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 속 지명정보 활용 방안 기초 연구

        장노현 ( No Hyun Jang ) 한민족문화학회 2008 한민족문화연구 Vol.24 No.-

        소설 속에는 무수히 많은 지명정보들이 등장한다. 이 지명정보들은 문학 연구 뿐만 아니라 지역학이나 문화콘텐츠산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그것을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부족한 형편이다. 장소나 공간에 대한 연구는 산발적이고 개인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를 한 차원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문학작품 속 지명정보를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수집하고 가공하여, 연구자료로서 활용 가능하도록 만드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고는 소설 속 지명정보의 체계화 방안과 활용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하나로서, 지명정보에 대한 개념적 정의에서 시작하여 "한국소설 지명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구조까지를 논의에 포함하고 있다. 지명정보라 함은 지명 자체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르는 관련 서술정보를 함께 이른다. 현실세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소설 세계에서도 지명은 아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활용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이를 행정지명(지역명), 자연지명, 시설명, 유적명, 외국지명, 기타지명 등 6개의 속성으로 구분하였다. "한국소설 지명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핵심정보인 지명정보와 기타 다양한 정보요소들이 크게 세 개의 테이블로 구성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된다. 핵심정보 요소인 지명과 서술정보는 ``지명 테이블``에 담긴다. 지명 테이블은 소설작품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작품 테이블``과, 작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작가 테이블`` 등을 참조하게 된다. 지명 테이블이 지명을 중심으로 관련 정보들을 정해진 기준과 규칙에 따라 체계화하듯이, 작품 테이블은 개별 작품 중심으로, 작가 테이블은 개별 작가 중심으로 정보를 체계화한다. 세 테이블은 모두 기본정보, 핵심정보, 부가정보를 갖으며, 각각은 다시 몇 개의 정보 요소들을 포함하게 된다. 모든 정보요소들은 정해진 원칙에 따라 기술된다. 기술원칙은 자료의 실상을 최대한 수용할 뿐만 아니라 구축 작업의 용이성과 구축된 자료의 활용성 극대화라는 기본 원칙에 어긋나지 말아야 한다. There are many geographical designations in novel. Information of Geographical designation can be used in many fields like literature research, culture content studies, and literary geography. But for the present, the efforts to widely use of it are definitely lacking. Place and space in literary works have been studied scatteredly and personally. To raise the research level, we have to compile and process of information of geographical designation in novel, and have to make it into good research materials. This study attempted to define information of geographical designation and to find out the basic conceptual structure of ``The Database of Geographical Designation in Korean Novel`` (DGDN). The term ``Information of geographical designation`` refers to not only place name but descriptive information related to place name. Place names in novel, like those in the physical world, have diverse properties; Administrative place name, Natural place name, Facilities name, Remains name, Foreign place name, the others. The Database of Geographical Designation in Korean Novel will take the form of relational database with three tables. Geographical designation table has place names and its descriptive information in it. This table refers to work table which has various information of each fictions and author table which has all information of authors. Three tables have basic information, core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n each contains several subordinate information elements. All information elements will descript under the established description guidelines.

      • KCI등재

        <소나기>와 문학활용 테마파크―전략과 테마기획을 중심으로―

        장노현 ( Jang No-hyu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7 국제어문 Vol.41 No.-

        우리사회는 수많은 문학적 자산을 축적해 왔다. 문학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문학적 능력도 길러왔다. 이러한 문학적 자산과 능력을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데는 두 가지 관점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사람끼리 문화적으로 서로 돕고 의지하고 협력하면서 살아가는 문화적인 삶 공동체 구축에 활용하려는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경쟁력 강화와 경제 활성화를 위해 활용하려는 관점이다. 전자는 개인들의 문화적 실천을 중시하는 생활문화적 접근이며, 후자는 문화산업의 성장·발전을 이룩하여 경제적 수익 구조를 창출하려는 경제적 접근이다. 최근 들어 여러 지역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문학관 혹은 문화마을 사업들은 주로 후자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즉 경제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필자는 문학관 및 문화마을 사업이 후자가 아닌 전자, 즉 생활문화적 접근이 필요한 문제라고 판단하였다. 예컨대 경기도 성남의 <예술, 태평동에서 노닐다>와 같은 문화 프로젝트는 그런 사업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반면에 경제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쟁력 강화라는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문화(문학)에 대한 경제적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그 방안으로 대규모 문학활용 테마파크를 제안하였다. 그것은 전략과 규모 등에서 기존의 문학관 사업이나 문학마을 사업과는 크게 다르다. 본고의 주된 논의는 여기에 집중되었다. 즉 다양한 형태의 문학활용 테마파크가 가능하겠지만, 본고에서는 그 하나로서 `첫사랑 테마파크`의 거시적 전략과 테마 기획 과정을 논의의 주된 대상으로 삼았다. `첫사랑 테마파크`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거시적 전략을 문화콘텐츠산업환경 분석을 통해 도출한 후, 황순원의 <소나기>와 김유정의 <동백꽃>에 등장하는 첫사랑 테마를 예시로 하여 테마의 전략적 선정과 구조화 과정을 보였다. 첫사랑 테마는 원형성과 활용태라는 큰 틀의 구조화가 가능한데, <소나기>의 첫사랑은 역사적 구체적 현실을 배제하고 시원적 시공간을 추구함으로써 첫사랑의 원형성에 도달하며, <동백꽃>의 첫사랑은 구체적인 현실의 시공간에 뿌리내린 의뭉스런 인물을 그려냄으로써 첫사랑의 활용태를 보여 준다. 따라서 `첫사랑 테마파크`는 <소나기>가 보여주는 첫사랑의 원형적 사고를 바탕으로 테마파크의 기본 공간을 설계하고, 여기에 <동백꽃> 류의 다양한 첫사랑 활용태로서 이를 보완하고 구체화해야 한다. 수요자 조사, 공간 배치와 전개, 동선 설계 등의 수많은 후속 작업은 바로 이 거시적인 전략과 테마 기획에 직간접으로 연계된다. There are two ways to take full advantage of literary texts. One is to use it to develop cultural life community, and the other is to use it to earn higher profits. The former is based on a approach that value individual cultural practice, while the latter is a economic approach that is related to cultural industry.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latter. This paper proposed a way to use literary texts to power its economy. It is to build theme park inspired by literary text. The literary theme park is different from a small scale literary center or literary village that many regional governments are thinking of creating recently. The two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strategy and size. Therefore, building the theme park inspired by literary text requires comprehensive strategies that get by environment analysis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most important strategy is globalization. What make to be done it is to establish a bigger brand of theme park. And also digitalization using digital sensitive technique and consistent management planning are necessary strategies for successful literary theme park. Theme planning including selecting and structuralizing a theme is as important as strategy. This paper illustrates theme planning process by structuralizing `first love` theme from novel < sonagi > by Hwang Sunweon and < dongbaekkkot > by Kim Yujeong.

      • KCI등재
      • KCI등재

        다매체 환경에서 문학의 정체성과 연구방법 모색

        장노현(No-Hyun, Jang) 어문연구학회 2008 어문연구 Vol.58 No.-

        It may be true that modern literature have been confined its own forms like poet and novel. Modem literature has been more formal than Premodern one. Now unformal and free literary writing should be recovered. Multimedia environment is giving a good chance to do it. Contemporary literature is on test of a considerable change to digital body. We cannot affirm that what a result of the tests will be like. But digital literature seems to have the identity different with a former literature in some respects. Digital literature is difficult to be an independent existence, it a creation by individual artist, and it a finished product. It will become a part of complex and multiple artistic activities. It will be creation as a result of group work by many people. Furthermore it would be literature as a process. Literature research in digital multimedia environment has to support such changes. To do so, however, literature requires new research method. First, object and domain of literature research has to be extended and rearranged, and the concept of literature needs to be new. Second, literature research should make a full use of digital media like web and have a system for group work with researchers of various fields. Finally, the elaborate and expert database compiling literary materials should be established and made of use.

      • KCI등재

        일반 논문 : 하이퍼텍스트 서사에서의 시간과 공간

        장노현 ( No Hyun Jang ) 한민족문화학회 2006 한민족문화연구 Vol.19 No.-

        우리는 소설을 위시한 모든 서사물이 시간축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시간 예술(time-art)이라고 가름해 왔다. 그러나 디지털 서사의 등장으로 서사물이 시간예술을 넘어서 공간예술로서의 여러 효과에 상당한 관심을 보이는 듯하다. 디지털 서사의 한 분야인 하이퍼텍스트 서사에서도 그런 경향이 뚜렷이 나타난다. <99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작품에서도 시간 형식이 약화되고 공간 형식이 강화되는 경향을 찾아낼 수 있었다. 약화되는 시간 형식과 관련하여 우선, 시간의 파편화로 인해 시간의 인과적 흐름과 연쇄가 덜 중요해진 양상을 다루었다. 인과적 연쇄를 무시한 채 임의적 선택이 가능해진 파편화된 시간은 시간의 공간화 경향으로 해석된다. 또 불확실하고 불확정적인 서사적 현재가 서사적 시공간을 비현실적으로 몰아감으로써 무시간성에 접근하려는 경향이 있음도 밝혀냈다. 한편, 강화되는 공간 형식과 관련해서는, 도상적이고 비위계적인 공간이 도입되는 양상과 수많은 이질적인 공간들이 공존하는 양상을 두드러진 특징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통합적 관계보다는 계열적 관계 축이 더 중요한 서사의 구성 원리가 되었다. 계열적 관계의 강화는 근대적 주체의 단일한 시각을 걷어내고 다양한 층위에서 세계를 바라보려는 하이퍼텍스트 서사의 특징적 양상이다. We have classified all narratives art including novels as time-art that unfolds on its time axis. But with the advent of digital narrative, narrative art seems to show interest in the many effects as space-art, going beyond of time-art. In hypertext narrative that is a field of digital narrative the tendency is quite plain. I can say the same thing about 99 Persons` Last Train. I found out weakened time and strengthened space in this text. Fragmentation of time decreased importance of a causal flow and chain of time. A broken time, which is optional without respect to causal chain, reads like spacing of time. And uncertain descriptive present brings about insubstantial world, it create non-time. In tur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construction of iconic and non-hierarchical space and coexistence of many heterogeneous spaces characterize this text. Because of this distinctive feature, Paradigmatics became more important than syntagmatics. The reinforcement of paradigmatics is a distinctive quality of hypertext narrative, which attempts to sweep the modern subject`s a single viewpoint and observes the world at various standpoints.

      • KCI등재
      • KCI등재
      • 전홍준 소설의 현실인식 연구

        장노현 한국언어문화학회 ( 구 한양어문학회 ) 2002 한국언어문화 Vol.22 No.-

        Jang No Hyun. 2002. An Unerstanding of the Real Reflected Jeon Hong Jun' Novel. Jeon Hong-jun was an unnoticed novelis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He depicted the real of the Liberation period with a critical eye in the <Dawn(새벽)> and <Wriggling(준동)> which are filled with an abominable intellectual. In the <The History of Big Gate House(큰 대문 집의 역사>, the writer described the real of those days and Korean modern history using allegory. He showed that the gloomy real was caused by the power of foreign country and Korean followers. The characters of this novel are all well delineated satirically. By using allegory and satire in combination, the writer reflected the real of the Liberation Period adequately and substantially. <Itinerary(노정)> differs from the other works. It was based on Lofty Realism that is Bukjoseon Munyechong's creative methodology. The writer found the most suitable creative methodology to solve the historical issues the society of the time faced. His understanding of the real changed more affirmative s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