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약용의 복수의 윤리 - 법과 윤리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장복동 ( Jang Bok-d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8 No.-

        이 글은 정약용의 복수론에 내재된 법철학적 사유와 도덕적 자율성 및 상호성에 기초한 ‘관계의 윤리’의 상관관계를 인간학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그의 복수의 윤리를 재구성하는 데 목적을 둔다. 그 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론을 통해 본 정약용의 법철학적 관점은 법실증주의와 자연법주의가 혼재된 양상을 띤다. 둘째, 자율적·자발적 성격을 지닌 그의 추서 개념을 적용하면 가족주의에 한정된 유교의 복수 개념은 사회적 차원에서 분개와 복수를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유의지를 강조하는 그의 인간 본성론을 복수론과 관련지을 때 드러나는 한계는 행위의 선악을 결정짓는 준거가 혈연이나 가족을 넘어 보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다는 점도 미해결의 문제로 남아 있다. 넷째, 본래적 도덕가능성으로서 성선과 자율적 판단에 따라 성취한 인간의 선을 복수론과 관련지을 때, 법과 도덕의 경계에 모호하게 자리한 복수의 범주를 명확히 하고 성선(性善)과 인선(人善)에 대한 가치판단과 경계를 분명하게 가늠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약용의 복수의 윤리를 최근 사회생물학, 진화론 등의 새로운 학문적 성과와 결합한다면 다양한 논의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 특히 용서가 번성하고 복수가 희미해지는 세상을 이루기 위해 사회적 환경에서 복수심을 부추기는 요소를 제거하고, 관용과 화해가 촉진되는 삶을 활성화해야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grasp the theory of revenge of Jung Yak-Yo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al self of Confucian society which is the ground of familism. This paper deals with relation of the law as the ethical behavioral norm of the national community and ethics that differently apply to social relations. If the existing studies are focused on analyzing the revenge theory of Jeong Yak-yong in the context of institutional problems, legal positivism and natural law, this paper considers revenge in the moral philosophical horizon distinguishes meanings of self - awareness, an behavioral approach to human n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his legal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rough the theory of revenge of Jeong Yak-yong is a mixture of legal positivism and natural law. Second, by expanding the voluntary and autonomous nature of his ethics of consideration in relation to theory of revenge to social norms, anger and conflict can be resolved from the terrain of mutual understanding. Third, hi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composed of the nature of good and the possibility of action, will open a way to acquire universality of conduct beyond kin or famil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nature of good as original possibilities and empirical good according to autonomous judgments will help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revenge categories that are ambiguous in the boundary between lawand morality. In conclusion, the conclusion that can be drawn from this paper is that Jung Yak-yong proposed the grounds for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community in that he strictly restrained revenge requirements for social order and stability instead of taking the revenge innocence.

      • KCI등재

        호남유학(湖南儒學)의 한국적 지평 -"공공지식인(公共知識人)"의 출현과 그 사회적 역할-

        장복동 ( Bok Dong Ja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호남학 Vol.0 No.57

        이 글은 기호학파, 영남학파라는 도식적 분류가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변화해온 한국유학의 다양한 모습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공공지식인’을 매개개념으로 한국유학에서 호남유학의 의미를 탐색하고 그 위상을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따라 이 글은 호남유학의 시작과 끝을 아우르는 기대승과 기정진의 삶에서 공공지식인의 특성을 찾아냄으로써 호남유학의 성격을 대변하고자 한다. 여기서 공공성ㆍ비판성ㆍ도덕성ㆍ사회참여도에 근거하여 기대승과 기정진을 호남유학의 대표적인 공공지식인으로 내세운 것은 이들이 한 시대의 중심에선 이데올로그로써 끊임없이 사회적 의제를 제기하고 새로운 시대를 예기(豫期)하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기대승은 언로의 개방을 정치의 요체로 하는 왕도정치의 온전한 모형을 제시했으며, 현대적 의미의 공론장을 구체화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기대승이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토론과 대화를 통해 공공성을 실현하는 공론장을 왕도정치 실현의 근거로 내세운 것은 민주성과 개방성을 준거로 할 때 시대적 한계를 극복한 것이다.기정진은 리(理)중심적 사유의 기반 위에서 대공무사(大公無私)의 공론, 공공성을 공적 질서의 영역에서 구현하려 했다. 이런 점에서 옳음과 그름을 분명하게 가름했던 위정척사의 사상적 토대를 제시한 기정진을 적극적 현실참여 지식인의 전형인공공지식인의 범주에 포함시킨다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진정한 공공지식인은 공공성을 담보하면서도 전문성을 갖추고 현재의 사회적 의제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기대승과 기정진은 공공지식인으로서의 특성을 온전히 공유했다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호남유학이과거라는 시공간에 정체되지 않고 현재라는 유동적인 시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이입되는 계기 혹은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호남유학의 과거를 현재화하고, 현재로부터 구상(構想)된 미래와 상관지음으로써 지속적이면서도 일관된 사상사적흐름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have a start on critical mind that the schematic category of Giho and Yeongnam academic groups can not reflect properly varied appearance of korean confucianism that is ramified into several parts. Therefore, this paper aim at inquiring into the significance of honam confucianism and establishing the status of it by public Intellectual in korean confucianism. This paper represent the character of honam confucianismby finding out the trait of public intellectual in life and thought of Gidaeseung and Gijeongjin. Basing on publicity, critical ability, morality and social participation, in here Gidaeseung and Gijeongjin have been designated as public intellectual representative of honam confucianism.Because they incessantly propose social agenda as center of ideologue of one age and suggest policy alternative that expect a new era. Gidaeseung presents the perfect model of righteous government that make freedom of speech a key factor for politics and devotes himself to take shape public sphere in the modern sense. Gidaeseung sets forth public sphere as the foundation of righteous government to realize publicity through reasonable and critical discussion and discourse. Making criteria on the basis of democracy and openness criterion, this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times. Gijeongjin’s philosophy based on principle oriented thinking. He tried to accomplish public opinion, publicity in public order system, putting aside private sphere. Gijeongjin proposed ideal foundation of ‘the observance of rightness and the expulsion of wickedness’[衛正斥邪]. To this point, he is contained within public Intellectual as an outspoken intellectuals engaged reality. A true public intellectual should be very sensitive to the current social agenda of ensuring the publicity and with professionalism. In this context, we can speak that Gidaeseung and Gijeongjin shared public intellectual attributes in its entirely. Through those discussions, we can take honam confucianism into liquid time-space of the present without being tied up the past. Ultimately we can reembody sustained and consistent stream in the history of thought by reproducing honam confucianism in the present.

      • KCI등재

        철학 : 다산 경제 윤리의 실천구조와 경제적 합리성

        장복동 ( Bok-dong Ja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동양문화연구 Vol.21 No.-

        이 글은 정약용의 경제윤리가 사적 이익의 극대화를 지향하는 경제적합리성에 정초되어 있음을 밝히고, 도덕주의와 경제주의의 조화로운 접근을 통해 경제윤리의 실천구조를 분석하였다. 정약용에 따르면, 사적인이익의 극대화를 지향하는 인간의 자연스런 타산적 본성이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낙관주의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인간의 소유욕이 전체와 조화를 이루고 충족되는 것, 곧 사적인 소유욕 간의 조화를 통해 유대의식을 강화함으로써 공적인 세계가 이루어진다고 보았다.정약용의 경제윤리의 실천구조는 경제적 합리성을 기조로 하여 아낌의 윤리에서 배려의 윤리, 베풂의 윤리로 확장되어가는 틀을 형성하고있다. 아낌의 윤리가 개체적 차원에서 선행되어야 할 경제적 자아실현의 실천적 지침이라면, 배려의 윤리로서 추서(推恕)는 인간이 상호의존적관계망에서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염려를 정당화하는 공동체적 관계의 윤리로 작용한다. 아낌의 윤리는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공동선을 실현하기 위한 배려의 윤리, 베풂의 윤리로 발전ㆍ확장되었을 때 의미가 있다. 정약용이 지식인의 권력에 대한 욕망과 백성들의 경제적 욕구를 인간의 원초적 욕구로 인정하고, 합리적인 제도와 개혁을 통해 사적 욕구사이의 갈등과 대립을 해소하려 한 점은 그의 경제윤리의 특징적인 일면을 보여준다. 따라서 그는 균등한 분배를 통한 사회정의를 지향한다는 관점에서 제도적 개혁 방안을 제시했다. 결국 정약용이 이기적 욕구에 바탕을 둔 경제적 합리성을 경제윤리의 근거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현대적 의미의 자본주의와 정합적인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자본주의의 맹아를 발견할 수 있다. 그가 시장에서 경제 행위의 근거로 제시한 경제적 합리성은 도구적 합리성을 넘어 절차적 합리성의 성격을 지닌다. 그는 경제 행위의 보편적 이기심을 합리성의 유일한 요구조건으로 강조하지 않았고, 선을 기꺼워하고 악을 미워하는 인간 본성과 경제행위를 관련지어 인식하였다. 이런맥락에서 사적 이익을 통한 공동선의 실현을 근본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약용의 경제윤리는 공동체주의적 자유주의의 속성을 함축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의 주요논지를 전개하는 데 있어 열쇠개념으로 채택한 경제주의와 도덕주의, 경제적 합리성을 정약용과 비슷한 시기에 문제의식과 비판정신을 공유했던 실학자 군에 대입하여 비교·분석한다면 이들의 사회 철학적 관점과 경제 윤리적 체계를 선명하게 그려낼 수있을 것이다. 바로 이 부분이 이 글의 한계이면서 동시에 나아가야 할연구의 지향점이기도 하다. 이는 후속연구로 지속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This paper clarified that Jeong Yak-Yong’s economic ethics based on economic rationality to maximize private interests and analysed practical structure in his economic ethics on the authority of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moralism and economism. Jeong Yak-Yong suggested a optimistic perspective that a naturalistic human nature with selfishness relieved economic inequality. In other words, he thought to achieve public area through harmony in the private acquisitive instincts, namely the acquisitive instincts of human being harmonized with entire communities and gratified one``s desires. Practical structure in Jeong Yak-Yong’s economic ethics is basis on economic rationality. It was formed by the model to proliferate from ethics of frugality to ethics of consideration and ethics of dispensation. Ethics of frugality is the practical orientation of economic self realization prior to individual dimension. Tolerance is the ethics of relationship for a wholesome community that solicitude for other people legitimize concern on oneself. Ethics of frugality is meant to develop ethics of consideration and ethics of dispens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settlement of economic inequality and therealization of common good. Jeong Yak-Yong considered that the intellectual want to attain to power and the people have economic desires as a basic desire. He sought to solution against institutional drawback through rational institution and innovation. Along with this he tries to alleviate tension and conflicts between private desires on the basis of procedural rationality. This is a characteristic aspect to appear in Jeong Yak-Yong‘s economic ethics. Therefore he presented reform plan in terms of bringing social justice with an even distribution. Eventually, given that Jeong Yak-Yong suggested economic rationality as basis of economic ethics, we can identify sprout of capitalism even if it did not conform to contemporary capitalism. He suggested economic rationality as the root of economic behavior in free market, which have feature as procedural rationality other than instrumental rationality. Jeong Yak-Yong did not asserted that human self-interest is the only condition of rationality. Also he recognized in relation human nature and economic behavior. In this context, in terms of putting goal to realize common good through private interest, Jeong Yak-Yong’s economic ethics may imply properties of communitarian liberalism. And finally, I adopt economism, moralism and economic rationality as key concepts in developing a principal argument of this paper. If these concepts was compared and analysed applying to Silhak scholars that have shared critical mind around same time with Jeong Yak-Yong, we can maybe describe clearly their social philosophical viewpoints and economic ethical system. Here’s not only limit of my writing also future direction of studies.

      • KCI등재

        후반기 학술대회 논문 및 현암 이을호 연문논문 연보 : 이을호의 다산경학 연구의 구조와 특징

        장복동 ( Bok Dong Jang ) 한국공자학회 2010 공자학 Vol.19 No.-

        현암(玄庵) 이을호(李乙浩)의 『다산 경학사상 연구』는 다산의 경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시발점을 열었다. 이을호는 정약용이 자구의 해석에 치중하는 한·당유학(漢·唐儒學)과 형이상학적 천리에서 인간실존의 근거를 찾는 성리학에 의해 은폐·왜곡된 요순주공의 본지를 찾기 위해 수사학적(洙泗學的) 복고주의(復古主義)를 철학적 사유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뿐만 아니라 다산학(茶山學)이 ``원초적 순수성을 갖는 실천윤리학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근거로 "다산학을 일관하는 한 줄기 맥락이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원리이고 이것이 바로 다산학의 생명"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는 다산학에 있어서 경학과 경세학의 유기적 관계를 실천유학의 고유이념인 ``수기치인``이라는 실천적 명제로 통합하여 이해한 것이다. 이을호가 다산학을 ``수사학에로의 복고``라고 포괄적으로 규정한 것은 그의 표현대로 "근세 실학의 토양에 뿌려진 고전적 수사학이라는 씨앗이 결실을 맺은 현대적 열매가 다름 아닌 다산학"이라는 관점에서다. 그가 다산학을 공자의 실천유교를 직접적으로 계승한 ``근세수사학의 창시자``로 지칭한 것은 다산학을 규정하는 외장적(外裝的) 수식어가 지니는 개념적 빈곤의 한계를 극복하여 그 사상의 내재적 성격을 분명히 드러내기 위한 의도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을호의 다산학 연구방법의 근저에는 공맹의 실천유교로부터 발원(發源)하여 다산에 이르러 체계화된 수사학적 수기치인의 논리가 견고한 방법론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을호의 학적 방법과 연구방향을 통틀어서 ``현암학(玄庵學)``이라 지칭할 수 있으며, 공맹학 - 다산학 - 현암학으로 이어지는 수사학의 계보를 형성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수사학적(洙泗學的) 수기치인의 논리를 개인의 학문적 취향이 아닌 유학사의 한 방향을 결정하는 체계로 정립하려는 시도는 이을호의 중요한 공헌으로 인정해도 무리는 없을 것이다. 또한 이을호가 다산 경학의 상고적(尙古的)·복고적(復古的) 경향을 강조한 것도 과거에로의 무비판적 회귀가 아니라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사고에 기반 하여 다산경학을 새롭게 재해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이 글에서는 현암이 다산경학을 성학(誠學)의 체계로 해석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 중요한 내용의 고리를 윤리적 행위의 근거로서 상제천(上帝天), 행위윤리적(行爲倫理的) 특성을 제시하였다. 결국 수사학적 수기치인의 논리를 다산학 전체를 일관하는 방법론으로 삼아 다산경학연구의 일가를 이룬 이을호의 연구는 여전히 다산학 연구의 방향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玄庵李乙浩的『茶山經學思想硏究』是深奧地硏究茶山經學的出發點. 李乙浩認爲丁若鏞的觀點, 不是占在于漢唐儒學那樣偏重于解釋字句和依形上學的天理尋求人間實存的根據那樣的性理學, 而是爲了回復堯·舜·周·孔的意圖, 回歸了洙泗學的復古主義. 不僅如此, 他認爲茶山學是``具有原初的純粹性的實踐倫理之性格``. 因此, 基于這樣的觀點, 他規定了"茶山學里面存在的核心觀點, 就是修己治人的原理, 而且這就是茶山學的生命". 他把茶山學中的經學和經世學之有機的關係成爲了實踐儒學的固有理念, 卽``修己治人``這樣的實踐的命題.李乙浩把茶山學規定爲``回歸于洙泗學的復古``, 因爲他認爲"近代實學這樣的土壤爲基礎, 而得到的所謂古典的洙泗學之現代的果實就是茶山學". 他把茶山學稱爲直接的繼承孔子的實踐儒敎的``近世洙泗學的創始者``, 因爲茶山學克復了槪念的貧困而所出現的表現之界限, 而且明顯地表現了其意圖.李乙浩硏究茶山學的方法里面, 一貫地存在着從孔孟的實踐儒敎發源而到茶山得到體系化的洙泗學之修己治人的論理. 從這一點來看, 我們可以把李乙浩的學的方法和硏究方向稱爲``玄庵學``, 而且我們還認爲從孔孟學-茶山學-玄庵學這樣的體系里面, 存在着一脈相傳的洙泗學之系譜. 因此, 李乙浩學問的主要貢獻就是: 他把洙泗學的修己治人, 當做儒學史之一方向, 這就是他的學的貢獻. 而且他强調茶山經學的``尙古的``·``復古的``傾向, 不是無批判的回歸, 而是基于溫故知新的思考, 重新解釋了茶山經學. 基于這樣的觀點, 這一篇文章考察了玄庵對茶山經學解釋爲誠學的體系, 而且提出了其主要倫理的核心根據-上帝天, 行爲倫理的特性.綜而言之, 李乙浩的茶山學硏究, 是基于洙泗學的修己治人這樣的一貫的方法, 終于在茶山經學硏究當中, 成了一家的成就. 因此, 我們可以這樣評價: 李乙浩的茶山學硏究導引了茶山學硏究方向, 而這就是他的貢獻.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