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레미야 17:19-27과 에스겔 20:10-26에서 ‘안식일 규례의 재사용에 대한 연구

        장성길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1 구약논집 Vol.21 No.-

        In the Old Testament, the Sabbath is a commandment given as a legitimate order. The Sabbath is the basis of various feasts in Israel, and for the Israelites, ‘keeping the Sabbath’ is of great signific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meaning of “sabbath keeping” in the prophetic books of the 6th century B.C. The nature of the Sabbath is meaningful as it is a holy day, and keeping that day is a means to keep the holiness of time. A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Sabbath in Exodus 16:10-26 is the emphasis on solemn rest, while, there is no mention of the ritual point of view, and the Sabbath serves to establish itself as a sign of the Sinai covenant after Exodus 16. And also the reason for restatement of the command to keep the Sabbath at the end of Exodus 31 is to arrange the Sabbath regulations together with the provisions on the tabernacle as a place to maintain holiness as a space concept, so that the Israelites lived with awareness of the holiness of time. In the sermon of Jeremiah 17:19-27 was commanded to keep the Sabbath at the time of the impending destruction of Jerusalem due to Babylonian invasion. Unfortunately, Jeremiah's audience loses that opportunity. While, Ezekiel 20:10-26 is a passage that retrospectives the history of early Israel, who lived in the wilderness after the Exodus. In Ezekiel 20:10-26 attaches a key point that idolatry is the main cause of the failure of the Israelite to keeping the sabbath. In this respect, that passage helps future generations of Ezekiel to think about what was wrong with their ancestors' past. 구약 성경에서 안식일(샵바트)은 당위적 명령으로 주어진 규례이다. 안식일은 이스라엘의 각종 절기의 기초가 되고 있으며,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있어서 ‘안식일 지킴’은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주전 6세기 선지서 본문에 나타난 ‘안식일 지킴’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한다. 예레미야서 17장은 예루살렘의 멸망이 현실이 되어가는 상황 속에 선지자 예레미야를 통해 주신 경고의 신탁이라면, 에스겔 20장은 예루살렘의 멸망은 이미 과거 사건이 되었고, 바벨론에 유대되어 간 유다의 이주민들을 향하여 선포된 이스라엘의 과거 역사에 대한 재해석이다. 안식일의 속성은 거룩한 날이라는데 의미가 있으며, 그 날을 지킴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삶 속에서 시간의 거룩성을 지켜가도록 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기능한다. 출애굽기 16장은 구약 성경에서 안식일라는 말이 처음으로 사용된 본문이다. 출애굽기 16장에서 안식일을 언급함에 있어서 담화의 초점은 온전한 쉼(solemn rest)에 강조점이 있다. 반면에 제의적 관점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출애굽기 20장에 가서 안식일 규례는 시내산 언약의 하나의 표징(sign)으로 자리 잡아간다. 또한 출애굽기 31:12-17에서 안식일 지킴에 대한 명령을 재진술하는 이유는 공간 개념으로써 거룩을 유지해야 할 장소로서의 성막에 관한 규정과 함께 시간의 거룩을 인식하며 살도록 하려는 목적에서 주어졌다. 한편, 예레미야 17:19-27의 설교는 바벨론의 침략으로 인하여 예루살렘의 멸망이 임박한 시점에 안식일을 지키라는 명령을 주신 것이다. 12-23절의 담화는 정언법적 법령 선포 방식을 쓰고 있고, 24-27은 결의론적 법 선포 방식을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틀 속에서 출애굽기 31:12-17에서 선포한 것과 유사하게 안식일을 지킬 것을 촉구하고 있다. 반면에 에스겔서 20:10-26은 출애굽 이후에 광야에서의 삶을 살아갔던 초기 이스라엘의 역사를 회고(retrospective)해가는 내용이다. 특별히 에스겔 20:10-17과 18-26은 출애굽기 31:12-17이나 예레미야 17:19-27과는 달리 우상 숭배가 광야 1 &2 세대의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이었음을 진단해 낸다. 이러한 담화를 통해 화자는 포로 이후 시대를 살아가야 할 백성들을 향하여 과거 그들의 조상들의 문제가 무엇이었던가를 살핌으로써 거룩한 삶을 살아가며 안식일을 지킴 의미가 무엇인가를 깨닫도록 이끌고 있다.

      • KCI등재

        예레미에서의 토라와 언약의 상관성에 대한 소고

        장성길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2 구약논집 Vol.24 No.-

        In the text of the prophets, Torah is also used in a broad sense. For example, in the case of Isaiah, Torah is also used in the sense of 'the teachings of God ' and sometimes the prophetic words proclaimed through the prophets are recognized as TorahThen what about the book of Jeremiah? The speaker used the Torah directly to accuse the people of Judah of their false life, or to testify that the cause of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was the abandonment of the Torah. It is true that to the people of God, the Torah was like a train rail they had to walk on. There are attempts to identify the covenant and the Torah, but the covenant and the Torah have different positions and categories. The Torah was given as a means to fulfill the covenant.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Deuteronomy, the Torah can be defined as teaching, and its expression claims to be didactic rather than lega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three texts were used as a device for diagnosing the condition of the people of Judah who broke the covenant, worshiped idols, and did not live according to the Torah. when it appears in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broken covenant (the Mosaic covenant) and the new covenant, it is the text that promises a new covenant inscribed in the heart, that is, the will. 선지서 본문 속에서 언약과 토라의 상관성은 신학적 의미를 분석하는데 중요한 키가 된다. 특별히 예레미야서에 있어서 토라의 의미가 무엇이며, 이 책 안에서 언약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가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선지서 본문 속에서 토라는 넓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사야서의 경우, 토라는 ‘여호와의 가르침’ 또는 여호와의 교훈이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며, 선지자를 통해 선포되는 말씀을 토라로 인식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예레미야서는 어떠한가? 예레미야서에 토라가 직접 사용된 경우를 보면 1인칭 접미어와 함께 쓰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토라를 직접 사용하여 유다 백성들의 거짓된 삶을 고발하거나(렘 11:1-8), 예루살렘이 멸망하게 된 원인이 토라를 버렸기 때문임을 증언하는 경우에 쓰이기도 한다. 따라서 토라는 하나님의 백성의 삶에 매우 중요한 키가 되며, 그것을 따라 걸어야 할 길이었던 것이다. 언약과 토라를 동일시(identity)하려는 시도도 있으나 언약과 토라는 각각의 위치와 범주가 다르다. 토라는 언약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주어진 것이다. 한편, 신명기서에 따르면, 토라는 가르침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그 표현은 법적(legal)이라기 보다는 교훈적(didactic)이라고 주장한다. 분석 결과 앞의 세 본문은 언약을 깨트리고 우상숭배를 일삼으며 토라를 따라 살지 않는 유다 백성들의 상태를 진단하는 장치로써 쓰였으며, 마지막 31장의 경우는 미래의 남은 자들을 통해 새롭게 회복될 새 언약 선포 속에 나타난 경우이다. 깨어진 언약(모세의 언약)과 새 언약의 대비를 통해서 마음 즉 의지에 새롭게 새겨진 언약을 약속하는 본문이다.

      • KCI등재

        Book Review-Hebrew Poetry in the Bible: A Guide for Understanding and for Translating

        장성길 (재)대한성서공회 성경원문연구소 2012 성경원문연구 Vol.- No.30

        This paper reviews Lynell Zogbo and Earnst R. Wendland's monograph entitled, Hebrew Poetry in the Bible, which is published by United Bible Societies.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tures of Hebrew poetry and some problems related to the translation of poetry in target languages. In contrast to prose, poetry presents information in a compact, non-linear manner. On the one hand, Hebrew poetry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l structure, including many types of parallelism, chiastic structures, inclusios and refrains. On the other hand, stylistic features of Hebrew poetry can be described by figures of speech and sound effects as well. It means that the first step of translating Hebrew poetry is to identify the diverse poetic devices, that can be divided by the structural and stylistic features. In this respect, the span of this monograph extends from the features of Hebrew poetry (chs. 3-5) to the complex problems in translating Old Testament poetry, which is quoted in the context of the New Testament (ch. 8). After reviewing the life setting, genres, and principal features of Hebrew poetry in chapters 2 and 3, Zogbo and Wendland devote the next chapter to the major question: 'What features of Hebrew poetry should we attempt to preserve in the translation?' The goal of this chapter is to appropriately translate Hebrew poetry in poetic form in the target language. Thus, the translator should know well what poetic devices exist in the target language. In Chapter 6, the authors further develop ideas on poetic devices of biblical Hebrew as means to solving some problems related to the translation of poetry. This chapter discusses a number of difficult problems in word choice, and the translation of key terms and difficult metaphors. Throughout the passages, the authors make the point that in contemporary languages, translated poetic text should be well-organized and well-formatted in order to make the characteristics of biblical Hebrew poetry understandable to readers. In conclusion, it is true that this monograph can help translators who begin their mission in the field of Bible translation. I may fully agree to the authors' argumentation that the essential content and function of the original text must be preserved, and that translators should not transform biblical poetry into today's images. We have to be careful to keep what is in the original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