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CAPIN 677호 발령의 배경과 그 과정: 행정권 분리의 정치적 의미와 독도 문제에 대한 함의

        장박진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7 국제지역연구 Vol.26 No.1

        It is well-known that SCAPIN 677 ordered for Japanese government her administrative separation of certain outlying areas, including Dok-do. That is why Korean society has taken much of SCAPIN 677. But Korean researchers have mainly discussed whether SCAPIN 677 was issued for the post-war disposition of Japanese territory, or not. Some studies have understood that the directive really carried out the final disposition of the Japanese territory which had been pledged in the 8 article of Potsdam declaration. And another paper concluded that SCAPIN 677 was the intermediate directive for the final decision confirmed in the Peace Treaty with Japan. On the other hand, some studies has elucidated that SCAPIN 677 is just directive only related with the separation of Japanese administration. This paper clarifies the political meaning why SCAP ordered tentatively the administrative separation of some outlying areas, and resolves the Korean society’s misunderstanding on the implication of SCAPIN 677 on Dok-do problem. 전후 연합국이 독도를 직접 명시하고 관련 대응을 일본 정부에 공식으로 요구한 첫 번째 지령인 SCAPIN 677호에 대해서는 영토의 최종 처분을 규정한 포츠담선언 제8항에 의거한 조치로 보는 담론이나 평화조약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될 처리와 관련된 중간 조치로 보는 담론들이 있다. 그러나 최종 조치로 보는 담론은 영토의 최종 처리가 아님을 명시한 677호의 명문을 명확히 위반하고 있다. ‘중간’ 조치로 보는 시각 또한 677호에 명시된 지역에 관해 연합국이 그 지역들을 향후 영토 처분의 대상으로 삼을 구상을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를 제시하지 않는다. 물론 677호를 영토 처분과 무관한 행정권의 잠정 분리에 관한 지령으로 보는 담론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677호의 최종 조문을 해석했을 뿐, 677호가 어떤 정치적인 함의를 가지고 도출된 것인지를 밝힌 것은 아니다. 또한 최근 677호를 수용한 일본 측 움직임을 분석하면서 선거 실시 문제와의 관련성을 밝힌 연구도 나왔으나, 이 역시 677호를 발령한 미국 정부나 점령 당국의 움직임을 규명한 것은 아니다. 이 글은 SCAP이 왜 일부 지역에 대해 일부러 행정권을 분리했는지, 왜 그 지역은 향후의 영토 처분이 아직 결정되지 않았던 도서들뿐만 아니라 이미 일본의 영토에서 분리될 것이 결정되었었던 지역까지 그 대상으로 삼았는지, 그리고 왜 그 지령은 1946년 1월 말쯤에 나왔는지 등을 풀어보고, 독도 문제에 관한 677호의 함의를 둘러싼 국내 담론들의 ‘혼미’를 해소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일 청구권협정 제2조의형성 과정(1965. 3~6) 분석 - 개인청구권 문제를 중심으로 -

        장박진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8

        Although nearly 50 years have passed since South Korea-Japan diplomatic normalization, the compensation problem for Korean people is th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contributes to the worse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is well known that South Korea and Japan concluded “the Agreement on the solution of property and claims problem,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 Agreed minutes annexed to the Second article of the Agreement” in 1965 as the result of negotiations that lasted 14 years. In the Agreement, the second article is the core regarding whether the compensation issue regarding Korean people was resolved “totally and finally” by the agreement. This is why many people have referred to the second article for discussing whether the compensation problem was settled or not.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which have focused in detail on the drafting process of the second article, although that process is very important for judging the meaning of the final Agreement precise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cademic grounds for judging whether the problem of compensation of Korean people was settled “totally and finally” by the Agreement. For that, this study examines how and why the second article was drafted in the final negotiations from March 1965 to June 1965, analyzing both South Korea’s and Japan’s official diplomatic documents regarding the normalization talks. This study clarifies that there is no fact that South Korea and Japan negotiated the compensation problem and agreed clearly on whether the problem should be resolved. Regarding several points, it is difficult to state that the compensation problem was not contained in the scope of the settlement by the Agreement. In other words, this study argues that the negotiation of the compensation problem was paradoxical in the sense that the problem was formally “resolved” despite the issue not having been practically discussed in the drafting negotiations. 수교 50주년을 맞이하게 되는 오늘날까지 한일 관계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주된 과제가 한국인 개인이 겪은 폭력적 피해에 따른 각종 개인청구권 문제이다. 주지하는바와 같이 한일 양국은 대일평화조약 4조에 근거한 재산 및 청구권 교섭을 14년 가까이 벌인 결과 1965년 6월 22일 이른바 ‘청구권협정’을 체결했다. 그중 오늘날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핵심이 주지의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것을 확인한 제2조이다. 이 글은 바로 개인청구권 문제 해결 여부의 열쇠가 된 동 2조의 기초 과정에 대한 외교사적 분석을 진행한다. 그것을 통해 개인청구권 문제가 현재까지논란이 되게 된 교섭 과정의 실태를 밝히고 이들 문제의 해결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학술적인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막판 교섭 과정에서도 개인청구권이 해결 범위에 들어갈 것인가를 둘러싸고 한일 간에 명시적인 합의가 있었던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협정 기초의 기본적인 틀을 정한 4·3합의 시, 그 범위를 명확히 정의도 하지 않은 채, ‘평화조약 4조에 규정된 것을 포함해’로 그 해결범위가 확대되었다는 점, 제외 대상을 ‘전후’에 새롭게 발생한 ‘채권채무 문제’로만 한정함으로써‘전전’에 발생한 개인청구권 문제는 그 시기 및 성격상 해결 범위에서 제외되는종류에서 벗어났다는 점, 4·3합의 후의 조문 기초 과정에서 일본이 개인청구권 문제의 존재를 거론하자, 한국은 4·3합의로 한일 간에서는 모든 문제가 끝났다는 안이한 인식을 피력했다는 점, 조문 기초 작업을 시작한 당초 일본은개인청구권이 실체가 없는 개인권리의 문제임을 의식해 그 해결 방법으로서는‘청구권을 포기한다’는 규정을 둘 것을 기본으로 했으나 한국 측 조문도 작용해, 결국 최종협정에서는 주지의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로 됨에 따라외교보호권만을 포기했다는 조문상의 의미가 후퇴되었다는 점, 해결 범위인동 8항목에 무엇이 들어가는가는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 또한 해결 범위와 관련된 최종 절충의 결과, 1945년 8월 15일 이후 통상의 접촉을 통해 생긴 새로운 채권-채무 문제는 제외되었으나 반대로 과거사 처리의 성격을 띤 것이라면 협정 서명일 이전에 발생한 모든 문제에 대해 여하한 주장도할 수 없다는 것에 합의했다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면 각종 개인청구권문제 역시 해결 대상에 들어간다는 해석을 강하게 지닐 수밖에 없음을 밝힌다.

      • KCI등재

        대일평화조약 제4조의 형성과정 분석: 한일 간 피해 보상 문제에 대한 ‘배상’, ‘청구권’의 이동(異同)

        장박진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1 국제지역연구 Vol.20 No.3

        The post-war frame of the compensation problem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hich deriv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the Korean peninsula was finally decided by the Peace Treaty with Japan. Several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articipation problem of South Korea in the Peace Treaty with Japan, because whether South Korea does or does not have the rights as a member of the allies in coping with the problems, is closely related to the outcome of the compensation problems. However, these studies do not satisfactorily discuss the Japanese response to the compensation problems and the meaning of Article 4 of the Peace Treaty. In light of these shortcomings, this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First is how the Japanese government negotiated with the United States on how to go about the compensation problems, especially with South Korea, which was to be finally decided by the Peace Treaty. Second is how the United States prepared for the relevant articles of the Peace Treaty, especially after the March 23rd, 1951draft, which was regarded as the first official U.S. draft of the Peace Treaty in the sense that the draft was presented to the countries concerned in the treaty. The third is what were the prac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claims which was directly provided in Article 4, and the reparations which was ordered in Article 14, among ot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illustrates that Article 4 was designed to accommodate the problems of the recognition of South Korea's claims against Japan, the Japanese approval for South Korea's acquisition of the former Japanese property in the South Korea, and the reduction of Japanese liability. Furthermore, it is concluded that South Korea's loss of rights of the reparation against Japan has not influenced the compensation problem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전후 한일 간 식민지 피해에 관한 보상 문제의 틀은 대일평화조약에 따라 결정되었다. 선행연구들도 이 점을 중요시하고 한국의 연합국 참가를 둘러싼 한국, 미국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러나 평화조약을 둘러싼 일본의 대응 및 피해 보상 교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관련 조항에 관한 검토는 충분하지 않다. 이 글은 선행연구가 전후의 경제적 처리 문제에 관해 충분히 파헤치지 않았던 평화조약 관련 일본 정부의 대응을 검토하고, 또 1951년 이후 본격화된 평화조약 초안 교섭을 살핌으로써 한일 간의 피해 보상 처리 문제의 틀을 직접 결정한 제4조의 의미를 검토한다. 아울러 그를 통해 4조의 적용을 받은 ‘청구권’과 14조 등의 적용을 받는 ‘배상’ 교섭이 한일 간 피해보상 문제 처리에 대해 실질적으로 어떤 이동(異同)을 낳았는가를 고찰한다. 결론으로서 4조는 비연합국으로 된 한국의 대일 청구권의 법적 인정, 재한일본인 재산의 한국 취득 확정, 그리고 일본의 부담 억제라는 과제들을 조화시키기 위한 조항이라는 것, 또 1951년 이후의 조문 교섭은 한국의 법적지위의 변화에 따라 한일 간 피해 보상 처리의 내용이 실질적으로 변화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초기 한일회담(예비~제3차)에서의 재일한국인 문제의 교섭과정 분석: 한일 양국의 교섭목표와 전후 ‘재일성’(在日性) 형성의 논리

        장박진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8 No.2

        Though the postwar historical character of Koreans in Japan is derived from the special postwar relations between the South Korea and Japan, we can say the character was formed directly in the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This paper discusses the negotiation processes in the early stage of the Talks from the preliminary to the third round of Talks to analyse the influences which the early stage Talks had on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 of Koreans in Japan, mainly focusing on the official documents on the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In contrast to the many studies on the policies of SCAP and Japanese government against the Koreans in US-occupied Japan, no studies have analysed the negotiations processes comprehensively and accurately, partly because the official documents have not been open for the long time. Accordingly, a study which clarifies the contents of the early stage negotiations concretely is indispensable to understanding the influences of the South Korea- Japan normalization Talks on the formation of the postwar historical character of Koreans in Japan. In this paper, it is discussed that after the opening of the Talks, the Korean side's main purposes were twofold; first to maintain the principle that South Korea is the only lawful in the Korean peninsula and second to secure the permanent residential rights of Koreans in Japan,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side aimed to restrict the residence of Koreans in Japan by getting the rights to deport them back to South Korea. And also this paper clarifies that the postwar character of Koreans in Japan which was finally formed in 1965 had already manifested itself in the early stage of the Talks. 재일한국인들이 짊어지게 된 ‘재일성’(在日性)은 전후 한일관계의 특수성을 반영한 것이었으나 그 성격이 직접적으로 규정된 것은 한일회담의 교섭과정으로 인한 것이었다. 그러나 ‘재일성’ 형성에 관한 연구로서는 점령 하의 재일한국인 문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 것과 대조적으로 초기 한일회담에서의 교섭과정 연구는 공개된 자료의 한계도 작용해서 여태까지 불충분한 상황에 머물러 왔다고 해야 하겠다. 본 논문은 소위 북송문제가 불거지기 전인 제3차 한일회담까지의 토의 내용을 한일회담 공식문서를 통해서 실증적으로 밝히면서 ‘재일성’ 형성에 영향을 준 초기 한일회담의 역사적 성격이 한일 양국의 어떤 의도로 인해 결정된 것인지 논증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회담 개시 전 한국 측은 병합조약 무효를 뜻하는 한국국적 ‘회복’이라는 첫 번째 국가정체성으로부터의 정책적 과제를 최우선의 과제로 삼고 있었다. 이에 대해 본고는 한일회담 개시 후의 초기 한일회담에서 한국 측은 대한민국이 유일한 정당정부라는 두 번째 국가정체성과 재일한국인을 일본에 계속 거주시킨다는 두 가지 목표를 양립시킬 것, 한편 일본 측은 외국인으로 된 재일한국인들의 재류 제한과 그를 위해 무엇보다 요망된 퇴거강제 권한 확보를 각각 최우선의 정책 목표로 하고 있었음을 실증하여 그로 인해 1965년에 귀결된 ‘재일성’의 윤곽이 이미 초기 한일회담의 교섭과정에서 드러나고 있었음을 밝힌다.

      • KCI등재후보

        한일회담과 일본의 한국관-한일관계’로서의 한일회담과 그 영향-

        장박진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일본학 Vol.33 No.-

        本論文の目的は、戦後日韓関係が日韓会談という枠組みを通じて再設定されるようになったという歴史的経緯が、戦後日本社会の韓国観形成にいかなる影響を与えるようになったのかを論理的に省察することである。関連する先行研究では、いわゆる「久保田発言」や「高杉発言」、またその他の交渉記録を通じ、日本の植民地支配正当化認識を浮かび上がらせる問題意識が支配的である。こうした論点は、会談に表れた日本の韓国観を照射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り、そのアプローチでは日韓会談は、単に認識が表れる一種の「場」として捉えられるに過ない。しかし、固有の歴史論理をおびた日韓会談は、それ自体がまた戦後日本の韓国観形成に重要な影響をもたらしたことは、疑い得ない。本稿ではまず、戦後日本の韓国観形成に影響を与えることになったと考える日韓会談の歴史的性格を筆者として四つに整理し、それを軸として会談推進派と反対派がどのような韓国観を作り上げたのかを論ずる。その上で、推進派が戦後日本社会の韓国観形成において、戦前の植民地史観を連続させる役割を果たしたことに対し、反対派は、戦後登場した大韓民国を「歪んだ政治的存在」として認識させることで、戦前の対朝鮮認識とは断絶した韓国観を作り上げたこと、しかし、そうした「連続」と「断絶」の違いはあっても、日韓会談を巡る論理は、戦後も韓国を否定的に捉える視点を提供したという点では、共通したものであったということ、その結果日韓会談という「日韓関係」は、戦後日本社会の韓国観形成に否定的に作用したこと等を論ずる。

      • KCI등재

        연구논문 : 한일회담 청구권 교섭에서의 세부항목 변천의 실증분석- 대일8항목요구 중의 제2항의 해부

        장박진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일본공간 Vol.9 No.-

        한일회담 청구권 교섭에 관해 통사적인 분석을 진행한 주된 연구에서도 한국이 요구한 대일8항목요구 중의 각 세부 항목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어 심층적으로 그 흐름을 밝힌 연구는 없다. 본고는 동 대일8항목요구 중의 제2항 “1945년 8월 9일 현재 일본정부의 대 조선총독부 채무를 변제(辨濟)할 것”(이하 ‘8항목 제2항’)의 실증분석을 진행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 제2항은 제5항과 더불어 많은 세부 항목들을 포함한 주된 청구 항목이었다는 점, 실제 금액까지 제기되었다는 의미에서 교섭의 상세한 흐름을 밝히는 데 유익하다는 점,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 항목은 배상요구 시부터 ‘청구권’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었음으로 인해 동 항목의 변화 과정을 상세히 고찰함으로써 청구 항목 변화의 의미를 보다 치밀하게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고는 구체적으로 첫째 청구권으로서 일본에 제기된 제2항은 세목 차원에서도 배상요구 시의 내용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는 것, 둘째 교섭과정에서 일어난 세부항목들의 변화는 청구 근거인 ‘배상’, ‘청구권’ 명목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평가하지 못한다는 것, 셋째 제2항 청구는 최종적으로 개인청구권 부분만 남았으나 그럼에도 한국이 국가 간 처리를 도모하려 한 결과 오히려 일부 개인재산이 손실되는 부작용을 발생시켰다는 것, 다시 말해 이른바 ‘경제협력’ 방식으로 인한 개인 재산권의 봉쇄 이전에 이미 ‘청구권’ 교섭 단계에서 개인 재산 청구 범위에 제약이 가해지고 있었다는 것들을 실증하고 ‘8항목 제2항’ 교섭에서 보이는 청구권 교섭의 역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No studies on the negotiations of claims in the normalizations talk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have comprehensively analysed the time series movement of the sub items in the ``claims of the eights items against Japan``.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time series movement of the second item in the ``claims of the eights items against Japan`` precisely, mainly by using Korean side`s official documents opened in 2005 and Japanese side`s official documents which were beginning to be opened in 2007. This studies concludes the followings, the first is that the official contents of the claims proposed to Japan were almost derived from those which Korean government prepared as the ``reparation``, the second is that it is more proper to think that the changes in the contents happened as the result of tactics in the negotiations rater than as the results of the nominal change from ``reparation`` to ``claims``, the third is, in spite that the sub items in the second item that were really proposed to Japan really belonged to the personal properties of Korean peoples, the rights on the personal properties were partially restricted, because Korean government tried to cope with the claims as the compensation problem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지관계 청산을 둘러싼 북일회담(평양선언까지)의 교섭과정 분석 ㅡ한일회담의 경험에 입각하면서ㅡ

        장박진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0 국제지역연구 Vol.19 No.2

        100 years have passed since Japan annexed the Korean peninsula.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Korean's damage by Japanese colonial rule stemmed directly from the Japanese rule in itself, but also that depends on the outcomes of the normalizations talks between the South Korea and Japan concluded in 1965 which made the liquidation of the colonial relations insufficient. In this sense, the normalization talks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which started in 1990's have a great significance, because the talks is the final opportunity to liquidate the colonial relations. But there is not many studies that have analysed the talks, focusing on the liquidation problems, while many studies have discussed the talks in terms of the security problem in North East Asia and the abduction problem of Japanese people by North Korea,This paper discusses the normalization talks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especially from the opening(1991) to "Pyeongyang declaration"(2002), focusing on what, why and how have been discussed on the liquidation problems of the colonial relations. This is because the negotiations from 1991 to 2002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haracter of the talks on the liquidation of the colonial relations. And we think much of the experiences of the normalizations talks between the South Korea and Japan to analyse the negoti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The reasons are following. Firstly, the North Korea-Japan normalizations talks has been based on the talks between the South Korea and Japan. Secondly, it is useful to refer to the experiences of the negoti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because the official documents on the North Koran-Japan talks are not opened. Thirdly, we can once again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South Korea-Japan talks on the liquidation of the colonial relations because the two talks have many similar points in common. This paper clarifies that the negotiations processes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have been decided by the North Korea's political thesis that DPRK should be more legitimate than ROK and the Japanese demand that the negotiations should be solved within the framework of South Korea-Japan talks. And also we show once again the problems of the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s talks on the liquidation of the colonial relationships. 본 논문은 1991년 개시된 북한과 일본의 국교정상화 교섭 가운데 주로 식민지관계에 기인하는 문제처리에 관해 무엇이, 어떻게 논의되고, 또 왜 그렇게 논의되었는가 등을 분석함으로써 동 문제에 관한 북일회담의 역사적 성격을 밝힐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북일회담은 아직 종료되지 않는 진행 중의 교섭이기도 하나 이 가운데 본 글은 2002년 9월에 나온 평양선언까지를 다룬다. 이것은 식민지관계의 청산을 위한 북일회담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평양선언까지의 교섭과정의 고찰이 그 핵심으로 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본 글은 위의 목적을 진행하는 데 1965년에 타결된 한일회담의 경험에 기초한다. 그 이유는 북일회담이 한일회담의 내용을 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아직 입수하지 못하는 공식 자료 등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유익하다는 점, 한일회담의 내용을 축으로 북일회담을 고찰함으로써 거꾸로 한일회담의 역사적 한계를 오늘날 다시 한번 천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들이다. 이상을 통해서 본 글은 식민지 관계 청산 처리에 관한 북일회담의 내용들이 체제의 정당성 확보와 그 존속이라는 북한 측 요구와 한일회담 해결의 틀 안에서 문제를 처리할 것을 지상명제로 하던 일본 측 입장으로 인해 결정되었음을 논증하면서 동 회담의 역사적 성격 역시 불법적 식민지 지배에 따른 문제 처리에 있지 않음을 밝히고자 한다. 또 본고는 동 작업을 통해서 식민지관계 청산문제에 관한 한일회담의 한계를 재조명할 것이다.

      • KCI등재

        한일회담에서의 기본관계 조약 형성과정의 분석: 제 2조 '구조약 무효조항' 및 제 3조 '유일합법성 조항'을 중심으로

        장박진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8 국제지역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roblems, especially on Article 2 and Article 3, which can only be discussed by an analysis on the formation processes of the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in the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The mainstream in the study on Article 2 and 3 of the Treaty has been ‘Non-Process Analysis,’ which can only explain the meanings of the final text. As a result, the two articles have been understood logically resulting from political compromis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contrast, this paper, by using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which the Korean Government made public in 2005, focuses on the formation processes and discusses the following four problems which have not yet been precisely understood under the 'Non-Process Analysis.' The first is about the meaning of Article 2, and the second is whether Article 2, which has been accepted to mean that all treaties or agreements concluded between the Empire of Korea and the Empire of Japan on or before August 22, 1910 were at first effective, was linked to the character of an administration, especially the pro-Japanese one of Park Chung-hee. The third, can Article 3 simply be regarded as the consequence of the compromise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finally, what was the relationships between Article 2 and 3 in the negotiation processes? This study will conclude the first question with an answer that Article 2 has no relation to the principle on which the liquidation of the colonial relationship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s carried out, and the second question with that Article 2 has not resulted from the pro-Japanese characteristic of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Article 2, which permitted Japan to interpret that all treaties or agreements on or before August 22, 1910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at first effective, had already been in existence during the negotiations of the Rhee Syng-man administration. Furthermore, in answering the third question, it will be elucidated that Article 3 was a fruitful result the Korean Government obtained by doing her best in the negotiations under the given conditions. Lastly, the final question, that the two Articles were not independent of each other; that is to say, Article 3 was a gain at the expense of Article 2 to the Korean side. 본고는 한일회담에서의 기본관계조약 교섭 중 그 핵심이었던 제2조와 제3조의 과정분석을 통해서 그 과정에 대한 분석만이 밝혀낼 수 있는 논점들을 고찰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태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동 조항의 분석은 결과로서 나타난 조문내용을 분석하려고 하는 ‘비(非)과정분석’이 그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들 분석은 그 조항의 형성과정에 대한 분석을 결여시킨 결과 동 2조 · 3조를 단지 양국의 정치적 입장에서의 논리적 결과로 보려고 하는 시각에만 머무르고 있다. 이에 대해 본고는 2005년에 공개된 한일회담의 공식문서에 의거하면서 기본관계조약 제2조와 제3조의 형성과정을 분석하여 여태까지의 선행연구가 다루지 못했던 논점들을 밝힌다. 그 논점들은 첫 째 제2조 ‘구조약 무효조항’의 의미는 무엇이었는가? 둘 째 동 조항의 결과는 박정희 정권의 ‘친일성’ 등 개별적인 정권의 속성에 기인한 것인가? 세 째 제3조 ‘유일합법성 조항’의 결과는 단지 한국정부의 타협적인 자세를 뜻하는 것인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네 째 제2조와 제3조는 교섭과정에서 어떤 관계에 있었는가? 하는 네 가지 물음이다. 본고는 과정분석을 통해서 첫째 과제에 대해 제2조는 과거를 청산하는 원칙을 정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지 않았음을, 둘째 과제에 대해 동 조항으로 인해 구조약의 무효시점이 매매해진 것은 한일회담 당초부터의 일이었음을, 또 셋째 과제에 대해 동 3조는 주어진 조건 하에서 한국정부가 가장 중요시한 결과 얻어낸 결과였음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넷째 과제에 대해 한국정부는 동 3조의 내용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동 2조를 희생시켰음을, 즉 동 2조와 3조는 흥정대상이었음을 밝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