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혁순(Hyuk-Soon Im),박상성(Sang-Sung Park),장동식(Dong-Sik J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6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11 No.4
The present image segmentation is what user want to segment image and has been studied for technology in composition of segment object with other im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novel semi-automatic image segmentation using gradual region merging and genetic algorithm. Proposed algorithm is edge detection of object using genetic algorithm after selecting object which user want. We segment region of object which user want to based on detection edge using watershed algorithm. We separated background and object in indefinite region using gradual region merge from Segment object. And, we have applicable value which user want by making interface based on GUI for efficient perform of algorithm development. In the experiments, we analyzed various images for proving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유비쿼터스 그린하우스를 위한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한 에너지 효율적인 센서 네트워크
임혁진,주휘동,이명훈,여현,Im, Hyuk-Jin,Ju, Hui-Dong,Lee, Meong-Hun,Yoe, H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12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는 현재 다양한 분야로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그린 하우스에 적용하여 작물생장정보 및 환경데이터 수집 등 유용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하지만 센서노드의 한정된 에너지 자원으로 네트워크 확장을 통한 대규모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운영하기에는 부적절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 무선 메쉬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였다. 도출된 결론을 통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 무선 메쉬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했을 때 에너지 측면에서 효율성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that automates the variety of equipment using the USN(Ubiquitous Sensor Networks) has been executed, and the research field is ranged to almost all fields including a road, harbors. building, military affairs, agriculture and home. By deploying these sensors into the greenhouse environment, we can monitor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the growth of plants 24 hours a day. However, the limited resources of a sensor node like limited energy, short transmission range etc, make it difficult to expand the size of the sensor networks. In this paper, we studied to expand the site of sensor networks by using WMN(Wireless Mesh Networks) with simulation. With this simulation, we could validate that using the Wireless Mesh Networks technology for expanding sensor networks is more efficient in the energy aspect than the normal sensor network.
정신건강전달체계 개편을 통한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증진방안 :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역할에 관한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임혁(Im, Hyuk),박주홍(Park, Ju Hong)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1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7 No.3
이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고, 그에 따라 지역사회 정신건강전달체계의 한계점과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역할을 재정립하여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증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정신의학 전문가, 정신건강전문요원, 가족 및 당사자, 지방자치단체 전문가 17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 질적 자료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정부의 사회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재정투자 부족 문제가 가장 크게 주목받았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촉진하는 요인으로는 정부의 정신건강증진사업 수행 의지와 투자 확대 그리고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결합한 사회복귀시설의 확충으로 압축되었다. 셋째, 현재 정신건강전달체계의 구조적 한계와 문제점으로 전문가들은 다양한 종류의 정신재활시설의 다양성 부족과 지역편차가 큰 정신건강 관련 예산문제를 중요하게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증진을 위해 필요한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역할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지역사회 기반 집중사례관리의 확대와 주거복지지원 기능을 갖춘 시설기능 강화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증진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책적 우선순위에 따른 지역사회 정신건강전달체계의재편방안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limitations of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 concerning the social integr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to propose the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 reform and a new function of community mental health agencies. For this purpose, the Delphi method was utilized and a total of 17 mental health professional representing by psychiatrist, and mental health Specialist,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and their family. As the main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Firstly,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reduce social integration was insufficient fiscal invest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s social integration infrastructure. Secondly, it was presen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were the expansion of the government s investment in community mental health and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mental heath rehabilitation facilities combined with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s. Thirdly, experts pointed out the lack of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ith that various function toward social integration and the community mental health budget problems with large regional differences. Finally, There were top opinions that the role of community mental health facilities have to expand community-based intensive case management and to strengthen facility functions with housing support and social welfare functions. In conclusion, we discussed ways to reform the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olicy priorities.
임혁(Hyuk Im),박주홍(Ju Hong Park)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18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우선순위 정책을 전문가를 통해 파악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17명의 정신보건전문가를 포함한 당사자 및 가족들이 델파이 패널로 참여 하였고 총 4회에 걸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위해 가장 시급하게 요청 되는 정부의 정책에 대해 델파이 패널들은 맞춤형 주거지원정책의 수립과 공공재원의 확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장 애인의 지역사회통합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의 사업으로는 회복기반 주거지원사업과 정신장애 인식개선사업 그리고 당사자활동지원 확대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된 정책 우선순위에 따른 정신보건정책의 방향성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proposed to suggest the policy priorities associated with community integration focused on helping the mentally disabled. For this purpose, delphi study method was utilized and a total of 17 professional panels represented by researchers and field experts had participated. There were 4 successive questionnaires given to the delphi panels. There were developed significant community integration agenda for prevailing mental health service. As the main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Firstly, the most important mental health policy was housing support at community and government need to make an effort to secure public resources expanded with financial support for community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Secondly, it was presented as the most important agenda that is associated with housing support program, the project improving mental disability awareness and the support for the activities of the mentally handicapped. In conclusion, we discussed the direction of the new policy for promoting community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임혁(Hyuk 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4 No.-
최근, 문화적 다양성과 다문화가정의 확산으로 인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생태체계적 맥락에 근거하여,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살펴보고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자료수집은 부산시에 거주하는 632명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 문제와 정신건강 영향요인을 고찰할 수 있었다.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학력과 소득수준, 자녀유무 등의 변인에서 조사대상자의 정신건강 수준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정신건강과 관련변인과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관계 등과의 상관관계가 다른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태체계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위계적 회귀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위계적 회귀모형에서는 조사대상자들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다음의 요인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들이 정신건강의 44.5%를 설명해 주었다. 조사결과,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에 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는 학력과 소득수준,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 및 교류 정도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생활사건으로 나타났고, 이들 요인들 중에서 조사대상자의 정신건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문화적응스트레스 변인이었으며, 가족체계 관련변인들의 영향력 또한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여성결혼이 민자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을 제안했다. Providing high quality and effective health care service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that are due to increasing culturally diversity and multi-cultural family in these day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ecological variables on marriage migrant women`s mental health and to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Research subjects consist of 632 marriage migrant women who are living in Busan Cit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variables such as education, monthly income, presence of children regarding to mental health problem. Second, mental health problem was found to be strongly correlated with acculturation stress positively and family relationship negatively. Third, hierarchi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higher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frequent social contact with Koreans and much more the number of social support they had, the more positive mental health status they acquired. However, Higher acculturation stress and exposure to family distress events had a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The explanatory power was 44.5% and the most powerful impact factors was acculturation stress and then factors regarding to family system was also important factor. Based on these results, Psychiatric social work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those women`s mental health and cultural adaptation were suggested.
임혁(IM Hyuk),남일재(NAM Iljae)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5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정치참여 수준을 분석하고,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9년도에 실시된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를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정치참여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내용으로는 첫째, 연령대와 배우자와 동거여부, 학력, 취업유무, 가족 월 소득수준 등의 변인에서 조사대상자의 정치참여 수준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필리핀 출신과 동아시아지역 출신 그리고 자유민주주의 정치체제의 영향권에서 이주해 온 여성들과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들의 정치참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이주 및 사회문화적 관련변인들에서는 차별대우 경험유무와 의논대상으로 한국인(이주민) 친구유무, 인터넷 활용여부에서 정치참여의 수준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이주여성의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요인들과 이주 및 사회문화적 요인들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투입된 모든 변수들 중에서는 한국어 사용능력의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연령, 지역주민 모임 참여, 인터넷 사용, 입국목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우리사회가 지향해야 할 결혼이주여성들의 정치공동체로서의 성원자격 확대와 정치참여 증진을 위한 정책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female marriage migrants by using the Korean ‘National Survey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in 2012.’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female marriage migrants depended on thei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job status, and family income. - Second,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women of East-Asian origins and of the Philippines and/or liberal democratic nations was higher than its counterpart from other countries. Furthermore, political participation was higheramong women living in rural areasthan among those in urban areas. - Thir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communication with other migrant friends, and internet accessibil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female marriage migrants. - Fourth, political participation was strongly influenced by a combination of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among female marriage migrant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Korean language ability followed by age, participation in community meetings, Internet usage, and motive for immigration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on political participation of female marriage migrants. We concluded this study by proposing policy recommendations to enhance their political civil rights and membership.
조직문화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임혁(Hyuk Im),황성동(Sung Dong Hwang),채인숙(In Sook Cha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문화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조직헌신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조사의 대상은 전국적으로 무작위로 추출된 217명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기관수=83개소)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식으로 자료의 수집이 이루어졌고, 자료의 분석방법은 다층모형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학제간 팀접근을 중시하는 정신보건기관에서 두드러지는 조직문화는 개발문화와 위계문화보다는 집단문화와 개발문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조직헌신도는 조직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조직요인은 조직헌신도의 총 분산 중 37.9%를 설명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수로는 학력, 결혼상태, 총경력, 근속기간, 임파워먼트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요인들 중에서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발문화만이 유의한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조직헌신도에 대한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의 상호작용효과 분석을 통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조직헌신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조직관리 방안을 제언하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psychiatric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tudy subjects consisted of 217 social workers working at 83 mental health service agencies, who were randomly selected across South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multi-level modeling.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ominant organizational culture was neither rational culture nor hierarchical, but group and developmental ones. Second, 37.5%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explained by the organization-level variables (ICC=.379). Third, such variables as education, marital status, careers in mental health, seniority, empowerment for psychiatric social worke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 Finally,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n term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al culture only at the agency level, and some interaction effects were shown between person- and organization-level variables. In the conclusion, the authors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outcomes, and offered some recommendations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임혁(Im Hyuk)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17 사회복지상담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델파이 전문가 의견에 기반을 두고 사회복지상담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대학교육을 어떻게 개선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나타난 주요 의제들을 개발함으로써 사회복지상담의 사회적 활용성을 증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조사방법(Delphi Research)을 활용하여, 사회복지상담교육의 활성화와 대학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안할 수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은 총 10명으로 구성되었고 총 4회에 걸쳐서 델파이 조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결과로는 첫째, 사회복지상담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교육의 개선방향에 대해 델파이 패널들은 다양한 상담관련 교과목들을 추가로 개설해야 한다는 의견과 상담실습이나 워크숍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 그리고 사회복지상담사 자신의 자기분석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상담능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으로 전문상담교육의 확대와 상담사례연구 강화, 사회복지실천교과 내 상담실습교육 비중 강화, 상담재교육을 위한 보수교육의 체계화 그리고 상담 슈퍼비전교육 강화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상담교육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대학교육 방향성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proposed to suggest the promoting social welfare education focused on counseling in social work. For this purpose, delphi method was utilized for reflecting professional opinions of delphi panel. 10 professionals qualified as delphi panel had participated. Delphi study method on this paper was performed for 4 times. Several Social work educational agenda for prevailing counseling were suggested. The main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Firstly, the curriculum related with counseling need to be open and strengthen on-the-spot counseling at social work practice education of college in addition to expansion of counseling practice including workshop. The panel also highlighted the self-analysis of their own personality among counselors. Secondly, there were more important that professionally specified counseling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counseling skill training, supervision and case study need to be enlarged. The social work counseling promotion strategies for social workers must be settled for providing appropriate social welfare education services to them.
임혁(Hyuk Im),이효영(Hyo Young Lee)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12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9 No.5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of migrant workers and their mental health for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and adaptation in Korean socie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1 to May 7, 2011. The participants included 488 migrant workers who liv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or Gyoungnam province. Results: First, heavy working burdens and lack of rests, low wages, poor living environments, low economic status & deficiency of living necessities, hard physical labors, and conflicts with Korean workers had negative effects on mental health. Second, high perceived stress caused by usual ’living difficulties’, high ‘cutural shock’, high feeling of ‘social isolation’, and high discomfort from ‘lack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gave negative effects on migrant worker’s mental health. Third,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the mental health was the ‘cultural shock’ among stressors. Even though many stressors existed among migrant workers, these negative effects on mental health were lessened by their high resilience level.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igrant workers in Busan, Korea.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social support including financial supports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foster resilience needed.