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적 패션 인증제도 구축을 위한 탐색적 조사

        장남경 ( Nam Kyung Jang ),이준옥 ( Jun Ok Lee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패션기업들이 윤리적 패션을 실천하는 방법과 그 방법대로 실천할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윤리적 패션과 관련된 국내외 인증 현황을 살펴보고 둘째, 윤리적 패션을 실천하고 인증을 부여하는 실무자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전문가 의견을 탐색, 조사 후 업계 현실에 맞는 윤리적 패션 인증제도의 기준을 구축하는데 있다. 셋째, 패션업계의 지속 가능한 제도 실행을 촉진하고, 협력을 촉발시키며, 인식을 제고하고 빈곤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하고, 환경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산업 표준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증기준의 체계로 환경, 사람, 협동이 제안되었으며 이 세 가지 체계 하에서 윤리적 패션 인증을 위한 인증항목들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윤리적 패션 인증의 기준은 환경 분야 11개 항목, 사람 분야 14개 항목, 협동 분야 10개 항목 등 총 35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구축된 윤리적 패션 인증제도는 소비자에게는 윤리적 패션 교육 및 확산에 이 바지하고, 패션기업들에게는 소재, 생산과정, 사회 환경적 책임 등 윤리적 패션 생태계 구축을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based on the need to suggest ways of practicing ethical fashion in the fashion industry and for evaluation tools needed to execute the methods suggested. The goals of the research were (1) to investigat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ystems related to ethical fashion, (2) to define the concepts related to an accreditation system in ethical fashion based on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and accrediting staffs of ethical fashion, (3) to establish the standards of an applicable ethical fashion accreditation system for promoting the implementation and cooperation of a sustainable system in the fashion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ajor sub-systems of an accreditation standard are proposed as the environment, people, and cooperation, and these three sub-systems establish the concept of an ethical fashion accreditation system through socially conceptual integration. Furthermore, accreditation lists for ethical fashion are developed under the categories of the environment, people, and cooperation. The developed accreditation lists consist of 11 items in the environment sub-system, 14 items in the people sub-system, and 10 items in the cooperation sub-system for a total of 35 items. The proposed ethical fashion accreditation system is expected to serve to educate and spread ethical fashion toward consumers, and provide guidelines for the ethical fashion ecosystem such as materials, the production process,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of the fashion industry.

      • KCI등재

        1970년대 서양복식에 나타난 동양 복식미의 다각적 분석

        장남경(Nam Kyung Jang) 한국복식학회 2003 服飾 Vol.5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1) 1970년대 서양복식에 존재하는 오리엔탈리즘의 반향에 대해 정의하고, (2) 서양 복식을 통해 표출된 오리엔탈리즘의 의미를 당시 정치, 사회, 문화적인 측면과 연결하여 탐구하는데 있다. 이론적 틀로는 문화인류학 이론에서 유래된 Hamilton의 Unifying Metatheory of Clothing and Textile(1987)이 적용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1970년부터 1979년까지 미국에서 발행된 총 142권의 VOGUE 잡지 중 80권을 분석하여, 오리엔탈리즘이 보여지는 45장의 패션사진을 자료로 추출한 후, 연도, 디자이너의 소속 지역, metatheory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 연도별로 오리엔탈리즘이 표현되는 정도와 방법은 다양하였다. 서양디자이너들은 동양의 전통의상을 거의 그대로 모방하거나 하나 이상의 국가들의 전통의상 디자인 요소들을 하나의 복식에 혼합, 표현하는 방법을 주로 보여주는 반면, 동양 디자이너는 전통의상을 포함한 자국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을 서양복식에 도입하여 표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복식에서 보여지는 시각적인 면의 분석과 더불어, 1970년대 당시 미국의 정치, 사회, 문화전반의 상황과 복식에 있어서 오리엔탈리즘의 도입과의 영향관계가 파악되었다. 따라서, 복식을 연구함에 있어서 문화인류학적 이론과 같은 다른 분야의 이론의 적용은 복식을 새로운 측면에서 이해하는 넓은 안목과 통합적인 틀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윤리적 패션디자인을 위한 실천 방안

        장남경 ( Nam Kyung J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산업에 있어서 윤리적 디자인의 정의와 배경, 유형을 학문적으로 정리하고 구체화한 후, 바람직한 윤리적 패션디자인 개념모델을 구축하여 실천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정착가능성을 모색하고, 확산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다각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윤리적 패션에 대한 필요성은 절감하나 정확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는 현재 패션산업에 개선방향과 실천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패션디자인에 있어 윤리라는 철학적 변화를 바탕으로 한 실천방안은 친환경 소재, 친환경디자인, 표절하지 않은 디자인, 안전한 디자인, 윤리적 생산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친환경소재는 친환경 천연소재와 지속가능한 새로운 소재를 포함하며 친환경디자인은 소비자 사용 전 폐기물 디자인, 소비자 사용 후 폐기물 디자인, 폐기물을 발생하지 않는 디자인, 슬로우 디자인을 포함하였다. 윤리적 생산은 공정무역과 지역생산 및 사용으로 세분화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윤리적 실천방안들이 정착된다면 환경에의 영향은 줄어들고 인류의 혜택은 개선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to examine the definition and background of ethical design within fashion industry, (b)to provide practical applications through building conceptual model for ethical fashion design, and (c)to discuss potential avenues for development of thought within today`s fashion industry that realizes need for ethical fashion design, but has difficulties to find solution. The results showed followings. First, practical applications for ethical fashion design based on philosophical perspective were categorized as the use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design for environment, design authenticity, safe design, and ethical production. Second, the use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includes natural and sustainable new materials, while the design for environment includes pre-consumer waste, post-consumer waste, zero waste, and slow design. The ethical production includes fair trade as well as local make and use. Third, these approaches are anticipated to maximize benefits to people and communities while minimizing impact on the environment.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패션디자인에서 기후변화 적응의 유형과 특징

        장남경 ( Nam Kyung Jang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패션디자인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여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기후변화 적응에 관한 개념적 기초를 마련하고, 패션상품 개발 시 기후변화 적응방법과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기후변화의 개념과 현황, 그리고 대응에 대해 알아보고, 기후변화와 관련된 패션디자인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최근 5년 (2011 S/S ~ 2015 F/W)동안 뉴욕, 밀라노, 파리, 런던 컬렉션에 발표된 기성복을 고찰하여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343점의 디자인을 자료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패션디자인을 통해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유형과 특징을 도출하였는데, 유형은 상위개념으로 기능성, 레이어드, 시즌리스, 크로스 오버로 분류하였다. 기능성과 시즌리스는 각각 3개의 하위개념으로 나뉘는데, 기능성의 하위개념은 기능성 디자인, 기능성 소재, 기능성 액세서리로, 시즌리스의 하위개념은 시즌리스 디자인, 시즌리스 소재, 시즌리스 컬러이다. 특징을 요약하면, 기능성은 스포츠/아웃도어 웨어에서 유래한 소재와 디자인, 디테일들이 일상복으로 대중화되었으며, 레이어드는 여러 품목들의 비율과 소재의 컬러 및 텍스츄어 대비를 통하여 계절과 기후에 따른 용도를 확장할 수 있었다. 시즌리스는 컬러, 소재, 디자인 활용에 있어 시즌을 초월하는 디자인들을 볼 수 있었으며, 크로스 오버는 하나의 품목 또는 스타일링에서 여러 스타일이 혼재함으로써 다양한 기후에 유연하게 착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와 제한점을 토대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conceptual framework for fashion design adapting to a climate change through analyz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adapting to a climate change.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new vision for climate- adapting method and possibility during the fashion product development.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sponse to a climate change as well as a concept and current state, and literature related to fashion design considering a climate change were reviewed. For the positive study, ready-to-wear presented at New York, Milan, Paris, and London collection in the last 5 years (2011 S/S~2015 F/W) were examined. 343 fashion deigns estimated as adapting to a climate change were selected for data and analyz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adapting climate change were derived. Four main themes were functionality, layered, season-less, and crossover. The themes of functionality and season-less had three sub-themes respectively. The sub-themes of functionality were functional design, functional material, and functional accessory. The sub-themes of season-less were season-less design, season-less material, and season-less color. In short, as the characteristics, the functionality may be said that material, design, and details originated in sports/ outdoor wear became popular in daily wear. Through layered, the contrasted proportion and material’ color and texture of one more items helped to extend the usage according to the weather and climate. Designs which are free from the application of seasonal color, material and design were observed. The crossover designs that many styles were mixed in one item or style were flexible in wearing with various climates. Stud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venues in reference to this study finding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특성에 따른 의복행동, 구매 평가기준, 정보원에 대한 연구

        장남경(Nam Kyung Jang),고은주(Eun Joo Ko) 한국복식학회 2004 服飾 Vol.54 No.7

        The internet is one of the modern facilities that has been diffused very rapidly in recent years and tremendously influenced on our life. Although the adolescents are major users of internet. the literature in clothing and textile area has not addre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internet use and cloth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adolescents clothing behavior, purchase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 according to the use of internet.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Duncan 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convenience sample of 57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Korea. The use of internet was partially related to the adolescents` clothing behaviors, purchase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frequency and purpose of fashion website tended to be related more than the amount and purpose of internet did. Marketing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were suggested.

      • KCI등재

        윤리적 패션디자인을 위한 상품개발 프로세스

        장남경(Nam Kyung Jang) 한국복식학회 2013 服飾 Vol.63 No.1

        This study seeks solutions for two conflict values from the fair trade, one being fulfilling environ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other being suggesting stylish designs within a reasonable price rang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fair-trade fashion product development process by investigating practices in fashion product development process within fair-trade company,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air-trade fashion product developmen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ractitioners working in fairtradekorea, Ltd. and producers in Bangladesh, from which case studies were compil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ase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fair-trade fashion product development has the same steps as practiced in general fashion brands, bu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fair-trade products going through a much slower process which led to early planning, having producer-centered product development, concentrating on spring/summer products, having a high cost structure, and having unpredictable quality control. Stud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venu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