers excluding unreliable answerer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gathered data were put through factor analysis to determine the construct validity and measurement reliability.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ut of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only dilig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eb contents creator’s creativity. Also, it was found that out of elements constituting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 expertise and work adjustment except reliability had an impact on the web contents creator's creativity.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out of the personality factors of the web contents creator, dilig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job performance, but nervousn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erceived job performance. It was shown that out of the factors constructing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 excluding reliability, higher professionality and work adjustment more increased the web contents creator’s creativity. In detail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s on the web contents creator’s creativity and perceived job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knowledge and creative acti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achievements, and also as a result of proving mediating effect of creativity, the web contents creators' creativity plays a mediating role in impacts of friendliness and diligence out of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expertise, reliability and work adjustment on perceived job performance. Such research results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supplement and expansion of the previous standard for the measurement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perceived job performance that takes the web’s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providing meaningful implications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and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 from web creativity to web contents creator. Furthermore, in regards to the manifestation of creativity, by showing the influential relations of personality factors and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 on the individual’s creativity with actual evidence, the fact that creativity is very important in enhancing perceived job performance was confirmed. This study took up concepts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and expanded them to the web and contemplated and determined multi-dimensionally the rel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a web creative specialist group’s work and achievements, and thus has academic significance. This provides new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es in terms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perceived job performance, and by newly finding the relations between one creator’s creativity enhancement and the related constructive elements, has significance in becoming the starting point for future researches on this subject.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enhance individual creativity the consistent investment into businesses is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an environment should be built in which members can quickly read and adjust to fast change and the various contents and trends that follow,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y can improve their work adjustment skills, and efficient work distribution should take place in order to enhance job performance. 최근 창의성은 개인의 업무영역에서 개인의 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고려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들은 더 낳은 성과의 창출을 기대하며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 향상을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직 관점에서의 창의성은 조직 구성원의 역량 혹은 능력이 직무성과에 중요한 영향변수로 작용하며 이러한 사실은 이미 많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성이 직무성과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기존 연구들의 증거에 더하여, 웹 크리에이티브 전문가 집단의 업무와 성과의 관계 특성을 다차원적으로 고려하여 구성원의 성격요인과 상호 간의 정보 교류과정을 통한 교류활성기억체계가 창의성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며, 이에 따라 직무성과 인식 사이에 발생하는 인과 과정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문제와 가설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검토와 개별심층면접을 통해 웹의 특성을 고려한 개인 창의성과 직무성과 인식의 측정항목을 보완하고 확장하여 웹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성격요인과 교류활성기억체계가 창의성 및 직무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웹의 특수성을 고려한 웹 콘텐츠크리에이터의 창의성과 직무성과 인식의 측정을 위해 기존 척도를 보완하고 확장하여 성격요인과 교류활성기억체계에 따른 창의성과 직무성과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힌다. 둘째, 웹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성격특성이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셋째, 교류활성기억체계가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넷째, 웹 콘텐츠크리에이터의 창의성이 직무성과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다섯째, 웹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성격특성과 교류활성기억체계가 직무성과 인식 사이에 웹 콘텐츠크리에이터의 창의성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규명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총 7개의 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고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현직 웹 콘텐츠크리에이터 남녀를 대상으로 웹으로 코딩된 설문지를 통하여 2014년 10월 6일부터 13일까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응답자 총 311명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304명의 응답결과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성과 측정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한 방법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분석결과를 도출했다. 분석결과, 성격요인 5요인 중, 성실성만 웹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교류활성기억체계를 구성하는 요인들 중 신뢰성을 제외한 전문성과 업무조정이 웹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웹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성격요인들 중 성실성은 직무성과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신경증은 직무성과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류활성기억체계를 구성하는 요인들 중 신뢰성을 제외한 전문성과 업무조정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성과 인식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웹 콘텐츠크리에이터의 창의성과 직무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문적 소양과 창의적 행동이 내재적 성과와 외재적 성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성격 5요인 중, 친화성, 성실성과 교류활성기억체계의 전문성, 신뢰성, 업무조정이 직무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서 웹 콘텐츠크리에이터의 창의성이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웹의 특성을 고려한 개인 창의성과 직무성과 인식의 측정을 위해 기존 척도를 보완하고 확장하여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웹 창의성 분야에서 웹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연구주제를 확대하는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창의성 발현에 있어 성격요인과 교류활성기억체계가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써 개인 창의성이 직무성과 인식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진 개념들 간의 정의들을 웹으로 확장하여 웹 크리에이티브 전문가 집단의 업무와 성과의 관계 특성을 다차원적으로 고려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웹 창의성과 관련된 후속 연구에서 개인 창의성과 직무성과 인식에 있어서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 웹을 기반으로 한 크리에이터의 창의성 향상과 이와 관련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성을 새롭게 밝힘으로써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들의 출발점이 되고자 함에 본 논문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따라서 이상의 논의를 통해 개인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 기업은 지속적인 투자와 구성원들이 빠른 변화에 따른 다양한 콘텐츠와 트렌드를 읽고 적용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구성원들의 업무에 대한 조정능력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효과적인 업무분배가 직무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