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동인구분석을 위한 이동통신 공간빅데이터 활용성 고찰-일본 동경도 타마뉴타운을 사례로-

        임화진(Lim, Hwa Jin),박성현(Park, Sung Hyun) 한국지적정보학회 2020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2 No.1

        최근 들어 국내외적으로 이동통신 공간빅데이터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 하에 본 연구는 일본 동경도 타마뉴타운을 사례로 이동통신 공간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동인구의 시간대별 활동 및 이동행태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공간빅데이터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했다. 타마뉴타운은 4개 지자체가 겹치는 지역으로 기존의 통계 데이터로는 정확한 인구이동을 측정하는 것이 어려운 지역이다. 또한, 특정의 일시와 시간대를 지정하여 인구이동의 양을 추계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에 주목하여 이동통신 공간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구이동행태 분석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출퇴근 시간대의 유동인구의 특성과 공간 거점별 특성을 도출했다. 본 연구는 공간정보의 새로운 방법론으로서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점과 공간정보와 실시간 인구이동행태와 연관 지어 분석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cently, research on mobile-spatial big data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This study analyzed activities and movement behavior by time zone of the population using the mobile-spatial big data as a case of Tama New-Town in Tokyo, Japan. Through these results, we reviewed the availability and possibility of mobile-spatial big data in the evaluation of spatial planning. Tama New-Town is an area where four local governments overlap, and it is difficult to measure accurate population movement with existing statistics. In addition, it was not easy to estimate the amount of population movement by designating a specific date and time. This study focused on these limitations and presented a methodology for analyzing population mobility behavior using mobile-spatial big data. This study derived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during commuting time. This study suggests a new methodology of spatial information, which specifically presents the use cases of spatial big data, and analyzes in connection with spatial information and real-time population movement behavior.

      • KCI등재

        지역정보에 대한 종이매체와 전자매체의 유저빌리티 분석 -일본 지도이용 실태조사와 도쿄 후타코타마가와 사회실험을 통하여-

        임화진(Lim, Hwa Jin),박성현(Park, Sung Hyun) 한국지적정보학회 2020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2 No.2

        디지털화된 현대 사회에서는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도 다양해지고 있다. 종이지도나 TV 프로그램, 라디오, 신문 및 잡지 등의 미디어 외에 모바일로 간편하게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블로그 등의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가 공존한다. 일반적으로 장소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지역정보를 취득할 때, 전자지도가 압도적으로 편리하다는 인식이 대부분이지만 현재도 종이매체 또한 공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사례로 지역정보에 관한 지도이용과 활용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종이와 전자 매체의 장단점을 살리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종이지도 · 전자지도 각각의 이용현황, 활용용도를 명확히 하고, 각각의 활용방법,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이용방법을 분석하였다. In today"s digitalized society, the means of obtaining information are also becoming more diverse. In addition to previous media, including paper maps, TV programs, radios, newspapers, and magazines, we can use various digital media and applications to obtain information from smartphones, social network services, and blogs. Usually, when acquiring spatial data based on location, digital maps are perceived to be overwhelmingly convenient. However, paper media are still conventiona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usability of paper maps and media with the frequency of use of local inform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application by each media. With these analyses, we explored ways to enhanc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paper and digital maps. We clarified the current status and use of each user"s using paper maps and digital maps through this process. Also, we suggest the co-utilization of paper and digital maps for creating synergy effects.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생활인식과 거주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초등학생 세대를 대상으로 -

        임화진(Lim, Hwa Jin),니와 유카리(Niwa, Yukari),박성현(Park, Sung Hyun) 한국지적정보학회 2021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초등학생 세대를 대상으로 거주지 만족도에 대한 변화 및 요인에 대해 서울시 초등학생 세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와 같은 대도시지역의 코로나19 위험은 공간적 특징을 가지면서 육아 세대에 대한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구밀도가 높은 도심지역에서는 어린이의 변화가 현저했다. 휴교되면서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었고, 친구들과의 대면 교류나 공공공간의 활동이 제한되는 나날이 이어졌다. 이는 어린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지만, 강한 조치가 계속되는 것은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다. 고밀도 도심에서도 스트레스를 느끼기 어려운 개방적인 공간이나 사람들이 밀집하지 않는 시스템을 갖추면서 소통할 수 있는 장 및 비일상적 체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번 코로나19에 의한 영향은 단기적인 것에 멈추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사태로 이어지고 있다. 이 연구가 향후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른 새로운 문제와 대처방안을 구상하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였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mpacts of staying home due to COVID-19 on households with primary school-age children living in the urban area in Seoul. In addition, we elucidate the changes and factors in residential satisfa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families in the COVID-19 pandemic in Seou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isk of COVID-19 in large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increases the burden on the parenting generation while having spati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changes in children"s lives were remarkable in densely populated urban are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states of mind between people in the central area and people in other urban areas,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including matters related to school; playing outside; associating with other children, communication with family and friends; and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that secure communication. The impact of COVID-19 does not stop in the short term but leads to a long-term situation. We hope this study has suggested implications for solutions to new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for the prolonged COVID-19 in the future lif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빅데이터를 이용한 지역미래전략 수립에 관한 시론적 연구

        임화진(Lim, Hwa Jin),박성현(Park, Sung Hyun) 한국지적정보학회 2015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미래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충청남도를 사례로 선정하여 실험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역 현안을 보도한 언론기사와 SNS분석을 바탕으로 한 여론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여론 분석으로 도출해 낸 키워드를 정책과 연결하여 정책파급양상을 공간적·가시적으로 표현하였다. 언론기사 분석 결과, 2013년 상반기에는 주로 정치, 경제적 이슈가, 하반기에는 문화 관련 이슈 등이 중점적으로 표출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트위터 분석을 통한 충청남도의 정책 관련 키워드 구조에서는 천안시가 전체 정보네트워크 안에서 중요한 허브(hub)로 추출되었다. 또한 충청남도의 대표 정책인 사회적 경제와 3농혁신에 관한 각 키워드의 특징을 분석하여 각 키워드의 특성과 충청남도와의 관계를 조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광역지방정부의 정책현안과 특징을 반영한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experimentally analysed Big Data for futures strategy in local government, the case of Chungcheonnam-do province. The analysis consists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evaluating for policy, analysing public opinion using the newspaper which reported on regional issues and SNS data as public opinion, and the visualization of the result. The result of analysis using newspaper mainly indicates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in the first half, and issues related to culture in the second half. From the result of Twitter analysis, the policy keyword structure are relevant of Cheonan City as network hub, which means all of the information concentrated. In addition, we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and structure in SNS big data of each representative policy keyword of Chungcheongnam-do, for example ‘social economy’ policy and ‘3 nonghyeoksin’(3 innovation for agriculture). These analyse could be expected to be a material for the implementation of futures strategy of wide-area local governmen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공간정보산업 관련 지식네트워크의 공간적 연계구조의 분석

        박성현(Park, Sung Hyun),임화진(Lim, Hwa Jin) 한국지적정보학회 2014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산업의 현황과 그 특징을 살펴본 후, 공동특허를 통한 지식네트워크의 공간적 연계구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통계법 상 특수산업으로 분류된 공간정보산업이며, 공간적 범위는 전국 단위이고, 시간적 범위는 2000년부터 최근까지의 공동특허의 자료를 활용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현재 공간정보산업은 남성 종사자의 비율이 높고, 젊은 층의 종사자의 비율이 높은 젊은 산업이며, 종사자 규모뿐 아니라 매출액 측면에서도 영세 소규모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둘째, 공간정보 사업체는 고객과 시장 규모가 큰 수도권을 지향하는 입지패턴을 보이고 있다. 셋째, 경제 및 경영적 측면에서 볼 때, 공간정보산업은 전체 산업 평균에 비해 부가가치율이 다소 높은 편이며, 생산유발계수는 상대적으로 작으나 전방연쇄효과가 큰 산업으로 전체 산업의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분석결과에 따르면 허브의 수, 그 위치와 주요 하부그룹은 서울과 수도권지역을 중심으로 입지하며 대전이나 부산지역에는 하부그룹이 존재하나 중요 허브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향후 공간정보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서울, 수도권에 위치한 허브와의 관계 및 허브 자체의 입지 등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v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linkage structure of the knowledge network through joint patent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Geo-spatial Industry and its features. The subject of study is geo-spatial industry which is classified as a special industry by the Statistics Act. The spatial range is nationwide and the time range is based on principle of the most up-to date data. It utilizes the joint patent data from 2000 till recent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urrent Geo-spatial Industry has a high proportion of male and young workers. It is operating in a small scale in terms of sales as well as employment. Secondly, Geo-spatial Business is showing the capital area oriented location pattern which aims to have a large scale of customers and market. Thirdly, we confirmed that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has a small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and a great forward linkage effect. Lastly, regarding results of joint patent network analysis, hubs and sub group features appeared. Hubs and sub groups were mainly located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region. In particular main groups of joint patent network related GIS are concentrated on the southern Gyeonggi-provinc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n the other hands, Daejeon and Busan also have main sub groups, but hubs were not appeared in this regions.

      • KCI등재

        지적학 학문공동체의 협력 네트워크 구조 분석

        박성현(Park, Sung Hyun),임화진(Lim, Hwa Jin) 한국지적정보학회 2015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적학 학문공동체인 ‘한국지적학회’와 ‘한국지적정보학회’에서 발간하고 있는 학술지를 분석대상으로 지적학 학문공동체의 협력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자료는 1993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863편의 논문이며, 각 논문의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지적학 학문공동체에서 발산되는 연구업적은 지속적인 양적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공동연구 또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적학 학문공동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조직은 경일대, 청주대, LX공사, 목포대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협력 네트워크와 키워드 네트워크의 구조는 멱함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Scale free 네트워크의 성질을 띠고 있다. 협력 네트워크의 분석결과는 경일대, 신구대, 서울시립대, 청주대 등의 지적관련 학과 교수들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지적재조사’와 ‘지적측량’이 핵심 키워드로 추출되었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cooperation network of cadastral academic community based on Journals published by The Korea Society of Cadastre and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which are the community in South Korea. Analysis materials were limited to 863 journals published between 1993 and 2014, and information was extracted from bibliographic data. As a result, research performance, published by the community, has consistently increased in terms of quantity, and joint research performance also has increasingly increased. In addition, Kyungil University, Cheongju University, L.X and Mokpo National University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ommunity. The structure of the cooperation network and keyword network assumed the shape of power function, having nature of Scale free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operation network, Professors at Kyungil University and Shingu College, University of Seoul, Chungju University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in terms of the community,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keyword network, Cadastral Resurvey and Cadastral Surveying were extracted as the main keywo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