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대중국 접근전략 연구: 비대칭협상이론 관점을 중심으로

        장광열(Jang Kwangyeol)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2 전략연구 Vol.29 No.1

        2018년, 북한이 평창올림픽에 참가한 이후 동북아지역을 둘러싼 국제적 역학관계에 있어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북한과 중국의 관계는 그동안의 껄끄러웠던 상황을 반전시켜 동맹관계로 다시 복원되었는데, 이것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건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한국전쟁에서 중국공산당이 북한에 군사력을 지원하면서 가시화된 북중관계는 늘 혈맹으로 상징되었으며 현재까지 전반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여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겉으로 보이는 이러한 맥락과는 달리 북중관계는 끊임없이 단절적 상황을 반복하면서 소위 애증의 관계를 이어왔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국의 관계는 2018년 직전에 중국이 UN의 대북제재에 능동적으로 동참하면서 최악의 상황으로 돌입하는 듯하였으며, 북한은 이를 극복할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북한은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한국과의 관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미국과 전격적인 정상회담에 돌입하면서 그동안의 상황을 반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상황변화는 김정은이 정권 창출 이후 최초로 중국을 방문하였고 중국의 시진핑도 이에 화답한 사건들이 잘 대변하여 준다. 북한은 북중관계에 있어 분명 약소국이며 중국은 강대국이라 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근본적인 국가의 위상을 근거로 과거 두 국가의 관계를 조명하고 이를 통해 최근 밀접해진 북중관계를 해부함에 있어 ‘비대칭협상이론’이라는 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그 이유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북한의 대중국 외교전략의 전통적 맥락과 현재 상황의 동학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ter north Korea participated in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There have been many international relationship changes in north-east Asia. Especially, it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to recover good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in international political events. To tell the truth, After Chiness communist took part in Korean war, generally noth Korea and China have been in friendly relationship as blood alliance. But these two countries seems to have had continual punctuated relationship, so called in love and hatred. It seems this relationship went into worst situation after China put her right hand to the UN,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we think north Korea could not find any key to solve the problem. But after north Korea had Pyeongchang Olimpic games, they development good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And then they had a chance to have summit meeting with US, the situation began to turn around. After 2018, US & north Korea kick off the summit meeting, Kim Jungun have first visit China from accession to power in north Korea, simultaneously. After that Xi jinping have return visit to north Korea. North Korea is real week country compared with China. In this study, I will check this two countries past relationship in fundamental differences of national power. And then I study with asymmetrical negotiation theory to confirm rel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Finally, I find the North Korea"s Approaching Strategy to China.

      • KCI등재

        미국의 전쟁이 한미군사동맹 관계변화에 주는 함의

        장광열(Jang, Kwang-Yeol)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7 군사 Vol.- No.105

        In case of asymmetric alliance like that of ROK-US, strong power has the initiative and the upper hand in alliance changing. And it is possibly normal phenomenon that weak power does not have main role for the alliance and makes a concession to strong power’s demand. But when strong power participates in war, this pattern of alliance changing is altered. In results of this study, weak power’s demands has more powerful influence in strong power’s wartime than peacetime. That means weak power’s influence to the alliance changing strengthen in strong power’s wartime. This phenomenon is the reason why the weak power’s alliance policy become more active and bigger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for negotiation in strong power’s wartime. In order to prove this phenomenon, I payed attention to three things in this study. The first is ‘Two Level Game theory’. How international and domestic level political functions make negotiation processing and products of alliance. The second is ‘Asymmetrical Negotiation Theory’. I trace the how weak power overcome the gap of total national abilities with strong power thorough the negotiation during the strong power’s war and peace time. The next is result of this study. Weak power has more initiative for the negotiation in strong power’s wartime. Because the strong power has to concentrate his attention on the war, and weak power has more alternatives than strong power’s peacetime. Moreover I checked the strong nation has expended ‘win-set’ for the negotiation by domestic political pressure and international situation, but weak power has small ‘win-set’ during the strong power’s wartime. There for during the strong power’s wartime, the bilateral asymmetrical alliance changed to weak power’s favor. But in peacetime, strong power leads the alliance with his total national abilities. In the last analysis, if weak power want to have initiative in asymmetrical alliance with strong nation, The nation has to have attention to strong nation’s wartime and quasi-state of war. And in strong power’s peacetime, weak power make small win-set through hearing public opinion and diversity of strategy and tactics for negotiation with strong power.

      • KCI등재

        북한 김정은 정권의 국방력 강화 전망 -군부통제 및 경제 상황을 중심으로-

        장광열 ( Kwangyeol Jang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3 통일연구 Vol.27 No.1

        2006년, 북한은 제1차 핵실험을 강행한 이후 핵무기 보유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면서 이를 실전에 배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닌 무기로 개발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여 왔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이를 투발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 개발에 진력하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아왔다. 이와 같은 북한의 행위는 UN의 제재를 불러왔으며 특히, 2018년과 2019년에 싱가포르와 하노이에서 연이어 성사된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현재 그 압박의 수위는 더욱 증가되었다. 지난 김정은 정권 10년, 북한의 군부는 존재가치의 하락과 더불어 그 위상이 급격히 추락하는 가운데, 현재에 이르고 있는 상황이다. 핵개발과 더불어 재래식 무기에 대한 투자가 감소하고 있으며 김정일의 시신을 운구했던 군부의 주요 인사들은 현재 권력이 표면에서 사라졌다. 그리고 김정은 정권은 당을 우선으로 하는 새로운 지배체제를 구축함과 동시에 군부를 길들이기 위한 각종 조치들을 단행하였다. 위와 같은 상황은 미래 북한의 국방력 강화에 대한 담론을 요구하고 있다. 그것은 과거 선군시대에는 볼 수 없는 군부와 재래식 무기에 대한 평가절하 의식이 잠재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와 더불어 날로 악화되고 있는 북한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했을 때 그 요구는 더욱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우선 이러한 북한의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미래 북한을 둘러싼 안보적 상황을 평가함과 과거 북한의 국방정책을 되돌아보기로 하였다. 그리고 그 맥락을 이해함과 동시에 김정은 정권의 시작과 현재까지의 국방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정책을 종합하여 미래 북한의 국방력 향상을 위한 미래 정책 방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In 2006, North Korea declared having nuclear weapon with 1st test. After that. she has tried to develop it in order to use in real war. And then, North Korea has been take notice through effort to develop throwing means of nuclear warhead. These North Korea action took place sanctions of UN. Especially After US-North Korea negotiation was broken in Singapore(2018) an Hanoi(2019), intensity of sanction is stronger than before. During the past 10 years of Kim Jungun’s government, Stature of North Korea military power has been fall down consistently. because of nuclear development, investment for conventional weapon has reduced. and Persons of transporting the body of deceased former authority were disappeared. And Kim Jungun government changed new governance system, party first. At the same time, Kim began to domesticate the military authorities. Like this situation request discussion for future North Korea’s defense ability reinforcement. Recent Kim Jungun’s idea that means devaluation of military authorities and convention weapon was never to be seen during the Kim Jungil’s government. This reason increase request of discussion stronger. At First, this study estimates future North Korea’s security situation and looks back her past defense policies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then, aggregates total defense policies during the Kim Jungun’s 10 years. At last, I want to predict derection of North Korea’s future defense policies.

      • KCI등재

        북한의 대강대국 외교 전략의 기원과 전개 과정 : 최근 대미 협상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장광열(Jang, Kwangyeol)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1 亞細亞硏究 Vol.64 No.4

        2018년, 북한이 평창올림픽에 참가한 이후 그동안 외부와의 접촉을 피해왔던 북한이 그 빗장을 풀면서 외교적 행동을 활발하게 진행하였다. 바로 그해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은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남북정상회담을 가졌고 트럼프 대통령과의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을 성사시킴으로써 단시간에 걸쳐 급격한 외교적 변신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세계적인 시선을 한몸에 받는 국제적 인물이 되어버렸다. 그러나 이듬해 열린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한 비핵화 협상이 결렬됨으로 인하여 북미 관계는 물론 남북관계도 경색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은 북한의 대미 협상전략이 미국의 그것과 충돌하면서 발생함에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북한 정권은 과거 소련이라는 강대국의 지원 하에 탄생하였으며 한국전쟁 기간에는 중국의 군사적 지원을 받기도 하였다. 이런 연유로 인하여 북한은 과거 중국과 소련, 최근 미국이라는 북한을 둘러싼 여러 강대국을 외교적으로 상대하는 독특한 외교 전략을 탄생시킨 것으로 보인다. 김일성 정권 시대에는 소위 ‘등거리 외교’ 전략을 사용하여 정권의 안전을 도모하였으며, 탈냉전 이후 김정일 정권 시기에는 미국의 압박에 대항하여 ‘벼랑 끝 외교’로 대표되는 역압박을 구사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과거 북한의 대강대국 외교 전략을 분석하고 현재 김정은 정권의 대미협상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한편, 현재 북한의 외교적 행위가 어떤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앞으로 예상되는 북한의 대미 외교적 행동을 예측하기로 하였다. 2018, After North-Korea participated in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North Korea There have been closed diplomatic door with other countries open the door to the world. Kim Jungun, North-Korea supreme leader showed sudden diplomatic change through south-north summit meeting and US-North Korea summit meeting in Singapore. And because of these action he was the one of interested person in the world. But South-North Korea relationship as well as that of US-North Korea fall down suddenly for failure of the Hanoi meeting. We can see that situation is created by US and North Korea’s negotiation strategy crashing. In the past, North korea political power was made by Soviet’s support and supported by China during the Korean-war. Recently, North Korea have had a lot of thing with US for life. Because of this reason It seems that North Korea made unique diplomatic strategy with strong countries. In the period of Kim Ilsung, North Korea come and go with equidistance diplomacy between two countries. After the cold-war, In the period of Kim Jungil, North Korea tried to use counter-coercion against coercion of US through brinkmanship. Through this Study, I try to check past North Korea’s diplomatic strategy with strong countries, addedly the context and intention of recent North korea’s diplomatic action Furthermore, predict North Korea’s future diplomatic strategy with US.

      • KCI등재

        한 · 미 및 조 · 중 연합군사지휘체제 비교 연구 :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장광열(Jang, Kwang-Yeol)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亞細亞硏究 Vol.62 No.2

        1945년 해방과 더불어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난 한민족은 또 다시 험난한 가시밭길을 걸어야만 하였다. 일본군을 무장해제 시킨 연합군은 남한에서는 미군이, 북한 지역에서는 소련군이 군정을 시작하면서 그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북한은 김일성이 통치권의 전면에 나서면서 소련의 지원을 통해 군사력을 점차 증강하고 급기야 한국전쟁을 일으켜 한반도를 공산화 하고자 하였다. 초기에는 압도적인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는 북한군에게 유리한 전세가 조성되었으나 유엔군의 반격에 전황은 반전되었으며, 북한군은 불리한 전세를 만회하기 위해 중공군의 지원을 받아 조중연합군사령부를 구성하였다. 이에 반해 한국의 이승만 정부는 개전 초 압도적인 군사력의 우세를 점하고 있는 북한군을 방어하고자 미국과의 활발한 접촉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한국의 노력이 결실을 이루어 미군이 주축이된 유엔군사령부가 구성이 되었고, 한국군이 유엔군사령부의 지휘를 받으면서 추후 한미군사동맹의 기초가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유엔군사령부는 한미연합군의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실제로 후일 한미연합군사령부(CFC: Combined Forces Command)로 변화하게 된다. 이렇게 제도화된 양개 연합군사지휘체제는 유사한 시기에 동일한 원인으로 인하여 형성되었지만, 전쟁이 종결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을 걸었으며 엄청난 결과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에 대해 역사적 제도주의라는 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그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In 1945, Korea people who just went free from Japanese ruling had to meet difficult painful way. The allied forces who disarmed japanese forces influenced on korea peninsular with military ruling by US and Soviet. In this situation Kim-Ilsung who had ruling power in north Korea begin to expanded military abilities with Soviet’s support. And then he broke out the Korean war to have communization of whole peninsular. In early of the war, north Korea who have overwhelming military power made advantageous war situation. But the war situation reversed by counter attack of UN forces and north korean forces had disadvantageous conditions immediately. North Korea formed DPRK·PRC CFC(Combined Forces Command) to overcome this situation. But Lee-Seungman, south Korea president tried to contact with US government to defend strong north korean forces attack in early the war time. Such a these south Korea’s trial made forming UNC(UN Command) that US forces led. And UNC also controled korean forces. The UNC changed to ROK·US CFC later. Effectively, the UNC was composed of ROK and US forces mainly. The ROK · US and DPRK · PRC CFC which was institutionalized established very similar time and same reason. But after the war, they went different way and made different destination. This study want to check the reason why these two CFC made very different results each other through historical institutionalism Framework.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혈청 HBsAg 양성 IgA 신병증 환자의 임상상

        한경근(Kyung Geun Han),배성진(Sung Jin Bae),김성은(Seong Eun Kim),김기현(Ki Hyun Kim),박정하(Jeong Ha Park),지삼룡(Sam Ryong Ji),임정현(Jeong Hyun Lim),장광열(Goang Yul Jang) 대한신장학회 200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19 No.3

        N/A There are some clinical evidences that hepatitis B virus(HBV) infection may cause IgA nephropathy. To evaluate clinical significances and pathogenetic roles of HBV infection in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we studied that varius clinical and lab- oratory findings in 172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as serum hepatitis B surface antigen(HBsAg) positive(19 cases) and negative group(153 cases). The result was as following: 1) The incidence of positive serum HRsAg was 11.0%(19/172 cases) in patients with IgA nephrop- athy and i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randomized age-sex matched general population(4.1%) but has no significance statistically.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idence of hypertension, serum levels of IgA, C3, SGOT, SGFf between HBsAg postive and negative group. 3) The cases of nephrotic range proteinuria(3.5g/ day) was more prevalent in HBsAg positive group (31.6%) than that in negative group(7.2%). significantly(p<0.05). 4) The cases of impaired renal function(serum creatinine more than 1.4mg/dL) were more frequent in HBsAg positive group(42.19%) than that in neg-ative group(13.1%) significantly(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