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비글견에서 선택적 카테터 삽관법을 이용한 간동맥의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

        장동우,윤영민,김봉경,이영원,윤정희,권오경,성제경,Chang, Dong-woo,Yun, Young-min,Kim, Bong-kyeong,Lee, Young-won,Yoon, Jung-hee,Kweon, Oh-kyeong,Seong, Je-kyung 대한수의학회 1999 大韓獸醫學會誌 Vol.39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selective hepatic artery catheterization technique through percutaneous femoral artery puncture and to offer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of hepatic artery in beagle dogs. Percutaneous femoral artery puncture was performed with Sheldinger's method. Microferret$^{TM}$-18 Infusion catheter(William, Cook, Europe) was introduced into abdominal aorta. Then, under fluoroscopy, iopamidol 370(Bracco, Italy) was injected to identify celiac artery and 'J' shaped guide wire was introduced into celiac artery. Catheter could be introduced into celiac artery through guide wire. In this manner, catheter was located at the insertion of hepatic artery and DSA was performed. In DSA of beagle dogs, hepatic artery which was divided into lateral branch, right-medial branch, right-lateral branch of hepatic artery, cystic artery and gastroduodenal artery was opacified without superimposition of any other body structure and so was the parenchyme of liver afterward. In autopsy angiographic finding of resected liver, cystic artery, caudate branch, lateral branch, right-medial branch, right-lateral branch and quadrate branch of hepatic artery were identified. It was concluded that selective hepatic artery catheterization technique was a minimally invasive method that facillitated the approach of hepatic artery and DSA was an excellent tool to visualize the vessle of liver in dogs.

      • 한강(寒岡)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의 예학사(禮學史)的 위상(位相)

        장동우 ( Dong Woo Cha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8 No.-

        16세기 후반부터 본격화되는 私家禮 연구는 朝鮮의 時俗을 반영하여 『家禮』를 現地化하는 동시에, 古禮의 정신에 따라 『가례』를 보완하는 공통된 양상으로 진행된다. 후자의 양상은 『儀禮經傳通解』의 수입과 간행 그리고 확산을 통해 각성된 문제의식에 기반한 것이다. 그 점에서 寒岡의 『五服沿革圖』는 이러한 각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조선 최초의 저술이다. 『오복연혁도』에 服制라는 단일한 주제로 35개의 도식을 수록한 것과 군주에 대한 신하의 복제는 물론 신하에 대한 군주의 복제까지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도식화한 것은 『의례경전통해』의 문제의식을 계승한 것으로, 중국은 물론 조선에서도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일이다. 『오복연혁도』는 『의례경전통해』의 圖式들을 원본 그대로 준수한 것이 아닌 改正과 補完이라는 加工 작업을 거쳐 재수록함으로써 『의례경전통해』를 성찰적으로 계승한다. 이는 ``『가례』의 존숭``이라는 편향된 시각을 벗어나 『의례경전통해』로 표상되는 ``古禮의 원형과 정신에 대한 해석의 긴 역사``에 대한 안목을 기반으로 禮制를 정립해야 한다는 寒岡의 문제의식에서 발로한 것이다. Hangang`s 『Diagrams for Historical changes about Five systems of Funeral garments』 is a book that succeeded the issues of Zhuxi`s later works of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the Text of and Commentaries on the Yili(儀禮經傳通解)』 and developed its content. 『Diagrams for Historical changes about Five systems of Funeral garments』 did not observe the originals of the of diagrams of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the Text of and Commentaries on the Yili』 but went through a process of revamping and supplement and rewrote it. Stating 35 diagrams related to the simple theme of funeral garments system on the 『Diagrams for Historical changes about Five systems of Funeral garments』 was quite unconventional not only in Chosun but also throughout China in its era. Also, 『Diagrams for Historical changes about Five systems of Funeral garments』 has its status as the first work in Chosun that stated not only the funeral garments system of servants toward the monarch but also the funeral garments system monarch to the servants. 『Diagrams for Historical changes about Five systems of Funeral garments』 has its implication in that it shows detailed evidence that shows it was processed during the 『Yili(儀禮)』 which was the old system of the ritual study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at Chosun and during the flows of traditional interpretations.

      • KCI등재후보

        『여유당전서』 정본사업을 위한 필사본 연구 -경집(經集)을 중심으로

        장동우 ( Dong Woo Chang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5 다산학 Vol.-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ide each stature by comparing Tasan`s manuscripts that exists now. This is the work that pursues the original version of Yoyudangchonso in Shinjoseonsabon (新朝鮮社本), and simultaneously has the characteristic of basic work aiming to arrange the authentic text. As a result of comparing each of manuscripts, those are as follows. 1. Yoyudangchip is what was arranged the latest among the existing manuscripts, and is the original version of Yoyudangchonso. 2. Other manuscripts of Sigyongkangui and Sigyongkanguibo related to Kyongchip, are the original versions of Sigyongkangui and Sigyongkanguibo that are recorded in Yoyudangchonso. 3. Maessisangsop`yong, which is recorded in SaamKyongchip, is the original version of Maessisop`yong that is recorded in Yoyudangchonso. 4. Sangnyesajon that is recorded in Yoyudangchip is the original version of Sangnyesajon that is recorded in Yoyudangchonso. 5. Out of Sangnyeoep`yon that is recorded in Yoyudangchip, Tan`gungcchamo is the original version of Tan`gungcchamo out of Sangnyeoep`yon that is recorded in Yoyudangchonso. 6. Sanguicholyo that belongs to SaamKyongchip is the original version of Sanguicholyo that is recorded in Yoyudangchonso. 7. Jeryegojeong(祭禮考定) that is recorded in Yoyudangchip is the original version of Jeryegojeong that is recorded in Yoyudangchonso. 8. It is possible very highly that Ch`unch`ukojung, Aksokojon?Chuyoksimjon?Yokhaksoon and SaamKyongchip that belong to other manuscripts related to Kyongchip, will be the original version of Aksokojon·Chuyoksimjon?Yokhaksoon and Ch`unch`ukojung that are recorded in Yoyudangchonso.

      • KCI등재

        『상변통고(常變通攷)』의 예학사적(禮學史的) 위상(位相): - 『사례상변통고(四禮常變通攷)』, 22권필사본(卷筆寫本)·30권목판본(卷木版本) 『상변통고(常變通攷)』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동우 ( Chang Dong-woo ) 퇴계학연구원 2020 退溪學報 Vol.147 No.-

        『사례상변통고』는 『家禮』에서 파생된 疑文과 變節을 本文과 本註의 구분 없이 항목으로 설정한 뒤, 퇴계를 중심으로 한 퇴계학파 학자들의 예설을 활용하여 고증한 저술이다. 22권필사본 『상변통고』는 『사례상변통고』의 문제의식을 계승하되 『가례』의 본문과 본주의 구분을 준수하여 재배치하고 사계를 중심으로 한 율곡학파 학자들의 예설을 대폭 반영하며 『가례』의 五禮를 넘어서서 鄕禮, 學校禮, 國恤禮로까지 확대하여 고증한 저술이다. 30권목판본 『상변통고』는 22권필사본 『상변통고』와는 달리 『가례』의 본문을 빠짐없이 수록할 뿐 아니라 필요한 조목을 대폭 보완하고 『가례』의 본주를 복원하며, 22권필사본이 고증 부분에 인용한 전거의 형식적 정확성과 내용적 적절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진전시킨 저술이다. 그 과정에서 전문적인 行禮書는 아닐지라도 행례의 표준지침을 큰 틀에서 제시하는 기능을 탑재하며, 『가례』의 범위를 넘어서서 大喪儀로까지 확대되던 연구의 흐름을 士禮의 영역인 臣民儀로 제한함으로써 22권필사본 『상변통고』의 성격을 변화시킨다. 『사례상변통고』에서 22권필사본으로, 다시 30권목판본으로의 진전은 두 가지 의미를 함축한다. 첫째, 『상변통고』는 그 출발에서는 考證書를 지향하지만, 최종적으로는 行禮書의 기능까지도 포섭하게 된다. 이는 의문과 변절에 대한 고증은 행례를 위해 복무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둘째, 학파적 문호의식이 점차 희박해지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는 학파적 분기를 넘어서서 선진적 예설을 수용·반영함으로써 예설의 객관성을 확보하려는 문제의식의 발로로 보인다. The Silichangbiantongkao sets the list of suspicious sentences and the changed procedures derived from the Jiali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ext and annotations. And it examined by using the theory of ritual of the Toegye School Scholars, which was developed with Toegye as the founder. The 22volumes-manuscript inherits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Changbiantongkao, but relocated the list of suspicious sentences and the changed procedures in compliance with the Jiali’s text and annotation system. The 30volumes-woodblock print not only contains the text of the Jiali on the layer of the text, but also complements the required items. On the layer of the annotations, after restoring the annotations of the Jiali, the book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formal accuracy and content relevance of the previous book cited in The 22volumes-manuscript. In the process, The 30 volumes-woodblock prints provide standard guidelines for the practice of rituals, if not professional ones such as the Silibianlan, in a large framework and clearly show differences in positions to limit the scope of the Jiali research to the rites of the scholars.

      • KCI등재

        특집 2: 조선시대 < 가례 > 연구와 실학 : 다산(茶山) 『상의절요(喪儀節要)』의(義) 연원(淵源)과 재성문화(再成文化)의 원칙(原則)

        장동우 ( Dong Woo Chang )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30

        『상례사전』은 鄭玄과 賈公彦·孔穎達을 포함하여 후대 주석가들의 해석적 입장에 의해 덧칠된 士喪禮를 재배치[編次]하여 孔子에 의해 완성되어 ``一王의 儀文``으로 제시된 원형 그대로를 복원하고자 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의례』의 經文과 記文만으로 儀節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해석적 시각을 기반으로 의절을 재배치한 『상례사전』의 성찰은 『의례경전통해』의 문제의식과 이를 진전시킨 『독례통고』의 성과를 주요한 기반으로 한다. 바로 그 점에서 『상례사전』은 ``創新的``이기보다는 『의례경전통해』에서 『독례통고』로 이어지는 동아시아 경학사의 전통을 계승하고 이를 성찰적으로 진전시킨 저술로서의 한 위상을 가진다. 다산은 자신이 발견한 해석적 입장을 ``喪禮의 大原則[大義理]``이라고 표현한다. 상례의 의식과 의절은 부모의 죽음을 선뜻 받아들이지 못한 채 소생하기를 바라는 자식의 간절한 마음과 소생의 희망이 사라진 뒤 이를 자책하는 자식의 애절한 마음을 표상한 것이라는 人情또는 情理의 대원칙과 昭穆의 원칙에 따라 이번에 사망한 孫子의 神魂을 祖父의 신혼에 屬合하는 부祭는 신혼들의 강한 유대감에 따른 것이라는 神道또는 神理의 대원칙이다. 鄭玄을 정점으로 하는 후대의 정통적 해석을 비판하면서 의절을 재배치[編次]하는 『상례사전』의 단계에서는 두 가지대원칙 모두가 적극 활용되지만, 『상례사전』을 기반으로 달라진 ``시대와 현장``을 반영하여 時宜를 재성문화하는 『상의절요』의 단계에서는 신도 또는 신리는 그 적용이 유보되고 인정 또는 정리가 주도적인 원칙으로 작동되는 양상을 보인다. 『상의절요』는 『儀禮』를 재배치[編次]한 『상례사전』을 기반으로 의절의 층위에서는 『상례사전』을 준수·개정하거나 폐기하는 한편 『家禮』와 俗禮를 활용하여 일부 의절을 새롭게 재성문화[著]하고, 세부규정의 층위에서는 『상례사전』의 관련규정을 준수·활용[從古]하면서 ``節儉``과 ``從便`` 그리고 ``從俗``의 지향에 따라 보완수정하여 시의를 마련함으로써 수행가능성을 제고한다. 이 같은 『상의절요』의 재성문화 작업은 16세기 중반 이후 조선에서 진행된 私家禮연구가 ``『가례』를 古禮의 정신에 따라 보완하는 길을 공통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것과는 확연히 대비된다. 바로 여기에 『가례』의 綱目體裁를 벗어나 고례인 『의례』를 중심으로 하여 성찰적으로 재성문화한 조선시대 최초의 행례서로서의 『상의절요』의 位相이 자리한다. 다산은 『儀禮』를 ``一王의 儀文으로 지금의 儀注또는 笏記와 같은 것``으로 본다. 그 점에서 『상의절요』는 ``먼 옛날 帝王의 일의 실체를 복원[知遠古帝王之事]``하는 『상례사전』의 단계를 거쳐, 이를 기반으로 ``당대의 현실에서 수행[施諸今]``가능한 형태, 즉 ``새로운 一王의 儀文``으로 제공하려 한 茶山禮學의 기획이 私家禮방면에서 구체화되어 제출된 저작이라는 한 함의를 가진다. 이는 『상의절요』에는 ``古禮의 원칙을 실현하는 王政이 민간사회의 층위에까지 확립``되기를 소망하는 ``行王의 문제의식``이 蘊藏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Sangryesajeon』 is a book that succeeded the tradition of East Asia``s History of Chinese classics that came from 『Yilijingzhuantonjie』 to 『Dulitongkao』 and developed its contents and it is a result of reinstating the original funeral rites based on a new interpretated approach with the background of utilizing a specific era and site. In order to function as a guidebook concerning to the actual implementation, 『Sangryesajeon』 needs to reflect the ``era and site`` and go through retextualization and such task depends on the ``difference of status and economic ability, different status of era and the regional difference of China and Chosun``. Here the status of 『Sanguijeolyo』 reflects the era and site based on the funeral rites from East Asia``s History of Chinese classics. The fact that 『Sanguijeolyo』 retextualized the time using the 『Family Ritual』 and popular courtesy based on the 『Sangryesajeon』 is a clear contrast to the fact that the research of private family ritual that developed since the mid 16^{th} century in Chosun pursued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the spirit of ancient courtesy. In this point, the status of 『Sanguijeolyo』 as the ``first guidebook concerning to the actual implementation in Chosun`` that was retextualized based on the ancient courtesy rather than the ritual of 『Family Ritual』 states its position. 『Sanguijeolyo』 has its meaning in the text as it went through the stage of finding the reality of the task of ancient emperor and its planning of Dasan kyunhak that wanted to provide it in real life. This means that in 『Sanguijeolyo』, the royal governing that realizes the principal of ancient courtesy wants it to be set to the status of civil society and has its ``issues in royal courtesy`` implied in this text.

      • KCI등재

        『家禮』 註釋書를 통해 본 朝鮮 禮學의 進展過程

        장동우(Chang, Dong-Woo)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東儒들의 『朱子家禮』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16세기 후반부터 이루어진다. 이는 세 가지 動因에 의해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첫째는 『주자가례』라는 서적의 보급과 확산이다. 둘째는 『의례경전통해』의 수입과 보급이다. 세째는 1518년 도입되어 中宗대에 간행된 『家禮儀節』의 流通이다. 이는 조선에서 『주자가례』에 대한 연구가 그 시작에서부터 ‘古禮의 정신에 따른 보완’이라는 문제의식에 의해 강하게 추동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동유들의 대응은 『家禮儀節』의 ‘요리법’을 따라 ‘行禮’와 ‘考證’ 그리고 ‘變禮’의 방향으로 자리잡는다. 15세기에는 『經國大典』과 『國朝五禮儀』 등 國家典禮를 정초하기 위해 힘을 쏟는 한편으로, 민간의례의 측면에서 혼례와 상례 그리고 제례에 관한 국가 공인의 ‘行禮 매뉴얼’이 마련된다. 16세기에는 『주자가례』에 기반한 喪祭禮와 관련된 간편한 ‘行禮’ 지침서들과 행례의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變禮’의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토론한 문답서류들이 등장한다. 아울러 『주자가례』의 의미를 명료화하고 그것의 연원을 탐구한 ‘훈고와 고증’에 관련된 주석서가 나타난다. 17세기에는 초보적인 喪-祭禮 지침서는 사라지고 체재와 내용면에서 충실한 지침서들이 나타나고, 諺解書가 등장하며, 疑禮에 대한 관심이 독자적인 禮書로까지 정리된다. 이는 『주자가례』의 시행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분명한 징표들이다. 18세기에는 ‘행례’와 ‘고증’ 그리고 ‘변례’의 측면에서 기호학파와 영남학파 각각 이전의 연구를 집대성한 성격의 저술이 등장한다. 이러한 작업은 모두 1740년부터 1780년에 이르는 기간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어지는 19세기는 이들 작품을 보완하거나 절요본을 통해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진행된다. 이는 東儒들의 家禮 연구는 17세기가 아니라, 18세기 후반기에 그 절정에 도달하여 만개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Full-fledged research on Zhu Xi's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by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take place beginning in the latter part of the 16th century. There are seemingly two reasons for this development. The first is the dissemination and wide-spread availability of the work,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The second is the circulation of the Guide to Practising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which was introduced from China in 1518 and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chong. The propag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Guide to Practising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serve to make aware the need for evidential research in remedying theoretical shortcomings in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as well as the need for procedural guidelines for facilitating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relevant rituals among Korean Confucian scholars. In the 16th century, various concise guidebooks concerning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funerary and ancestral ritual appear on the scene. In the process, certain question-and answer booklets dealing with questions on problematic subjects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the rituals also come to the fore. The question-and answer booklets are compositive in that they not only contain specific guidelines for the enactment of ritual, but also explanations of and evidential research on the original text itself. From the latter part of the 16th century, proto-commentaries on the text that first appear in the early part of the century develop into full-blown commentaries with professional content and structure. On a more limited scale, works that deal with overall issues on the implementation of ritual can also be seen. Studies of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in the 17th century take on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1) amateurish and rudimentary guides to funerary and ancestral ritual give way to solid, substantial guides that are equipped with the necessary content and organization, 2) Korean language annotations to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appear on the scene, and 3) interest in conflicting arguments on the interpretation of proper ritual leads to independent works on ritual. This points to the widespread practice of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at the time, and also signifies that the interest in the implementation of ritual was being carried over to a deepened scholarly research into the Family Ritual itself. The 18th century is noted for independent works on ritual, the content of which reflects the fact that scholars' interest in conflicting arguments on the interpretation of proper ritual and in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ritual in cases necessitated by expediency had left the restrictive setting of the question-and-answer format. This signifies that issues which arose in the proc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Family Ritual came to be settled while undergoing academic review. In that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ritual in cases necessitated by expediency came to be included in the actual text of the works on ritual, studies on the Family Ritual of the period can be seen as entering a certain "Koreanized" phase of completion.

      • KCI등재

        변례서(變禮書)를 통해 본 조선후기 『가례(家禮)』 연구의 특성 및 함의 ―『예의답문분류(禮疑答問分類)』와 『예의류집(禮疑類輯)』을 중심으로―

        장동우 ( Chang Dong-wo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81 No.-

        『의례경전통해속』은 변례를 범주화하여 재성문화한 동아시아 최초의 저술이다. 중국은 이후 『의례경전통해속』의 여섯 가지 범주 체재에 약간의 변주만을 가한 형태로 지속되는 반면, 조선은 변례에 대한 관심과 성찰이 출발부터 『가례』의 수행을 목표로 진행되었으므로 중국과는 다른 개성을 보여준다. 『가례』 체재에 기반한 네 가지 범주체재와 고증이 아니라 행례가 중심이라는 점이 그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17세기 『의례문해』를 진전시킨 『예의답문분류』에서 정립되고 18세기 후반 『예의유집』에 이르러 그 정점에 도달한다. 『예의답문분류』는 관변례, 혼변례, 상변례, 제변례 등 『가례』 체재에 조응한 네 가지 변례 체재를 정립하고 중국 문헌 중심에서 조선학자들의 의론 중심으로 변례 연구의 프레임을 전환시킨다. 『예의유집』은 폭증하는 관련 의론을 네 가지 체재를 기본으로 분류하되 하위 범주를 세분화하는 방식을 통해 조직화함으로써 『가례』의 수행가능성을 제고하는 한편, 관련 의론의 대립하는 논점과 그 논거를 학파 구분 없이 수록한다. 『예의유집』은 義起의 결과로 제시된 변례 관련 의론의 정당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기초로 예의 수행 과정에서 마주할 수밖에 없는 변례적 상황에 성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 저술로, 조선시대 『가례』 연구가 행례를 중심으로 축적적으로 진전되었음과 변례적 상황에 대처하는 최고 수준의 성찰을 보여준다. Yilijingzhuantongjiexi (儀禮經傳通解續) is the first to be categorized into six categories of transformed-rituals, and in China, such categories are maintained only after a few variations. However, in the case of Joseon, the study of the transformed ritual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tudy of the Family Rituals (家禮) from the beginning, so it shows a unique personality different from China. This is not the testimony of the confuscian text, but the practicing centered. This aspect was established at the stage of the 17th century Yeuidapmunbunryu (禮疑答問分類) and reached the peak of the early 18th century Yeuiryujip (禮疑類輯). Yeuidapmunbunryu establishes a system of transformed adulthood rituals, transformed weddingrituals, transformed funeral rituals, and transformed sacrifice rituals that are adapted to the Family Rituals system, and transforms the frame from the Chinese literature centered to the discussion of Joseon scholars centered. Yeuiryujip maximizes the possibility of performance by organizing the increased transformed rituals theories through the organization of categories. In addition, the opposing points of the discussion related to the case and the arguments are accumulated without the academic consciousness. Yeuiryujip is a writing to verify the legitimacy of the transformed rituals and to lay the foundations for responding to the problems of the transformed rituals that are inevitably faced in the course of courtesy. In this respect, Yeuiryujip shows at the highest level that the study of the Family Rituals of the Joseon Dynasty has progressed accumulately and forcused on practicing.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시대(朝鮮時代) 가례(家禮) 연구(硏究)를 위한 새로운 시각(視覺)과 방법(方法)

        장동우 ( Dong Woo Chang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9

        17세기 禮學時代論에 의해 촉발된 예학 연구는 개별 연구가 심화·축적됨에 따라 그것의 두 가지 입각점, 즉 ``성리학의 심화에 따른 예학의 발달``이라는 段階的 發展 圖式과 ``학파적 분기에 따른 경학적·예학적 차이``라는 전제와 관련하여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예학 연구를 위한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것은 조선 예학사의 전개를 ``17세기가 아닌 18세기를 정점으로 하고, 학파적 분기를 넘어서서 동일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축적적으로 진전된 단일한 흐름``으로 읽어내는 시각과, ``『朱子家禮』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는 16세기 중반 이후 20세기의 전반기에 이르기까지 東儒들에 의해 이루어진 가례 연구의 (200여종의 가례 연구) 성과를 (총망라하여) 시기별·학파별로 집성``하는 『家禮大全』을 구축하는 방법론이다. 『가례대전』은 구체적으로 『주자가례』의 本文과 本註 그리고 附註에 대한 동유들의 주석모음인 ``集成``과 각 條目의 끝에 부록된 ``變禮集成``의 체제로 구성된다. ``집성``은 본문에 대한 동유들의 고증과 훈고를 모으는 것이고, ``변례집성``은 『주자가례』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제기되는 의문사항[疑文]과 『주자가례』에 명문규정이 없어 의리적 해석[義起]을 통해 새롭게 예제를 구성하는 문제[變禮]에 관한 동유들의 문답과 토론을 집성하는 것이다. 『가례대전』은 『주자가례』의 해당 조목과 관련된 동유들의 주석을(전체를) 시기별?학파별로 구분하여 싣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 과정에서 후대에 저술된 예서에서 선대 학자들의 주장을 반복해서 인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주장을 기록한 원전을 전거로 표시하고 주석의 뒤 ``( )`` 속에 再引用하고 있는 禮書의 이름을 표시하되, 재인용하고 있는 예서는 시기순으로 빠짐없이 기록하도록 한다. 『가례대전』의 이러한 구성방식은 세 가지 점에서 의미가 있다. 첫째, 학파적 친연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 다시 말하면 특정한 시대 특정한 학파에 속한 학자들의 예설이 후대의 학자들에 의해 어떻게 활용되는 지를 살필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학파적 분기를 넘어서서 상호 반성적 성찰을 통해 예설들이 정밀화되어가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셋째, 시기에 따라 변화되는 논점들을 일목료연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 즉 조선 예학의 진전이 시기마다 특정한 문제를 중심으로 심화되고 확산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그것이다. 『가례대전』을 통하여 ``조선 예학사의 전개를 17세기가 아닌 18세기를 정점으로 하고, 학파적 분기를 넘어서서 동일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축적적으로 진전된 단일한 흐름으로 읽어내는 시각``의 유의미성이 예설의 층차에서도 확보되리라고 예상한다. 그러나 역으로 예설의 차원에서 학파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그것이 禮義의 층차에서의 분기를 강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결론난다 하더라도, 그러한 결과는 오히려 『가례대전』을 마련하는 실증적 작업의 의미를 배가시키는 반증이 될 것이다. A research on Yehak(禮學), which was stirred by Yehak period theory, is facing criticism in relation to preposition as saying of its two footings, namely, as saying of the phased developmental diagram called ``development in Yehak according to the deepening of Neo-Confucianism,`` and of`` Gyeonghak(經學)·Yehak-based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based branching``, as individual research is deepened and accumul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w sight and method for a research on Yehak in Joseon period. That is the methodology of implementing 『Garyedaejeon: The Complete Collection of Comprehensive Guidelines for Family Rites(家禮大全)』, which collects the results of a research on Garye by period and by school, which was formed by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until the first half-year of the 20th century following the mid-16th century when is substantiated a research of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朱子家禮)』, in addition to a sight of reading the development in history of Yehak in Joseon with ``cumulatively advanced single flow based on the same critical mind beyond the school-based divergence, with having the peak as the 18th century, not the 17th century. 『Garyedaejeon(家禮大全)』 is composed specifically of a system such as ``compilation``, which is collection of explanatory notes in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on the text, the main note, and the sub-note in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朱子家禮)』, and as ``compila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proper ritual``, which was added to the end of each article. ``Compilation`` is what gathers historical research and Hungo(訓?) in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Compila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proper ritual`` is what collects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questions & answers and discussions about the interpretation of proper ritual and in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ritual in cases necessitated by expediency``, which is the problem of newly forming Yeje(禮制), through righteous analysis because there is no the substantive enactment in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朱子家禮)』 in addition to the questions that are rais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朱子家禮)』. 『Garyedaejeon(家禮大全)』 makes it a rule to record by dividing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note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article in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朱子家禮)』. Given repeating to cite the assertions of scholars in the previous age in Yeseo(禮書), which was written in the future generations, in its process, it indicates the original text, which recorded the corresponding assertion, with reference, indicates name of Yeseo, which is re-citing in ``( )`` behind explanatory notes, and records Yeseo(禮書), which is re-citing, by period without omission. This construction method of 『Garyedaejeon(家禮大全)』 has significance in three points. First, it is a point available for confirming school-based connection, namely, a point available for examining how Yeseol(禮說) in scholars of belonging to the specific school in the specific period is applied by scholars in future generations. Second, it can grasp the aspect that Yeseol(禮說)s proceed with getting precise through mutually introspection beyond school-based divergence. Third, it is a point available for obviously grasping arguments, which are varied according to period, namely, a point available for confirming the image that the advance in Yehak of Joseon is deepened and expanded centering on specific problem every period.

      • KCI우수등재

        『禮記』의 成立에 관한 一考察

        장동우(Dong-Woo Chang) 한국철학회 2001 哲學 Vol.69 No.-

        『禮記』와 『荀子』가 내용적으로 높은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는 분석과 漢初 유자들의 작품이 전국시대 또는 선진 시대 유자들의 작품보다 수적으로 압도 한다는 『예기』의 성립사는 『예기』의 주된 논조가 무엇인가에 대한 전망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죽음을 대면하는 의식, 삼년상과 아버지의 참최삼년 복을 정당화하는 방식 그리고 충과 효의 우선성이라는 문제를 둘러싸고 『예기』에는 두 가지 상이한 논점이 서로 갈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의 주체는 殷周之際에 이루어진 天人觀의 변화가 촉발시킨 인간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 방식에 기초하여 禮를 정당화하려 했던 孔ㆍ孟과 荀子였다. 전자는 ‘인간에게 발견되는 친애의 자연스런 정감[報恩意識]’을 규범의 근거로 제시한 반면, 후자는 평화로운 사회를 가능케 하는 존재들에 대한 ‘정서적이 아닌 이성적 존경심[報本義理]’을 근거로 통일된 전체를 구성하는 사회적 약속들을 규범으로 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