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과학과 종교의 이합집산: 개념사의 관점에서 본 과학과 종교

        장석만 ( Jang Suk Ma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6 종교문화비평 Vol.30 No.30

        이 글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이라는 역사적인 조건의 한국에서 과학과 종교라는 개념이 어떻게 등장하며, 서로 어떤 관계를 설정해 가는지에 관해 논의한다. 과학과 종교의 개념이 등장하였다는 것은 각각 구별되는 영역이 설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바탕으로 두 영역 사이에 여러 가지 다양한 관계가 상정될 수 있다. 즉 종교와 과학의 개념 및 각 영역 설정은 양자(兩者) 사이의 이합집산(離合集散)을 함축한 것이다. 때로는 이산하고, 때로는 합집한다. 서로 떨어지거나 붙고, 헤어졌다가 서로 모인다. 이 산(離散)하면서 서로 대립할 수도 있고, 아니면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각자도생(各自圖生) 할 수도 있다. 이 글에서는 역사적 문헌의 사례를 통해 각자도생과 합집의 두 가지, 모두 3가지 관계의 구체적인 모습을 살핀다. 한국의 상황을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이 글은 우회적인 절차를 취한다. 우선 서구에서 science와 religion 사이의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고, 상호의 성격이 규정되는지 살펴본다(2장). 여기서 과학과 종교의 갈등 관계가 부각되거나, 양립 가능하다는 관점이 역사적 변화와 함께 부침한다는 것, 그리고 이런 관점의 변동은 과학과 종교의 개념 네트워크과 연동(聯動)된 권력 다툼에 이어져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결국 질문의 초점은 과학과 종교의 경계선에 관한 것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3장은 “과학과 종교의 경계선이 도대체 왜 만들어지게 되었는가?”의 질문과 관련이 있다. 인도와 중국에서 과학과 종교의 경계선이 어째서 당초에 만들어질 필요가 없었는지, 왜 그것을 “결핍”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부적절한지의 문제에 관해 논의한다. 4장은 일본과 중국에서 과학과 종교의 개념이 어떻게 등장하여 서로의 관계가 만들어졌는지 검토한다. 19세기 후반 과 20세기 초반의 상황을 공유하는 중국과 일본의 경우를 비교의 준거로 삼아서, 한국 의 경우가 지닌 특성이 보다 잘 드러나도록 준비한다. 일본의 국가신도 정책, 그리고 중국의 지방 사원 공격으로 시작된 미신타파 운동을 특징적인 면모로 부각시키면서, 한국의 경우를 논의하는 부분으로 이어진다. 한국의 경우를 다루는 부분은 두 가지로 나누어 논의한다. 하나는 당시의 사전에 나타난 과학과 종교의 용어를 살펴봄으로써 서구어 science와 religion에 대응하는 번역어로서 자리 잡는 모습을 추적하는 것(5장)이고, 다른 하나는 20세기 초의 한국에서 과학과 종교가 맺는 관계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 사례를 관련 문헌을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다(6장). 종교와 과학의 관계를 거론하는 작업에서 개념사적 연구는 선행적인 위치를 갖는다. 이 부분이 제대로 연구되지 않을 경우, 자칫하면 시대착오적인 논의로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한국에서 종교와 과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위한 하나의 선행 작업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ual emergence of `science` and `religion`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of Korea. The introduction of new concepts presupposes their distinctive conceptual space which makes a room for their various relationships. Sometimes they come together, and sometimes they part company and keep a distance. In this paper, three types of their conceptual relationships are discussed: 1) separation, 2) integration under the dominance of `religion` 3) integration under the dominance of `science`. This study starts with the discussion about the both emerging and changing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in Western context, and shows the close connection of their conceptual network with the related power regime. The need to focus on the question of boundary-making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is recognized (chap 2). In chapter 3, the following question is presupposed as the hidden agenda; why and how the boundary-making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was made from the start. The discussion shows that because of the different frameworks of both Indian and Chinese cosmology, the two concepts and their boundary were not needed in India and China. It is out of context to consider the unnecessary as the lack. In chapter 4, I turn to focus o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wo concepts and their relationships in East Asian countries. In particular, the Japanese policy of State Shinto and the Chinese suppression of superstition (mixin, 迷信) are examined. The next two chapters deals with the Korean case of two concepts. Chapter 5 analyses the dictionaries which have the items about `science` and `religion`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ncluding several bilingual dictionaries. It indicates that the two terms got the secured position in the 1920s of Korea. In chapter 6, I explore three types of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examining the printed materials of colonial Korea. One of the benefits of studying conceptual history is to keep from the anachronistic point of view. This paper provides the groundwork for further research related to the historical dynamics of the conceptual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 KCI등재

        두 가지 몸의 늙음: 한국 근대 노년 관점의 변화

        장석만 ( Jang¸ Suk Ma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1 종교문화비평 Vol.39 No.39

        이 논문은 두 가지 몸, 즉 인체와 정체의 늙음을 중심으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전반의 한국에서 노년 관점의 변화를 다루고 있다. 이 시기에는 한국에서 다양한 이데올로기가 등장했는데, 서양을 그대로 본받자는 근대주의, 조선 혼을 지켜 국체(國體)를 보존하자는 민족주의, 계급혁명을 통해 사회변혁을 꾀하려는 사회주의 혹은 공산주의, 그리고 내선일체를 고대하는 대동아공영주의 등이 있다. 모두 제각각의 특징을 지녔으며, 서로 다른 목표와 방식을 내걸었으나, 한 가지 점에서는 같았다. 바로 자신들이 수립하고자 하는 정체의 선봉 및 주축 세력으로 청년 집단을 내세웠으며, 청년이라는 메타포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청년이 언급되고 동원되는 만큼, 청년의 대립자인 노년은 그림자처럼 거론될 수밖에 없다. 청년이 새로운 시대를 짊어질 세대적 주체로 부각되는 동안, 노년은 사라져야 할 과거의 유물(遺物)이 되었다. 청년-노년의 세대적, 인체적 메타포는 새로운 근대적 정체(政體) 수립을 위해 동원되었다. 민족과 인종이라는 새로운 기준으로 정체를 만들 때, 낡은 것-늙은 몸, 새로운 것-젊은 몸을 등치시키는 연결이 효과적인 방식으로 제시되었다. 왕 개인에 국한되어 이루어진 이전의 인체-정체 관계 대신 근대국가 체제는 광범위한 인구집단을 민족 혹은 인종으로 개념화하면서 포괄한다. 개인의 노쇠함을 정체의 위기 징후로 간주하는 대신, 세대적 정체(停滯)를 문제 삼으면서 정체 개편의 계기와 동력을 마련한다. ‘갈등과 대립의 청년-노년’이라는 메타포는 이렇게 등장한다. 하지만 ‘갈등과 대립’은 수사학일뿐, 실상은 청년 주도의 방향이 정해져 있다. 인구집단을 이와 같은 청년과 노년의 메타포로 정리하는 습관은 연령별 세대에 속한 개인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런 정치적 체제가 정착하고, 여기서 만들어진 청년과 노년의 이미지가 공고히 훈습(薰習)되면서, 인체가 나이 들어 늙는다는 것은 저절로 “스캔들”이 되었다. 이 “스캔들”은 한 명도예외 없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political corpus in Modern Korea. From the 1890s on, the metaphor of the Youth/Elderly was used to establish the ideals of the new political regime. Various political ideologies which emerged in Korea of that time were: Westernism, Nationalism, Socialism/Communism, and Pan-Asianism. Even though having different goals and methods, they shared one common factor, that the youth was the vanguard and main active political group in society. While the youth was admired for leading the agency of political and sociocultural changes, the elderly was regarded as an obstacle for development and representating the remnants of the past. Implying the bodily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the metaphor of the Youth/Elderly was incorporated to lay down the new political body such as the nation-state or Japan-centered Asianism. As the new criteria of political regime were established as the nation and the race, the contrast of the past/ aged/outdated v.s. the new/young/future-oriented took a firm hold in Korean society. We can say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human body-political corpus was limited to the role of the K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in the modern historical political regime, the populace also mattered in the (now) two corporal relations. Conceptualized as in terms of nation and race, the people was incorporated and mobilized into the new regime. Instead of regarding the king’s senescence as the crisis of the political body, what mattered was the generational stagnation and the need for youth power. The shift in power between the generations was urgently needed. An antagonistic discourse between the young and the elderly emerged and was taken for granted. However, this conflict was not real and not on equal terms, as the youth-initiative had already been set up formally. The conceptual arrangement of population in terms of the Youth/Elderly have made a strong impact on the view of the individual body in Korea. In the meantime, the images of the Youth/Elderly were continuously strengthened and reproduced. As a result of this spreading and infiltrating processes, the elderly became a scandal in itself. However, as the young would become aged before long without exception, the scandal was applied to all. It developed into an incessantly universalized scandal.

      • KCI등재

        연구논문 : 식민지 조선에서 "문명-문화-종교"의 개념적 네트워크 형성

        장석만 ( Suk Man Ja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5 종교문화비평 Vol.28 No.28

        이 논문은 문명-문화와 종교와의 개념적 연관성을 검토하고 있다. 세 가지의 개념이 긴밀하게 얽혀있으면서도 그 개념적 복합성의 의미에 대해 별로 논의된 적이 없기 때문에 이런 논의가 필요하다. 다룰 영역은 1910년대 후반 이후, 특히 1920년대를 전후한 식민지 조선이다. 이 시기에 문명-문화개념은 서구에서 형성된 "civilization-culture"의 번역어로서 작용한 측면뿐만 아니라, 당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적 맥락, 그리고 3.1운동을 전후한 식민지 조선의 상황이 얽히며 작용한 결과로 복합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고, 종교와의 개념적 네트워크도 만들어졌다. 주요 내용은 우선 문명과 종교의 관계를 개념적인 측면에서 언급하고, 문화와 종교의 연관성이 지닌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문화-종교의 개념적 연관이 만들어내는 세 가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속에 포섭된 종교는 기존 체제에 영합하거나 대항하기 위해 통합과 침투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주체화의 동인으로서 움직일 것을 요청받는다는것, 둘째 요청에 불응하거나 역행할 경우에, 문명이 미신 범주를 가동시킨 것과 달리, 유사종교 및 사이비종교라는 범주를 움직여 자동 제거 절차를 진행시킨다는 것, 셋째 문화가 각각 민족에 고착될 경우와 민족 경계를 넘어 보다 광범위한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에 종교적 대결이 심화되거나 유착이 일어나게 된다는 것 등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ceptual network of civilization, culture, and religion in colonial Korea. Recent scholarship in Korea has highlighted the historical formation of important concepts such as nation, citizen, state, civilization, and literature; but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a concept was related to other concepts and changed itself over time. In this article, firstly I argue that the various conceptual relations of civilization-religion can be traced while identifying four types of religious discourse in terms of two criteria of civilization and group identity. Secondly, the article investigates some of the effects of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culture; religion as a strong agent of subjectification; automatic mechanism of exclusion by the concept of pseudo-religion; enlargement of the conceptual domain beyond nation.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1 : 종교문화 개념의 등장과 그 배경: 소전 정진홍의 종교문화 개념의 의미

        장석만 ( Suk Man Ja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3 종교문화비평 Vol.24 No.24

        한국에서 종교문화의 개념이 확산되는데 크게 기여를 한 학자가 바로 소전(素田) 정진홍 교수다. 그는 종교라는 개념의 역사성과 한계를 지적하면서 새로운 개념의 창출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새 언어의 창출은 당장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당분간 종교 개념의 사용은 어쩔 수 없다고 말한다. “종교문화”라는 개념은 이 두 가지의 상황 즉 새로운 서술범주에 대한 열망과 종교라는 용어를 당분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것의 긴장 속에서 등장하였다. 소전은 종교문화라는 개념을 사용함으로써, 종교 개념 안에 함축되어 있던 두 가지의 연구 방향 즉 개별 종교의 전통에 따라 연구하는 것과 인류의 보편적 관점을 강조하는 연구를 모두 극복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런 연구는 기존 담론과 기존 질문의 틀에 묶여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가 제시하는 연구의 방향은 “나의 경험 및 기억”에 뿌리를 두고, 물음 주체의 역사적 현실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소전의 이런 강조점은 종교문화라는 개념도 잠정적일 수밖에 없음을 함축하고 있다. Prof. Chinhong Chung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notion of “종교문화” (Religious Culture or Religion in Culture) in Korea. He notes the inherent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종교”(religion) and aspires to find alternatives to it. However, he admits that one cannot avoid the use of the concept of religion in the foreseeable future, as the construction of new abstract ideas will take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The perception of “종교문화” has emerged in his theoretical constructions out of this dilemma. By using the idea of “종교문화”, he has tried to overcome two academic directions that are implied in the current concept of religion, which sets conditions which cause people to focus on both the individual religious traditions and the universal dimension of human religiosity. Prof. Chung is very critical of both approaches in the research of Religious Studies. In his view, these attitudes strengthen the established conceptual frameworks and close other possible perspectives. His alternative is to emphasize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questioning subject and the importance of “my personal experiences and memory.” Such a view also leads him to accept the vision of “종교문화” only on a tentative basis.

      • KCI등재

        특집논문1 : 한국 "근대종교"의 탄생 ; "종교"를 묻는 까닭과 그 질문의 역사: 그들의 물음은 우리에게 어떤 문제를 던지는가?

        장석만 ( Suk Man Ja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2 종교문화비평 Vol.22 No.22

        이 논문은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종교 개념을 묻는 질문의 학술적 흐름을 소개하고, 그것을 평가하는 것이다. 왜 개념으로서의 종교를 묻는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되었으며, 논의된 내용은 어떤 것이 있는지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 업적을 검토하는 부분이다. 둘째는 서구에서 주도하는 이런 문제의식이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는 무엇인가를 살피는 것이다. 우리는 왜 그들의 문제의식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가? 백년 이상의 기간 동안 종교 개념이 수용되어 온 우리의 역사를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종교 개념은 19세기 후반 동아시아의 위기 속에서 한국사회가 수용한 근대적 "지도"의 중요한 부분이다. 우리가 이 "지도"를 받아들이게 된 맥락과 과정을 살피는 것은 지금 그 역사적 유산 가운데 살고 있는 우리의 정체성을 밝히는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이전에 사용하던 지도와 어떤 점에서 이동(異同)이 있는지 검토하는 것도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작업이다. 이 문제의식 속에서 전통적 "敎"의 의미망을 살피는 것은 필수적인 작업이다. 또한 전통적 "敎"와 "종교"의 틀이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는 작업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런 작업 모두에는 우리가 물려받은 "종교" 개념의 지도를 음미하면서도, 그것을 당연시 하지 않으려는 자세가 관철되어 있다.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presents a review of academic studies on the concept of religion in Western countries; why the subject matters and how it has been discussed and evaluated. The second part contains a self-reflection of the conceptual analyses of religion from the Korean point of view; how we evaluate "their" studies and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more than one hundred years of reception of the concept of religion in Korea. The idea of religion is an important part of the modern "map" that Korean society was obliged to accept in the middle of its crisi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Examining this process and the context of its reception can help to understand our intellectual and religious heritage. In this vein, it is of primary importance to consider how the modern concept of "Jonggyo"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Gyo".

      • KCI등재

        특집논문1 : 종교와 동물 ; 종교와 동물, 그 연결점의 자리

        장석만 ( Suk Man Ja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2 종교문화비평 Vol.21 No.21

        2010년 겨울에 발생한 구제역으로 인해 가축이 대규모로 살(殺)처분되거나 생매장된 사건은 이른바 반려동물 산업의 급성장, 그리고 생태계에서 야생동물의 중요성에 관한 관심과 함께 한국에서 동물의 문제가 부각되도록 만들었다. 또한 구미 학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동물의 문제에 대한 연구가 소개되면서, 앞으로 동물의 문제는 한층 더 주목을 받게 될 것이다. 이 글은 최근 한국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동물에 대한 감수성의 변화와 서구학계의 동물에 대한 연구 동향이 우리나라의 종교연구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를 살피는 맥락에서 종교와 동물이라는 주제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가운데에서도 두 가지 연결점에 주목을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종교와 동물의 문제가 뗄 수 없이 연관된 부분이기 때문이다. 첫째 종교를 초인간적, 초월적 존재와 연관하여 파악할 경우에 동물의 문제는 종교연구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할 영역이다. 초인간적, 초월적 존재에 동물이 포함되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둘째 종교/세속, 동물/인간이라는 두 가지 이분법은 근대 서구의 자아정체성 형성에서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작용해왔다는 점에서, 서로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종교연구가 이 두 가지 이분법을 포괄적으로 다룬다면, 동물의 문제뿐만 아니라, 종교/세속의 이분법에 대해서도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며, 유럽중심주의적인 관점을 극복하는데 흥미로운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the outbreak of foot-and-mouth disease in the winter of 2010 caused more than 3.5 million farm animals to be culled, many buried alive because euthanasia drugs have run out. The scenes of the "massacre" were reported vividly to the Korean audience. Many people were shocked and horrified by what they saw and posted angry messages. With the rapid growth of pet population and pet industry booming, this tragic incident called the attention of many people to the animal issue, which will be more brought to the fore, as the academic trend of western countries is introduced to Korea.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ductive relationship of the academic study of religion with animal studies by highlighting the two connecting features of religion and animal. First, religion defined as the relationship with superhuman or non-human beings has to be interrelated to animal. Second, the dualism of religious/secular stands in close relation to that of human/animal. Both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to produce and maintain the Eurocentrism. Considering the shifting patterns of our world today, the examination of these dualisms can provide us with an interesting clue to overcome the Eurocentric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부디즘, 불교, 불연의 엘리아데

        장석만(Jang, Suk Man) 한국불교연구원 2012 佛敎硏究 Vol.36 No.-

        15세기 조선시대의 『현정론』과 『유석질의론』은 유교의 배불론에 맞서서 삼교일치론으로 불교의 위치를 지키려고 하였다. 20세기 초의 이능화는 개신교의 공격적인 불교비방에 맞서서 “모든 종교가 회통한다”는 주장으로 불교의 필요성을 개진하는 한편, 각 개별 종교 전통의 통사를 집필하였다. 20세기 후반에는 불연이 엘리아데를 한국에 소개하여 불교가 차지하는 한국종교사에서의 중요성을 확산하고자 노력하였다. 불연이 엘리아데를 주목한 것은 지구상에서 개신교의 배타성과 편협성이 가장 극단으로 치닫는 한국에서 엘리아데가 하나의 완충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일 것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ree cases of adaptive attitudes in the his tory of thought in Korea, which were led to the discourses of the unity and the commonality among them: the discourse of unity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in the 15th century; Historiography of religions written by Yi Nung-hwa(1869-1943); Yi Ki-young(1922-1996)’s introduction of Eliade’s ideas into Korea. Three cases show a common feature to respond to the attacks of the powerful religion of Confucianism (15th century) and Protestantism(19th and 20th centuries). Yi Ki-Young’s introduction of Eliade’s ideas into the study of Buddhism might create a kind of “buffer-zone” of the conflicts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of today’s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