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자중심교육을 위한 교사역량요소 도출 및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비교

        장경원(Chang Kyung won),김희정(Kim Hee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교육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교수역량을 구성하는 요소들 을 도출, 타당화하여 구명하고, 이 교수역량요소들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향후 현직교사재교육 및 예비교사 교육 시 학습자중심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개발 방법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중심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요소 도출을 위해 IBSTPI의 역량 개발 모델 및 국내외의 연구 들이 분석되었고, 교육공학 전문가 2명, 현직교사 5명이 교수역량의 도출과 타당화 과정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중심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은 교사의 태도, 교과 및 교수법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경청ㆍ칭찬ㆍ질문), 수업운영 및 평가 등 4개 영역 30개의 하위요소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역량요소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현직교사와 예비교사들은 모두 도출된 역량에 대해 매 우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나, 실제로 실천하고 있는 실행도는 그리 높지 않다는 반 응을 보였다. 두 집단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학습자중심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의 중 요도에 대한 인식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실행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현직교사 가 예비교사보다는 높은 점수를 보여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는 향후 교사재 교육, 예비교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research, and check the validity of components of teaching competencies which are needed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on the way of developing teaching competenc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hought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bout these competencies when they are educated or reeducated. To draw the constituents of teaching competencies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related literature reviews and analysis of the teaching competence developing model, IBSTPI were conducted and two specialists in educational technology and fiv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joined in drawing and checking the validity of teaching competenc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four components such as i) teacher s attitude, ii) knowledge for subjects and teaching method, iii) communication(listening, praising and questioning) and, iv) class management and evaluation, followed by 30 subcomponents. The research shows that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the teaching competencies which are drawn from this study are important but they didn t practice them much. The result of comparing the two group s thought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petencies, bu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practicing them: in-service teachers showed higher points than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and conducting programs of in-service teachers re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 s training.

      • KCI등재

        환경행정소송(環境行政訴訟)과 제3자의 원고적격(原告適格) -대법원 2010. 4. 15. 선고 2007두16127 판결을 중심으로

        장경원 ( Kyung Won Chang ) 한국환경법학회 2011 環境法 硏究 Vol.33 No.2

        본고에서는 대상판례인 대법원 2010. 4. 15. 선고 2007두16127 판결에서 다투어진 공장설립승인처분에 대한 영향권 내의 인근 주민들의 원고적격에 관한 문제를 검토하였다. 본 판결에서 대법원은 공급원인 원수의 오염이라는 전제를 그 공급원을 통해 수돗물을 공급받는 주민들의 피해라는 결과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로 파악하고 법률상 이익을 인정하고 있다. 대법원의 입장은 지역적 근접성을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는 듯하다. 원칙적으로 관련 법규에서 환경침해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역을 예상하고 있는 경우에는 입증 없이 원고적격을 인정하고, 그 외 지역에서는 환경침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관련 법규를 지역적 기준으로 입증유무에 대한 판단을 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다. 입증책임을 원고적격과 연결시킴으로써, 원고적격의 확대에 따른 남소의 위험을 방지하려 하는 것이 판례의 의도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환경영향평가 대상 지역의 내외를 기준으로 대상지역 밖의 주민들에게는 법률상 이익침해에 대한 입증책임을 요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원고의 본안판단의 기회를 박탈하게 되는 결과에 이를 수 있다. 대상판결은 환경이라는 분야의 특성이 갖는 피해의 광역성·잠복성·누적성 등을 고려하여 환경오염과 그에 따른 피해의 관계를 특정 지역 내에만 한정시키지 않고, 환경피해의 영향권을 보다 폭넓게 인정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판결의 논리는 향후 수질뿐 아니라, 이와 유사하게 피해의 광역성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및 소음·진동과 같이 광범위한 영역에 피해가 야기될 수 있는 영역까지도 충분히 확장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대법원은 피해관계를 특정지역에 한정된다는 관념을 전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취수원의 오염은 그 성격상 통상적으로 원거리 지역 주민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것이 관련 법규 해석 및 사회통념상 당연히 인정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환경문제는 지역적 한정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 그 피해의 정도도 정확히 알 수가 없다는 점 등에 그 특징이 있다. 환경행정소송에서의 제3자의 원고적격도 판례가 점차 확대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우리사회에 쓰레기처리장, 화장장 등 오염시설 등의 설치가 불가피한 점, 국가경제의 활성화, 국토의 균형있는 발전 등을 위해 환경피해를 야기하는 대규모의 국책사업이 필요하다는 점 또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점에서 현실적으로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원고적격의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입법을 통한 해결이 바람직하겠으나, 현행 행정소송법상 "법률상 이익"은 확정적 개념이 아니라 유동적 개념으로 시대의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법 해석에 있어서 환경권의 헌법적 가치를 고양하면서도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원고적격의 범위를 설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 diesem Aufsatz wurde die Verwaltungsrechtsprechung Sudkoreas 15/04/2010 und damit zusammenstehende zusatzliche Urteile behandelt. Die wichtigste Garantie des Umwemtschutzes befindet sich in der koreanischen Verfassung(Art. 35 Abs. 1 Verf. Koreas). In diesem Zusammenhang hat der Gerichtshof uber die Frage der Klagebefugnis von Dritten beantwortet: Der Beschrankung steht zwar im Art. 12 Verwaltungsprozessrecht Koreas. Doch hat es den Umweltnachbarn ein unmittelbares Klagerecht aus Verwaltungsprozessrecht in Verbindung mit Umweltrecht eingeraumt soweit es um umweltrelevante Entscheidungen geht und das koreanische Verwaltungsprozessrecht eine Klagebefugnis nicht vorsieht. Nach Aussage des Gerichtshofes reicht die Kraft der Entscheidung jedoch nur so weit, wie es um Vorschriften geht, die koreanisches Umweltrecht sowie unmittelbar geltendes relevantes Recht vorsehen. Der Gerichtshof hat sich bei Beantwortung der Frage von der Uberlegung leiten lassen, dass Entscheidungen uber die Genehmigung der Werkstatteinrichtung, fur die eine Umweltvertraglichkeitsprufung durchgefuhrt werden muss, gerichtlich uberprufbar sein mussen. Die Norm beschranke aber in keiner Weise die Grunde, auf die ein solcher Rechtsbehelf gestutzt werden darf. Daneben musse auch beachtet werden, dass aus dem Umweltrecht erwachsende Rechte ebenso wirksam durchgesetzt werden konnen mussen.Der Gerichtshof fuhrt weiter aus, dass die Regierung verpflichtet ist, die in Umweltrecht vorgesehenen Ziele zu erreichen. Die Entscheidung des Gerichtshofes erweitert die Moglichkeiten von Umweltnachbarn zur Klageerhebung um ein Vielfaches. Allerdings konnen sie das Klagerecht direkt aus dem Umweltrecht nur dann ausuben, wenn sie Verstoße gegen Umweltvorschriften rugen wollen. Es ist damit noch offen, auf welche Vorschriften im Einzelnen die Nachbarklagen gestutzt werden konnen. Aufklarung kann insoweit nur die Rechtspraxis liefern. Gleichwohl ist von einem weiten Anwendungsfeld auszugehen, da von dieser Klagemoglichkeit alle Vorhaben betroffen sind, die einer Umweltvertraglichkeitsprufung unterliegen. Besonders hervorzuheben ist, dass die Zulassigkeit entsprechender Nachbarklagen mit sofortiger Wirkung eingetreten ist. Nachbarklagen wie Verbandsklagen werden in Zukunft mehr Aussicht auf Erfolg haben, da sie auf eine großere Anzahl von Grunden als bisher gestutzt werden konnen. Die Gerichte werden gehalten sein, die Einhaltung samtlicher Umweltvorschriften zu prufen. Einmal mehr hat der Gerichtshof klargestellt, dass er die Entwicklung des Umweltrechtes bestimmt.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의 소집단 구성방식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장경원(Chang Kyung won),성지훈(Sung Ji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중심학습에서의 소집단 구성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 2개 대학의 대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소집단 구성방식 및 소집단 구성 기준 요인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 과, 대학생들은 효과성, 공평성, 정서적 소외감 예방, 다양한 사회적 교류 기회 확대 를 이유로 학생이 직접 선택하기 보다는 교수자가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여 집단을 구성하는 것을 더 선호하였다. 소집단 구성 기준 요인에 대해서는 성실, 성격, 리더 십, 성적/실력, 친밀도, 학과, 성별의 순으로 문제중심학습에 영향을 끼친다고 인식하 였으며, 이 중 성실, 성격, 리더십을 다른 요인에 비해 월등히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거 문제중심학습에서의 성공 경험을 토대로 위의 각 요인들의 어떤 특성이 영향을 끼쳤는지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어려 운 과제를 소집단 구성원이 함께 해결해야 하는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자가 학생들 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집단을 구성하되, 성실, 성격, 리더십이 소집단 구성의 주요 기준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대학 상황에서 성실, 성격, 리더십은 학생들의 자기보고와 같은 제한된 방법으로 조사할 수밖에 없기에, 수업을 운영할 때 교수자 는 학생들이 성실하고, 타인을 배려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문 제해결과정을 이끌어나가는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지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154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group composition in problem based learning in two universities in Korea through a survey. The students preferred instructor determined group composition to student selected group composition because of effectiveness, fairness, not feeling left out, and high possibility of making new friends. Among the factors used as group composition criterion by instructors, diligence, personality, and leadership are perceived the most influential in problem based learning. What features of the influential factors contributed to successful problem based learning are derived from the students successful experience of problem based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instructor determined group composition based on students diligence, personality, and leadership as a effective way of group composition in problem based learning in college. However, as diligence, personality, and leadership would be checked by limited self-reported survey, instructors should continuously monitor and encourage students diligent participation,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active expression of their opinions, and leadership to lead a meeting orderly in the class.

      • KCI등재

        EU 행정법상의 재량에 관한 연구

        장경원(Kyung-Won Cha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9 행정법연구 Vol.- No.23

        Discretion is not an easy concept, on which there is a considerable philosophical literature. The administrative law systems of the Member States have developed their own conceptions of discretion, as exemplified by the distinction drawn in French law between discretionary power and tied power. The discussion that follows does, however, not attempt to unravel the jurisprudential intricacies of discretion. Nor will it survey the diverse meanings accorded to the concept of discretion in the different legal systems of the Member States. The approach adopted here is to begin with the case law of the Community courts and to identify the different senses in which discretion is employed within this jurisprudence. This has the advantage of focusing on the positive law of the EU that is most directly pertinent, while at the same time leaving room for more considered reflection about the use of the term discretion within that jurisprudence. It is clear that the Community courts have used the term discretion to cover a number of different situations. The relevant case law will be explored more fully below, but the different types of situation can be identified at this juncture. The ECJ held that the Commission had a discretion, the exercise of which involved economic and social assessments that had to be made in a Community context. Article 34 EC stares that a common organization of agricultural markets shall be established, and in that sense imposes a mandatory duty. Article 34 EC further provides that the common organization is designed to attain the objectives set out in Article 33 EC. These objectives include an increase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a fair standard of living for the agricultural community, stable markets, availability of supplies, and fair prices consumers. The many detailed rules made pursuant to the common agricultural policy(CAP) are designed to attain these objectives within different agricultural sectors. It is, however, clear that the objectives in Article 33 that serve to guide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mon organization of markets are set out at a high level of generality and that there can be tensions between, for example, a fair standard of living for farmers and reasonable prices for consumers. What we have is an obligation to establish a common organization of agricultural markets, coupled with a broad range of objectives that are to inform the way in which this is done. It is therefore unsurprising that the Community courts have repeatedly held that the Commission and Council have discretion in balancing and determining the priority between theses objectives when making rules under the CAP, and in determining the best way that the overall objectives can be achieved.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a system of European Community administrative law. It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s for control of the administration; on principles of, and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securing, accountability; and on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the courts, and of alternative methods of dispute resolution. What I hope in the end is, this research help koreans the discretion in the european administrative law to understand.

      • KCI등재

        EU법상 좋은 행정의 의미

        장경원(Kyung-Won Cha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9 행정법연구 Vol.- No.25

        Typically, the term "good administration" can be used on the series of administrative decisions on process included in the guidelines or regulations (not necessarily legally binding). It is carefully selected contingent concepts. This "good administration" has an abstract sense but this principle of good administr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specific rule or administration. At this point, "good administration" to the EU requires all its agencies and administrative activities to act appropriate to the guidelines. The principles of good administration in EU Law are important not only to memberstates but also to the organs of EU to ensure that EU citizens can protect their fundamental rights. In this paper, the notion of good administration examined regarding legality and compared case of the court of the European Union and work of EU-ombudsmen. From this idea we could understand the act of the European Commission, which aimed at improving the application of EU law. The deliberations of this paper focused on good administration of the European Union. One of the main purpose of the European Ombudsmen is, in the end, to secure that rights of citizens under EU law are absolutely protec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 meaning of good administration of EU and to clarify our understanding of good administration in Korea. This paper is intended to be a informaiton, which will be legally reviewed, with the purpose of securing that it reflects containing good practice. We should understand the "good administration" of EU law in some way to ensuring fundamental rights of citizens. Recently the EU proposed a number of norms with the Lisbon Treaty 2009. This means, that the EU administrative law will have an aspects of constitutional law in the future. It demonstrates us how this concept of good administration are reflected in the "Guide to the obligations of officials. and other servants of the European Parliament(Code of conduct)". It shows EU law developments and we can look forward to derive its legal, binding developm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전자서명의 공법적 제문제

        장경원(Chang Kyung Won)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1 행정법연구 Vol.- No.29

        오늘날 인터넷을 통한 거래와 행정업무처리의 확산은 정부, 기업, 소비자 간의 새로운 경제 및 사회활동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과 소비뿐만 아니라 고용ㆍ문화생활에까지 변화를 주고 있다. 이러한 전자적 행위들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중요한 것이 전자서명과 전자인증이라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우리나라 전자서명법제의 개선방향을 모색함에 있어 지금까지 행해진 비교연구는 주로 UNCITRAL(유엔무역법위원회: UN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전자서명에 관한 모델법과 EU법제 등에 대해 진행되어 왔으나, 다른 법제도의 분야에서 우리의 법제와 가장 많은 비교법적 검토가 이루어져왔던 독일을 중심으로 한 비교연구는 의외로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독일의 전자서명법 및 EU 회원국인 독일의 법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EU지침의 중요내용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전자서명법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중 독일의 법제에서 우리가 참고할 수 있는 주요 내용은, 독일의 PKI의 이용 방식이 행정측 PKI를 직접 행정에 의해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민간과의 협동에 의해 구축하는 방식에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전자서명의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민관협력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며, 이 밖에도 가능한 모든 분야에서의 전자서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등의 개정이 시급하다는 점이다. 전자서명법으로 인한 독일의 각종 소송법, 송달법, 노동법원법, 사회법원법, 행정법원법, 재무법원법 등의 개정례는 우리의 전자정부화를 위한 개별 행정법 분야의 개선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자서명의 보증을 장기간 확보하고 있는 독일의 전자서명법제와 전자문서를 이용한 문서의 증명을 규정하고 있는 행정 절차법의 규정 등은 소송 등에서 사후에 전자 문서의 검증을 보증하고, 법적 안정성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재창조 수준과 방법

        장경원(Kyung won Chang),고수일(Soo il Ko)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8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3 No.1

        학생들의 진로선택이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진로교육을 총괄하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진로진학상담교사가 보다 주도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창조하며 수행하기 위한 직무재창조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재창조 수준과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의 직무재창조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직무재창조를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의 직무재창조 수준은 개인차원과 집단 차원이 거의 비슷하였고, 개인 차원에서는 인지가 가장 높고, 과업, 관계의 순이었다.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의 직무재창조 수준을 주요 집단 특성별로 비교한 결과 성별 비교에서는 개인차원에서 남교사에 비해 여교사의 직무재창조 수준이 의미있게 높았고, 경력 비교에서는 경력이 높을수록 대체로 직무재창조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교사들의 직무재창조 방법은 직무재창조 점수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이 유사하였다. 교사들의 직무재창조 방법을 직무재창조 점수가 높은 집단에서 사용한 방법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 수준에서는 개인 영역과 관계 영역으로 구분되는 방법이 있었고, 과업 수준에서는 학습, 실행, 소통 영역에서의 방법이 있었다. 관계 수준에서는 업무, 상호작용, 네트워크 영역의 방법이 제시되었다.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이 인지, 과업, 관계 수준에서 활용한 방법들은 많은 부분에서 서로 겹치고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있어 인지, 과업, 관계 수준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의 직무재창조를 촉진할 수 있는 연수 및 지원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role of career counseling teachers, who oversee career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s the choice of students’ paths can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education at school. Given this background, it is important for career counseling teachers to perform their roles more proactively. This research aims to foster job crafting by examining the level and status of job crafting of career counseling teachers and reviewing their job crafting forms. The analysis revealed that cognitive crafting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ask crafting and relational craftin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vel of job crafting by career counseling teachers by key group attributes, the job crafting level of female teach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teache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job crafting strategies in detail, the strategy used in the group with high job crafting score is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ognitive level, strategies in the individual domain and the relationship domain were derived, and in the task level, there were strategies in the learning, execution, and communication domains. At the relationship level, strategies in business, interaction, and network areas were derived. Strategies used by career counseling teachers at the cognitive, task, and relationship levels overlap and are interrelated in many areas,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m integrally rather than categorizing them into cognitive, task, and relationship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omotion of job crafting of career counseling teachers was proposed.

      • KCI등재

        온라인 PBL에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활동 특성 분석

        장경원 ( Kyung Won Ch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문제해결능력과 협동학습능력이 강조되고 있는 요즘 이러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 학습 환경의 하나로 PBL이 주목받고 있으며, 팀별로 이루어지는 PBL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온라인 공간이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온라인 PBL에 대한 연구는 그 과정보다는 PBL이 가져오는 여러 학습효과 등을 증명하는 등의 결과에 집중되어 있는데, 실제로 온라인 PBL을 실천하기 원하는 교수자 및 실천가들에게는 그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어떻게 활동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PBL로 진행된 강좌에서 학습자들의 활동이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지 밝혀 온라인 PBL에서의 학습자 활동에 대한 안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면대면 환경을 기준으로 제안된 학습자의 활동에 대한 안내들을 종합·분석하여 학습자 활동을 분석할 수 있는 메시지 분석틀을 마련하고, 이 분석틀을 기준으로 온라인 PBL로 이루어진 강좌의 학습자 메시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PBL에서의 학습자들은 문제해결 활동을 위해 필요한 팀원들 간의 친밀감 형성과 허용적 분위기 형성 등의 바람직한 관계형성과 팀 운영을 위한 활동들은 활발하게 잘 수행하였지만 문제해결을 위해 PBL에서 요구하는 각 과정을 충실하게 지키지는 않았다. 특히, 문제가 제시된 이후 학습자들의 경험과 지식에 근거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의견과 사실을 제시해야 하는 부분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온라인 PBL을 실행할 때는 기존의 면대면 환경에서의 PBL 과정을 그대로 실천하기 보다는 이러한 특성이 나타날 수 있는 온라인 환경의 특성, 제한점 등을 잘 분석하여 새로운 실천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라인 환경의 특성, 제한점 등을 잘 분석하여 새로운 실천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학습자들이 PBL 과정을 충실히 경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튜터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learners act in online Problem Based Learning(PBL) environment. A cas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messages of learners. The case for this study was a graduated course which was implemented in online PBL.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ctivitie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messages that learners posted on the web bulletin board utilized for the case course. The framework of the message analysis was based on Barrows` two books: "What Your Tutor May Never Tell You" and "The Tutorial Process". The framework consists of three main groups and eighteen subgroups of categories; 1) Building up relationships: self-introduction, gossip, and support, 2) Managing a team: news, ideas, support, question and answer, and assignment, 3) Solving problems: ideas, facts, agreement, support, materials(data), critical ideas, summary, and deci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 as follows; 1) Learners performed their tasks for building up relationships and managing their team. 2) But, learners did not fully experience PBL process of which Barrows had emphasized the importance.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we consider Blended PBL, which combines online and offline PBL in order to make up for the identified deficits of current online PBL in regards to learner experience. Also, the role of tutor as process guide with minute attention needs to be emphasized.

      • KCI등재

        세계화 시대의 유럽법과 동아시아-과제와 전망 : 경제통합과 법의 통합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본 EU법-

        장경원 ( Kyung Won Chang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서울대학교 法學 Vol.49 No.4

        세계의 경제가 세계화와 정보화를 통해 블록화 되어감에 따라 동아시아에서도 이를 위한 논의가 일찍이 2000년 말경 `ASEAN plus Three`에서 공식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동아시아의 통합문제를 논할 때 동아시아는 지역적으로 동아시아, 동북아시아, 아시아·태평양 등 다양하게 불려왔지만, 어떤 것이든 그것은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지역에 관한 논제였다. 동아시아를 하나의 분석 단위로 묶어 보려는 학문적 노력은 계속되어왔지만, 유럽처럼 50여 년의 긴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실현 가능했던 통합의 경험을 동아시아가 동일한 경로를 밟아가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유럽의 통합은 근대국가의 집착과 그 국가의 경계성을 허물어가면서 통합을 이룩한 반면에, 동아시아 국가들은 그들의 민주주의, 법치국가성을 더욱 견고히 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속에서 통합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유럽 경제통합의 특징은 법적인 틀의 통합이다. 이러한 명제는 장차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 논의와 더불어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유럽 연합이 원래 경제공동체로서 시작되었지만 그것을 위한 법질서가 동시에 지원되지 않았다면 오늘날 지속적이며 안정적으로 확대되는 통합의 형태로 발전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유럽 공동체는 법공동체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EU법질서는 갈등상황에서 회원국법에 앞서 적용되는 새로운 자율적 법질서이다. 이것은 장차 동아시아에서 논의될 경제통합의 담론에서도 통용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세계화시대에서 오늘날 법치 국가들에서는 비슷한 법 시스템이 존재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현 단계에서는 법원리적 성격을 가지는 공동체규범의 특징에서 통합의 단초를 찾는 것이 지금 동아시아에 있어서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 유연한 특성은 동아시아의 현재의 공동체화를 위한 시도에서 장차 다가올 미래를 대비한 통합의 방향을 제시하는 수단으로서 고려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he world trend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society caused the official conference in East Asia 2000, so called `ASEAN plus Three`. When we talk about the integration of East Asia, East Asia is differently said to be East Asia, Northeast Asia, the Asia-Pacific, and things like that. But any way it was mainly discussion about South-Korea, China, and Japan including other asian countries. However there were academic efforts to analyse East Asia into a single unit, it is impossible for East Asia to trace the experience of Integration of Europe as it is, which lasted more than 50 years. During the integration of european countries broke obsession with modern nation state and boundaries of countries, East Asian countries nowadays establish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the situation of which is even more solidly, should find the way of integration. The features of the economic integration of Europe means the integration of legal system. This proposi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long with discussing about the formation of the future East Asian community. The European Union started originally as a economic community. But she could not have developed today in a stable and sustainable way, without support of her own legal system. In this context, the European Union is the Law Community. The EU law system as a new self regulated law system is superior to that of member state. This discourse could be applied to the future of economic integration in East Asia too, because our legal system is more and more similar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 first place, principles of law for integration could be attractive for the East Asia countries. Because of its flexible characteristics, principles of law could be considered as useful means, with which we can find the direction of integration in the 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